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낙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낙규는 1929년생으로 한국 전쟁 당시 자원특공대를 이끌고 적진에 돌입하여 중대의 위기를 극복한 일등중사이다. 교암산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으나 24세의 젊은 나이에 전사했다. 1954년 태극무공훈장을 수여받았으며, 국가보훈처는 6.25 전쟁 영웅으로 선정하고, 이달의 호국인물로 선정하여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정일권
    정일권은 러시아 출생으로 만주군 장교, 육군 참모총장, 국무총리, 국회의장 등을 역임하며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 활동했고 친일 행적과 정인숙 사건 관련 의혹을 받았다.
  •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백선엽
    백선엽은 일제강점기 만주군에서 복무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대장까지 오른 군인으로, 다부동 전투 등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외교관과 장관을 역임하다가 2020년에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군인 - 이우석
    이우석은 아버지 이완용의 친일 행위에 대한 죄책감으로 만주에서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서로군정서와 북로군정서에서 활동하며 청산리 전투 등에 참전했고, 해방 후에는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생활하다 건국훈장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군인 - 윤재갑
    윤재갑은 대한민국 해군 제독 출신의 정치인으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 육군 군인 - 정찬우 (희극인)
    정찬우는 1994년 MBC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여 컬투의 리더로서 《두시탈출 컬투쇼》를 진행하며 인기를 얻었으나, 2018년 4월 공황장애로 모든 방송 활동을 중단한 대한민국의 희극인이자 가수이다.
  • 대한민국 육군 군인 - 이범관 (1943년)
    이범관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검사로서 주요 요직을 거쳐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제18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이천오층석탑 환수 문제 관련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다.
안낙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안낙규 중사
이름안낙규
본관죽산(竹山)
성별남자
출생일1929년 5월 3일
사망일1953년 7월 14일 (24세)
죽은 곳교암산 인근 김화 407고지
태어난 곳경기도 김포군 양서면
국적대한민국
군사 경력
복무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1929년 5월 3일 ~ 1953년 7월 14일
최종 계급대한민국 육군 중사 (육군일등중사)
근무육군 제 6사단
지휘육군 제6사단 19연대 제 1대대 2중대 특공대 분대장
참전한국전쟁
주요 참전 전투/전쟁김화 407고지 전투
화천 금성지구 교암산 전투
서훈
서훈 내역이달의 호국영웅
태극무공훈장

2. 생애

2. 1. 요약

1929년 5월 9일 경기도 김포군 양서면 방하리에서 출생한 안낙규(安樂奎) 일등중사는 자원특공대를 이끌고 적진에 돌입하여 공격축선을 차단, 중대의 위기를 극복하는 핵심 주역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24세의 젊은 나이로 국가를 위하고 생을 마감한 그에게 1954년 6월 25일 태극무공훈장(훈기번호 제 173호)이 수여되었다.

2. 2. 교암산 전투 (김화 407고지 전투)

'''"비록 내일 전쟁이 끝난다 할지라도 나는 오늘 전우들을 위해 목숨을 걸겠습니다."'''[2]

한국전쟁 당시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양측의 주요 격전지였던 교암산은 북쪽으로 높게 솟아 있어 작전 지역은 물론 금성 일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였다.[3] 특히 교암산에서 동쪽 북한강까지 뻗은 횡격실 능선금성천을 사이에 두고 10km 남쪽의 백암산 중심 횡격실 능선과 함께 양측의 방어선 구축에 유리한 지형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금성돌출부 선단 지역에는 국군 제 6사단제 8사단이 배치되었다. 6사단은 회고개-금성남-교암산 지역 방어를 맡았고, 회고개-사천리에 제7연대, 사천리-교암산 지역에 제19연대를 배치하고 제2연대를 예비대로 두었다. 이후 중공군의 대공세가 임박했음을 감지한 제6사단은 예비대인 2연대를 교암산 지역에 투입하고, 군단 예비인 제 11사단 예하 제9연대를 금성 남쪽 전선에 배치하여 4개 연대로 주 저항선을 강화하였다.[4]

국군 제6, 8사단 정면에는 중공군 제67군, 54군, 제68군 제202사단으로 구성된 중부 공격집단이 포진해 있었다. 7월 13일, 금성돌출부 양쪽 측면에 대한 공격을 시작한 중공군은 동시에 4개 사단으로 돌출부 정면의 국군 제6, 8사단을 압박했다.

7월 13일, 중공군은 교암산에 배치된 제6사단 제2연대 전초기지를 단숨에 돌파하고 하고개-능동-교암산으로 이어지는 사단 주 저항선을 공격했다. 당시 사단 예하 제19연대는 21시 30분경부터 시작된 포격과 다음 날인 14일까지 이어진 중공군의 지속적인 공격을 방어하고 있었다. 사단 전초기지를 돌파한 중공군은 17번 도로를 방어하던 중앙의 제19연대 주 저항선을 먼저 돌파했고, 적 4개 대대는 금성 남동쪽 3km 지점의 제19연대 2개 중대 전초기지를 해 뜨기 전에 점령했다. 그중 1개 대대는 17번 도로에 배치된 제2대대 측후방으로 침투하여 전후방에서 전방 대대를 협공했다. 제1대대와 2대대는 적의 인해전술에 밀려 08시 20분경 주 저항선을 포기하고, 저지진지를 점령한 예비대대의 엄호 아래 철수하여 교암산 서쪽을 방어하던 중 금성천을 건너 노동리에서 병력을 재정비했다.

당시 전장의 상황을 표현한 19연대의 전투상황도이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화살표를 바탕으로 당시의 전장상황을 나타낸다.

2. 2. 1. 전투 배경

한국전쟁 당시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양측의 주요 격전지였던 교암산은 북쪽으로 높게 솟아 있어 작전 지역은 물론 금성 일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였다.[3] 특히 교암산에서 동쪽 북한강까지 뻗은 횡격실 능선금성천을 사이에 두고 10km 남쪽의 백암산 중심 횡격실 능선과 함께 양측의 방어선 구축에 유리한 지형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금성돌출부 선단 지역에는 국군 제 6사단제 8사단이 배치되었다. 6사단은 회고개-금성남-교암산 지역 방어를 맡았고, 회고개-사천리에 제7연대, 사천리-교암산 지역에 제19연대를 배치하고 제2연대를 예비대로 두었다. 이후 중공군의 대공세가 임박했음을 감지한 제6사단은 예비대인 2연대를 교암산 지역에 투입하고, 군단 예비인 제 11사단 예하 제9연대를 금성 남쪽 전선에 배치하여 4개 연대로 주 저항선을 강화하였다.[4]

국군 제6, 8사단 정면에는 중공군 제67군, 54군, 제68군 제202사단으로 구성된 중부 공격집단이 포진해 있었다. 7월 13일, 금성돌출부 양쪽 측면에 대한 공격을 시작한 중공군은 동시에 4개 사단으로 돌출부 정면의 국군 제6, 8사단을 압박했다.

7월 13일, 중공군은 교암산에 배치된 제6사단 제2연대 전초기지를 단숨에 돌파하고 하고개-능동-교암산으로 이어지는 사단 주 저항선을 공격했다. 당시 사단 예하 제19연대는 21시 30분경부터 시작된 포격과 다음 날인 14일까지 이어진 중공군의 지속적인 공격을 방어하고 있었다. 사단 전초기지를 돌파한 중공군은 17번 도로를 방어하던 중앙의 제19연대 주 저항선을 먼저 돌파했고, 적 4개 대대는 금성 남동쪽 3km 지점의 제19연대 2개 중대 전초기지를 해 뜨기 전에 점령했다. 그중 1개 대대는 17번 도로에 배치된 제2대대 측후방으로 침투하여 전후방에서 전방 대대를 협공했다. 제1대대와 2대대는 적의 인해전술에 밀려 08시 20분경 주 저항선을 포기하고, 저지진지를 점령한 예비대대의 엄호 아래 철수하여 교암산 서쪽을 방어하던 중 금성천을 건너 노동리에서 병력을 재정비했다.

2. 2. 2. 전투 경과

(빈칸 - 요약 및 소스 정보 없음)

3. 사후 공적 평가

24세의 젊은 나이로 전사한 안낙규 일등중사의 활약으로 적군은 보급로에 문제가 생겼고, 19연대는 전멸 위기를 모면했다.[11] 대한민국 정부는 1954년 6월 25일 그에게 태극무공훈장(훈기번호 제 173호)을 수여하였다.[11] 전북서부보훈지청은 그의 흉상을 제작하였고,[11] 국가보훈처는 2013년 7월 '6ㆍ25전쟁영웅'으로 선정,[12] 2021년 5월에는 이달의 호국인물로 선정하는 등[13]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육군부사관학교(2016년), 충남 계룡대 육군본부 ‘부사관 영웅실’(2017년)에 흉상이 설치되었다.[14]

전북서부보훈지청에서 진행한 흉상 제작식의 사진이다.

참조

[1] 웹인용 The War Memorial of Korea - YouTube https://www.youtube.[...] 2021-05-23
[2] 웹인용 보도자료 - 보훈처소식 - 알림·소식 - 국가보훈처 https://www.mpva.go.[...] 2021-05-22
[3] 저널 전근대 일본의 서적에 의한 광고 - 출판물과 상품 선전을 중심으로 http://dx.doi.org/10[...] 2019-08
[4] 웹인용 태극무공훈장에 빛나는 영웅들 http://www.riss.kr/s[...]
[5] 웹인용 김화 407고지전투의 영웅, 안낙규 육군일등중사 https://ncms.ncultur[...]
[6]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http://people.aks.ac[...] 2021-05-23
[7] 서적 군리더십 자질 향상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8] 웹인용 "[강원을 빛낸 이달의 호국영웅]5월-안낙규 일등중사" http://www.kwnews.co[...] 2021-05-23
[9] 웹인용 출처 국방일보 2011.10.24. https://blog.naver.c[...]
[10] 서적 교암산 전투 p.11~12
[11] 웹인용 전북서부보훈지청 - 전북서부보훈지청 - 광주지방청(광주,전남,전북) - 지(방)청소개 - 국가보훈처 https://www.mpva.go.[...] 2021-05-23
[12] 웹인용 보도자료 - 보훈처소식 - 알림·소식 - 국가보훈처 https://www.mpva.go.[...] 2021-05-23
[13] 웹인용 보도자료 - 보훈처소식 - 알림·소식 - 국가보훈처 https://www.mpva.go.[...] 2021-05-23
[14] 서적 6·25전쟁 전투영웅 찾아 무공훈장 수여
[15] 웹인용 철원신문 http://www.cheorwonn[...] 2021-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