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우구스투스 업적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구스투스 업적록》은 초대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가 자신의 업적을 기록한 문서이다. 이 문서는 아우구스투스의 정치 경력, 공공 기부, 군사적 업적, 그리고 정치적 성명서 등 4개의 주요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후에 추가된 부록을 포함한다. 업적록은 아우구스투스가 직접 쓴 것으로 보이며, 그의 통치를 정당화하고 선전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 문서에는 아우구스투스가 로마 시민에게 기부한 돈, 토지, 곡물, 그리고 그가 건설하거나 개조한 건물들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을 공화정의 일원으로 묘사하며, 자신의 권위를 강조하면서도 권력은 동료 정무관과 동등하다고 주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세기 금석문 - 사토르 마방진
    사토르 마방진은 SATOR, AREPO, TENET, OPERA, ROTAS 다섯 단어로 이루어진 5x5 단어 사각형으로, 수직과 수평으로 읽어도 같은 배열을 가지며 유럽 각지에서 발견되었고 부적으로도 사용되었다.
  • 1세기 금석문 - 세이킬로스의 비문
    세이킬로스의 비문은 1~2세기에 제작된 고대 그리스 비문으로, 삶의 덧없음과 현재를 즐기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멜로디를 나타내는 성악 기호가 함께 새겨져 당시의 음악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 현재 덴마크 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아우구스투스 - 원수정
    원수정은 기원전 27년 아우구스투스가 시작한 고대 로마 제국의 초기 통치 체제로, 공화정 형식을 유지하며 황제가 실질적 권력을 행사했고, 3세기의 위기를 거쳐 전제정으로 전환되며 종말을 맞이했다.
  • 아우구스투스 - 칸타브리아 전쟁
    칸타브리아 전쟁은 기원전 29년부터 기원전 19년까지 로마 제국이 북부 이베리아 반도의 칸타브리족 등 여러 민족을 정복하기 위해 벌인 군사적 충돌로, 로마는 승리했지만 험난한 지형과 게릴라 전술에 10년 이상 고전했다.
  • 고대 로마 -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부터 로마에 의한 합병까지의 시기로, 그리스인들의 시야 확장과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로의 이주, 도시 국가들의 연합 노력, 마케도니아와 후계 왕국들의 패권 다툼, 그리고 로마의 개입과 지배로 특징지어진다.
  • 고대 로마 - 누마 폼필리우스
    누마 폼필리우스는 로마의 두 번째 왕으로, 종교 개혁과 사회 정책을 통해 로마의 종교 제도와 역법을 개혁하고 야누스 신전을 건립했으며, 로마력 개혁을 이끌었다.
아우구스투스 업적록
개요
아우구스투스
프리마 포르타의 아우구스투스
제목신군 아우구스투스의 업적록
원어 제목Res Gestae Divi Augusti (라틴어)
분야자서전
기록 시기서기 14년 아우구스투스 사망 직전
언어라틴어
내용아우구스투스의 정치적 업적, 공공사업, 군사적 업적 등을 기록
중요성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역사적, 정치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
형식 및 구성
구성서문, 35개 장으로 구성
내용 요약개인 재산으로 로마 시민과 군인에게 기부한 내용
공공 건축물 건설 및 보수 내역
검투사 경기 및 동물 사냥 경기 개최 횟수
원로원, 시민, 군인에게 받은 명예
속주 통치 및 외교 관계
군사적 업적
정치적 권력 획득 과정
역사적 배경
시대적 배경로마 제국 초기
집필 동기자신의 업적을 후대에 알리고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함
보존 및 배포
원본청동판에 새겨져 로마 아우구스투스 영묘 앞에 설치
사본앙카라의 아우구스투스 신전 벽에 라틴어와 고대 그리스어로 기록
영향 및 해석
역사적 가치아우구스투스 시대 연구의 핵심 자료
정치적 선전자신의 업적을 과장하고 이미지를 포장하려는 의도 존재
현대적 해석권력의 정당성 확보와 이미지 관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
주요 내용
서문자신의 업적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로마를 위해 봉사한 내용 강조
정치적 업적내전 종식 및 평화 확립
원로원과 시민의 권한 강화
법률 제정 및 사회 질서 유지
공공사업신전, 극장, 도로, 수도 건설 및 보수
곡물 공급 확대 및 빈민 구제
군사적 업적속주 확장 및 국경 방어 강화
파르티아로부터 로마 군기 회수
기부 및 헌납로마 시민에게 곡물, 돈, 토지 기부
군인에게 봉급 및 퇴직금 지급
공공 기금에 재산 헌납
기타
언어별 명칭라틴어: Res Gestae Divi Augusti
한국어: 신군 아우구스투스의 업적록

2. 구성

《아우구스투스 업적록》은 짧은 서문, 본문 35문단, 그리고 사후에 추가된 주석으로 구성되어 있다.[19][3] 본문은 관례적으로 다음 네 부분으로 나뉜다.[3]


  • 정치 경력: 아우구스투스가 역임한 관직과 정치적 명예를 기록하고 있다.
  • 공공 기부: 아우구스투스가 이탈리아 시민과 군인들에게 기증한 돈, 토지, 곡물, 그리고 그가 위탁한 공공 사업과 검투사 경기를 열거한다.
  • 군사적 업적: 아우구스투스의 군사적 업적과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다른 국가들과의 동맹 구축을 설명한다.
  • 정치적 성명서: 로마인들이 아우구스투스의 통치와 업적에 대한 승인을 나타내는 성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록은 3인칭으로 쓰여졌으며, 아우구스투스 자신이 쓴 것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3] 테오도어 몸젠은 1절과 2절을 제1부로 생각했지만, 1절과 2절은 도입부일 뿐 본문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견해도 있다.[15][16]

2. 1. 정치 경력

아우구스투스는 여러 공직을 맡고 영예를 수여받았으나,[20] 수락을 거부한 관직과 특권도 많았다.[3]

2. 2. 공공 사업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시민들과 군인들에게 돈, 토지, 곡물 등을 기부했다. 또한 가도를 보수하고 공공건물을 건설했으며, 검투사 시합을 개최하는 등 다양한 공공사업을 벌였다.[21] 이 모든 사업은 아우구스투스 자신의 재산으로 진행되었다.[21]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의 통치 기간 동안 공공 사업에 6억 은 데나리우스()를 사용했고,[4][5] 1억 7천만 세르테르티우스를 ''군사 국고''에 지원했다.[4][5]

2. 3. 군사 행동

아우구스투스 통치 기간 동안 벌어진 일련의 군사 행동들과 맺은 동맹들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22] 그의 군사적 업적과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다른 국가들과의 동맹을 어떻게 구축했는지 설명한다.[3] 제3부(25절부터 33절)에서는 군사적 업적과 그가 통치 기간 동안 어떻게 대외 교섭을 했는지 기록되어 있다.

2. 4. 정치적 위치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정부에서 특별한 위치에 있었다.[23] 그는 자신의 통치와 업적에 대해 로마인들이 승인하는 성명을 남겼다.

2. 5. 제3자에 의해 쓰인 주석

《아우구스투스 업적록》의 내용을 정리하고 있다. 아우구스투스가 건설하고 보수한 모든 건물들의 목록과, 의 재산을 공공사업에 쏟아부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3]

이 텍스트는 짧은 서론, 35개의 본문 단락, 그리고 사후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단락들은 관례적으로 정치 경력, 공공 기부, 군사적 업적, 그리고 정치적 성명서의 네 개의 섹션으로 그룹화되어 있다.[3]

부록은 3인칭으로 쓰여졌으며, 아마 아우구스투스 본인이 쓴 것은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본문 전체를 요약하면, 건축 및 개수된 다양한 건물들을 열거함과 동시에 아우구스투스가 통치 기간 동안 수행한 공공 사업에 자신의 재산에서 를 소비했다는 기록이 있다. 고대 통화를 명확하게 현대의 유사한 것으로 치환하여 생각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이는 후대 로마 황제들 중 누구보다도 막대한 금액이었다고 할 수 있다.[17]

3. 역사

본문의 내용에 따르면, 《아우구스투스 업적록》은 서기 14년경 아우구스투스가 죽기 직전에 쓰였다. 업적록의 원문은 청동판으로 기록되어 아우구스투스 마우솔레움 앞에 놓였으나 현재 남아있지 않다. 하지만 로마 제국 전역에 배포된 많은 사본들이 남아있어 현대에도 여러 사본들이 전해진다. 대표적인 것으로 앙키라(현재 터키의 앙카라)에서 발견된 〈앙키라 비문〉, 피시디아 지방의 아폴로니아와 안티오키아(오늘날의 얄바치)에서 발견된 비문 등이 있다.[24]

앙카라에서 〈앙키라 비문〉(Monumentum Ancyranum)이 발견된 장소.


아우구스투스는 원로원에 비문을 게시하도록 지시하는 유언과 함께 "업적록"을 남겼다. 원본은 두 개의 청동 기둥에 새겨져 아우구스투스 영묘 입구에 놓였지만, 실물은 현존하지 않는다. 그러나 로마 제국 전역의 기념비나 사원 돌에 새겨진 많은 복제품이 제작되었기 때문에, 여러 개가 현재까지 남아 있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원래의 라틴어그리스어 번역으로 쓰여졌고 거의 완전한 상태로 남아 있던 "안키라 비문"이다. 이것은 당시 속주갈라티아 (현재의 터키 · 앙카라)에 있는 "로마와 아우구스투스 신전"에서 발견되었다. 그 외에도, 피시디아 지방의 아폴로니아안티오키아에서도 발견되었다. 이 세 가지 발견으로 "업적록"은 대략 복원되어, 현재 전해지고 있다.[7]

4. 내용

《아우구스투스 업적록》은 양아버지 율리우스 카이사르암살부터 아우구스투스 사망까지의 모든 연대기를 다루지는 않으며, 로마 국민들이 기억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첫 번째 황제의 생애와 업적에 대한 개인적인 기록이다.[8] 이는 아우구스투스의 관점에서 바라본 역사적 시기를 다루며, 자신과 관련된 사실만을 제시한다. 아우구스투스의 적들은 이름으로 언급되지 않는다.[10] 카이사르의 암살자들인 브루투스카시우스는 단순히 "내 아버지를 죽인 자들"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섹스투스 폼페이우스는 각각 "내가 전쟁을 벌인 자", "해적"으로 익명 처리되었다.[10]

앙카라에 있는 ''아우구스투스 업적록'' 비문 서문과 첫 두 단락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아래는 신격화된 아우구스투스가 로마 국민의 지배 아래 온 세상을 둔 행적, 그리고 그가 국가와 로마 국민에게 지출한 금액을 복사한 것이다. 이는 로마에 세워진 두 개의 청동 기둥에 새겨져 있다.

>

> 나는 열아홉 살 때, 스스로의 의지와 비용으로 군대를 일으켜 파벌의 폭정에 시달리던 공화국에 자유를 되찾아 주었다. 이 공로로 원로원은 가이우스 판사와 아울루스 히르티우스 집정관 재임 시, 칭찬하는 결의안을 통해 나를 원로원 의원단에 등록했으며, 투표에서 집정관보다 먼저 투표할 수 있는 권한을 주었고, 임페리움도 부여했다. 또한 법무관으로, 집정관들과 함께 "공화국이 어떤 피해도 입지 않도록 감시"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게다가, 그 해 두 명의 집정관이 전쟁에서 전사했기 때문에, 국민들은 나를 집정관과 헌법을 정비할 트리움비르로 선출했다.

>

> 내 아버지를 살해한 자들을 추방했고, 법의 적절한 절차를 통해 그들의 행위를 처벌했으며, 그들이 공화국에 전쟁을 걸었을 때 두 번이나 전투에서 그들을 물리쳤다.[12]

이러한 내용은 정치적인 선전 목적을 가지고 있어 사료로서의 가치는 떨어진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4. 1. 프로파간다적 성격

《아우구스투스 업적록》은 아우구스투스가 직접 썼음에도 불구하고, 명백한 정치적인 선전 목적을 가지고 있어 사료로서의 가치는 떨어진다. 이러한 점은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 이후부터 악티움 해전까지의 서술에서 잘 나타난다.[23]

브루투스와 카시우스는 "내 아버지를 죽인 자들"로,[10]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나와 싸운 상대", 섹스투스 폼페이우스는 "해적"이라고만 언급되어 실명이 거론되지 않았다.[23]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을 공화정의 일원인 것처럼 묘사하며, 권위는 높지만 권력은 없다고 서술했다.[23] 이는 공화주의자들을 우려하여 자신이 제 1인자임을 강조하지 않으려는 의도였다.

이는 원수정이 동료 중의 으뜸(Primus inter pares)" 지도자 아래 로마 공화정을 "부흥"시키는 체제를 따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로마 군단을 배경으로 하는 군주 신수설을 주장하는 절대 군주제와 유사하다.

업적록은 양부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암살부터 악티움 해전의 승리까지의 사건들을 미화하여 서술하는 경향이 있다.[18] 아우구스투스의 정적들은 익명으로 처리되었고,[18] 그의 임페리움과 과도한 호민관 권력에 대한 언급도 없다.

이러한 점들을 볼 때, 《아우구스투스 업적록》은 아우구스투스의 통치를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성공적인 선전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역사가들은 1인칭적 설명의 본질적인 의미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5. 원문/원문번역

Rerum gestarum divi Augusti, quibus orbem terrarum imperio populi Romani subiecit, et impensarum quas in rem publicam populusque Romanum fecit, incisarum in duabus aheneis pilis, quae sunt Romae positae, exemplar subiectum.

전세계를 로마 인민의 지배에 복종시켰던 신성한 아우구스투스의 업적들에 대해, 또한 국가와 로마 인민을 위해 지출을 행했던 일들에 대해, 또한 로마에 세운 2개의 구리 기둥에 이를 새긴 것에 대해, 그 복사본을 남겨둔다.

[1] (a) Annos undeviginti natus exercitum privato consilio et privata impensa comparavi, per quem rem publicam a dominatione factionis oppressam in libertatem vindicavi. (b) [Ob quae] senatus decretis honorificis in ordinem suum me adlegit, C. Pansa et A. Hirtio consulibus, consularem locum sententiae dicendae tribuens, et imperium mihi dedit. (c) Res Publica ne quid detrimenti caperet, me propraetore simul cum consulibus providere iussit. (d) Populus autem eodem anno me consulem, cum cos. uterque bello cecidisset, et triumvirum rei publicae constituendae creavit.

[1] (a) 나는 19살 때, 사적인 계획과 사적인 지출로 군대를 준비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붕당의 지배에 짓눌렸던 국가에 자유를 보장하였다. (b) 그 때문에 원로원은 영예로운 일들을 결의하였는데, 즉 가이우스 판사와 아울루스 히르티우스가 집정관들이었을 때(= BC 43), 나를 그들의 다음 서열로 (원로원에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집정관급 위치에 올려놓았으며, 또한 내게 절대 명령권을 준 것이다. (c) 국가는 전투에서 패하지 않도록, 나에게 법무관 대행의 권한을 주고 집정관들과 함께 미리 조치하도록 명령하였다. (d) 그런데 로마 인민들은, 두 집정관이 전쟁에서 쓰러지자, 나를 같은 년도의 집정관으로, 그리고 국가를 바로 세우기 위한 삼두로서 선출하였다.

[2] (a) Qui parentem meum trucidaverunt, eos in exilium expuli iudiciis legitimis ultus eorum facinus, et postea bellum inferentis rei publicae vici bis acie.

[2] (a) 나의 아버지를 찔러 죽인 자들을 법적인 재판들을 통해 추방당한 신세가 되도록 내가 몰아냄으로써 그들을 단죄하였다. 또한 나중에 그들이 국가한테 전쟁을 일으키자 두 번 전열에서 싸워 이겼다.

[3] (a) Bella terra et mari civilia externaque toto in orbe terrarum saepe gessi, victorque omnibus veniam petentibus civibus peperci. (b) Externas gentes, quibus tuto ignosci potuit, conservare quam excidere malui. (c) Millia civium Romanorum sub sacramento meo fuerunt circiter quingenta. (d) Ex quibus deduxi in colonias aut remisi in municipia sua stipendis emeritis millia aliquanto plura quam trecenta, et iis omnibus agros adsignavi aut pecuniam pro praemiis militiae dedi. (e) Naves cepi sescentas praeter eas, si quae minores quam triremes fuerunt.

[3] (a) 전 세계에 걸쳐 뭍과 바다에서, 내전과 대외전에서 나는 종종 전쟁을 수행하였으며, 승리자가 되어 용서를 갈구하는 모든 시민들을 사면하였다. (b) 완전히 용서를 구하는 외부의 종족들을 나는 파괴하기보다는 보존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c) 대략 50만명에 달하는 로마 시민권자들이 내게 입대 서약을 행하였다. (d) 나는 그들 가운데 일부는 식민도시들로 보내거나, 또는 그들의 자치도시들로 급료를 지불하고 돌려보냈는데 그 숫자가 30만명을 넘었으며, 군무에 종사한 데에 대한 보답으로 그들 모두에게 땅을 분배하거나 돈을 주었다. (e) 나는 600척의 함선들과 그보다 더 적은 수의 삼단노선들을 획득하였다.

[4] (a) Bis ovans triumphavi, tris egi curulis triumphos et appellatus sum viciens et semel imperator. (b) Cum autem pluris triumphos mihi senatus decrevisset, iis supersedi. (c) Laurum de fascibus deposui in Capitolio, votis quae quoque bello nuncupaveram solutis. (d) Ob res a me aut per legatos meos auspicis meis terra marique prospere gestas quinquagiens et quinquiens decrevit senatus supplicandum esse dis immortalibus. (e) Dies autem, per quos ex senatus consulto supplicatum est, fuere DCCCLXXXX. (f) In triumphis meis ducti sunt ante currum meum reges aut regum liberi novem. (h) Consul fueram terdeciens, cum scribebam haec, et agebam septimum et tricensimum tribuniciae potestatis.

[4] (a) 나는 약식 개선식을 두 번, 정식 개선식을 세 번 치렀으며, 최고 사령관이라는 환호를 21번 받았다. (b) 그런데 더 많은 개선식들을 원로원이 의결했었으나, 난 사양하였다. (c) 내가 이전에 (신들께 성공을) 빌었던 전쟁들에 대한 서약이 해결될 때마다, 나는 파스키스들부터 월계관을 카피톨리움에 걸어놓았다. (d) 나의 새점들로 인하여 나와 또는 나의 부장들에 의해 땅과 바다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던 일들 때문에 원로원은 불사신들께 55번의 희생제의를 결정하였다. (e) 그런데 원로원의 결의에 의해서 희생제의를 하기로 결행된 날은 890일에 달하였다. (f) 나의 여러 개선식에서 내 전차 뒤로 왕들과 그들의 자식들이 끌려나온 숫자는 총 9인에 달하였다. (h) 나는 집정관을 13회 역임하였으며, 이 기록을 호민관 권한을 받은지 37년 째(= AD 14)에 새겨오고 있다.

[5] (a) Dictaturam et apsenti et praesenti mihi delatam et a populo et a senatu, M. Marcello et L. Arruntio consulibus non accepi. (b) Non recusavi in summa frumenti penuria curationem annonae, quam ita administravi, ut intra paucos dies metu et periculo praesenti populum universum liberarem impensa et cura mea. (c) Consulatum quoque tum annuum et perpetuum mihi delatum non recepi.

[5] (a) 마르쿠스 마르켈루스와 루키우스 아룬티우스가 집정관이었을 때(= BC 22) 내가 (도성에) 없었을 때와 있었을 때 각각 한 번씩, 원로원 및 로마 인민들에 의해서 독재관 권력이 제안되었으나, 난 받아들이지 않았다. (b) 그러나 극도로 식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곡물 관리관직을 거절하지 않았으며, 다음과 같이 일을 처리하였다. 즉, 나의 지출과 관리로 며칠만에 위험과 두려움에 당면한 로마 인민들을 구하였다. (c) 나는 그 해의 집정관직, 또한 종신 집정관직을 제안받았으나, 받아들이지 않았다.

[6] (a) Consulibus M. Vinicio et Q. Lucretio et postea P. Lentulo et Cn. Lentulo et tertium Paulo Fabio Maximo et Q. Tuberone senatu populoque Romano consentientibus ut curator legum et morum summa potestate solus crearer, nullum magistratum contra morem maiorum delatum recepi. (b) Quae tum per me geri senatus voluit, per tribuniciam potestate perfeci, cuius potestatis conlegam et ipse ultro quinquiens a senatu depoposci et accepi.

[6] (a) 마르쿠스 비니키우스와 퀸투스 루크레티우스가 집정관이었을 때(= BC 19), 그 다음에 푸블리우스 렌툴루스와 그나이우스 렌툴루스가 집정관이었을 때(= BC 18), 세번째로 파울루스 파비우스 막시무스와 퀸투스 투베로가 집정관이었을 때(= BC 11), 원로원과 로마 인민이 한 뜻으로 나를 막강한 권력을 가진 법과 풍속에 대한 관리관으로 선출하였으나, 조상들의 관습에 어긋나는 그러한 관직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b) 그 다음으로 원로원은 나를 통해 이뤄지기를 바랬던 일들을 나는 호민관 권한을 통해 이뤘다. 그 뿐만 아니라 나는 원로원으로부터 그 권력을 5번 행사하면서 동료를 세워줄 것을 요청하고 받아들였다.

[7] (a) Triumvirum rei publicae constituendae fui per continuos annos decem. (b) Princeps senatus fui usque ad eum diem quo scripseram haec per annos quadraginta. (c) Pontifex maximus, augur, XV virum sacris faciundis, VII virum epulorum, frater arvalis, sodalis Titus, fetialis fui.

[7] (a) 국가를 바로세우기 위하여 나는 연속적으로 10년 동안 삼두의 권한을 행사하였다. (b) 또한 나는 여기에 글자를 새겨넣는 날까지 쭉 40년 동안 원로원의 수장이었다. (c) 또한 나는 최고 제사장이었으며, 복점관이기도 하였고, 성사를 행하는 15인의 사제들 중 1인이며, 성찬식을 행하는 7인의 사제들 중 1인이었고, 라레스 신을 섬기는 동지회와 티투스 동지회의 사제들 중 1인이었다.

[8] (a) Patriciorum numerum auxi consul quintum iussu populi et senatus. (b) Senatum ter legi, et in consulatu sexto censum populi conlega M. Agrippa egi. (c) Lustrum post annum alterum et quadragensimum feci, quo lustro civium Romanorum censa sunt capita quadragiens centum millia et sexaginta tria millia. (d) Tum iterum consulari cum imperio lustrum solus feci C. Censonno et C. Asinio cos., quo lustro censa sunt civium Romanorum capita quadragiens centum millia et ducenta triginta tria millia. (e) Et tertium consulari cum imperio lustrum conlega Tib. Caesare filio meo feci Sex. Pompeio et Sex Appuleio cos., quo lustro censa sunt civium Romanorum capitum quadragiens centum millia et nongenta triginta et septem millia. (f) Legibus novis me auctore latis multa exempla maiorum exolescentia iam ex nostro saeculo reduxi et ipse multarum rerum exempla imitanda posteris tradidi.

[8] (a) 귀족들의 수효를 나는 다섯번째 집정관을 역임했을 때(= BC 29) 인민과 원로원의 명령에 의해 늘렸다. (b) 또한 나의 여섯번째 집정관 역임 시(= BC 28) 동료 집정관인 마르쿠스 아그립파와 함께 세 차례 원로원을 등록하였다. (c) 나는 42년 동안 호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처음) 조사하였을 때는 로마 시민들의 머릿수가 4063000명으로 헤아려졌다. (d) 가이우스 켄소리누스와 가이우스 아시니우스가 집정관이었을 때(= BC 8) 두 번째로 나는 집정관급의 절대 명령권을 통해 호구조사를 실시하여 로마 시민들의 숫자를 4233000명으로 헤아렸다. (e) 섹스투스 폼페이우스와 섹스투스 압풀레이우스가 집정관이었을 때(= AD 14) 나는 내 아들인 티베리우스 카이사르를 동료로 삼아 집정관급의 절대 명령권을 통해 호구조사를 실시하여 로마 시민들의 숫자를 4937000명으로 헤아렸다. (f) 나의 발의에 의해 새로운 법들이 통과되어 이미 우리 시대에 희미해졌던 조상들의 여러 훌륭한 관습들을 다시 도입하였으며, 나 자신 역시 미래 세대에 모방되어야 할 여러 훌륭한 예시들을 전해주었다.

[9] (a) Vota pro valetudine mea suscipi per consules et sacerdotes quinto quoque anno senatus decrevit. (b) Ex iis votis saepe fecerunt vivo me ludos aliquotiens sacerdotum quattuor amplissima collegia, aliquotiens consules. (c) Privatim etiam et municipatim universi cives unanimiter continenter apud omnia pulvinaria pro valetudine mea supplicaverunt.

[9] (a) 나의 건강을 위하여 집정관들과 사제들이 5년 마다 한 번씩 축원할 것을 원로원이 결의하였다. (b) 그 축원들 가운데 내가 살아있는 동안 종종 몇 차례의 경기들이 4인의 최고 사제회에서, 몇 차례는 집정관들이 개최되었다. (c) 사적으로 또한 도시 단위로 모든 시민들이 한 마음으로 모든 신전의 제단 옆에서 나의 건강을 위해 빌기를 그치지 않았다.

[10] (a) Nomen meum senatus consulto inclusum est in saliare carmen, et sacrosanctus in perpetum ut essem et, quoad viverem, tribunicia potestas mihi esset, per legem sanctum est. (b) Pontifex maximus ne fierem in vivi conlegae mei locum, populo id sacerdotium deferente mihi quod pater meus habuerat, recusavi. (c) Quod sacerdotium aliquod post annos, eo mortuo qui civilis motus occasione occupaverat, cuncta ex Italia ad comitia mea confluente multitudine, quanta Romae nunquam fertur ante id tempus fuisse, recepi, P. Sulpicio C. Valgio consulibus.

[10] (a) 나의 이름은 원로원의 결정으로 마르스의 찬가에 포함되었으며, 내가 존재하는한 영원히 신성불가침하며 내가 살아있는 한 호민관 권한은 내게 속한다는 사실이 법으로서 축성받았다. (b) 나는 내 동료가 그 자리에서 살아있는 동안 최고 제사장이 되고 싶지 않았으며, 인민들에 의해 내 아버지가 역임하였던 그 성직을 맡으라고 제안하였을 때, 나는 거절하였다. (c) 몇 해 뒤, 내전이 벌어졌을 때 이 직책을 차지했었던 이의 죽음으로, 이탈리아 내의 모든 이들이 나의 집회장으로 모여들었으니, 이러한 엄청난 일은 로마에서 그 이전에는 없었다. 그리하여 내가 최고 제사장의 직책을 받아들이니, 때는 푸블리우스 술피키우스와 가이우스 발기우스가 집정관이었던 때였다. (= BC 12)

[11] (a) Aram Fortunae Reducis ante aedes Honoris et Virtutis ad portam Capenam pro reditu meo senatus consacravit, in qua pontifices et virgines Vestales anniversarium sacrificium facere iussit eo die quo, consulibus Q. Lucretio et M. Vinicio, in urbem ex Syria redieram, et diem Augustalia ex cognomine nostro appellavit.

[11] (a) 카페나 문 근처의 명예의 여신과 미덕의 여신의 신전 앞에 '귀환하는 행운의 여신'의 제단을 나의 귀환을 위하여 원로원이 봉헌하였다. 원로원은 퀸투스 루크레티우스와 마르쿠스 비니키우스가 집정관이었던 해(= BC 19) 내가 쉬리아로부터 귀환하였던 날을 나의 코그노멘을 따 '아우구스탈리아의 날'로 부르기로 하고, 제사장들과 베스탈 여사제들한테 매년 그 날을 기리라고 명령하였다.

[12] (a) Ex senatus auctoritate pars praetorum et tribunorum plebi cum consule Q. Lucretio et principibus viris obviam mihi missa est in Campaniam, qui honos ad hoc tempus nemini praeter me est decretus. (b) Cum ex Hispania Galliaque, rebus in iis provincis prospere gestis, Romam redi, Ti. Nerone P. Quintilio consulibus, aram Pacis Augustae senatus pro reditu meo consacrandam censuit ad campum Martium, in qua magistratus et sacerdotes virginesque Vestales anniversarium sacrificium facere iussit.

[12] (a) 원로원의 권위에 의해 일부 법무관들 및 호민관들이 집정관 퀸투스 루크레티우스 및 상위 계층의 시민들을 데리고 캄파니아 문까지 나를 배웅하러 왔는데, 이러한 영광은 여태껏 날 빼고 아무도 결의되지 못했던 것이다. (b) 티베리우스 네로와 푸블리우스 퀸틸리우스가 집정관이었을 시기(= BC 13) 내가 히스파니아와 갈리아의 속주에서 일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로마로 돌아왔을 때, '아우구스투스의 평화'를 위한 제단을 원로원이 마르스 광장에 세우고 나의 귀환을 위하여 봉헌하도록 명령하였다. 그곳에서 원로원은 행정관들과 사제들, 베스탈 여사제들한테 매년 희생제를 드리라고 명령하였다.

[13] (a) Ianuam Quirinum, quem claussum esse maiores nostri voluerunt cum per totum imperium populi Romani terra marique esset parta victoriis pax, cum priusquam nascerer, a condita urbe bis omnino clausum fuisse prodatur memoriae, ter me principe senatus claudendum esse censuit.

[13] (a) 우리의 조상들은 로마 인민들의 모든 지배권을 통하여 뭍과 바다에서 승리로 인하여 평화가 확립된 경우 야누스 퀴리누스의 신전을 닫길 원하였다. 내가 태어나기 전에는 도성이 창건된 이래로 우리가 기억하는 바로는 그 문을 닫은 것은 2번 밖에 없었지만, 내가 원로원의 수장이었을 때 원로원은 3번 닫도록 결정하였다.

[14] (a) Filios meos, quos iuvenes mihi eripuit fortuna, Gaium et Lucium Caesares honoris mei causa senatus populusque Romanus annum quintum et decimum agentis consules designavit, ut eum magistratum inirent post quinquennium, et ex eo die quo deducti sunt in forum ut interessent consiliis publicis decrevit senatus. (b) Equites autem Romani universi principem iuventutis utrumque eorum parmis et hastis argenteis donatum appellaverunt.

[14] (a) 운이 젊은이로서 내게 앗아간 내 아들들, 즉 가이우스루키우스 카이사르를, 나를 영광스럽게 할 이유로 원로원과 로마 인민들이 그들이 15살이 되면 집정관이 될 수 있도록 지명하여, 5년 뒤에 공직 생활에 발을 들여놓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그들이 포룸에 소개된 그 날부터 공공 집회에 참여될 수 있도록 원로원이 결의하였다. (b) 그리고 모든 로마 기사들이 젊은 수령들에게 둥근 방패와 투창을 주고 그들 자신을 각기 두 수령의 이름을 따서 불렀다.

[15] (a) Plebi Romanae viritim HS trecenos numeravi ex testamento patris mei et nomine meo HS quadringenos ex bellorum manibiis consul quintum dedi, iterum autem in consulatu decimo ex patrimonio meo HS quadringenos congiari viritim pernumeravi, et consul undecimum duodecim frumentationes frumento privatim coempto emensus sum, et tribunicia potestate duodecimum quadringenos nummos tertium viritim dedi. (b) Qaue mea congiaria pervenerunt ad hominum millia numquam minus quinquaginta et ducenta. (c) Tribuniciae potestatis duodevicensimum, consul XII, trecentis et viginti millibus plebis urbanae sexagenos denarios viritim dedi. (d) Et colonis militum meorum consul quintum ex manibiis viritim millia nummum singula dedi; acceperunt id triumphale congiarium in colonis hominum circiter centum et viginti millia. (e) Consul tertium decimum sexagenos denarios plebei quae tum frumentum publicum accipiebat dedi; ea millia hominum paullo plura quam ducenta fuerunt.

[15] (a) 로마의 평민들한테 아버지의 유언장에 따라 300 세스테르티이씩 지급하였으며, 내가 다섯번째 집정관일 때(= BC 29) 전리품에서 나의 이름으로 400 세스테르티이씩 하사금으로 주었고, 내가 열번째 집정관일 때(= BC 24) 나의 세습 재산에서 두 번째로 한 사람 당 400 세스테르티이씩 나누어 주었으며, 내가 열한번째 집정관일 때(= BC 23) 개인적으로 식량을 사서 12번 무상배급으로 필요한만큼 덜어주었다. 또한 12번째 호민관 권한을 누릴 때(= BC 12, BC 11), 세 번째로 한 사람 당 400 세스테르티이씩 주었다. (b) 나의 하사금을 받은 사람들은 25만명을 밑돌지 않는다. (c) 호민관 권한을 누린지 18년째, 즉 내 12번째 집정관 임기에(= BC 5), 도성 내의 평민들에게 각자 60 데나리이씩 주었다. (d) 또한 다섯번째 집정관 역임시(= BC 29), 식민도시에 있는 나의 병사들에게 전리품으로부터 한 사람당 1000 세스테르티이씩 주었으며, 개선식을 할 당시 이 하사금으로 혜택을 받은 식민시의 병사들은 대략 12만명에 달하였다. (e) 또한 13번째 집정관일 때(= BC 2), 60 데나리이 씩, 이전에 공공 곡물을 받아들였던 평민들에게 주었으니, 그 숫자는 20만명을 조금 넘었다.

[16] (a) Pecuniam pro agris quos in consulatu meo quarto et postea consulibus M. Crasso et Cn. Lentulo Augure adsignavi militibus solvi municipis; ea summa sestertium circiter sexsiens milliens fuit quam pro Italicis praedis numeravi, et circiter bis milliens et sescentiens quod pro agris provincialibus solvi. (b) Id primus et solus omnium qui deduxerunt colonias militum in Italia aut in provinciis ad memoriam aetatis meae feci. (c) Et postea Ti. Nerone et Cn. Pisone consulibus itemque C. Antistio et D. Laelio cos. et C. Calvisio et L. Pasieno consulibus et L. Lentulo et M. Messalla consulibus et L Camnio et Q. Fabricio cos., militibus quos emeriteis stipendiis in sua municipia deduxi praemia numerato persolvi, quam in rem sestertium quater milliens circiter impendi.

[16] (a) 나의 네번째 집정관 역임시(= BC 30), 그리고 마르쿠스 크랏수스와 그나이우스 렌툴루스 아우구르가 집정관일 때(= BC 14) 나는 군인들에게 할당한 토지들을 위하여 자치도시들에 돈을 풀었다.; 이탈리아의 토지에는 대략 , 속주들의 토지에는 대략 를 삯으로 풀었다. (b) 병사들을 이탈리아 또는 속주들로 이끌었던 모든 자들 가운데 내가 기억하는 시대만으로는 오로지 나만이 처음이자 유일하게 그 일을 수행하였다. (c) 그리고 나중에 티베리우스 네로와 그나이우스 피소가 집정관일 때(= BC 7), 또한 가이우스 안티스티우스와 데키무스 라일리우스가 집정관일 때(= BC 6), 가이우스 칼비시우스와 루키우스 파시에누스가 집정관일 때(= BC 4), 루키우스 렌툴루스와 마르쿠스 켓살라가 집정관일 때(= BC 3), 루키우스 캄니우스와 퀸투스 파브리키우스가 집정관일 때(= BC 2), 군무를 마친 병사들에게 각자 그들 자신들의 자치도시들로 돌려보내면서 돈을 지불했으니, 그 돈은 대략 에 달한다.

[17] (a) Quater pecunia mea iuvi aerarium, ita ut sestertium milliens et quingentiens ad eos qui praerant aerario detulerim. (b) Et M. Lepido et L. Arruntio cos. in aerarium militare, quod ex consilio meo constitutum est ex quo praemia darentur militibus qui vicena aut plura stipendia emeruissent, HS milliens et septingentiens ex patrimonio meo detuli.

[17] (a) 4번 나의 돈으로 국고를 지원했으며, 국고를 관리하는 책임이 있는 자들에게 가 주어졌다. (b) 그리고 마르쿠스 레피두스와 루키우스 아룬티우스가 집정관이었던 때(= AD 6), 나의 계획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20년 또는 그 군무에 종사하고 이를 마친 병사들에게 포상금을 지급하는 군대 금고에다가 나는 를 나의 세습 재산에서 옮겨갔다.

[18] (a) Ab eo anno quo Cn. et P. Lentuli consules fuerunt, cum deficerent vectigalia, tum centum milibus hominum tum pluribus multo frumentarios et nummarios tributus ex horreo et patrimonio meo edidi.

[18] (a) 그나이우스 렌툴루스와 푸블리우스 렌툴루스가 집정관이었던 해부터, 조세가 부족하게 되면, 어떨 때는 10만명, 어떨 때는 그보다 더 많은 사람들한테 나의 금고와 세습재산으로부터 곡물과 돈을 내가 나누어주었다.

[19] (a) Curiam et continens ei Chalcidicum templumque Apollinis in Palatio cum porticibus, aedem divi Iuli, Lupercal, porticum ad circum Flaminium, quam sum appellari passus ex nomine eius qui priorem eodem in solo fecerat, Octaviam, pulvinar ad circum maximum, aedes in Capitolio Iovis Feretri Iovis Tonantis, aedem Quirini, aedes Minervae et Iunonis Reginae et Iovis Libertatis in Aventino, aedem Larum in summa sacria via, aedem deum Penatium in Velia, aedem Iuventatis, aedem Matris Magnae in Palatio feci.

[19] (a) 나는 원로원 의사당과 그와 이어진 칼키스식 열주회랑, 그리고 팔라티움 언덕아폴로 신전과 열주회랑, 신성 율리우스의 신전, 루페르칼, 플라미니누스 경기장 근처에 붙은 열주회랑을 세웠다. 이 열주회랑은 이전에 동일한 장소에 홀로 (자금을 대서) 지었던 나의 이름 '옥타비아랑'를 따서 불리는 것을 허락하였다. 또한 나는 대경기장에 인접한 신상 받침대와, 카피톨리움 언덕에 있는 윱피테르 페레트리우스와 윱피테르 토난티스의 신전, 퀴리니우스 신전, 아벤티누스 언덕에 있는 미네르바 및 신들이 여왕 유노 및 윱피테르 리베르타티스의 신전, 거룩한 길 끝에다가 라레스 신전, 벨리아에 페나테스 신들의 신전, 유벤투스의 신전, 팔라티움 언덕에 위대한 마르스 신의 신전을 세웠다.

[20] (a) Capitolium et Pompeium theatrum utrumque opus impensa grandi refeci sine ulla inscriptione nominis mei. (b) Rivos aquarum compluribus locis vetustate labentes refeci, et aquam quae Marcia appellatur duplicavi fonte novo in rivum eius inmisso. (c) Forum Iulium et basilicam quae fuit inter aedem Castoris et aedem Saturni, coepta profligataque opera a patre meo, perfeci et eandem basilicam consumptam incendio, ampliato eius solo, sub titulo nominis filiorum meorum incohavi, et si vivus non perfecissem, perfici ab heredibus meis iussi. (d) Duo et octoginta templa deum in urbe consul sextum ex auctoritate senatus refeci nullo praetermisso quod eo tempore refici debebat. (e) Consul septimum viam Flaminiam ab urbe Ariminum refeci pontesque omnes praetere Mulvium et Minucium.

[20] (a) 나는 카피톨리움(의 건물들)과 폼페이우스 신전 둘 다 막대한 지출로 다시 지었는데, 그 어떠한 곳에도 내 이름을 새겨넣지 않았다. (b) 나는 오래되어서 부식되었던 여러 곳의 수도관들을 다시 지었으며, 새로운 수원을 뚫어 마르키아라고 불리던 수도관에 흐르는 물을 2배로 늘렸다. (c) 카스토르 신전과 사투르누스 신전 사이에 있던

6. 평가

아우구스투스의 업적록은 그가 자신을 어떻게 묘사하고 싶어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지만, 객관적인 역사적 사실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텍스트는 아우구스투스의 양아버지 율리우스 카이사르암살이 있었던 기원전 44년부터 그가 사망한 서기 14년 사이의 모든 연대기를 다루지는 않는다.[8] 아우구스투스의 적들은 이름으로 언급되지 않는다.[10] 브루투스카시우스는 "내 아버지를 죽인 자들"로,[10]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내가 전쟁을 벌인 자", 섹스투스 폼페이우스는 "해적"으로 익명 처리되었다.[10]

"아우구스투스 업적록"은 원수정을 확립하기 위한 선전적 성격을 띤다.[18]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의 통치 방식을 동료 중의 으뜸(Primus inter pares)으로 표현했지만,[18] 실제로는 로마 군단을 배경으로 정치를 하는 모습은 군주 신수설을 주장하는 절대 군주제와 유사하다.

"업적록"은 초대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를 위한 독특한 선전이었다. 후대의 역사가들이 이 "업적록"을 사료로 사용하고, 아우구스투스가 형성한 범주를 바탕으로 그의 통치 방법을 연구한다면, "업적록"은 매우 성공적인 선전이라고 할 수 있다.

7. 현대의 재해석

"아우구스투스 업적록"은 원수정을 확립하기 위한 선전적 성격을 띤다.[18] 양부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암살부터 권력 기반이 명확해진 악티움 해전 승리까지의 사건들을 미화하여 서술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카이사르 암살자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는 단순히 "양부 카이사르의 암살자"라고만 불린다.[18]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섹스투스 폼페이우스도 익명으로 처리되어, 전자는 "당파", 후자는 "해적"으로만 언급된다.[18]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의 통치 방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공식적으로 밝혔다.

> 나는 권위에서는 모든 사람을 능가하려 했지만, 권력에 있어서는 동료였던 정무관보다 뛰어난 그 어떤 것도 갖지 않았다[18]

이는 원수정이 로마 공화정의 "부흥"을 추진하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로마 군단을 배경으로 정치를 하는 모습은 군주 신수설을 주장하는 절대 군주제와 유사하다.

"업적록"은 초대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를 위한 독특한 선전이었다. 만약 이 "업적록"이 후대 역사가들에게 사료로 자주 사용되고, 아우구스투스가 형성한 범주를 바탕으로 그의 통치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그의 의도였다면, "업적록"은 매우 성공적인 선전이라 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Res Gestae Divi Augusti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05-14
[2] 서적 Understanding Roman Inscrip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1
[3] 문서 However, there are other possible groupings; see discussion in [[John Scheid|Scheid]], "Introduction", XXXVI–XLIII.
[4] 문서 Aug. RG 17.2
[5] 서적 The Class Struggle in the Ancient Greek World: From the Archaic Age to the Arab Conquest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1981
[6] 서적 Augustan Rome 44 BC to AD 14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2
[7] 서적 The age of Augustus Blackwell 2007
[8] 문서 Eck, 2006 131
[9] 문서 Eck, 2006 133
[10] 문서 Eck, 2006 171
[11] 문서 Eck, 2006 133
[12] 웹사이트 AUGUSTUS, Res Gestae https://www.loebclas[...] 2022-02-12
[13] 서적 Res Gestae Divi Augusti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05-14
[14] 문서 Understanding Roman Inscriptions 1991
[15] 간행물 「神アウグストゥスの業績録」 (Res gestae divi Augusti) の性格と目的
[16] 문서 その他の議論は Scheid, "Introduction", XXXVI–XLIII.を参照
[17] 문서 Aug. RG 17.2
[18] 문서 Eck, p. 171.
[19] 문서 다른 방법으로 부분을 나누기도 한다. John Scheid의 Res Gestae Divi Augusti: hauts faits du divin Auguste.의 "Introduction" 참조, XXXVI-XLIII.
[20] 서적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998
[21] 서적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998
[22] 서적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998
[23] 서적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1998
[24] 학위논문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시문학과 도시 로마의 기억 :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8권과 프로페르티우스의 『엘레기』 4권을 중심으로 https://s-space.snu.[...]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