아빌라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빌라는 스페인에 위치한 지역으로, 지리적으로 토양과 기후가 다른 두 부분으로 나뉜다. 북부 지역은 평평하고 토질이 좋지 않으며, 겨울에는 춥고 여름에는 더운 기후를 보인다. 반면 남부 지역은 산악 지형으로 비옥한 초목과 계곡이 특징이다. 이 지역은 베톤족이 거주했으며, 로마 시대와 서고트 왕국을 거쳐 켈트족의 유물인 베라코스 석상이 남아있다. 아빌라 현은 여러 사법 관할구로 나뉘며, 아빌라 시에 인구의 대다수가 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빌라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 |
| 유형 | 도 |
| 국가 | 스페인 |
| 자치 공동체 | 카스티야 이 레온 |
| 수도 | 아빌라 |
| 주민의 호칭 | abulense |
| 지리 | |
| 위치 | 아빌라 |
| 면적 | 8,048 km² |
| 면적 순위 | 30위 |
| 스페인 면적 비율 | 1.60% |
| 인구 | |
| 총 인구 | 158,265명 |
| 인구 순위 | 47위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스페인 인구 비율 | 0.37% |
| 정치 및 행정 | |
| 정부 형태 | 해당 없음 |
| 지도 정당 | PP |
| 도지사 | Carlos García González |
| 하원 의석수 | 해당 없음 |
| 상원 의석수 | 해당 없음 |
| 기타 정보 | |
| 시간대 | 해당 없음 |
| UTC 오프셋 | 해당 없음 |
| 우편 번호 | 05 |
| 지역 번호 | 해당 없음 |
| 웹사이트 | 아빌라 지방 정부 공식 웹사이트 |
| ISO 3166-2 | ES-AV |
2. 지리
아빌라는 자연적으로 토양과 기후가 다른 두 부분으로 나뉜다. 북부는 평평하고 토양의 질이 좋지 않은 반면, 남부는 험준한 화강암 산맥과 비옥한 계곡이 특징이다. 겨울은 길고 혹독하지만, 기후는 건강에 해롭지 않다. 주요 산맥은 마드리드와 경계를 이루는 과다라마 산맥, 그 서쪽의 파라메라와 시에라 데 아빌라, 남쪽 경계의 시에라 데 그레도스 등이 있으며, 피코 알만조르가 가장 높다. 주요 강은 알베르체 강, 티에타르 강, 토르메스 강, 아다하 강 등이 있다.
2. 1. 지형
아빌라는 자연적으로 토양과 기후가 완전히 다른 두 부분으로 나뉜다. 북부 지역은 일반적으로 평평하며 토양의 질이 좋지 않고, 일부 지역은 마사토가 많지만, 아빌라 산맥의 모든 계곡은 바위가 많다. 기후는 겨울에는 혹독한 추위에서 여름에는 극심한 더위로 번갈아 변한다. 이 지역의 인구는 주로 농업에 종사한다. 그러나 남부 지역은 험준한 화강암 산맥 덩어리로, 비옥한 초목이 풍부하고 그늘지고 물이 풍부한 계곡이 산재해 있다.겨울은 특히 파라메라와 아빌라 황무지의 고지대에서 길고 혹독하지만, 기후는 건강에 해롭지 않다.
주요 산맥은 이 지역을 마드리드와 분리하는 과다라마 산맥, 과다라마 산맥 서쪽에 있는 파라메라와 시에라 데 아빌라, 남쪽 경계를 따라 거대한 시에라 데 그레도스의 벽으로, 그 솟은 봉우리가 약 약 1828.80m에서 약 2438.40m에 이른다. 피코 알만조르가 가장 높은 지점이다. 파라메라에서 분기되는 능선은 너도밤나무, 참나무, 전나무의 귀중한 숲으로 덮여 있어 시에라 데 그레도스의 헐벗은 봉우리와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시에라 데 그레도스에서 발원하는 주요 강은 알베르체 강, 티에타르 강, 토르메스 강이다.[1] 앞의 두 강은 타구스 강 유역에 속하고, 후자는 두에로 강 유역에 속한다. 한편, 시에라 데 아빌라와 라 세로타의 단절점에서 발원하는 또 다른 두에로 강 지류인 아다하 강은 여름에는 물이 거의 없다.[2]
2. 2. 수계
시에라 데 그레도스에서 발원하는 주요 강으로는 알베르체 강, 티에타르 강, 토르메스 강이 있다.[1] 알베르체 강과 티에타르 강은 타구스 강 유역에 속하며, 토르메스 강은 두에로 강 유역에 속한다. 시에라 데 아빌라와 라 세로타의 단절점에서 발원하는 아다하 강은 두에로 강의 지류이지만, 여름에는 물이 거의 없다.[1]2. 3. 기후
아빌라의 기후는 겨울에는 혹독한 추위가, 여름에는 극심한 더위가 번갈아 나타난다. 특히 파라메라와 아빌라 황무지의 고지대에서 겨울은 길고 혹독하다.[1]주요 산맥으로는 마드리드와 아빌라 지역을 분리하는 과다라마 산맥, 과다라마 산맥 서쪽에 있는 파라메라와 시에라 데 아빌라, 남쪽 경계를 따라 솟아있는 거대한 시에라 데 그레도스가 있다. 시에라 데 그레도스의 봉우리 높이는 약 1828.80m에서 약 2438.40m 사이이며, 피코 알만조르가 가장 높다. 파라메라에서 갈라져 나오는 능선은 너도밤나무, 참나무, 전나무 숲으로 덮여 있어 시에라 데 그레도스의 헐벗은 봉우리와 대조를 이룬다.[1]
시에라 데 그레도스에서 발원하는 주요 강은 알베르체 강, 티에타르 강, 토르메스 강이다.[2] 알베르체 강과 티에타르 강은 타구스 강 유역에 속하며, 토르메스 강은 두에로 강 유역에 속한다. 시에라 데 아빌라와 라 세로타의 단절점에서 발원하는 아다하 강은 두에로 강의 지류이지만, 여름에는 물이 거의 없다.[2]
3. 역사
켈트족은 아빌라에 처음으로 기록된 거주자였으며, 베라코스라고 불리는 소의 거대한 석상들을 남겼다. 이 석상은 아빌라에 현존하는 가장 많은 수의 예이다. 기원전 192년경 이 지역은 로마인에게 정복되었다.[1] 로마 제국 멸망 후, 이 지역은 서고트 왕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이 시기부터 아빌라의 도시들에 대한 최초의 기록들이 많이 남아있다.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전반까지 현재 아빌라 지방을 구성하는 영토의 인구는 크게 감소하여, 16세기 말 인구를 회복하는 데 거의 2세기가 걸렸다.[2]
3. 1. 선사 시대와 고대
켈트족은 아빌라에 베라코스라고 불리는 소의 거대한 석상을 남겼는데, 이는 아빌라에 현존하는 가장 많은 수의 예이다. 이 지역은 기원전 192년경 로마인에게 정복되었다.[1] 로마 제국 멸망 후, 이 지역은 서고트 왕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이 시기부터 아빌라의 도시들에 대한 최초의 기록들이 많이 남아있다.3. 1. 1. 로마 이전
로마인이 도달하기 전, 이 지역에는 베톤족이 거주했다. 이들의 거주 영역 북동쪽 경계는 아빌라 북쪽 수 킬로미터 지점의 카르데뇨사로 확인되었다. 바카이족 또한 현재 현(県)역의 일부인 라 모라냐 지역에 거주했던 흔적이 발견되었다.[1]이 지역 거주 인구 대부분은 현재 현역의 거의 중앙 부분에 집중되었다.[2] 이후 로마 시대의 거주자인 베톤족은 이 시기에 영역의 고지에 여러 방비를 갖춘 대규모 취락 (엘 라소(El Raso), 라스 코고타스(:es:Las Cogotas), 카스트로 데 라 메사 데 미란다(Castro de la Mesa de Miranda), 카스트로 데 라 에라 데 로스 모로스(Castro de la Era de los Moros), 울라카(Ulaca))을 형성했다.[3] 이 중 가장 크고 중요한 곳은 카스트로 데 우라카로, 추정 인구는 약 5,900명이었다.[4] 발견된 분묘의 매장품 조사 결과, 베톤 사회는 군인 엘리트 계급이 지배하는 피라미드형 계급 사회였으며,[5] 최하층에는 노예 계급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6]

베톤족의 경제 기반은 목축이었으며,[7] 주요 가축은 소였고, 그 외 돼지, 염소, 양 등도 있었다. 이 지역은 경작에 유리한 조건이 아니었기 때문에 농경은 그다지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다. 사냥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도토리, 밤, 호두 등의 채집도 베톤인의 식생활에서 매우 중요했다.
베톤족은 황소나 돼지 모양의 수많은 석상 조각(verraco)을 이 지역에 남겼다. 이 고대 석상은 이베리아 반도의 다른 선주민 거주 지역에서도 발견되지만, 베톤족 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다. 아빌라현 영역에서 석상 조각의 43%가 발견되었다. 이 석상의 용도에 대해서는 오늘날에도 논쟁이 있는데, 장례 의식용, 방목용 통로 표식, 토지 경계 표시, 목축 수호신 등 다양한 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어떤 풍요와 관련된 주술적인 역할을 띠는 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1. 2. 로마 시대
기원전 192년경 아빌라는 켈트족 베라코스 부족의 거주지였으나 로마인에게 정복되었다.[1] 베톤족은 바케이족, 켈티베리아인과 동맹을 맺고 톨레도에서 프라에토르 마르쿠스 풀비우스 노빌리오르가 이끄는 로마 군단에 패배하여 톨레도를 점령당했다.[2] 루시타니아 전쟁 (기원전 155년) 동안, 베톤족은 푸니쿠스가 이끄는 루시타니아 군에 합류했다.[3] 세르토리우스 전쟁 이후, 베톤족 지역에는 평화로운 시대가 찾아왔다.[4]아우구스투스는 히스파니아 속주의 경계를 재편했지만(기원전 27년 및 기원전 7-2년), 현재의 아빌라 현 주변은 변화가 없었다. 베톤족의 영역은 히스파니아 키테리올과 루시타니아 두 속주로 나뉘었고, 현재 아빌라 현의 영역은 대부분 루시타니아에 속했다.[5]
기원전 1세기에 이 지역은 로마화로 인해 정착지 형태가 변화하였다. 방어 목적의 요새화된 장소 대신, 교통망에 가까운 평탄한 지형에 정착지가 확대되었고, 아빌라는 이 지역의 주요 도시가 되었다.[6]
산페드로델아로요에는 엘 베르헤르라고 불리는 후기 로마 시대의 네크로폴리스가 발견되었으며, 3세기부터 4세기에 걸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7]
3. 2. 중세
아빌라의 첫 번째 기록된 거주자는 켈트족으로, 아빌라에 가장 많은 수의 현존하는 예가 있는 베라코스라고 불리는 소의 거대한 석상들을 남겼다. 이 지역은 기원전 192년경 로마인에게 정복되었다. 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 이 지역은 서고트 왕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이 시기부터 아빌라의 도시들에 대한 최초의 기록들이 많이 남아있다.3. 3. 근세
켈트족은 아빌라에 처음으로 기록된 거주자였으며, 베라코스라고 불리는 소의 거대한 석상들을 남겼는데, 이는 아빌라에 현존하는 가장 많은 수의 예이다. 이 지역은 기원전 192년경 로마인에게 정복되었다. 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 이 지역은 서고트 왕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이 시기부터 아빌라의 도시들에 대한 최초의 기록들이 많이 남아있다.[1]16세기 말부터 17세기 전반까지 현재 아빌라 지방을 구성하는 영토의 인구는 크게 감소하여, 16세기 말 인구를 회복하는 데 거의 2세기가 걸렸다.[2]
4. 인구
현재 아빌라 지방을 구성하는 영토의 인구는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전반까지 크게 감소하였으며, 16세기 말의 인구를 회복하는 데 거의 2세기가 걸렸다.[1]
5. 행정 구역
아빌라현은 스페인 카스티야이레온 지방의 주이며, 인구의 약 31%가 아빌라에 거주하고 있다. 아빌라 외의 지방 자치체는 인구가 1만 명 이하이다.
5. 1. 주요 자치체
| 순위 | 자치체 | 인구 | 순위 | 자치체 | 인구 |
|---|---|---|---|---|---|
| 1 | 아빌라 | 57,657 | 11 | 엘 호요 데 피나레스 | 2,164 |
| 2 | 아레발로 | 8,069 | 12 | 피에드라라베스 | 2,057 |
| 3 | 아레나스 데 산 페드로 | 6,454 | 13 | 엘 바라코 | 1,889 |
| 4 | 라스 나바스 델 마르케스 | 5,139 | 14 | 나발렌가 | 1,878 |
| 5 | 칸데레다 | 4,998 | 15 | 피에드라이타 | 1,811 |
| 6 | 소티요 데 라 아드라다 | 4,542 | 16 | 마드리갈 데 라스 알타스 토레스 | 1,440 |
| 7 | 엘 티엠블로 | 4,097 | 17 | 카사비에하 | 1,429 |
| 8 | 세브레오스 | 3,056 | 18 | 부르고온도 | 1,196 |
| 9 | 라 아드라다 | 2,517 | 19 | 몬베르트란 | 1,006 |
| 10 | 엘 발코 데 아빌라 | 2,368 | 20 | 엘 아레날 | 972 |
5. 2. 사법 관할구
아빌라 현은 6개의 사법 관할구로 나뉜다.[3] 각 사법 관할구와 중심 자치체는 다음과 같다.| 사법 관할구 | 중심 자치체 |
|---|---|
| 아레발로 사법 관할구[4] | 아레발로 |
| 아레나스 데 산 페드로 사법 관할구[5] | 아레나스 데 산 페드로 |
| 아빌라 사법 관할구[6] | 아빌라 |
| 피에드라이타 사법 관할구[7] | 피에드라이타 |
참조
[1]
웹사이트
Corporación 2015-2019
http://www.diputacio[...]
Deputación de Ávila
2015-10-15
[2]
웹사이트
Población, superficie y densidad por CCAA y provincias y población, superficie y densidad.
http://www.ine.es/ja[...]
INE(スペイン国立統計局)
2011-11-26
[3]
웹사이트
Partidos judiciales de la provincia de Avila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8-29
[4]
웹사이트
Arévalo, partido judicial nº1 de Avila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8-29
[5]
웹사이트
Arenas de San Pedro, partido judicial nº2 de Avila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8-29
[6]
웹사이트
Ávila, partido judicial nº3 de Avila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8-29
[7]
웹사이트
Piedrahíta, partido judicial nº4 de Avila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2-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