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리우스 아리스티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일리우스 아리스티데스는 2세기 로마 제국 시대의 저명한 웅변가이자 작가였다. 미시아의 하드리아니에서 태어나 부유한 환경에서 교육받았으며, 스미르나와 아테네 등지에서 당대 최고의 소피스트들에게서 배웠다. 그는 로마 황궁 앞에서 '로마에 대하여'를 연설하여 명성을 얻었으며, 헬레니즘 문화 전파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잦은 질병으로 고통받았으며, 아스클레피오스 신앙에 의지하여 치료를 시도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인 '신성한 이야기'는 그의 투병 경험과 종교적 체험을 기록한 것으로, 고대 종교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스미르나 지진 이후에는 도시 재건을 위해 노력하여, 시민들의 존경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스미르나 - 아시아 속주
아시아 속주는 기원전 2세기 페르가몬 왕국이 로마에 유증되며 성립된 로마 제국의 속주로, 에게해 동쪽 해안 지역을 포함하며 여러 변화를 거쳐 동로마 제국의 영토로 존속하다 14세기 말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었다. - 고대 그리스의 수사학자 - 루키아노스
루키아노스는 로마 제국 시대에 활동한 시리아 출신 작가로, 다양한 형식을 통해 가벼운 문명 비판과 풍자를 담았으며, 에피쿠로스적 쾌락주의 사상을 드러내고 르네상스 시대 이후 유럽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17년 출생 - 도상 (후한)
도상은 후한 말기 환관의 추천으로 관직에 올라 치적을 쌓고 형주자사로서 반란 진압에 공을 세웠으나, 권력에 아부하고 부정부패를 저질렀다는 비판도 있는 관료이다.
아일리우스 아리스티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Πόπλιος Αἴλιος Ἀριστείδης Θεόδωρος (로마자 표기: Póplios Aílios Aristeídēs Theódōros) |
출생 | 117년 |
사망 | 181년 |
출생지 | 미시아 하드리아니 아드 올림품(현재의 터키 부르사주 오르하넬리) |
![]() | |
직업 | |
직업 | 웅변가 |
언어 | |
사용 언어 | 고대 그리스어 |
작품 | |
주요 작품 | Sacred Tales (꿈 해몽) |
2. 생애
아일리우스 아리스티데스는 고대 그리스의 저명한 연설가이자 작가였다. 미시아의 하드리아니에서 태어나 부유한 지주였던 아버지 덕분에 최고의 교육을 받았다. 코티아이움의 알렉산드로스에게 처음 배웠고, 이후 여러 도시를 여행하며 당대 최고의 소피스트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그의 교육의 정점은 서기 141년 이집트 여행이었다. 이집트로 가던 중 그는 연설가로서의 경력을 시작했으며, 이집트 여행에는 나일 강의 근원을 찾기 위한 상류 여행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는 나중에 "이집트 담론"에서 이 여행에 대해 회상했다.
아리스티데스는 일생 동안 여러 질병으로 고통받았다. 이집트 여행 중 병을 얻었고, 세라피스와 아스클레피오스 등에게 의지하며 병을 치료하려 했다. 잦은 재발에도 불구하고 작가 및 강사 활동을 계속했다. 서기 165년에는 안토니누스 역병에 걸렸으나 살아남아 아스클레피오스 신앙에 더욱 헌신했다.
서기 177년 스미르나에 지진이 발생하자, 아리스티데스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에게 호소문을 보내 스미르나 재건을 위한 지원을 요청했다. 그의 호소문은 매우 효과적이어서 제국의 기금을 확보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아리스티데스는 미시아의 시골 영지에서 은둔하며 마지막 몇 년을 보냈고, 서기 181년에 사망했다.
2. 1. 출생과 교육
아리스티데스는 미시아의 하드리아니에서 태어났으며,[21] 부유한 지주였던 아버지 덕분에 최고의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그는 스미르나에서 코티아이움의 알렉산드로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개인 교사)에게 처음 배웠고, 이후 아테네와 알렉산드리아 등 여러 도시를 여행하며 당대 최고의 소피스트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21]2. 2. 연설가로서의 경력
아리스티데스는 미시아의 하드리아니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21] 그의 학습의 주춧돌은 서기 141년 이집트 여행이었다. 이집트로 가던 중 그는 연설가로서 생활을 시작했고, 코스, 크니도스, 로도스, 알렉산드리아에서 연설했다.[21]서기 143년 말, 연설가로서의 경력을 발전시키기 위해 로마로 떠났으나 심각한 지병으로 좌절되었다. 스미르나로 돌아온 그는 회복을 위해 '고대 세계의 최고 치료의 신' 아스클레피오스에게 의탁했고, '고대 세계 최고의 치료소'였던 페르가뭄의 아스클레피오스 신전으로 향하였다.[22]
서기 147년경, 재발한 지병에도 불구하고 저술가 및 비정기 강사로서 경력을 이어나갔다. 서기 154년, 그리스 및 로마로 강연을 떠나며 경력을 전면 재개했고, 로마 황궁에서 그의 가장 유명한 연설문 '로마에 대하여'를 연설하였다.[23] 그는 또한 제자들을 두었으며, 가장 유명한 제자는 소피스트 다미아노스이다.
서기 165년, 안토니누스 역병 (천연두)에 걸렸으나 살아남았다. 하지만 활동이 줄었고, 아스클레피오스에 대한 헌신을 다시 시작하였다.
서기 176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스미르나를 방문했을 때 황제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연설을 했다.[20] 서기 177년에는 지진으로 파괴된 스미르나 재건을 위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게 호소문을 보냈고, 이는 제국 기금 마련에 큰 효과를 거두었다.[20]
2. 3. 질병과 투병
아리스티데스는 서기 141년 이집트 여행 중 병을 얻어 스미르나로 돌아왔고, 세라피스에게 의지하여 건강을 회복하고자 하였다.[21] 웅변가로서의 경력을 발전시키기 위해 로마로 떠났으나, 심각한 지병으로 좌절되고 말았다.[22]회복을 위해 그는 '고대 세계의 최고 치료의 신' 아스클레피오스에게 의탁했고, 페르가뭄의 아스클레피오스 신전으로 향했다.[22] 이곳에서 환자들은 신전 바닥에서 잠을 자고 꿈에서 받은 신의 처방을 기록했는데, 아리스티데스에게는 단식, 특이한 식단, 방혈, 관장, 구토, 목욕 금지 등의 처방이 내려졌다.[22]
잦은 재발에도 불구하고, 아리스티데스는 저술 및 강사 활동을 계속했다.[23] 서기 165년에는 안토니누스 역병 (천연두)에 걸렸으나 살아남아 아스클레피오스 신앙에 더욱 헌신했다.[23] 서기 171년, 그는 거의 30년 동안 꿈에서 아스클레피오스에게서 받은 계시와 통찰을 기록한 '신성한 이야기'를 쓰기 시작했다.[23]
고대 의사 갈레노스는 아리스티데스에 대해 "영혼은 강인하나 육체가 약한 사람"이라 평하며, 그의 잦은 질병이 웅변가로서의 활동으로 인해 심신이 고갈되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25]
2. 4. 스미르나 재건
177년 스미르나에 지진이 발생하자, 아리스티데스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에게 스미르나 재건을 위한 지원을 요청하는 호소문을 보냈다. 이 호소문은 매우 효과적이어서 제국의 기금을 확보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20] 필로스트라토스는 이를 두고 "아리스티데스가 스미르나를 세웠다"고 칭송했는데, 이는 단순한 과장이 아니라 진실에 가깝다고 평가했다.[20] 이후 스미르나 시장에는 아리스티데스의 청동상이 세워졌으며, 여기에는 '그의 선량함과 연설을 위하여'라는 문구가 새겨졌다.[24]3. 활동
아일리우스 아리스티데스는 다방면에 걸친 저술 활동으로 당대 큰 명성을 얻었으며, 그의 작품들은 헬레니즘 전파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6] 그의 작품에는 공적 및 사적 행사를 위한 연설문, 논쟁적 에세이, 역사적 주제에 대한 연설문, 신들을 찬양하는 산문 등이 있다.[7]
아리스티데스는 많은 소피스트들과 달리 즉흥 연설을 좋아하지 않았다. 필로스트라토스에 따르면, "그의 타고난 재능은 즉흥적으로 말하는 쪽이 아니었기에, 철저한 검토를 거친 후에 입을 열었다"라고 한다. 그는 "타고난 재능을 갖고 있었으며 무의미한 말을 그의 연설에서 정제해냈다"라고 평가받았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가 스미르나에서 그에게 연설을 요청했을 때, 아리스티데스는 "저는 연설을 마구 토해내는 자가 아니라 완벽하게 하려는 자이기에, 오늘 주제를 제시하시고 내일 들으러 오십시오."라고 답했다.[20]
아리스티데스의 현존하는 저작물 중 스미르나에 관한 것은 다섯 개가 남아있다. '스미르나 연설'은 도시를 방문하는 관리들을 위한 일종의 안내문으로, '고대 스미르나에 대한 최고의 묘사'를 제공한다.[27] 다른 저작물들은 서기 177년의 파괴적인 지진 전후의 도시를 묘사하는데, 특히 '스미르나에 관하여 황제에게 보낸 서신'을 읽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감동하여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20]
'플라톤을 향하여: 4인을 옹호하며'에서 아리스티데스는 '신을 믿지 않는 팔레스타인의 불경한 자들'을 언급하며 어떤 무리를 비판했다.[28]
3. 1. 주요 연설
아리스티데스의 가장 유명한 연설은 '로마에 대하여'로, 로마 황궁 앞에서 연설되었다. 이 연설에서 아리스티데스는 로마 제국과 팍스 로마나를 찬양하며,[29] '로마의 업적에 대한 장엄한 청사진을 그렸다'[26]고 평가받았다. "결론을 짓는 내용을 담은 한 구절은...로마 세계의 창조를 질서 있는 우주의 창조와 비교하고 로마 세계를 신들이 즐거워 할 수 있는 완벽한 상태로 표현하는데, 왜냐하면 로마가 이런 것들에 진심을 다하기 때문이다."[30] 이 연설은 안토니누스 왕조에 대한 역사의 우호적 평가 기반이 되었으며, 에드워드 기번에게 도미티아누스에서 콤모두스까지 기간이 인류사의 최대 행복한 시기라고 한 유명한 선언에 영감을 주었다.[31]'스미르나 연설'은 스미르나 시를 방문하는 관리들을 위한 안내서 역할을 하는 연설로, '고대 스미르나에 대한 최고의 묘사'를 제공한다.[27]
'플라톤을 향하여: 4인을 옹호하며'에서, 아리스티데스는 플라톤을 비판하는 무리들을 "팔레스타인의 불경한 자들"에 비유하며 조롱하였다. 아리스티데스는 그들이 "더 높은 권력을 믿지 않는다"고 비판하며, "그들은 아첨꾼처럼 속이지만, 더 높은 계급인 것처럼 오만하게 행동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가장 극단적이고 반대되는 두 가지 악, 비열함과 고집에 빠져 팔레스타인의 불경스러운 사람들처럼 행동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28]
3. 2. 신성한 이야기
Ἱεροὶ Λόγοι|히에로이 로고이grc는 아리스티데스가 6권으로 구성하여 저술한 책이다. 이 책은 치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가 꿈에서 아리스티데스에게 나타나 내린 계시들을 기록한 것으로, 신전 의학과 관련된 풍습 및 비기독교인 작가가 전하는 개인의 종교적 경험에 대한 직접적인 기록으로서 서구권에서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32]현대 학계에서는 아리스티데스의 질병(실제 병이든 상상이든)의 본질과 그의 종교적 경험의 의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러 학자들이 아리스티데스의 인상 관리에 정신분석학적 이론을 적용하여 다양한 결론을 내리고 있다.[33]
찰스 A. 베어(Charles A. Behr)는 『신성한 이야기』의 중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고대 세계의 어떤 인물도 『신성한 이야기』의 프리즘을 통해 아리스티데스만큼 자기 자신을 낱낱이 드러낸 적이 없다. 꿈과 현실의 방대한 기록이 담긴 이 작품을 제대로 활용한다면, 고대 시대에 가장 잘 알려진 인물들의 내면생활을 둘러싼 익명성의 장벽을 깨고, 어떤 추측이나 가정 없이 그들의 잠재의식의 수준까지 파고들 수 있는 전례 없는 기회가 열릴 것이다.[15]
4. 사상과 영향
아일리우스 아리스티데스는 다방면의 저술 활동을 통해 헬레니즘 문화 전파에 크게 기여했으며, 당대 최고의 지식인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26][7] 특히 그의 연설 '로마에 대하여'는 로마 제국과 팍스 로마나를 찬미하며 후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29][31]
그는 즉흥 연설을 싫어하고 철저한 준비를 거친 연설을 선호했다. 필로스트라토스의 기록에 따르면 "타고난 재능은 즉흥적으로 말하는 쪽이 아니었기에, 그는 철저한 검토를 거친 후에 입을 열었다...그는 타고난 재능을 갖고 있었으며 무의미한 말을 그의 연설에서 정제해냈다."라고 평가했다.[20]
'로마에 대하여'에서 아리스티데스는 로마 제국의 창조를 질서 있는 우주의 창조와 비교하며, 로마가 이러한 것들에 진심을 다하기 때문에 신들이 즐거워할 수 있는 완벽한 상태라고 칭송했다.[30] 또한 '플라톤을 향하여: 4인을 옹호하며'에서는 '신을 믿지 않는 팔레스타인의 불경한 자들'을 비판하기도 했다.[28]
4. 1. 제2 소피스트 운동의 대표자
아일리우스의 다방면의 서적 출판은 그를 당대 거물로 만들었으며, 그의 작품(공공 및 사적 행사를 위한 연설문, 논쟁적 에세이, 역사적 주제에 대한 연설문, 신들에 대한 찬양 목적의 산문)은 그를 헬레니즘 전파에 있어 중추적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게 했다.글렌 바워삭영어[26]많은 소피스트들과 달리, 아리스티데스는 즉흥 연설을 싫어했다. 필로스트라토스에 따르면, "그의 타고난 재능은 즉흥적으로 말하는 쪽이 아니었기에, 그는 철저한 검토를 거친 후에 입을 열었다...그는 타고난 재능을 갖고 있었으며 무의미한 말을 그의 연설에서 정제해냈다."라고 하였다. 그가 스미르나에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를 만났을 때 황제는 그에게 연설을 요청했고, 아리스티데스는 "저는 연설을 마구 토해내는 자가 아니라 완벽하게 하려는 자이기에, 오늘 주제를 제시하시고 내일 들으러 오십시오."라고 답하였다.[20]
스미르나에 대해 아리스티데스의 현존하는 저작물 다섯 개가 남아있다. 그 첫 번째인, 도시를 방문하는 관리들을 위한 관광 안내문의 일종인 '스미르나 연설'은 '고대 스미르나에 대한 최고의 묘사'를 전한다.[27] 다른 저작물은 서기 177년에 일어난 파괴적인 지진 전후의 도시를 묘사하며, 여기에는 '스미르나에 관하여 황제에게 보낸 서신'이 있는데 당시 도움을 청하는 이 간청을 읽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서신 위로 눈물을 흘렸다' 고 하며 감명을 받았다고 하였다.[20]
'플라톤을 향하여: 4인을 옹호하며'에서, 아리스티데스는 '신을 믿지 않는 팔레스타인의 불경한 자들'들과 비교하며 한 군중 무리를 조롱하며 비판하였다.[28]
그의 가장 유명한 연설문은 '로마에 대하여'로, 그는 이를 로마에 있는 황궁 앞에서 연설했는데, 연설 중에 아리스티데스는 '로마 제국 그리고 그에 대한 의견 팍스 로마나'를 찬미하고,[29] '로마의 업적에 대한 장엄한 청사진을 그렸다.'.[26] "결론을 짓는 내용을 담은 한 구절은...로마 세계의 창조를 질서 있는 우주의 창조와 비교하고 로마 세계를 신들이 즐거워 할 수 있는 완벽한 상태로 표현하는데, 왜나하면 로마가 이런 것들에 진심을 다하기 때문이다."[30] 이 연설은 '안토니누스 왕조에 대한 역사의 우호적 평가의 기반'이 되었을 것이며, 도미티아누스에서 콤모두스까지 기간이 인류사의 최대 행복한 시기라고 한 에드워드 기번의 유명한 선언에 영감을 미쳤다.[31]
4. 2. 헬레니즘 문화 전파
아일리우스 아리스티데스는 연설과 저술 활동을 통해 헬레니즘 문화를 널리 알리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7] 그는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설, 에세이, 찬가 등을 통해 당대 최고의 지식인으로 평가받았다.[7]아리스티데스는 많은 소피스트들과 달리 즉흥적인 연설보다는 철저하게 준비된 연설을 선호했다. 필로스트라토스에 따르면, 그는 "타고난 재능은 즉흥적으로 말하는 쪽이 아니었기에, 철저한 검토를 거친 후에 입을 열었다"고 한다.[20]
그의 가장 유명한 연설 중 하나는 '로마에 대하여'로, 로마 제국과 팍스 로마나를 찬미하는 내용이었다.[29] 이 연설은 에드워드 기번과 같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31] 그는 '플라톤을 향하여: 4인을 옹호하며'라는 연설에서 '신을 믿지 않는 팔레스타인의 불경한 자들'을 비판하기도 했다.[28]
4. 3. 만민 평등 사상
아리스티데스는 '로마에 대하여'라는 연설에서 로마 제국과 팍스 로마나를 찬미했다.[29] 그는 로마 제국의 창조를 질서 있는 우주의 창조와 비교하며, 로마가 이러한 것들에 진심을 다하기 때문에 신들이 즐거워할 수 있는 완벽한 상태라고 표현했다.[30] 이 연설은 안토니누스 왕조에 대한 긍정적 역사 평가의 기반이 되었으며, 에드워드 기번이 도미티아누스에서 콤모두스까지의 시기를 인류 역사상 가장 행복한 시기라고 선언하는 데 영감을 주었다.[31]'플라톤을 향하여: 4인을 옹호하며'에서 아리스티데스는 '신을 믿지 않는 팔레스타인의 불경한 자들'을 비판하며, 그들이 그리스 민족, 특히 고등한 것들로부터 떨어져 나갔다고 주장했다.[28]
5. 평가
아리스티데스는 당대에 이미 다방면에 걸친 문학적 업적으로 큰 명성을 얻었으며, 그의 작품은 널리 인기를 끌었다.
5. 1. 후대의 평가
아리스티데스의 "다방면에 걸친 문학적 업적"은 그를 당대 거인으로 만들었으며, 그의 작품은 널리 인기를 얻어 글렌 바워삭에 따르면 "헬레니즘의 전파에서 핵심적인 인물"로 자리 잡았다.[7] 그의 작품은 고대 그리스 문화와 로마 제국 시대의 사회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특히 ''신성한 이야기''는 종교사, 의학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6. 현대의 연구 동향
현대 학계에서는 아리스티데스의 작품과 생애를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하나는 정신분석학적 접근으로, 그의 질병과 종교적 경험의 의미를 탐구한다. 다른 하나는 사회문화사적 접근으로, 그의 작품이 고대 그리스와 로마 사회의 문화, 종교, 의료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6. 1. 정신분석학적 연구
아리스티데스의 질병(실제 병이든 상상이든)의 본질과 그의 종교적 경험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이론이 현대 학계에서 제기되었다. 여러 학자들이 아리스티데스의 자기표현에 정신분석학 이론을 적용하여 다양한 결론에 도달했다.[33][14]찰스 A. 베어는 『신성한 이야기』의 중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고대 세계의 어떤 인물도 『신성한 이야기』의 프리즘을 통해 아리스티데스만큼 자기 자신을 낱낱이 드러낸 적이 없다. 꿈과 현실의 방대한 기록이 담긴 이 작품을 제대로 활용한다면, 고대 시대에 가장 잘 알려진 인물들의 내면생활을 둘러싼 익명성의 장벽을 깨고, 어떤 추측이나 가정 없이 그들의 잠재의식 수준까지 파고들 수 있는 전례 없는 기회가 열릴 것이다."[15]
6. 2. 사회문화사적 연구
아일리우스 아리스티데스의 작품, 특히 6권으로 구성된 '신성한 이야기'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사회의 문화, 종교, 의료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신성한 이야기'는 치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가 아리스티데스에게 꿈에서 계시한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당시 신전 의료와 관련된 풍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또한, 서구권에서 비기독교인 작가가 남긴 개인적인 종교 경험에 대한 직접적인 기록물로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32]현대 학계에서는 아리스티데스의 질병(실제 병이든 상상이든)의 본질과 그의 종교적 경험이 갖는 의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많은 학자들이 아리스티데스의 자기 표현에 정신분석학적 이론을 적용하여 다양한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33] 옥스퍼드 고전 사전(Oxford Classical Dictionary)은 '신성한 이야기'를 "특별한 종류"의 작품으로 평가하며, "사원 의학과 관련된 관행에 대한 증거이자, 이교도 작가가 남긴 개인적인 종교적 경험에 대한 가장 완전한 일차 보고서"라고 설명한다.[13][14]
찰스 A. 베어(Charles A. Behr)는 아리스티데스의 전 작품을 영어로 번역하고(1981년, 1986년), 그의 저서 『아일리우스 아리스티데스와 신성한 이야기』(Aelius Aristides and the Sacred Tales, 1968)에서 아리스티데스의 생애와 작품 연대기를 정리했다. 베어는 『신성한 이야기』에 대해 "고대 세계의 어떤 인물도 『신성한 이야기』의 프리즘을 통해 아리스티데스만큼 자기 자신을 낱낱이 드러낸 적이 없다"고 평가하며, 이 작품이 고대 인물들의 내면세계를 연구하는 데 획기적인 기회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15]
참조
[1]
문서
Wright, II.9.
[2]
서적
The Church of Smyrna: History and Theology of a Primitive Christian Community
Peter Lang Edition
[3]
문서
Behr (1986), pp. 1-2.
[4]
문서
Behr (1968), p. 88.
[5]
문서
Behr (1968), p. 111, note 64.
[6]
문서
Behr (1968), p. 162.
[7]
문서
Hornblower, p. 160.
[8]
문서
Behr (1968), pp. 88-89.
[9]
문서
Oliver, p. 874.
[10]
문서
Grant, pp. 104 and 147.
[11]
문서
Behr (1981), p. 356, note 1.
[12]
문서
Behr (1986), p. 275.
[13]
문서
Hornblower, pp. 160-161.
[14]
문서
Petsalis-Diomidis (2010), p. 123.
[15]
문서
Behr (1968), p. xiii.
[16]
웹사이트
Trapp (2017), pp. xxiii-xxv
https://www.loebclas[...]
[17]
웹사이트
Trapp (2017), pp. xxv-xxvii
https://www.loebclas[...]
[18]
웹사이트
Trapp (2017), pp. xxvi-xxviii
https://www.loebclas[...]
[19]
문서
Behr (1986), p. vii.
[20]
문서
Wright, II.9.
[21]
서적
The Church of Smyrna: History and Theology of a Primitive Christian Community
Peter Lang Edition
[22]
문서
Behr (1986), pp. 1-2.
[23]
문서
Behr (1968), p. 88.
[24]
문서
Behr (1968), p. 111, note 64.
[25]
문서
Behr (1968), p. 162.
[26]
문서
Hornblower, p. 160.
[27]
문서
Behr (1981), p. 356, note 1.
[28]
문서
Behr (1986), p. 275.
[29]
문서
Behr (1968), pp. 88-89.
[30]
문서
Oliver, p. 874.
[31]
문서
Grant, pp. 104 and 147.
[32]
문서
Hornblower, pp. 160-161.
[33]
문서
Petsalis-Diomidis (2010), p. 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