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상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상가는 간다라 출신의 브라만 가문 출신으로, 대승 불교의 중요한 인물이다. 그는 동생 세친과 함께 유가행파를 이끌었으며, 처음에는 소승 불교를 수행했으나 대승 불교로 전향했다. 아상가는 명상 수행 중 도솔천에서 미륵보살을 만나 가르침을 받았다고 전해지며, 이를 통해 인도 전역에 대승 불교를 전파했다. 주요 저작으로는 《대승장엄경론》, 《아비달마집론》, 《현양성교론》 등이 있으며, 티베트 불교에서는 미륵보살에게서 받은 '미륵의 오법'을 중요한 저작으로 여긴다.

2. 생애

아상가는 간다라국 푸루샤푸라(현재 파키스탄 페샤와르)의 브라만 가문 출신으로 알려져 있으나,[5][6][7] 중앙 인도 출생이라는 설도 있다.[8] 마히샤사카 학파 또는 물라사르바스티바다 학파에서 출가하여 수행하다가,[2] 이후 대승 불교로 전향하였다. 이복동생 세친(바수반두) 역시 아상가의 영향으로 대승 불교에 귀의하였다.[12]

아상가는 인도를 여행하며 대승 불교 가르침을 전파하였으며, 타라나타의 ''인도 불교사''에 따르면 인도에 25개의 대승 사찰을 세웠다.[17] 그가 설립한 가장 유명한 사찰 중 하나는 마가다 지역의 벨루바나였다.[18] 이곳에서 그는 여덟 명의 제자를 엄선하여 대승을 전파했다.[19]

2. 1. 출생과 초기 활동

티베트에서 아상가와 미륵을 묘사함


아상가는 간다라 국 푸루샤푸라(현재 파키스탄페샤와르)의 브라만 가문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5][6][7] 일설에는 중앙 인도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8] 그의 동생은 유가행파의 또 다른 주요 인물인 세친(바수반두)이다. 아상가의 아버지는 카우시카(Kauśika|교시가sa)라는 이름의 바라문이었으며, 무착은 그의 장남이었다. 친동생 중 차남은 세친(바수반두)이고, 삼남은 설일체유부아라한 빌린치바차(Viriñcivatsa|비린치바차sa)이다. 형제 모두 세친(바수반두)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장남은 아상가(무착), 삼남은 빌린치바차라는 별명으로 불리기 때문에, '세친'이라는 이름은 오로지 차남을 가리킨다.

아상가는 처음에는 마히샤사카 학파 또는 물라사르바스티바다 학파에서 출가하여 수행하였다.[2] 이후 대승 불교로 전향하였으며, 이복동생인 세친도 아상가의 영향으로 대승 불교에 귀의하였다.[12] 설일체유부에서 출가하여, 핀돌라(Piṇḍola|빈돌라sa)를 만나 부파의 공관을 체득했다. 그 후 전향하여 미륵(마이트레야)으로부터 대승 불교의 사상을 배웠다[36]

아상가는 여러 스승 밑에서 수년간 명상과 수행을 했지만, 깨달음에 만족하지 못했다. 파라르타의 기록에 따르면, 그는 명상력(시디)을 사용하여 도솔천에 가서 미륵 보살로부터 공에 대한 가르침과 대승 경전에 대한 가르침을 받았다고 한다.[13][14]

현장 (c. 602 – 664)은 비슷한 설명을 전한다:[11]

현대 학자들은 이 이야기 속의 미륵이 아상가의 인간 스승인지, 아니면 명상 속의 환영적 경험인지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 에리히 프라우발너와 같은 학자들은 이 인물(미륵나타라고 불림)이 실제 역사적 인물이자 스승이라고 주장했다.[15] 다른 학자들은 이 인물이 아상가(''이스타-데바타'')와 수많은 다른 요가차라 스승들의 수호신이라고 주장한다.[16] 어쨌든 아상가의 경험은 그가 인도를 여행하며 대승 가르침을 전파하도록 이끌었다. 타라나타의 ''인도 불교사''에 따르면 그는 인도에 25개의 대승 사찰을 세웠다.[17]

그가 설립한 가장 유명한 사찰 중 하나는 마가다 지역의 벨루바나였다.[18]

2. 2. 미륵보살과의 만남과 대승 가르침 전파



파라르타와 현장의 기록에 따르면, 아상가는 여러 스승 밑에서 수년간 명상과 수행을 했지만 자신의 깨달음에 만족하지 못했다. 그는 명상력(시디)을 사용하여 도솔천에 올라 미륵 보살로부터 공에 대한 가르침을 받고, 대승 경전에 대한 가르침을 받았다.[13][14][11]

현대 학자들은 이 이야기 속의 미륵이 아상가의 인간 스승(미륵나타)인지, 아니면 명상 속의 환영적 경험(이스타-데바타)인지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15][16] 에리히 프라우발너와 같은 학자들은 미륵나타가 실제 역사적 인물이자 스승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이 인물이 아상가와 수많은 다른 요가차라 스승들의 수호신이라고 주장한다.[16]

아상가의 이러한 경험은 그가 인도를 여행하며 대승 가르침을 전파하도록 이끌었다. 타라나타의 ''인도 불교사''에 따르면 그는 인도에 25개의 대승 사찰을 세웠으며,[17] 그가 설립한 가장 유명한 사찰 중 하나는 마가다 지역의 벨루바나였다.[18] 이곳에서 그는 자신의 이름으로 명성을 떨치며 대승을 전파할 여덟 명의 제자를 엄선했다.[19]

3. 주요 저작

아상가는 유가행파의 주요 논서(샤스트라)를 저술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많은 작품들이 그에게 귀속되었지만, 어떤 작품이 그에게 귀속되는지에 대해서는 중국과 티베트 전통 사이에 불일치가 있다.[20] 현대 학자들은 원전에 대한 비판적 텍스트 연구를 통해 이러한 귀속에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아상가에게 귀속된 많은 작품들은 다음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 고대 및 현대 학자들이 아상가의 저작으로 널리 동의하는 세 작품: 『섭대승론』, 『아비달마집론』, 『현양성교론』
  • 미륵의 오법(五法): 티베트 불교 전통에서는 미륵보살이 아상가에게 가르친 다섯 가지 저작으로 『마하야나수트라알람카라-카리카』, 『마디안타비바가-카리카』, 『다르마 다르마타비바가』, 『아비사마야알람카라』, 『라트나고트라비바가』가 있다.
  • 기타 저작: 『순중론의 입 대반야바라밀경 초품법문』(『순중론』으로 약칭), 『육문교수습정론』, 『금강반야론』, 『대승장엄경론』

3. 1. 아상가의 저작으로 널리 인정되는 작품


  • 섭대승론(Mahāyānasaṃgraha, 大乘攝論): 유가행파의 주요 교리를 10개 장으로 체계적으로 해설한 작품으로, 아상가의 대표작으로 여겨진다.[21] 티베트어 번역본 1개와 중국어 번역본 4개가 현존한다.
  • 아비달마집론(Abhidharma-samuccaya): 대승 아비달마의 주요 교리를 요약한 저술이다. 왈폴라 라훌라에 따르면,[23] 이 작품의 사상은 테라바다 아비담마보다 팔리어 ''니까야''의 사상에 더 가깝다.[24]
  • 현양성교론(Xianyang shengjiao lun): ''Āryadeśanāvikhyāpana, Āryapravacanabhāṣya, Prakaraṇāryaśāsanaśāstra'', ''Śāsanodbhāvana'', 그리고 ''Śāsanasphūrti''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되었다. ''유가행의 지론''에 크게 기반을 둔 작품으로, 현장(Xuanzang)의 중국어 번역본으로만 이용 가능하지만, ''유가사지론''에서 병행되는 산스크리트어 구절을 찾을 수 있다.

3. 2. 미륵의 오법(五法)

티베트 불교 전통에서는 다음 다섯 가지 저작을 미륵보살이 아상가에게 가르친 '미륵의 오법'으로 간주한다.[25]

  • 마하야나수트라알람카라-카리카(대승경의 장엄): 요가차라의 관점에서 대승의 길을 제시한다.
  • 마디안타비바가-카리카(중도와 극단의 구분): 요가차라 철학의 핵심 작품이다.
  • 다르마 다르마타비바가(현상과 순수 존재의 구분): 현상(''다르마'')과 실재(''다르마타'') 사이의 구분과 상관관계를 논하는 짧은 요가차라 작품이다.
  • 아비사마야알람카라(분명한 깨달음을 위한 장엄): 반야바라밀다 교리와 요가차라 사상을 종합하려는 구절 텍스트이다.
  • 라트나고트라비바가(보배로운 계보의 해설): 불성에 관한 개요이다.


하지만, S.K. 훅함은 현대 학자들이 이러한 '미륵의 오법'이 단일 저자에 의해 쓰여졌다는 것에 의문을 제기한다고 언급했다.[26]

3. 3. 기타 저작


  • 대승장엄경론 - 한역에서는 무저작으로 되어 있지만, 티베트어 번역에서는 운문이 미륵 작, 산문은 세친 작으로 되어 있다.[20]
  • 섭대승론
  • 현양성교론(Śāsanasphūrti|마쓰다sa)
  • 대승아비달마집론
  • 『순중론의 입 대반야바라밀경 초품법문』 - 『순중론』으로 약칭된다.
  • 육문교수습정론
  • 금강반야론

참조

[1] 백과사전 Asaṅga Britannica
[2] 서적 The Bodhisattva Path to Unsurpassed Enlightenment Shambhala Publications
[3] 서적 Abhidharmasamuccaya: The Compendium of the Higher Teaching Jain Publishing Company
[4] 서적 Himalayan Bridge https://books.google[...] KW 2020-11-18
[5] 백과사전 Asaṅga Thomson Gale
[6]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11-24
[7] 서적 Holy People of the World: A Cross-cultur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4
[8] 학술지 Vasubandhu https://referencewor[...]
[9] 서적 Researches in Indian and Buddhist Philosophy: Essays in Honour of Alex Wayman
[10] 웹사이트 Asaṅga http://www.oxfordbib[...] oxfordbibliographies.com 2014-11-25
[11] 서적 The Great Tang Dynasty Record of the Western Regions Numata Center
[12] 서적 The Great Tang Dynasty Record of the Western Regions Numata Center
[13] 서적 Untying the Knots in Buddhism: Selected Essays
[14] 서적 Abhidharmasamuccaya: The Compendium of the Higher Teaching Jain Publishing Company
[15] 서적 Being as Consciousness: Yogācāra Philosophy of Buddhism Motilal Banarsidass
[16] 서적 Abhidharmasamuccaya: The Compendium of the Higher Teaching Jain Publishing Company
[17] 서적 Abhidharmasamuccaya: The Compendium of the Higher Teaching Jain Publishing Company
[18] 서적 The Central Philosophy of Tibet: A Study and Translation of Jey Tsong Khapa's Essence of True Eloquenc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 서적 On Knowing Reality: The Tattvārtha Chapter of Asaṅga's Bodhisattvabhūmi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20] 서적 On Some Aspects of the Doctrines of Maitreya (natha) and the Asanga Calcutta
[21] 웹사이트 The summary of the Great Vehicle by Bodhisattva Asaṅga https://web.archive.[...] Numata Center for Buddhist Translation and Research
[22] 웹사이트 The Compendium of the Higher Teaching https://archive.org/[...] 2024-12-08
[23] 서적 Abhidharma Samuccaya : The Compendium of the Higher Teaching, by Asanga https://archive.org/[...] Asian Humanities Press 2024-12-08
[24] 서적 Buddhist Phenomenology Routledge
[25] 서적 La Theorie du Tathagatagarbha et du Gotra Ecole d'Extreme Orient
[26] 서적 The Buddha within: Tathagatagarbha doctrine according to the Shentong interpretation of the Ratnagotravibhaga SUNY Press 2009-05-05
[27] 학술지 THREE NATURES, THREE STAGES: AN INTERPRETATION OF THE YOGĀCĀRA ‘TRISVABHĀVA’-THEORY http://www.jstor.org[...] 2024-02-16
[28] 서적 Buddhahood Embodied: Sources of Controversy in India and Tibet SUNY Press
[29] 서적 Buddhahood Embodied: Sources of Controversy in India and Tibet SUNY Press
[30] 서적 When the Clouds Part: The Uttaratantra and Its Meditative Tradition as a Bridge between Sutra and Tantra Shambhala Publications
[31] 서적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Routledge
[32] 서적 The Buddha within: Tathagatagarbha doctrine according to the Shentong interpretation of the Ratnagotravibhaga SUNY Press 2009-05-05
[33]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웹사이트 Yogācārabhūmi http://www.oxfordbib[...] oxfordbibliographies.com 2017-07-26
[35] 백과사전 아상가의 생존연대 세계대백과사전 제2판, 岩波佛教辞典 第二版
[36] 서적 インドの宗教と芸術 世界聖典刊行協会
[37] 서적 Die dreifache Schulung (Śikṣā) im frühen Yogācāra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Verlag
[38] 서적 大乗荘厳経論』『摂大乗論釈』校註本 大蔵出版
[39] 백과사전 무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