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IDH)는 아이소시트르산을 2-옥소글루타르산, 이산화탄소, NADH 또는 NADPH로 전환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IDH는 구조적으로 이량체이며, 활성 부위는 NAD+/NADP+ 분자와 2가 금속 이온(Mg2+, Mn2+)을 결합한다. IDH는 시트르산 회로에서 아이소시트르산의 산화와 탈카복실화를 촉매하며, 이 과정은 알파-케토글루타르산, NADH/NADPH, CO2를 생성한다. 이 효소는 기질 가용성, 생성물 억제, ATP에 의해 조절되며, IDH 유전자 변이는 특정 암, 특히 뇌종양과 관련이 있다. IDH에는 NADP+ 의존성과 NAD+ 의존성 두 가지 동질효소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NADPH 의존 효소 - 아릴-알코올 탈수소효소 (NADP+)
    아릴-알코올 탈수소효소(NADP+)는 NADP+를 조효소로 사용하여 아릴 알코올을 해당 알데히드로 산화시키는 효소입니다.
  • NADPH 의존 효소 - 알코올 탈수소효소 (NAD(P)+)
    알코올 탈수소효소(NAD(P)+)는 NAD(P)+를 조효소로 사용하여 알코올, 알데히드, 케톤 등의 기질에 작용하는 산화-환원 효소의 총칭이며, 레티날 환원효소, 알데히드 환원효소 등과 관련되어 비타민 A 대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에 기여한다.
  • NADH 의존 효소 - 알코올 탈수소효소
    알코올 탈수소효소(ADH)는 알코올을 알데히드 또는 케톤으로 산화시키는 효소 그룹으로, 에탄올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알코올 발효, 카이랄 알코올 합성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NADH 의존 효소 - 알코올 탈수소효소 (NAD(P)+)
    알코올 탈수소효소(NAD(P)+)는 NAD(P)+를 조효소로 사용하여 알코올, 알데히드, 케톤 등의 기질에 작용하는 산화-환원 효소의 총칭이며, 레티날 환원효소, 알데히드 환원효소 등과 관련되어 비타민 A 대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에 기여한다.
  • EC 1.1.1 - 젖산 탈수소효소
    젖산 탈수소효소(LDH)는 피루브산을 젖산으로 또는 그 역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해당 과정과 코리 회로에서 작용하며, 5가지 동질효소 형태로 존재하고, 혈청 내 수치는 조직 손상 지표로 사용되며, 암세포 에너지 대사 및 유전 질환과도 관련되어 그 기능과 관련 질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 EC 1.1.1 - 알코올 탈수소효소
    알코올 탈수소효소(ADH)는 알코올을 알데히드 또는 케톤으로 산화시키는 효소 그룹으로, 에탄올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알코올 발효, 카이랄 알코올 합성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
효소 정보
이름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
EC 번호1.1.1.42
CAS 번호9028-48-2
GO 코드0004450
대장균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 복합체
대장균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의 결정학적 구조. 활성 부위는 3개이다. 아이소시트르산 3개, NADP+ 결합 부위에 아이소시트르산 1개.
효소 정보 (NAD+)
이름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 (NAD+)
EC 번호1.1.1.41
CAS 번호9001-58-5
GO 코드0004449
단백질 군 정보
심볼IDH
이름단량체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
아이소시트르산 및 Mn과 복합체를 이룬 단량체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의 결정 구조
아이소시트르산 및 Mn과 복합체를 이룬 단량체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의 결정 구조
PfamPF03971
Pfam 클랜CL0270
InterProIPR004436
SCOP1ofg
일반 정보
유전자 기호IDH1
대체 기호해당 없음
앙트레즈 유전자3417
OMIM147700
RefSeqNM_005896
UniProtO75874
PDB1cw7
EC 번호1.1.1.42
염색체2
q
32

2. 구조

NAD-IDH는 3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알로스테릭 조절을 받고, Mg2+ 또는 Mn2+ 이온을 필요로 한다. 알려진 구조를 가진 가장 가까운 상동체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NADP-의존성 IDH이며, 아미노산 서열 상 2개의 소단위체와 13%의 동일성 및 29%의 유사성을 보인다. 이는 사람의 IDH와는 상당히 달라 면밀한 비교에는 적합하지 않다. 알려진 모든 NADP-IDH는 동종이량체이다.

대부분의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는 이량체, 그 중에서도 동종이량체(두 개의 동일한 단량체 소단위체가 하나의 이량체를 형성)이다. Corynebacterium glutamicum과 대장균(''Escherichia coli'')을 비교한 결과,[13] 각각 단량체와 이량체인 두 효소 모두 "동일한 반응을 효율적으로 촉매"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C. glutamicum''은 ''E. coli''보다 활성이 10배 더 높았고 NADP에 대한 친화력/특이성은 7배 더 높았다. ''C. glutamicum''은 NAD+보다 NADP+를 선호했다. 온도 안정성 면에서는 두 효소 모두 약 55°C에서 60°C 사이에서 유사한 Tm(융점)을 보였다. 그러나 단량체인 ''C. glutamicum''은 예상대로 더 높은 온도에서 더 안정적이었다. 이량체인 ''E. coli''는 두 단량체 소단위체 간의 상호작용 덕분에 정상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안정성을 보였다.



NADPH와 Mn(2+)가 결합된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ICDH-1의 구조는 X선 결정학으로 밝혀졌다. 각 소단위체는 Rossmann fold를 가지며, 서로 맞물린 β 시트의 공통적인 상위 도메인을 가진 동종이량체이다. Mtb ICDH-1은 CNS WHO 등급 4 별세포종에서 발견되는 R132H 돌연변이 인간 ICDH와 구조적으로 가장 유사하며, 이전에는 교모세포종으로 분류[3]되었다. 인간 R132H ICDH와 마찬가지로, Mtb ICDH-1 또한 α-히드록시글루타레이트 형성을 촉매한다.[4]

2. 1. 활성 부위

NAD-IDH는 3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된 효소로, 알로스테릭 조절을 받으며, Mg2+ 또는 Mn2+ 이온을 필요로 한다. 알려진 구조를 가진 가장 가까운 상동체는 대장균(''Escherichia coli'')의 NADP-의존성 IDH이다. 하지만 이 효소는 2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미노산 서열의 동일성이 13%, 유사성이 29%에 불과하여 사람의 IDH와는 상당히 다르다. 따라서 면밀한 비교에는 적합하지 않다. 알려진 모든 NADP-IDH는 동종이량체(동일한 두 개의 소단위체로 구성)이다.

대부분의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는 이량체, 그 중에서도 동종이량체(두 개의 동일한 단량체 소단위체가 하나의 이량체를 형성)이다. ''Corynebacterium glutamicum''과 대장균(''Escherichia coli'')을 비교한 연구에서, 단량체와 이량체 두 효소 모두 "동일한 반응을 효율적으로 촉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그러나 ''C. glutamicum'' 효소는 ''E. coli'' 효소보다 활성이 10배 더 높았고, NADP에 대한 친화력/특이성은 7배 더 높았다. ''C. glutamicum''은 NAD+보다 NADP+를 선호했다. 두 효소의 온도 안정성을 비교했을 때, 유사한 Tm(융점)을 보였으며, 이는 약 55°C에서 60°C 사이였다. 그러나 단량체인 ''C. glutamicum'' 효소는 예상대로 더 높은 온도에서 더 안정적이었다. 이량체인 ''E. coli'' 효소는 두 단량체 소단위체 간의 상호작용 덕분에 정상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안정성을 유지했다.

NADPH와 Mn(2+)가 결합된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ICDH-1의 구조는 X선 결정학을 통해 밝혀졌다. 이 효소는 각 소단위체가 Rossmann fold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 맞물린 β 시트의 공통적인 상위 도메인을 가진 동종이량체이다. Mtb ICDH-1은 CNS WHO 등급 4 별세포종에서 발견되는 R132H 돌연변이 인간 ICDH와 구조적으로 가장 유사하다. 이 돌연변이 ICDH는 이전에는 교모세포종으로 분류[3]되었다. 인간 R132H ICDH와 마찬가지로, Mtb ICDH-1 또한 α-히드록시글루타레이트 형성을 촉매한다.[4]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IDH)의 구조는 대장균(''Escherichia coli'')에서 처음으로 밝혀지고 이해되었다.[12] 이후, ''대장균'' IDH 구조는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다른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와 비교하는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이 세균 효소에 대한 많은 연구 결과, 대부분의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는 구조와 기능이 유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구조와 기능의 유사성은 구조와 아미노산이 보존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9] 따라서 대부분의 원핵생물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의 활성 부위도 보존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실제로 많은 연구에서 관찰되고 있다. 반면, 진핵생물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는 아직 완전히 연구되지 않았다.

IDH 이량체의 각 단위는 두 개의 활성 부위를 갖는다.[12] 각 활성 부위는 NAD+/NADP+ 분자와 2가 금속 이온(Mg2+, Mn2+)을 결합한다. 각 활성 부위는 특정 결합 부위에 대해 보존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심해 황산염 환원 세균(Desulfotalea psychrophila)''(''Dp''IDH)[12]와 돼지(''Pc''IDH)[14]의 경우, 활성 부위에 결합하는 세 가지 기질은 다음과 같다.

# 아이소시트르산은 수소 결합을 통해 약 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보존된 서열 내의 활성 부위에 결합한다. 이 아미노산에는 티로신, 세린, 아스파라진, 아르기닌, 아르기닌, 아르기닌, 티로신 및 라이신이 포함된다(잔기는 다를 수 있지만 유사한 특성을 가짐). 이들은 뼈대에서의 위치는 다르지만 모두 근접한 범위 내에 있다(예: Arg131 DpIDH 및 Arg133 PcIDH, Tyr138 DpIDH 및 Tyr140 PcIDH).[12]

# 금속 이온(Mg2+, Mn2+)은 수소 결합을 통해 세 개의 보존된 아미노산(세 개의 아스파르트산 잔기)에 결합한다.[12]

# NAD+와 NADP+는 IDH 효소 간에 유사한 특성을 가진 4개의 영역 내의 활성 부위에 결합한다. 이 영역은 [250–260], [280–290], [300–330] 및 [365–380] 주변에서 다양하다. 영역은 다르지만 영역의 근접성은 보존된다.[12]

3. 촉매 메커니즘

300px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는 아래의 화학 반응을 촉매한다.[7][8][9]

:아이소시트르산 + NAD+ \rightleftharpoons 2-옥소글루타르산 + CO2 + NADH + H+

:아이소시트르산 + NADP+ \rightleftharpoons 2-옥소글루타르산 + CO2 + NADPH + H+

이 반응의 전체 자유 에너지는 -8.4 kJ/mol이다.[10]

NAD-IDH는 3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알로스테릭 조절을 받는다. 통합된 Mg2+ 또는 Mn2+ 이온을 필요로 한다. 알려진 구조를 가진 가장 가까운 상동체는 ''Escherichia coli''(E. coli) NADP-의존성 IDH이며, 아미노산 서열을 기준으로 2개의 소단위체와 13%의 동일성 및 29%의 유사성을 보인다. 이는 인간 IDH와 유사하지 않아 면밀한 비교에 적합하지 않다. 알려진 모든 NADP-IDH는 동종이량체이다.

대부분의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는 동종이량체(하나의 이량체 단위를 형성하는 두 개의 동일한 단량체 소단위체)이다. ''Corynebacterium glutamicum''과 ''Escherichia coli''(E. coli)를 비교한 결과,[13] 각각 단량체와 이량체인 두 효소 모두 "동일한 반응을 효율적으로 촉매"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C. glutamicum''은 ''E. coli''보다 10배 더 많은 활성을 보였고 NADP에 대해 7배 더 높은 친화력/특이성을 가졌다. ''C. glutamicum''은 NADP+를 NAD+보다 선호했다. 온도에 대한 안정성 측면에서 두 효소는 약 55 °C에서 60 °C 사이에서 유사한 Tm 또는 융점을 보였다. 그러나 단량체 ''C. glutamicum''은 예상대로 더 높은 온도에서 더 일관된 안정성을 보였다. 이량체 ''E. coli''는 두 단량체 소단위체 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정상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안정성을 보였다.

NADPH와 Mn(2+)가 결합된 ''Mycobacterium tuberculosis''(Mtb) ICDH-1의 구조는 X선 결정학에 의해 밝혀졌다. 이는 각 소단위체가 Rossmann fold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 맞물린 β 시트의 공통적인 상위 도메인을 가진 동종이량체이다. Mtb ICDH-1은 CNS WHO 등급 4 별세포종에서 발견되는 R132H 돌연변이 인간 ICDH와 구조적으로 가장 유사하며, 이전에는 분류[3]되어 교모세포종으로 분류되었다. 인간 R132H ICDH와 유사하게, Mtb ICDH-1 또한 α-히드록시글루타레이트의 형성을 촉매한다.[4]

IDH는 ''Vmax'' (최대 반응 속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이소시트르산의 ''KM'' (미카엘리스-멘텐 상수 - 자세한 내용은 미카엘리스-멘텐식 참조)를 저하시킨다.

3. 1. 단계

시트르산 회로에서 아이소시트르산은 산화와 탈카복실화를 거친다.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IDH)는 아르기닌, 티로신, 아스파라진, 세린, 트레오닌, 아스파르트산 등의 아미노산을 이용해 아이소시트르산을 활성 부위에 고정시킨다.



전체 반응의 생성물은 알파-케토글루타르산, 이산화 탄소, NADH + H+/NADPH + H+이다.[8] 물 분자는 아이소시트르산의 산소 원자를 탈양성자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단계1. 산화: 알파 탄소(C2)의 알코올기가 탈양성자화되고 전자는 NAD+/NADP+ (보조 인자)로 이동한다. 알파 탄소에 케톤기가 형성된다.[7][8]

300px


2. 탈카복실화: 옥살로숙신산의 카복실기가 티로신에 의해 탈양성자화된다. 전자는 C2로 이동하고, 이산화 탄소가 베타 탄소(C3)에서 떨어져 나간다. 전자는 알파 탄소의 케톤 산소로 이동하여 음전하를 띠게 하고, 탄소 2와 3 사이에 알파-베타 불포화 이중 결합을 형성한다.[7][8]

300px


3. 포화: 알파 탄소의 음전하를 띤 산소가 전자를 제공하여 케톤 이중 결합을 다시 만든다. 알파 탄소와 베타 탄소 사이의 이중 결합을 형성하던 전자는 티로신에서 양성자를 얻는다.[12]

300px


이 반응으로 알파-케토글루타르산, NADH + H+/NADPH + H+, CO2가 생성된다.

300px


375px


375px


Mn2+ 또는 Mg2+ 이온보조 인자로 작용하며, 아스파트산 잔기는 물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알파 탄소의 알코올을 탈양성자화한다.

반응 전체의 자유 에너지 변화는 -8.4 kJ/mol이다. IDH는 미카엘리스-멘텐 상수(KM)를 낮춰 반응 속도를 높인다.

4. 조절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IDH) 단계는 시트르산 회로에서 자유 에너지 변화가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종종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비가역 반응이다. 따라서 아이소시트르산의 고갈(그리고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의 축적)을 피하기 위해 주의 깊게 조절해야 한다. 이 반응은 다음과 같은 간단한 메커니즘에 의해 조절된다.[5]


  • 기질 가용성: 아이소시트르산, NAD+ 또는 NADP+, Mg2+ / Mn2+
  • 생성물 억제: NADH (또는 시트르산 회로 밖에서 NADPH) 및 알파-케토글루타르산
  • 경쟁적 피드백 억제: ATP


NADP+ 의존적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IDH)를 암호화하는 ''icd'' 유전자의 상류에 보존된 ncRNA가 박테리아 게놈에서 보고되었으며, 그 특성으로 인해 이 ncRNA는 리보스위치라고 하는 이전의 조절 모티프와 유사하며, icd-II ncRNA 모티프는 강력한 후보 리보스위치로 제안되었다.[6]

두 효소 모두 반응 전체의 자유 에너지는 -8.4kJ/mol이다. IDH는 ''Vmax'' (최대 반응 속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이소시트르산의 ''KM'' (미카엘리스-멘텐 상수 - 자세한 내용은 미카엘리스-멘텐식 참조)을 저하시킨다.

5. 임상적 의의

CNS WHO 등급 4등급 별세포종에서 변이된 IDH1 단백질 발현. IDH1 R132H 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마우스 단클론 항체를 사용한 면역조직화학 염색.
[15]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 유전자 *IDH1*의 특정 변이는 여러 종양 유형, 특히 별세포종과 희소돌기교종을 포함한 뇌종양에서 발견되었다.[16][3] *IDH1* 변이 종양 환자는 *IDH1* 야생형 종양 환자보다 생존 기간이 더 길었다.[17][18] 또한, *IDH2* 및 *IDH1* 변이는 세포유전학적으로 정상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의 최대 20%에서 발견되었다.[19][20]

이러한 변이는 알파-케토글루타르산으로부터 D-2-하이드록시글루타르산을 생성한다.[21] D-2-하이드록시글루타르산은 매우 높은 농도로 축적되어 알파-케토글루타르산 의존 효소 기능을 억제한다.[22] 이는 DNA와 히스톤의 과메틸화 상태로 이어져 종양 유전자를 활성화하고 종양 억제 유전자를 비활성화하는 유전자 발현을 초래하며, 결과적으로 위에 설명된 유형의 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23] 이 유전자의 체세포 모자이크 변이는 올리에병 및 마푸치 증후군과도 관련이 있다.[24]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D-2-하이드록시글루타르산은 효소 또는 비효소적으로 알파-케토글루타르산으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25][26] 암에서 IDH1 변이(및 D-2-하이드록시글루타르산)의 역할을 완전히 이해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 연구는 대사체 D-2-하이드록시글루타르산(D-2HG) 축적을 유발할 수 있는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의 암 유발 변이를 강조한다. Notarangelo 등은 고농도 D-2HG가 마우스 T 세포에서 젖산 탈수소효소의 직접적인 억제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대사 효소 억제는 T 세포의 포도당 대사를 변화시켜 T 세포 증식, 사이토카인 생성, 표적 세포를 죽이는 능력을 억제했다.[27]

6. 동질효소 (Isozymes)

사람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에는 다음과 같은 동질효소가 있다.

사람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 동질효소 목록
이름유전자염색체 위치EC 번호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 1 (NADP+), 가용성IDH12번 염색체 q32-qter1.1.1.42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 2 (NADP+), 미토콘드리아IDH215번 염색체 q21-qter1.1.1.42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 3 (NAD+) 알파IDH3A15번 염색체 q25.1-25.21.1.1.41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 3 (NAD+) 베타IDH3B20번 염색체 p131.1.1.41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 3 (NAD+) 감마IDH3GX 염색체 q281.1.1.41



NADP+ 의존성 동질효소는 모두 동종이량체로 작용한다. NAD+ 의존성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는 3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되며, 알로스테릭 조절을 받는다. 이 효소는 Mg2+ 또는 Mn2+ 이온을 필요로 한다.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 3 이소형은 2개의 알파 소단위체, 1개의 베타 소단위체, 1개의 감마 소단위체로 구성된 이종사합체이다.

6. 1. NADP+ 의존성

NADP+ 의존성 동형 효소는 모두 동종이량체로 작용한다. 알려진 구조를 가진 가장 가까운 동족체는 대장균의 NADP 의존형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IDH)로, 2개의 서브유닛과 13%의 상동성 및 29%의 유사성을 가진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알려진 모든 NADP-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IDH)는 호모다이머이다.

6. 2. NAD+ 의존성

NAD+ 의존성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IDH)는 3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알로스테릭 조절을 받는다. 이 효소는 Mg2+ 또는 Mn2+ 이온을 필요로 한다. 구조가 알려진 가장 유사한 효소는 대장균의 NADP 의존성 IDH인데, 이는 2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미노산 서열에서 13%의 상동성과 29%의 유사성을 보인다. 알려진 모든 NADP-IDH는 호모다이머(homodimer)이다.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 3 이소형은 2개의 알파 소단위체, 1개의 베타 소단위체, 1개의 감마 소단위체로 구성된 이종사합체(heterotetramer)이다.

7. 카본백본

TCA 회로 과정에서 유일하게 카본백본(carbon backbone)을 변형하면서 CoA가 관여하지 않는 과정이다.

참조

[1] 논문 Active site water molecules revealed in the 2.1 A resolution structure of a site-directed mutant of isocitrate dehydrogenase 2000-01
[2] 논문 Peroxisomal NADP-Dependent Isocitrate Dehydrogenase. Characterization and Activity Regulation during Natural Senescence 1999-11
[3] 논문 The 2021 WHO Classification of Tumo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 summary 2021-08
[4] 논문 Structural, kinetic and chemical mechanism of isocitrate dehydrogenase-1 from Mycobacterium tuberculosis 2013-03
[5] 논문 Role of a peroxisomal NADP-specific isocitrate dehydrogenase in the metabolism of the riboflavin overproducer Ashbya gossypii 2000
[6] 논문 Comprehensive discovery of novel structured noncoding RNAs in 26 bacterial genomes 2021-12
[7] 서적 The Organic Chemistry of Biological Pathways Roberts and Co. Publishers
[8]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H. Freeman
[9] 논문 Crystal structure of the monomeric isocitrate dehydrogenase in the presence of NADP+: insight into the cofactor recognition, catalysis, and evolution 2003-09
[10] 서적 Biochemistry Cengage Learning
[11] 논문 Nondecarboxylating and decarboxylating isocitrate dehydrogenases: oxalosuccinate reductase as an ancestral form of isocitrate dehydrogenase 2008-03
[12] 논문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isocitrate dehydrogenase from the psychrophilic bacterium Desulfotalea psychrophila reveal a cold-active enzyme with an unusual high thermal stability 2007-09
[13] 논문 A highly specific monomeric isocitrate dehydrogenase from Corynebacterium glutamicum 2000-11
[14] 논문 Crystal structure of porcine mitochondrial NADP+-dependent isocitrate dehydrogenase complexed with Mn2+ and isocitrate. Insights into the enzyme mechanism 2002-11
[15] 논문 Monoclonal antibody specific for IDH1 R132H mutation 2009-11
[16] 논문 Clinical development of IDH1 inhibitors for cancer therapy 2022-02
[17] 논문 Patients with IDH1 wild type anaplastic astrocytomas exhibit worse prognosis than IDH1-mutated glioblastomas, and IDH1 mutation status accounts for the unfavorable prognostic effect of higher age: implications for classification of gliomas https://www.zora.uzh[...] 2010-12
[18] 논문 The combination of IDH1 mutations and MGMT methylation status predicts survival in glioblastoma better than either IDH1 or MGMT alone 2014-09
[19] 논문 The common feature of leukemia-associated IDH1 and IDH2 mutations is a neomorphic enzyme activity converting alpha-ketoglutarate to 2-hydroxyglutarate 2010-03
[20] 논문 WT1 recruits TET2 to regulate its target gene expression and suppress leukemia cell proliferation 2015-02
[21] 논문 Cancer-associated IDH1 mutations produce 2-hydroxyglutarate 2010-06
[22] 논문 The oncometabolite 2-hydroxyglutarate inhibits histone lysine demethylases 2011-05
[23] 논문 The driver and passenger effects of isocitrate dehydrogenase 1 and 2 mutations in oncogenesis and survival prolongation 2014-12
[24] 논문 Ollier disease and Maffucci syndrome are caused by somatic mosaic mutations of IDH1 and IDH2 2011-11
[25] 논문 Non-enzymatic chemistry enables 2-hydroxyglutarate-mediated activation of 2-oxoglutarate oxygenases 2014-03
[26] 논문 Transformation by the (R)-enantiomer of 2-hydroxyglutarate linked to EGLN activation 2012-02
[27] 논문 Oncometabolite d-2HG alters T cell metabolism to impair CD8+ T cell function 2022-09
[28] 논문 Peroxisomal NADP-Dependent Isocitrate Dehydrogenase. Characterization and Activity Regulation during Natural Senescence
[29] 저널 인용 Peroxisomal NADP-Dependent Isocitrate Dehydrogenase. Characterization and Activity Regulation during Natural Senesce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