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와시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와시강은 에티오피아의 주요 강으로,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발원하여 아베 호수로 흘러든다. 아와시 강 유역은 에티오피아 면적의 10%를 차지하며, 인구의 약 17%가 거주한다. 이 강은 상류, 중류, 하류로 나뉘며, 코카 저수지와 아와시 국립공원을 지난다. 아와시 강 유역은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아 물 부족과 홍수, 수질 오염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고고학적으로는 인류의 조상 화석이 다수 발견된 지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티오피아의 강 - 청나일강
    청나일강은 에티오피아 타나 호에서 발원하여 수단을 거쳐 백나일강과 합류하여 나일강을 이루는 강으로, 에티오피아와 수단의 중요한 수자원이며 나일강 전체 수량의 80% 이상을 공급한다.
  • 에티오피아의 강 - 오모강
    오모강은 에티오피아의 강으로, 기베강과 와베강이 합류하여 투르카나 호수로 흘러 들어가며, 하류 유역은 고고학적 중요성과 야생 동물의 서식지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지만, 수력 발전소 건설과 홍수로 인한 환경 및 인권 논란이 있는 곳이다.
  • 에티오피아고원 - 커피나무
    커피나무는 꼭두서니과 커피속의 상록 활엽 관목으로, 전 세계 커피 생산량의 약 60%를 차지하는 주요 품종이며, 아프리카 동아프리카가 원산지로 남북회귀선 사이 여러 나라에서 재배되지만 기후 변화와 산림 벌채로 야생종이 멸종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 에티오피아고원 - 에티오피아늑대
    에티오피아늑대는 에티오피아 고원에 서식하며 붉은 털과 긴 다리를 가진 개과 동물로, 설치류를 주식으로 하는 주행성 멸종 위기종이다.
아와시강
지도
기본 정보
이름아와시강
로마자 표기Awashi Gang
다른 이름그레이트 디르 강 (역사적)
위치에티오피아
흐르는 지역아파르 주, 오로미아 주, 암하라 주, 아디스아바바, 중앙 에티오피아 주
도시아디스아바바, 메테하라, 아와시, 게와네, 아사이타, 아와시 7 킬로, 암보, 세베타, 비쇼프투, 겔란, 아다마, 모조
지리
발원지에티오피아 고원
발원지 위치긴치 마을 근처, 서부 셰와 존, 오로미아 주
발원지 좌표9°05′48″N 38°10′01″E
발원지 고도2929m
하구아베 호수
하구 좌표11°08′53″N 41°41′08″E
하구 고도248m
길이1200km
유역 면적69196km2
왼쪽 지류로기야 강, 밀레 강, 보르카나 강, 아타예 강, 하와디 강, 카벤나 강, 더크함 강, 게르마마 강, 아카키 강, 데차투 강, 켈레타 강, 모조 강
오른쪽 지류골롤차 강
수문학
하구 위치하구
최소 방류량37.9m3/s
평균 방류량151.9m3/s
최대 방류량510.5m3/s
인구
유역 인구17,900,000명
기타
관련 유적아와시 하류 계곡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
이미지
아와시강
아와시강
아와시강 유역 지도
아와시강 유역 지도

2. 지리

아와시 강, 아사이타 부근 (2015)


아와시 강 유역은 23개의 행정 구역에 걸쳐 있으며, 에티오피아 면적의 10%를 차지하고 인구의 약 17%가 거주하고 있다.[19] 이 유역은 부분적으로 에티오피아 지구대에 위치해 있다. 아와시 강은 해발 3000m의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시작하여 여러 지역을 거쳐 해발 250m의 아베 호수로 흘러 들어간다.[7] 아와시 강 유역은 상류, 중류, 하류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7]

아와시 강은 와르케 산 남쪽, 아디스아바바 서쪽, 오로미아주 서부 셰와 존의 덴디 워레다에 있는 긴치 마을 근처에서 발원한다. 에티오피아 대지구대의 바닥에 들어선 후, 남쪽으로 흘러 주칼라 산을 동쪽으로 돌아 북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코카 저수지로 흘러 들어간다. 이곳에서는 사탕수수 농장에 관개용수를 공급한다. 하류에서는 아다마 시와 아와시 국립공원을 지난다.

길이는 1200km이다. 중류 지역의 폭은 60m, 깊이는 1.2m이다. 홍수 시에는 수위가 15m~20m까지 상승하여 양안이 범람한다.

2. 1. 지류

긴치 마을 근처, 와르케 산 남쪽, 아디스아바바 서쪽, 오로미아주 서부 셰와 존의 덴디 워레다에서 발원한 아와시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상류부터 순서대로
로기야 강
밀레 강
보르카나 강
아타예 강
하와디 강
카벤나 강
두르캄 강
게르마마 강



이 외에도 아와시 중류 유역에는 지류, 호수, 온천, 등이 있다.[7] 강을 따라 있는 마을과 도시로는 메테하라, 아와시, 게와네, 아사이타 등이 있다.

3. 기후

아와시강 유역의 기후는 주로 열대 수렴대(ITCZ)의 이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열대 수렴대가 3~4월에 북쪽으로 이동하고 남쪽으로 후퇴하면서 두 번의 우기가 나타나는데, 3월경의 짧은 우기(''벨그'')와 6월에서 9월 사이의 긴 우기(''키렘트'')가 있다. 우기는 에티오피아 동부로 갈수록 이중성을 띠는 경향이 있고, 서부로 갈수록 단일성을 띤다. 10월에서 3월 사이는 건기(''베가'')이다.[8] 지구대에서는 반건조 기후에서 건조 기후가 나타나며, 고지대는 1년에 약 6개월 동안 1600mm 이상의 강우량을 보인다.[9]

3. 1. 기후 변화

2018년의 한 연구는 아와시 분지의 기후 변화의 영향에 대한 수자원을 조사했다. 연구진은 결합 모델 상호 비교 프로젝트 5단계(CMIP5)에서 세 가지 기후 모델을 사용했고, 세 개의 미래 기간(2006–2030, 2031–2055, 2056–2080)을 설정했다. 이 모델들은 과거의 강수량 특성을 포착하는 능력에 따라 선택되었다. 비교에 사용된 기준 기간은 1981–2005년이었다. 미래의 물 가용성은 대표 농도 경로 (RCP8.5) 배출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강수량과 잠재 증발산 예측 간의 차이로 추정되었다. 미래 3개 기간에 대한 예측은 온도 상승과 강수량 감소로 인해 모든 계절과 분지의 일부 지역에서 물 부족이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물 가용성의 감소는 분지 내의 물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다양한 부문의 수자원 안보를 더욱 위협할 것이다.[3]

4. 수문

아와시강의 강수량은 매년 유역 내에서 크게 변동하며, 이를 '연중 변동성이 높다'라고 한다.[19][3] 가뭄 시기의 물 부족은 관개 및 생활 수자원 공급과 같은 다양한 활동에 대한 과제로 아와시 유역 당국에 의해 인식되고 있다.[3] 그러나 홍수 또한 주요 우기인 7월과 8월에 자주 발생한다.[10] 홍수의 유형은 상부, 중부 및 하부 아와시 유역에 따라 다르다.[10] 연구에 따르면 "아와시 유역의 홍수 유형과 범위는 유역의 복잡한 지형을 반영하여 광범위하게 변화한다"고 한다.[11] 도시 지역에서는 돌발 홍수와 하천 범람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와시 유역 내 농업, 산업, 도시화의 급속한 성장과 인구 증가로 인해 유역의 수자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 유역은 가뭄과 홍수를 포함하는 높은 기후 변동성으로 유명하며, 기후 변화는 기존의 과제를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이 높다.[3] 미래의 수자원 관리 전략은 모든 부문을 포괄하고 다양한 사용자의 형평성을 고려해야 한다.[3]

홍수 적응 조치가 연구되었으며, 권장 사항 중 하나는 "사고 방식과 접근 방식에서 '홍수 중심적'인 토지 이용 계획을 사용하는 것이다 [...]. 이는 시가지 근처의 홍수 구역을 식별(및 보호)하고 극심한 피해를 흡수하기 위해 홍수를 허용할 수 있는 구역을 식별하는 것을 의미한다."[11]

아와시강의 길이는 1,200킬로미터이다. 중류 지역의 폭은 60미터, 깊이는 1.2미터이다. 홍수 시에는 수위가 15~20미터까지 상승하여 양안이 범람한다.

4. 1. 지하수

지하수 함양은 고지대의 연간 350mm를 초과하는 값에서부터 지구대 계곡 하부의 함양이 없는 지역까지 다양하다.[9][12] 지하수는 연간 강수량이 1000mm 이상인 해발 1,900m 이상의 절벽과 고지대에서 주로 함양된다.[13][12] 국지적인 소규모 함양 또한 지구대 계곡 화산의 측면에서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13] 인공 지하수 함양은 지구대 계곡의 관개 농장에서 더 진행된다.[13] 하천 채널 손실과 호수 침투를 통한 함양은 에티오피아 본 지구대와 남부 아파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2]

아와시 분지는 인구가 밀집되어 있고 산업화된 지역으로, 수많은 기업들이 운영을 위해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분지 내 대부분의 인간 개발 계획은 지하수의 양과 질에 계속 크게 의존할 것이다.[7] 지하수 관리는 급격한 인구 증가, 도시화, 기후 변화 및 다양한 인간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세계적인 문제로 인해 사전 예방적인 조치가 필요하다.[7]

5. 생태

아와시 국립공원의 아와시강


아와시 분지의 대부분은 에티오피아 산지 숲 생태 지역에 속한다. 높은 고도에서는 에티오피아 산지 초원 및 숲과 에티오피아 산지 황무지가 우세하다. 소말리아 아카시아-콤미포라 관목 덤불 생태 지역은 지구대의 낮은 고도를 차지한다.[14]

분지의 식생은 강한 인위적인 영향을 받는다.[9] 상부 및 중앙 아와시 분지 전체에서 다양한 사바나 유형의 잔재가 여전히 분명하게 보인다. 이들은 낮은 지구대의 가시 사바나, 해발 800m 이상의 관목, 풀, 개방 사바나, 그리고 절벽과 고원 지대의 숲이 우거진 사바나에 이른다.[15]

5. 1. 동식물



아와시 분지의 대부분은 에티오피아 산지 숲 생태 지역에 속한다. 높은 고도에서는 에티오피아 산지 초원 및 숲과 에티오피아 산지 황무지가 우세하다. 소말리아 아카시아-콤미포라 관목 덤불 생태 지역은 지구대의 낮은 고도를 차지한다.[14]

분지의 식생은 강한 인위적인 영향을 받는다.[9] 상부 및 중앙 아와시 분지 전체에서 다양한 사바나 유형의 잔재가 여전히 분명하게 보인다. 이들은 낮은 지구대의 가시 사바나, 해발 800m 이상의 관목, 풀, 개방 사바나, 그리고 절벽과 고원 지대의 숲이 우거진 사바나에 이른다.[15]

아와시강 하류 계곡은 아프리카 야생 당나귀의 마지막 야생 동물 보호 구역 중 하나이다. 이 포유류는 현재 양구디 라사 국립공원에서는 멸종되었지만, 인접한 밀-세르도 야생동물 보호구역에서는 여전히 발견된다.[16] 이 지역의 다른 대형 동물로는 베이사 오릭스, 소머링 가젤, 도르카스 가젤, 게레누크, 그레비 얼룩말 등이 있다. 악어도 강에서 번성하고 있다.

6. 인류 활동 및 영향

에티오피아 소데레의 아와시강 (2014)


아와시 분지는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개발, 이용, 남용되며, 인구의 15% 이상(약 1860만 명)이 거주하는 지역이다.[4] 특히 중부 아와시는 대규모 및 소규모 관개 시설과 웬지, 메타라, 케셈 등의 설탕 공장으로 유명하다.[7]

6. 1. 수자원 공급

아디스아바바, 모조, 아다마와 같은 주요 도시 중심지의 물 공급과 사탕수수 농장과 같은 지역 및 상업 농지의 관개수는 아와시강과 그 지류에 의존한다.[17]

2023년 아와시강의 수질 연구에 따르면 Al, Mn, Mo, As, V, Fe, Ba와 같은 중금속이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분석된 20가지 중금속 중 20%가 세계 보건 기구(WHO) 음용수 기준을 초과했으며, 특히 Al, V, Fe, Mn, Mo가 강 시스템을 따라 위치한 지점에서 높게 나타났다.[4] 이 강물은 음용수 및 관개의 수원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강물 내 새로운 유기 오염 물질의 존재도 우려 사항이다. 여기에는 의약품, 개인 위생 용품, 산업 부산물 및 농업 화학 물질이 포함된다. 2023년 연구에서는 강 및 얕은 지하수 시스템에서 높은 수준의 새로운 유기 오염 물질이 검출되었다. 살충제, 동물 의약품, 인공 감미료, 개인 위생 용품이 모든 수원(표면수, 지하수 및 수돗물) 샘플에서 검출되었으며, 내분비 교란 물질과 말 약물은 표면수 및 지하수 모두에서 발견되었다.[20]

강물과 얕은 지하수는 본질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강물 내 오염 물질은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2024년 연구에서는 중부 아와시 지역 지하수에서 비소, 바나듐, 갈륨, 리튬, 루비듐, 크롬, 망간, 구리, 아연과 같은 오염 물질이 풍부하게 발견되었으며, 이는 주로 지질 활동, 화산재 및 암석 풍화의 영향을 받은 결과였다.[7] 지하수원의 절반 이상이 음용에 부적합하여 깨끗한 표면수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인 지역 사회에 심각한 건강 위험을 초래한다.[7]

중부 아와시 유역과 국가 전체에서 대부분의 지하수원 수질은 부적절하게 모니터링되고 규제가 미흡하다. 결과적으로, 모조, 비쇼프투, 겔란, 아디스아바바 주변의 아와시 유역 상류 지역은 규제되지 않은 추출 및 지하수 오염에 매우 취약하다.[7]

6. 2. 경제 활동

아와시 분지의 경제는 농업과 서비스 부문이 중심이며, 서비스 부문은 대도시인 아디스아바바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농업은 분지 전체 물 사용량의 약 89%를 차지하며, 앞으로도 경제 성장의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19] 특히 작물 생산은 분지 경제의 주요 구성 요소로, 2004년부터 2014년까지 연간 실질 7.9%의 생산액 증가를 보이며 빠르게 성장했다. 그러나 2012년 기준으로 분지의 총 관개 면적은 경작지 전체 면적의 2% 미만에 불과하다.[19]

아와시강 유역에는 소규모 유칼립투스 농장을 제외하고는 임업이 거의 발달하지 않았다. 아와시 국립공원 밖에서는 개방된 수목 사바나가 대부분 작물 재배지로 바뀌었다. 특히 절벽 테라스가 모두 이러한 방식으로 개간되었다.[15] 흩어져 있는 수목 피복은 사바나의 초기 상태와 유사하게 유지되었지만, 풀층은 작물로 대체되었다. 가장 높은 고도에서만 연결된 산림 지대가 나타나며, 일부 재조림은 경작이 불가능한 고도에서 이차 침엽수림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재배되는 작물은 (고유종) 테프, 옥수수, 수수, 콩, 채소이다.[15]

농경지에서는 목초지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소는 밭 가장자리, 길가, 가파른 절벽에서 풀을 뜯는다. 이는 식생 피복을 부분적으로 파괴하여 침식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된다. 그루터기 방목은 아와시 분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관행이다.[18]

반복되는 극심한 습윤 및 건조 기상 현상은 분지의 경제 활동에 어려움을 준다. 분지 중부와 하류에 위치한 가뭄에 취약한 한계지에서 강우 관개 농업에 종사하는 농촌 빈곤층의 상당수는 반복되는 가뭄으로 인해 큰 고통을 겪는다.[19]

기후 변동성은 이미 아와시 분지의 인구와 경제 생산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분지 내 심각한 가뭄은 작물 수확량 감소와 가축 폐사를 초래하여 식량 안보를 악화시켰다. 강수량이 5% 감소하면 분지의 국내 총생산 (GDP)이 5% 감소하고, 농업 생산성이 10%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었다.[19] 인도적 지원 요청은 이상 기후와 같은 2015/2016년 엘니뇨 현상과 같은 기후 충격으로 인해 비교적 자주 발생하며, 이로 인해 심각한 가뭄이 발생하여 전국적으로 1천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인도적 대응이 이루어졌으며, 많은 우선 순위 지역이 아와시 분지에 위치해 있다.[3]

6. 3. 오염

아와시강 유역에는 시립 및 산업 폐수 처리 시설이 부족하고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시설이 존재하더라도 배출수(종종 제대로 처리되지 않음)는 인근 개울로 흘러 들어가 오염시킨다.[17]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아와시강 유역의 생태계는 수체로 유입되는 독성 물질로 인해 심각하게 훼손되었다. 상류 아와시강 유역의 주요 수질 오염원은 산업 및 도시 폐기물, 농업 유출수(살충제, 비료), 하수 배출이다. 인위적 활동과 지질학적 활동 모두 관찰된 수질 악화에 기여한다.[4] "지질학적"이라는 용어는 지각 변동, 점토, 화산재 및 모래 풍화 현상을 통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오염을 의미한다.

표면수의 중금속 오염은 환경과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우려를 증대시키고 있다.[4] 아와시강 유역의 오염 산업에는 가죽 무두질 공장, 페인트 공장, 도살장, 섬유 산업, 양조장, 청량 음료 공장, 설탕 공장, 병원 및 제약 회사가 있다. 폐수는 아디스아바바, 아와시 7킬로, 암보, 세베타, 비쇼프투, 겔란, 아다마, 모조와 같은 도시에서 강으로 유입된다. 농업 유출수는 수생 생물에서 중금속 오염(As, Cd, Cu, Pb, U 및 Zn)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산업 폐기물 처리로 인해 As, Cd, Cr, Hg, Ni, Zn 및 Pb와 같은 높은 중금속 농도가 발생할 수 있다.[4]

2023년 아와시강의 수질 연구에 따르면 Al, Mn, Mo, As, V, Fe, Ba와 같은 높은 수준의 중금속이 각각 1257μg/L, 626.8μg/L, 116.7μg/L, 61.2μg/L, 100.5μg/L, 1082.7μg/L, 211.7μg/L의 값으로 나타났다. 분석된 20가지 중금속 중 연구 지역 내 매개변수의 20%가 세계 보건 기구(WHO) 음용수 기준을 초과했으며, Al(157μg/L), V(100.5μg/L), Fe(1082.7μg/L), Mn(626.8μg/L), Mo(103.8μg/L)가 강 시스템을 따라 위치한 지점에서 나타났다.[4] 이 강물은 음용수 및 관개의 수원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강물 내 새로운 유기 오염 물질의 존재도 또 다른 우려 사항이다. 이러한 물질에는 의약품, 개인 위생 용품, 산업 부산물 및 농업 화학 물질이 포함된다. 2023년 연구에서 강 및 얕은 지하수 시스템에서 높은 수준의 새로운 유기 오염 물질이 검출되었다. "살충제, 동물 의약품, 인공 감미료, 개인 위생 용품이 모든 수원(표면수, 지하수 및 수돗물)의 샘플에서 검출되었다. 내분비 교란 물질과 말 약물은 표면수 및 지하수 모두에서 발견되었다."[20]

강물과 얕은 지하수는 본질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강물 내 오염 물질은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2024년 연구에서는 중부 아와시 지역의 다목적 사용을 위한 지하수 특성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비소, 바나듐, 갈륨, 리튬, 루비듐, 크롬, 망간, 구리, 아연과 같은 오염 물질이 베세카 호수 인근 지하수에서 풍부하게 발견되었으며, 이는 주로 지질 활동, 화산재 및 암석 풍화의 영향을 받았다.[7] 지하수원의 절반 이상이 음용에 부적합하여 깨끗한 표면수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인 지역 사회에 심각한 건강 위험을 초래했다.[7]

중부 아와시 유역과 국가 전체에서 대부분의 지하수원의 수질은 부적절하게 모니터링되고 규제가 미흡하다. 결과적으로, 모조, 비쇼프투, 겔란, 아디스아바바 주변의 아와시 유역 상류 지역은 규제되지 않은 추출 및 지하수 오염에 매우 취약하다.[7]

7. 고고학

인류는 종의 시작부터 거의 아와시 계곡에 살아왔다. 수많은 선(先)인류 호미니드 유해가 중부 아와시에서 발견되었다.[21] 아와시 계곡에서 발견된 유해는 후기 마이오세, 플리오세, 그리고 초기 플라이스토세 (대략 560만 년 전~250만 년 전)에 속하며, 가장 유명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개체인 "루시"를 포함한 많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화석이 포함되어 있다.[21][5] 이 지역에서 발견된 다른 멸종된 호미니드에는 ''호모 에렉투스''와 ''아르디피테쿠스''가 있다.

8. 역사

16세기 아와시강은 거대한 디르 강으로 불렸으며 이슬람교도들의 땅에 있었다.[22]

1960년 완공 전의 코카 댐, 코카 저수지를 건설하였다.


인류 초기부터 아와시강 계곡에 인류가 거주했다. 아와시강 중류 유역에서는 원인의 화석이 많이 발견되었다(이 점에서는 투르카나 호수로 흘러드는 오모 강 유역과 유사하다).

윌프레드 테시거는 1933년부터 1934년까지 아사이타 오아시스에서 시작하여 아와시 시를 출발, 강의 흐름을 따라 아베호수의 마지막 종착점까지 갔으며, 타주라까지 탐험을 계속한 최초의 유럽인이었다. 1928년에 탐험가 L. M. 네스빗은 아와시 강 유역의 일부를 따라갔지만, 아사이타에서 강을 떠나 아파르 지구대를 거쳐 홍해로 향했다.[23]

8. 1. 20세기

윌프레드 테시거는 1933년부터 1934년까지 아사이타 오아시스에서 시작하여 아와시 시를 출발, 강의 흐름을 따라 아베호수의 마지막 종착점까지 갔으며, 타주라까지 탐험을 계속한 최초의 유럽인이었다. 1928년에 탐험가 L. M. 네스빗은 아와시 강 유역의 일부를 따라갔지만, 아사이타에서 강을 떠나 아파르 지구대를 거쳐 홍해로 향했다.[23]

1960년, 아디스아바바에서 약 75km 떨어진 지점에 아와시 강을 가로지르는 코카 댐이 완공되었다. 이 댐의 개통으로 이 지역의 주요 수력 발전 동력원이 되었다. 그 결과 담수호인 겔릴라 호(일명 코카 저수지)의 면적은 약 180km2이다. 호수와 댐 모두 퇴적 증가로 위협받고 있다.

9. 사회 문화

아와시강, 19세기 낙타 대상(1852년)


아와시강 계곡은 북위 9도 지점부터 하류까지 아파르족과 이사족의 전통적인 거주지이다.[24] 아와시강 계곡은 파타가르, 이파트, 셰와의 일부로 포함되었다.[25]

아와시 국제 은행은 아와시강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26]

참조

[1] 논문 New Global Hydrography Derived From Spaceborne Elevation Data http://dx.doi.org/10[...] 2008-03-04
[2] 간행물 GlobPOP: A 31-year (1990-2020) global gridded population dataset generated by cluster analysis and statistical learning (1.0) https://doi.org/10.5[...] Zenodo 2023
[3] 논문 Climate Change Impact on Water Resources in the Awash Basin, Ethiopia 2018
[4] 논문 Evaluating the effects of geochemical and anthropogenic factors on the concentration and treatability of heavy metals in Awash River and Lake Beseka, Ethiopia: arsenic and molybdenum issues 2023
[5] 웹사이트 Lower Valley of the Awash http://whc.unesco.or[...]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1-09-18
[6] 웹사이트 Climate, 2008 National Statistics (Abstract) http://www.csa.gov.e[...] 2010-11-13
[7] 논문 Demystifying Heavy Metal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a Volcano-Tectonic Region of Middle Awash, Ethiopia, for Multipurpose Use https://www.mdpi.com[...] 2024
[8] 논문 Recent changes in rainfall and rainy days in Ethiopia 2004-06-30
[9] 논문 Combined uncertainty of hydrological model complexity and satellite-based forcing data evaluated in two data-scarce semi-arid catchments in Ethiopia 2014
[10] 간행물 Policy and practice recommendations on flood risk management in the Awash basin https://reachwater.u[...] 2024
[11] 간행물 Flood adaptation and mitigation in the Awash Basin: Responding to new climate patterns https://reachwater.u[...] REACH Synthesis report, University of Oxford, UK. 2024
[12] 논문 Hydrogeological framework and occurrence of groundwater in the Ethiopian aquifers 2008
[13] 논문 Groundwater origin and flow dynamics in active rift systems – A multi-isotope approach in the Main Ethiopian Rift 2011
[14] 웹사이트 The ecozones of the world. The ecological division of the geosphere https://www.research[...] 2017-10-21
[15] 문서 Hydrological Modelling of the Upper Awash Catchment (Main Ethiopian Rift) Technische Universität Freiberg, Freiberg, Germany 2011
[16] 문서 Equus Africanus IUCN 2008
[17] 논문 Information synthesis to identify water quality issues and select applicable in-stream water quality model for the Awash River basin in Ethiopia: A perspective from developing countries https://linkinghub.e[...] 2024
[18] 논문 Dynamics of soil erosion rates and controlling factors in the Northern Ethiopian Highlands – towards a sediment budget 2008-04-30
[19] 논문 The Distributional and Multi-Sectoral Impacts of Rainfall Shocks: Evidence From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ling for the Awash Basin, Ethiopia 2018
[20] 논문 Tracing contaminants of emerging concern in the Awash River basin, Ethiopia https://linkinghub.e[...] 2024
[21] 논문 Late Miocene hominids from the Middle Awash, Ethiopia 2001-07-12
[22] 서적 The conquest of Abyssinia: 16th century https://books.google[...] Tsehai Publishers & Distributors 2003-01-01
[23] 문서 Hell-Hole of Creation: The Exploration of Abyssinian Danakil Alfred A. Knopf, New York 1935
[24] 논문 Anatomy of a Conflict: Afar & Ise Ethiopia 2003
[25] 서적 The Ethiopian Borderlands Red Sea Press, Lawrenceville 1997
[26] 웹사이트 assessment of credit risk management policies http://197.156.93.91[...] 2022-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