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히루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히루 문자는 에도 시대 국학자들이 한자 전래 이전에 일본에 존재했던 고유 문자를 찾으려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문자이다. 히라타 아쓰타네가 자신의 저서에서 "일문 47음"으로 소개했으며, 한글과 형태가 유사하여 훈민정음의 영향을 받아 창작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아히루 문자는 한글의 자모와 기본 모양을 공유하지만, 일본어의 음운 체계에 맞춰 변형되었으며, 주로 비석에 새겨진 형태로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날조 - 민청학련 사건
민청학련 사건은 1974년 박정희 유신 정권이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을 불순 세력의 조종을 받는 반정부 단체로 규정하여 관련자들을 구속, 처벌한 사건으로, 반독재 운동 탄압의 대표적인 사례로 재평가되고 있다. - 날조 - 창조과학
창조과학은 기독교 근본주의에 기반하여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고 지구와 우주의 젊은 나이를 주장하며 진화론을 부정하는 유사과학이다. - 음절 문자 - 이두
이두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한국어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신라 시대에 시작되어 한국어의 형태소와 문법 요소를 나타내는 데 활용되었으며 훈민정음 창제 이후 사용이 줄었지만 한국어 표기법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음절 문자 - 선형문자 B
선형 문자 B는 미케네 그리스어 표기를 위한 문자 체계로, 음절 문자와 표의 문자로 구성된 약 200여 개의 기호로 이루어져 있으며, 1952년 마이클 벤트리스에 의해 해독되어 크노소스, 필로스 등지에서 발견된 점토판을 통해 전해진다. - 유니코드 미수록 문자 - 금석문자경
금석문자경은 1997년 발매된 한자 글꼴 및 데이터베이스로, 다양한 버전 업데이트와 웹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등을 제공하다가 2018년 사업이 종료되었다. - 유니코드 미수록 문자 - 약자
약자는 한자를 간략하게 줄여 쓴 글자로, 초서 형태 반영, 일부 생략, 간단한 글자 대체 등의 방식으로 만들어지며, 한국에서는 과거 약자 제정 시도가 있었으나 사회적 공감대 부족 등으로 무산되었다.
아히루 문자 | |
---|---|
개요 | |
이름 | 아비루 문자 |
종류 | 음절 문자 |
사용 언어 | 일본어 |
시대 | 미상 (1700년경 설, 538년 이전 설) |
창시자 | 미상 |
계통 | 미상 |
유니코드 | 할당 없음 |
![]() |
2. 역사
아히루 문자는 한글을 기본으로 일본어의 음운 체계에 맞춰 개량한 것으로, 다른 신대 문자와 마찬가지로 후대에 만들어진 것이다.[9] 에도 시대의 국학자들은 한자 전래 이전에 일본에 존재하던 문자를 찾는 일에 열중했고, 이러한 문자 체계를 창조해 고대 문자라고 속여 발표하는 일이 잦았다.
쓰시마국의 우라베 씨·아비루 씨에게 전해졌다고 하며, 히라타 아쓰타네는 자신의 저서 『신자일문전』에서 아히루 문자를 소개하며 "일문 47음"이라고 칭했다.
아비루 문자는 한자의 방에 해당하는 부분에 모음을, 변에 해당하는 부분에 자음을 배치하여[5], 자음과 모음을 조합함으로써 일본의 가나 50음도에 대응할 수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히라타 아쓰타네는 『신자일문전 상』에서 『석일본기』에 언급된 "비인의 글자"가 아비루 초문자라고 썼지만[6], 이는 아쓰타네가 아비루 문자의 초서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현재는 일반적으로 아비루 문자와 아비루 초문자는 다른 문자로 여겨진다.
2. 1. 한글과의 관계
쓰시마국의 우라베 씨·아비루 씨에게 전해졌다고 하는 문자로, 아비루가의 문서에 아비루 초문자나 쓰시마 문자와 함께 쓰여 있다. 에도 시대의 국학자인 히라타 아쓰타네가 『신자일문전』에서 "아비루 문자"로 소개하고 "일문 47음"이라고도 불렀다.아히루 문자와 한반도에서 사용되는 한글은 형태가 유사하며, 일본과 한반도에는 교류가 있었다는 점에서 훈민정음 반포(1446년)의 영향을 받아 창작되었을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9]
국학자 반신우의 『가자본말』이나 국어학자 야마다 다카오의 『소위 신대문자의 논』에서 한글과의 유사성이 지적되었다.[7]
일본어의 에단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한국어에서 ㅓ|어한국어 (현대 발음에서는 [ɔ])를 나타내는 자모가 사용되었거나, 라행을 나타내기 위해 한국어에서 /d/를 나타내는 자모(ㄷ|디귿한국어)를 좌우 반전시킨 형태(또는 한국어에서 /r/을 나타내는 자모(ㄹ|리을한국어)의 윗부분 형태라고도 할 수 있다)가 사용되고 있다. 다만, 한글과 달리 모음 자모는 반드시 자음 자모의 오른쪽에 놓인다(모두 아래에 놓는 것도 있다. 다케우치 문서에서는 세로쓰기를 아메코아히루모지라고 한다). 또한 한글에서는 야행 /j/를 나타내는 자음 자모가 없고, /ja/, /ju/, /jo/ 전체를 모음 자모로 표기하지만, 아히루 문자에서는 야행을 나타내는 자음 자모가 존재한다. 또한 ヂ(지)・ヅ(즈)는 다(다)・데(데)・도(도)와 마찬가지로 한국어에서 /d/를 나타내는 자모(ㄷ|디귿한국어)로 표기된다.
반대로 한글의 기초가 되었다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5] 부정되고 있다.
3. 구조
아히루 문자는 한글 자모와 기본 모양이 같지만, 일본어 음운 체계에 맞춰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ㄷ'이 '이' 앞에서는 'ぢ일본어', '우' 앞에서는 'づ일본어'의 자음을 나타내는 것은 당시 일본어에서 'dz'와 'dzh'가 'd'의 변이음이었기 때문이다.
아히루 문자는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일본의 가나 50음도에 대응하는 형태를 취하는데, 자음은 문자의 왼쪽에, 모음은 오른쪽에 배치된다.[5] 한글과 달리 모든 모음을 자음 오른쪽에 배열하며, 때에 따라서는 모든 모음을 자음 아래에만 배열하기도 한다.
3. 1. 한글과의 차이점
일본어의 '에' 단(え단)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한국어에서 /ㅓ/([ɔ])를 나타내는 자모(ㅓ)가 사용되었다.[7] '라' 행을 나타내기 위해 한국어 /ㄷ/([d])를 나타내는 자모(ㄷ)를 좌우 반전시킨 형태가 사용되었다.[7] 한글에는 없는 '야' 행을 나타내는 자음 자모가 존재한다.[7] '지(ヂ)'와 '즈(ヅ)'는 '다(ダ)', '데(デ)', '도(ド)'와 마찬가지로 한국어 /ㄷ/([d])를 나타내는 자모(ㄷ)로 표기된다.[7]4. 용도
아히루 문자는 주로 비석에 새겨진 형태로 발견된다. 미야자키현 엔노 신사, 군마현 마에바시시 미야자와 아카기 신사, 나가노현 아즈미노시 도소진 등에 아히루 문자가 새겨진 비석이 있다. (본무라의 신대 문자비).
도쿠시마현 아와시 아와정에 있는 이와쓰 다리 동쪽에는 아히루 문자로 새겨진 "메기 노래비"가 있다. 비석에는 아와정 교육위원회의 해설이 있으며, 읽는 방법은 상단 "스키노오노미야노미마에니 나마츠노우타요미테시로이 시니에라시테타테마츠레루", 하단 "나노마니이테테미에남 츠누사하후이하츠노후치노 소코노나마츠하"이다. 하단 마지막에는 다른 글자와 달리 완전히 새겨지지 않은 "이와쿠모노하나카"라는 글자가 있다.
아와시 관광협회에 따르면 "향토의 선철, 충군애국의 가인 이와구모 화향옹이 고메이 천황(1831-1866)을 배알한 후 전국 유세 중 기념으로 자작 자필로 시를 조각하게 하여 이 땅에 건립했습니다. 이와쓰 연못의 주인이라고 불리는 큰 메기에 비유하여 '평소에는 눈에 띄지 않더라도 만약의 경우에는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간이 되기를 바란다'"[8]라고 한다. 아히루 문자로 시가 새겨져 상당한 양의 텍스트가 된 것은 드문 일이다.
5. 현대적 평가
아히루 문자는 한글을 기본으로 일본어의 음운 체계에 맞춰 개량한 것이며, 다른 신대 문자와 마찬가지로 후세에 만들어진 것이다.[9] 에도 시대 국학자들은 한자 전래 이전에 일본에 존재했던 문자를 찾는 데 열중하여, 이러한 문자 체계를 창조해 고대 문자라고 속여 발표하는 일이 잦았다.
참조
[1]
문서
写真のものは異体字であるアメコアヒルモジ
[2]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阿比留文字とは(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の解説)
https://kotobank.jp/[...]
2020-09-24
[3]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神代文字とは(デジタル大辞泉、大辞林 第三版の解説、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の解説)
https://kotobank.jp/[...]
2020-09-24
[4]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古代文字とは(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の解説)
https://kotobank.jp/[...]
2020-09-24
[5]
서적
教科書になれなかった史実
雷韻出版
[6]
문서
[7]
서적
日本神代文字研究原典
新人物往来社
1996
[8]
웹사이트
古代文字「鯰の歌碑」
https://www.awa-kank[...]
2022-02-16
[9]
문서
《이른바 신대 문자의 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