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시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시성은 고구려가 요하 유역에 설치한 방어성 중 요동성 다음으로 중요한 곳으로, 현재 중국 랴오닝성 잉청쯔로 추정된다. 645년, 당나라 태종이 고구려를 침공했을 때, 안시성은 당나라 군대의 공격을 받았으나, 고구려군은 88일간의 치열한 방어전을 펼쳐 승리했다. 이 전투는 안시성주 양만춘의 지휘 아래 이루어졌으며, 당 태종은 이 전투에서 눈에 화살을 맞는 등 큰 피해를 입고 결국 철수했다. 고구려 멸망 후 안시성은 고구려 부흥운동의 거점이 되었으나, 당나라 군대에 의해 함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성 (건축) - 익산 토성
    익산 토성은 오금산 정상에 흙과 돌로 쌓은 산성으로,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에 축조되었으며 백제, 통일신라, 고려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
  • 토성 (건축) - 풍납토성
    풍납토성은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백제 초기 왕성으로 추정되는 한반도 최대 규모의 토성으로, 사적 제11호로 지정되어 백제 시대 유물과 삼한 시대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복원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중국의 성 - 오녀산성
    오녀산성은 고구려의 첫 도읍지로 추정되는 산성으로, 훈강 유역 해발 200m 절벽 위에 위치하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중국의 성 - 백암성
    백암성은 고구려가 요하 유역에 축조하여 서쪽 방어를 담당했던 성으로, 현재 중국 랴오닝성에 있으며 당나라에 함락된 후 랴오닝성 성급 문물 보호 단위로 지정되었다.
안시성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이름안시성
한자 표기安市城
로마자 표기Ansi Seong
중국어 표기营城子
위치중국 랴오닝 성
종류산성
상태파괴됨
역사
축조 시기고대
관련 사건안시성 전투
주요 전투당나라와의 전쟁
지리
위치요녕성의 영성자 근처
거리7.5 킬로미터
기타 정보
관련 영화안시성

2. 지리적 위치

안시성의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분분하지만, 현재 중국 랴오닝성 하이청 남동쪽에 있는 잉청쯔(英城子)로 추정하는 견해가 가장 유력하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따르면 본래 이름은 안촌홀(安寸忽)이다.

2. 1. 전략적 중요성

안시성은 당시 인구가 10만 명 정도였던 고구려의 영토로, 요동성 다음으로 전략적으로 중요한 곳이었다.[5] 자연적으로 험준한 요새였으며 주변에 철광석 산지와 곡창지대가 있어 병기를 생산하고 군량을 확보하기에 유리했다. 신성과 건안성 중간에 위치하여 요동 지역 방어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압록강 북쪽의 오골성, 국내성을 비롯한 전국의 성을 수호하는 데에도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했다.

643년, 고구려가 신라를 공격하자 신라는 당나라에 구원을 요청했다. 645년, 당 태종은 고구려를 공격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 초기에는 당나라가 요동과 백촌 등 고구려의 여러 성을 함락시키며 승리했다. 이후 고구려 수도 평양으로 직진할지, 요동 지역에서 고구려군과 맞설지 논의가 있었고, 주필산 전투 이후 고구려군은 안시성으로 후퇴했고 당나라 군대는 추격했다.

당 태종은 안시성을 포위하기 전, 이세적과 전략을 논의했다. 당 태종은 안시성이 천혜의 요새이고 수비 장군(일반적으로 양만춘으로 알려짐)의 지략과 용기가 뛰어나다는 점을 들어 공격을 망설였다. 반면 건안성은 방어력이 약하므로 먼저 건안성을 공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세적은 건안성이 안시성 남쪽에 있어 보급로가 차단될 위험이 있다고 반박했고, 당 태종은 이에 동의하여 안시성을 포위했다.

안시성 수비군은 당 태종의 깃발을 보고 욕설을 퍼부었고, 당 태종은 분노하여 성을 함락시키면 성 안의 남자들을 모두 죽이라고 명령했다. 이로 인해 안시성 수비군은 더욱 필사적으로 저항했다.

고구려 장수 고연수와 고혜진은 당나라에 항복한 후, 안시성 백성들이 가족을 지키기 위해 필사적으로 싸우고 있어 함락이 어려우니, 오골성을 먼저 공격하여 평양으로 가는 길을 확보하자고 제안했다. 다른 관리들도 장량의 군대와 합류하여 오골성을 공격하고 압록강을 건너 평양을 공격하면 쉽게 승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당 태종은 이 제안을 받아들이려 했으나, 장손무기는 건안성과 신성에 아직 10만 명이 넘는 고구려 군사가 남아있어 후방을 공격당할 위험이 있으므로 먼저 안시성과 건안성을 함락시켜야 한다고 반대했다. 당 태종은 장손무기의 의견에 동의하여 오골성 공격을 포기했다.

3. 안시성 전투 (645년)

645년, 당나라 태종은 이세적과 장량 등이 이끄는 10만 대군으로 요수를 건너 고구려를 침공했다. 당군은 개모성, 비사성, 요동성, 백암성 등을 함락하고 안시성을 공격했으나, 고구려는 주필산 전투에서 패배하고, 신라의 공격과 설연타와의 외교 실패로 안시성은 고립되었다.[5]

당 태종은 안시성의 견고함과 수비 장군의 능력을 염려하여 포위를 망설였으나, 이세적의 보급로 차단 우려에 동의하여 공격을 결정했다. 안시성 수비군은 당 황제에게 욕설을 퍼부었고, 분노한 당 태종은 함락 후 남자들을 모두 죽이라 명하며 결사 항전을 유도했다.

고연수와 고혜진 등은 오골성 공격을 제안했고, 다른 관리들은 장량의 수군과 합류하여 평양을 공격하자고 주장했다. 그러나 장손무기는 고구려 군사의 후방 공격 가능성을 들어 안시성, 건안성 함락을 우선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당 태종은 이에 동의했다.

포위 중 당 태종은 고구려군의 야간 공격을 예측하고 격퇴했다. 이도종은 토성을 쌓아 공격했으나, 토성이 무너지고 고구려군에게 점령당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당 태종은 부복애를 처형하고 공격을 계속했으나, 겨울과 군량 부족으로 철수를 결정했다.

3. 1. 배경

당나라 태종은 수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한 후, 고구려 정벌을 감행한다. 645년 봄, 이세적과 장량(張亮) 등이 이끄는 10만 대군이 요수를 건너 현도성에 이르렀다. 고구려는 각 성을 굳게 지키며 저항했지만, 당은 개모성(蓋牟城), 비사성, 요동성, 백암성 등을 함락하고 안시성을 공격했다. 한편, 고구려는 주필산 전투에서 당나라 군대에 패배하였다.[5]

이후 고구려는 안시성 구원군이 패배하고, 남쪽으로는 신라의 공격을 받는 상황에 놓였다. 또한 북아시아의 강자 설연타와 연합하여 당을 견제하려던 외교적 노력마저 실패하면서 안시성 지원 능력을 상실, 안시성은 고립무원의 상태가 되었다.

고구려는 한반도 북부와 현재 중국 요녕성 요양 지역 대부분, 길림성,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 일부를 지배하며, 남쪽으로는 신라, 서쪽으로는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었다. 643년 고구려가 신라를 공격하자 신라는 중국에 구원을 요청했고, 당 태종645년 고구려 공격을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 이 침략은 당나라가 요동과 백촌 등 고구려 도시들을 함락하며 초반에는 성공적이었다. 이후 고구려 수도 평양으로 직진할지, 요동 지역에서 고구려군과 맞설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주필산 전투 이후 고구려군은 안시성으로 후퇴, 당나라 군대는 추격했다.

당 태종은 안시성 포위를 준비했지만, 안시성이 천혜의 요새이며 강력한 수비대를 갖추고 있다는 점을 들어 망설였다. 안시성 수비 장군은 역사에서 사라졌지만, 한국 기록에서는 양만춘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이세적은 건안이 안시성 남쪽에 있고 당나라의 주요 식량 공급이 요동에서 오기 때문에 먼저 건안을 공격하면 안시성 수비군이 보급로를 차단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당 태종은 이에 동의하여 이세적은 안시성을 포위했다.

당 태종과 이세적이 안시성에 도착했을 때, 안시성 수비군은 당 황제의 깃발을 보고 성벽에서 욕설을 퍼부었다. 당 태종은 모욕감을 느꼈고, 이세적은 성 함락 시 성 안의 남자들을 모두 죽이라는 허락을 받았다. 이로 인해 안시성 수비군은 더욱 필사적으로 싸웠다.

3. 2. 전개

당나라 태종은 수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한 후, 고구려 정벌을 감행한다. 645년 봄, 이세적, 장량 등이 이끄는 10만 대군이 요수를 건너 현도성에 이르렀다. 고구려는 각 성을 굳게 지키며 저항했지만, 당은 개모성, 비사성, 요동성, 백암성 등을 점령하고 안시성을 공격했다. 고구려는 주필산 전투에서 패배하고, 남쪽으로는 신라의 공격을 받고, 북쪽의 설연타와의 외교마저 실패하여 안시성은 고립무원이 되었다.[5]

당은 포차(투석기)와 충차(돌격용 수레)를 동원해 안시성을 공격하고 항복을 권유했으나, 안시성 측은 이를 모두 물리치고 무너진 성벽도 즉시 보수하며 방어에 힘썼다. 당 태종은 안시성을 함락하면 남자들을 모두 죽이겠다고 위협하며 공격했지만, 함락은 쉽지 않았다. 이세적은 방어가 약한 오골성을 먼저 점령하고 평양으로 진격하자고 제안했으나, 안시성을 두고 전진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반론에 따라 안시성 공격이 계속되었다.

장량이 이끄는 수군의 건안성 공격 역시 교착 상태에 빠지자, 당은 이세적에게 하루에도 6, 7회씩 성의 서쪽을 공격하게 했다. 60일 동안 성벽보다 높은 토산을 쌓아 공격했지만, 토산이 무너지면서 성벽 일부가 파괴되었다. 고구려군은 이 틈을 타 토산을 점령했고, 당은 3일간 토성을 탈환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겨울이 다가오고 군량도 부족해지자, 당은 645년 9월 18일, 88일간의 포위를 풀고 퇴각했다.[5] 이 전투의 지휘관은 『삼국사기』에는 기록되지 않았으나, 조선 중기 이후 야사에서는 양만춘으로 전해진다. 당 태종이 이 전투에서 눈에 화살을 맞았다는 이야기가 고려 후기 문헌에 전해진다.

643년, 고구려가 신라를 공격하자 신라는 당에 구원을 요청했고, 당 태종은 645년 고구려를 공격했다. 초기에는 당이 요동과 백암성 등 고구려 도시들을 함락하며 성공적이었다. 주필산 전투 이후 고구려군은 안시성으로 후퇴했고, 당군은 추격했다.

당 태종은 안시성이 천혜의 요새이고 강력한 수비대가 있으며, 수비 장군 또한 지략과 용기가 뛰어나다는 이유로 포위를 망설였다. 이세적은 건안이 안시성 남쪽에 있어 보급로가 차단될 수 있다고 반박했고, 당 태종은 이에 동의하여 안시성을 포위했다.

안시성 수비군은 당 황제의 깃발을 보고 욕설을 퍼부었고, 당 태종은 분노하여 성을 함락하면 남자들을 모두 죽이라고 명령했다. 이로 인해 안시성 수비군은 더욱 결사적으로 싸웠다. 고연수와 고혜진은 당에 항복한 후, 오골성 수비 장군이 노쇠하고 무능하니 오골을 먼저 공격하면 쉽게 평양으로 진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다른 관리들도 장량의 수군과 합류하여 오골을 함락하고 압록강을 건너 평양을 공격하면 쉽게 성공할 수 있다고 했다.

당 태종은 이 제안들을 받아들이려 했지만, 장손무기는 건안과 신성에 아직 10만 명이 넘는 고구려 군사가 있어 후방을 공격당할 수 있으므로 먼저 안시성과 건안을 함락해야 한다고 반대했다. 당 태종은 장손무기의 의견에 동의하여 오골로 향하지 않았다.

포위 공격 중, 당 태종은 성 안에서 닭과 돼지 소리를 듣고 고구려군이 공격을 준비한다고 판단하여 야간 공격에 대비했다. 그날 밤 고구려군이 공격해 왔고, 당 태종은 직접 군사를 이끌고 격퇴했다.

이도종은 토성을 쌓아 공격했고, 안시성 수비군은 성벽을 더 높였다. 토성이 높아져 성 안을 볼 수 있게 되자, 부복애를 토성에 배치했다. 그러나 토성이 무너져 성벽에 떨어졌고, 부복애가 자리를 비운 틈을 타 고구려군이 토성을 점령했다. 당 태종은 부복애를 처형하고 토성을 공격했지만, 사흘 안에 함락하지 못했다.

3. 3. 토산 전투

당나라고구려 안시성을 함락하기 위해 성의 동남쪽에 토산(土山)을 쌓는 작전을 펼쳤다. 이 작전에는 연인원 50만 명이 동원되었고, 60일 동안 성벽보다 높게 토산을 쌓아 성을 공격하려 했다.[5]

그러나 토산이 갑자기 무너지면서 성벽의 한쪽 귀퉁이가 부서지는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했다. 고구려군은 이 틈을 타 토산을 점령하고, 오히려 이를 방어 거점으로 활용하였다. 당나라는 토성을 탈환하기 위해 3일간 맹렬한 공격을 퍼부었으나 실패했고, 이는 당나라의 작전에 큰 차질을 빚게 했다.[5]

이 과정에서 당 태종은 토산 담당 장교였던 부복애가 자리를 비운 틈에 고구려군이 토산을 점령한 것에 분노하여 그를 처형하기도 했다. 하지만 토산 전투의 실패와 더불어 겨울이 다가오고 군량마저 부족해지자, 당 태종은 결국 철수를 결정할 수밖에 없었다.[5]

3. 4. 당군의 퇴각

당 태종은 고구려 원정 초기에 요동성 등 여러 성을 함락하며 승리했지만, 안시성에서 고구려군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혔다. 당군은 투석기인 포거와 성벽 파괴용 수레인 충거 등 강력한 공성 무기를 동원했으나 안시성을 함락시키지 못했다. 안시성 측은 무너진 성벽을 재빨리 수리하며 방어에 힘썼다.[5]

당군은 안시성을 함락하는 날 남자들을 모두 죽이겠다고 위협했지만, 공격은 뜻대로 되지 않았다. 이에 이세적은 방비가 약한 오골성을 먼저 점령하고 평양으로 진격하자는 의견을 냈으나, 안시성을 뒤에 두고 가는 것은 위험하다는 주장에 따라 안시성 공격이 계속되었다.

당군은 60일 동안 성벽보다 높게 토산을 쌓아 공격했지만, 토산이 무너지면서 오히려 고구려군에게 토산을 빼앗기는 상황이 벌어졌다. 당군은 토산을 탈환하려 3일간 공격했으나 실패했고, 작전에 큰 차질이 생겼다. 설상가상으로 겨울이 다가오고 군량마저 떨어지자, 당 태종은 645년 9월 18일 퇴각을 명령했다. 이 전투를 승리로 이끈 지휘자는 양만춘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 태종은 이 싸움에서 눈에 화살을 맞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5]

3. 5. 안시성주

당나라 태종은 고구려를 정벌하기 위해 치밀한 계획을 세우고, 연개소문의 정변을 구실로 침공을 시작했다. 645년 당나라 군대는 개모성, 비사성, 요동성, 백암성 등을 함락하고 안시성을 공격했다. 고구려는 주필산 전투에서 패배하고, 외교적 노력도 실패하여 안시성은 고립무원의 상태에 놓였다.

당나라는 항복을 권유하고, 포거와 충거 등 강력한 무기를 동원하여 공격했지만, 안시성은 굳건히 방어했다. 당 태종은 안시성을 함락하는 날 남자들을 모두 죽이겠다고 공언하며 공격에 박차를 가했지만, 함락은 쉽지 않았다. 이세적오골성을 먼저 점령하고 평양으로 진격하자는 의견을 냈지만, 안시성을 뒤에 두고 나아가는 것은 위험하다는 주장에 따라 안시성 공격이 계속되었다.

당나라는 60일 동안 성벽보다 높게 토산을 쌓아 공격했지만, 토산이 무너지면서 오히려 고구려군에게 점령당했다. 당나라는 토산을 탈환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겨울이 다가오고 군량이 부족해지자 88일 만에 포위를 풀고 퇴각했다.

이 전투를 승리로 이끈 지휘자는 《삼국사기》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조선 중기 이후 야사에서는 양만춘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한, 이 싸움에서 당 태종이 눈에 화살을 맞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3. 5. 1. 양만춘에 대한 논란

안시성 성주의 이름은 역사에 기록되지 않았지만, 한국의 일반적인 기록에서는 양만춘으로 전해지고 있다. 일부 한국 역사 자료에서는 이름이 사라졌다고 기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5]

당 태종이세적과의 논의에서 안시성은 천혜의 요새이며 강력한 수비대를 가지고 있고, 수비 장군 또한 지략과 용기가 뛰어나다고 언급했다. 또한, 망리지가 반역을 일으켰을 때 안시성 성주가 항복하지 않았고, 망리지가 그를 공격했지만 성을 함락시키지 못하고 안시성의 책임자로 남겨둘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들어 안시성 공격에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5]

4. 고구려 멸망 이후

668년 고구려 멸망 후 안시성은 검모잠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부흥운동의 요동 지역 중심지가 되었으나, 671년 7월 당나라 군대에 함락되었다.

5. 대중문화 속 안시성

2018년에 개봉한 한국 영화 안시성은 645년 안시성 전투를 배경으로 한다.

참조

[1] 서적 Medieval Wars 500–1500 https://books.google[...] Amber Books Ltd 2012-04-05
[2] 서적 The Annals of King T'aej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04-05
[3] 서적 Korea: The Search for Sovereignty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5-04-05
[4] 서적 中国东北与东北亚古代交通史 https://books.google[...] 辽宁人民出版社 2016-04-05
[5] 웹사이트 兩千年中西曆轉換 http://www.sinica.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