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시성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시성 전투는 645년 고구려와 당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당 태종의 고구려 침략 과정에서 안시성을 두고 벌어진 공방전이다. 당나라는 약 10만 명의 대군을 투입하여 안시성을 공격했으나, 고구려군은 험준한 지형과 뛰어난 방어 전략을 바탕으로 이를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당나라는 토산을 쌓아 공략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결국 추위와 식량 부족으로 인해 철수했다. 이 전투는 고구려가 당나라의 침략을 물리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당 태종의 사망 원인이 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안시성 성주의 이름은 역사 기록에 명확히 나타나지 않지만, 조선 시대에는 양만춘으로 알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당 전쟁의 전투 - 주필산 전투
    주필산 전투는 645년 당 태종의 당나라 군대와 연개소문이 파견한 고구려 구원군이 안시성 부근 주필산에서 격돌하여 당나라가 승리했으나 안시성 함락에는 실패하며 고구려-당 전쟁에 영향을 준 전투로, 전투 기록의 신뢰성 논쟁이 있으며 영화 《안시성》으로 알려져 있다.
  • 여당 전쟁의 전투 - 사수 전투
    사수 전투는 662년 2월 연개소문이 이끄는 고구려군이 사수(현재의 보통강으로 추정)에서 당나라 방효태의 옥저도행군을 전멸시킨, 제2차 고구려-당 전쟁의 중요한 국면이자 고구려의 결정적인 승리이다.
  • 645년 중국 - 고구려-당 전쟁
    고구려-당 전쟁은 7세기 중후반 당나라가 동아시아 강자로 부상하며 고구려에 강경 정책을 펼치고, 연개소문 집권 후 내부 혼란과 당-신라 동맹이 형성된 배경 속에서 645년부터 668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벌어진 전쟁으로, 고구려는 격렬히 저항했으나 내부 분열로 멸망했다.
  • 645년 중국 - 주필산 전투
    주필산 전투는 645년 당 태종의 당나라 군대와 연개소문이 파견한 고구려 구원군이 안시성 부근 주필산에서 격돌하여 당나라가 승리했으나 안시성 함락에는 실패하며 고구려-당 전쟁에 영향을 준 전투로, 전투 기록의 신뢰성 논쟁이 있으며 영화 《안시성》으로 알려져 있다.
  • 645년 한국 - 고구려-당 전쟁
    고구려-당 전쟁은 7세기 중후반 당나라가 동아시아 강자로 부상하며 고구려에 강경 정책을 펼치고, 연개소문 집권 후 내부 혼란과 당-신라 동맹이 형성된 배경 속에서 645년부터 668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벌어진 전쟁으로, 고구려는 격렬히 저항했으나 내부 분열로 멸망했다.
  • 645년 한국 - 주필산 전투
    주필산 전투는 645년 당 태종의 당나라 군대와 연개소문이 파견한 고구려 구원군이 안시성 부근 주필산에서 격돌하여 당나라가 승리했으나 안시성 함락에는 실패하며 고구려-당 전쟁에 영향을 준 전투로, 전투 기록의 신뢰성 논쟁이 있으며 영화 《안시성》으로 알려져 있다.
안시성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전투명안시성 전투
당나라 군대의 고구려 침공 지도
당나라 군대의 고구려 침공을 보여주는 지도
관련 전쟁제1차 고구려-당 전쟁
날짜645년 6월 20일 ~ 645년 9월 18일
장소안시성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하이청 남동쪽)
결과고구려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고구려
말갈족
교전국 2당나라
지휘관 및 지도자
고구려 (안시성)양만춘 (안시성 성주, 본명 불명)
고구려 (주필산)고연수
고혜진
당나라당 태종
이세적
장손무기
이도종
설인귀
병력 규모
고구려 (안시성)약 5,000명 (수비대)
고구려 (주필산)약 150,000명 (지원군)
당나라 (안시성)불명
당나라 (주필산)약 30,000명
사상자 및 피해 규모
고구려전사 20,000명 이상
항복 36,800명
당나라사상자 2,000명 이상

2. 전투 배경

644년, 당 태종고구려 연개소문영류왕을 살해한 것을 구실로 삼아 고구려 침공을 결정했다. 이후 1년 동안 병력, 함선, 공성 무기 등을 준비하며 침략을 준비했다.[4] 645년 4월 1일, 이세적이 이끄는 당나라 군대는 회원진으로 향한다는 명목으로 갑자기 방향을 돌려 고구려를 침략했다.[16] 이들은 신성, 개모성 등 여러 성을 공격하여 고구려의 방어 체계를 혼란에 빠뜨렸다. 개모성은 4월 25일에 함락되었고, 장량이 이끄는 해군은 요동반도에 상륙하여 5월 2일에 비사성을 함락시켰다. 당 태종은 군대에 합류하여 요동성백암성을 잇달아 함락시켰다.[18]

이후 당나라 군대는 약 1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안시성을 공격하기로 결정하고 6월 20일 안시성을 침공했다. 조선 시대의 기록에는 안시성 성주를 양만춘이라고 기록하고 있다.[17] 연개소문안시성을 구원하기 위해 고연수고혜진을 포함한 약 15만 명의 병력을 파견했다.[18]

2. 1. 고구려-당 전쟁의 전개

644년 6월, 당 태종은 고구려 침략을 명령하고 11월에 수륙 양면으로 약 5만 명의 대규모 원정군을 편성했다. 당군은 각종 공성용 기구와 석궁을 동원했고, 돌궐거란으로 구성된 이민족 군대도 포함되었다. 이들은 수나라 때의 원정군과는 달리 정예병으로 구성되어 있었다.[4]

이세적이 이끄는 선발대, 당태종 이세민이 직접 지휘하는 친정군, 장량이 지휘하는 수군으로 3갈래로 침입해 왔다. 당군은 기만전술과 기습으로 고구려의 현도성, 개모성, 비사성, 요동성, 백암성 등을 함락시켰다. 연개소문의 정변 때도 안시성 성주가 복종하지 않아 공격을 받았으나 함락되지 않았다는 기록이 있다.

고구려 중앙정부는 고정의, 고연수, 고혜진의 지휘 아래 말갈군을 포함한 15만 명의 군사를 안시성 구원을 위해 출동시켰으나, 초전에 당군의 유인 작전에 패배하고 고연수, 고혜진이 항복했다.[3]

2. 2. 안시성의 전략적 중요성

당 태종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켰을 때도 안시성 성주가 복종하지 않아 공격했으나 항복시키지 못했다는 것을 언급하며, 안시성이 전략적 요충지임을 알 수 있다.[1] 이세적은 보급로가 차단될 것을 염려하여 안시성을 공격할 것을 건의했다.[1]

3. 전투의 전개

9월 6일(음력 8월 10일), 당 태종이 이끄는 당나라 대군이 안시성 공격을 시작했다. 안시성 사람들은 당군의 깃발과 일산을 보고 즉시 성에 올라 북을 치고 함성을 질렀다. 이세적은 안시성이 함락되는 날 남자들을 모두 구덩이에 묻어 버리겠다고 황제에게 요청했고, 안시성 사람들은 이 말을 듣고 더욱 굳게 성을 지켰다. 당나라 군은 오랫동안 공격했지만, 요동성과 개모성 함락에 큰 활약을 한 공성 무기들의 효과가 떨어져 안시성을 함락시키지 못했다.[4] 안시성은 산성이었기 때문에 평지에서 효과적인 신무기들의 효과가 반감된 것이다.

안시성 공략이 어려워지자, 고연수·고혜진 등은 당 태종에게 안시성 대신 오골성을 직접 공격할 것을 건의했다. 여러 신하들 또한 오골성을 함락하고 압록강을 건너 평양성을 빼앗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당 태종이 이들의 의견을 따르려 하자 장손무기는 천자의 원정은 모험을 해선 안 된다며 반대했다. 그는 먼저 안시성을 점령하고 건안성을 취한 후 진군하는 것이 안전한 계책이라고 주장했다. 당 태종장손무기의 의견을 받아들여 오골성 공격 계획을 중지했다.

당 태종안시성이 만만치 않음을 깨닫고 다른 성의 병력을 모두 안시성으로 집결시켰다. 어느 날, 당 태종은 성 안에서 닭과 돼지 소리를 듣고 이세적에게 밤중에 안시성에서 기습 공격을 할 것에 대비하라고 명령했다. 그날 밤, 안시성 군사 수백 명이 성에서 줄을 타고 내려왔고, 당 태종은 직접 군사를 소집하여 공격했다. 이 과정에서 안시성 군사 수십 명이 사망하고 나머지는 도주했다.[5][20]

7월 20일, 당나라와 고구려는 주필산 전투를 벌였다. 이세적이 이끄는 15,000명의 당나라 보병과 기병은 고구려 군대와 직접 싸웠고, 장손무기는 11,000명의 정예 기병을 이끌고 산 북쪽의 협곡을 건너 고구려 군대의 후방을 공격했다. 당 태종은 4,000명의 보병과 기병을 직접 이끌고 전투에 참여했다. 결국 당나라 군대가 승리하여 고구려 군대를 섬멸했다. 최소 20,000명의 고구려 군인이 사망하고, 고연수고혜진을 포함한 36,800명의 고구려 군인이 항복했다. 당나라 군대는 50,000마리 이상의 말, 50,000마리 이상의 소, 10,000벌 이상의 철갑을 노획했다. 이 전투 이후, 당나라는 안시성을 다른 고구려 영토로부터 고립시키는 데 성공했다.[15]

3. 1. 안시성의 방어

당 태종안시성을 함락하기 위해 투석기, 충차 등 다양한 공성 무기를 동원하여 공격했지만, 고구려는 이를 격퇴하고 성벽을 수리했다. 이세적은 안시성이 함락되면 남녀 구분 없이 모두 학살하겠다고 요청했고, 당 태종은 이를 허락했다. 이 소식을 들은 안시성 백성들은 더욱 굳건히 성을 지켰고, 당나라 군의 공격은 여러 차례 실패했다.[4] 당군은 하루에도 6~7회씩 안시성 서쪽을 공격했다.[4] 어느 날 밤, 수백 명의 고구려 군사들이 성 밖으로 나와 당나라 군을 공격하려 했으나, 당 태종은 병사들을 소집하여 반격했고, 수십 명의 고구려 군사가 사망하고 나머지는 성으로 도망쳤다.[5][20]

당군은 안시성을 우회하여 다른 지역을 공격하는 방안을 고려했지만, 안시성이 당군의 진격을 위협할 수 있다는 이유로 이 계획은 취소되었다.[1] 이도종이 이끄는 당군은 성의 남동쪽 모퉁이에 토산을 쌓아 성벽에 접근하려 했다. 그러나 성벽은 수비군에 의해 계속해서 높아졌다. 이도종은 전투 중 부상을 입었다. 당군은 병사와 노동자(전쟁 포로로 추정)를 동원하여 토산을 쌓았고, 토산 꼭대기는 성에서 불과 몇 피트 떨어져 있었다.[5][20] 당군 장교 부복애는 토산 꼭대기에 병력을 주둔시켰으나, 부복애가 몰래 진영을 이탈하면서 토산이 무너졌고, 고구려군이 토산을 점령했다. 당 태종은 분노하여 부복애를 처형했다. 이후 당나라는 3일 동안 토산을 되찾으려 했지만 실패했다. 3일째 되던 날, 고구려 증원군이 도착했고, 당 태종은 여전히 안시성을 점령하지 못했다. 게다가 요동반도의 겨울이 10월 초부터 시작되어 날씨가 추워지고 식량이 부족해지면서, 당나라는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6][21] 당 태종의 철군은 어려웠고, 많은 병사들이 눈보라에 맞아 사망했다.[7][22]

3. 2. 당나라의 토산 전략과 실패

당 태종안시성이 만만치 않음을 깨닫고 다른 성의 병력을 모두 안시성으로 집결시켰다. 그럼에도 안시성의 저항이 완강하자, 당군은 이도종의 건의로 성의 동남쪽에 토산을 쌓아 성 안으로 접근하려 했다. 안시성 역시 성벽을 더욱 높게 쌓아 이에 대응했다. 양측은 하루에도 6, 7회씩 치열하게 교전했다. 당나라 군의 충차와 포석이 성벽 일부를 허물었으나, 안시성은 목책을 세워 막아냈다.[4]

당나라는 60일 동안 3만 명을 동원하여 토산을 쌓았다. 완성된 토산은 성보다 높아 성 안을 내려다볼 수 있었다. 이도종은 부복애에게 군사 500명을 주어 토산 꼭대기를 지키게 했다. 그러나 폭우로 토산이 무너져 성벽 일부를 덮쳤고, 안시성 군사들이 이 틈을 타 토산을 점령하고 참호를 파서 방어했다. 당 태종은 분노하여 부복애를 처형하고, 장수들에게 공격을 명령했다. 이 과정에서 고구려군 1만 명, 당군 3만 명이 전사하는 큰 피해가 발생했다.[5]

결국 당군은 토산을 빼앗기고, 이도종당 태종에게 용서를 구했다. 당 태종이도종의 죄가 크지만 개모성과 요동성을 점령한 공을 참작하여 특별히 용서한다고 말했다.[6]

토산 전투와 이후 3일간의 쟁탈전에서 당군은 수만 명의 병력을 잃었고, 고구려 역시 큰 피해를 입었다. 3개월간의 공방전에서 당군은 하루 평균 2,500명, 총 2만 명이 넘는 사상자를 냈다고 한다. 고구려 역시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4. 전투의 결과 및 영향

645년 당 태종은 고구려 원정에서 사망한 병사들을 기리기 위해 베이징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 중 하나인 민충사를 건립했다.[9][10][11][12] 당 태종은 648년에 다시 침략을 준비했지만, 고구려 원정 중 얻은 질병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13]

고구려군은 2만 명 이상을 잃었고, 전투 초기 단계에서 3만 6,800명 이상의 병력이 포로로 잡혔다.[2][4] 공성전 자체에서 고구려군의 사상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고구려당나라 사이의 긴장은 계속되었고, 결국 668년신라- 연합군에 의해 고구려가 멸망했다.[1]

4. 1. 고구려의 승리 요인

당나라 군대는 3개월 간의 전투 동안 2,000명의 병사가 사망하고, 약 8,000필의 군마를 잃었다.[20] 645년, 당태종은 고구려에서 전사한 병사들을 추모하기 위해 유주에 민충사를 건립했다.[23][24][25][26] 당태종은 648년에 다시 고구려를 공격하려 했으나, 고구려 원정 중 얻은 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27]

반면 고구려군은 전투 초기에 포로로 잡힌 36,800명 외에 2만 명 이상의 병력을 잃었다. 전투 자체에서의 고구려군 사상자 수는 불분명하다.[16]

이러한 피해 규모는 당나라가 고구려를 상대로 고전했음을 보여준다.

4. 2. 역사적 의의

645년, 당 태종은 고구려에서 사망한 병사들을 기리기 위해 베이징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인 민충사를 창건했다.[9][10][11][12] 당 태종은 648년에 또 다른 침략을 준비했지만, 고구려 원정 중에 얻은 질병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13]

고구려군은 2만 명 이상을 잃었고, 전투 초기 단계에서 3만 6,800명 이상의 병력이 포로로 잡혔다. 공성전 자체에서 고구려군의 사상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2][4] 3개월에 걸친 전쟁 동안 2,000명의 당나라 병사가 살해되었고, 당군은 약 8,000필의 군마를 잃은 것으로 추정된다.[20]

고구려와 당나라 사이의 긴장은 계속되었고, 결국 668년신라-당나라 연합군에 의해 고구려가 멸망했다.[1]

5. 안시성 성주 이름에 대한 논란

1차 고구려-당 전쟁 중 가장 중요한 전투 중 하나였던 안시성 전투에서 안시성 성주의 이름은 역사서에 "안시성의 성주"(安市城主)로만 기록되어 있고, 다른 자료는 없다. 하지만 후세에 송준길의 《동춘당선생별집》과 박지원의 《열하일기》에는 안시성 성주의 이름이 "양만춘"(梁萬春) 혹은 "양만춘"(楊萬春)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1000년이 지난 후인 조선 후기에 이름이 등장하기 때문에, 안시성을 용감하게 지켜낸 성주의 이름이 양만춘인지에 대해 사학자들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안시성 전투의 성주가 누구냐는 질문에 양만춘이라고 대답하는 장면이 나온다.

6. 대중문화 속 안시성 전투

영화 안시성은 2018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로, 이 전투를 배경으로 한다.[14]

6. 1. 영화 《안시성》

2018년 대한민국 영화 안시성은 이 전투를 배경으로 한다.[14]

참조

[1] 서적 Medieval Chinese Warfare 300–9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9-02
[2] 웹사이트 안시성 싸움 https://terms.naver.[...] 2020-02-06
[3] 웹사이트 안시성싸움[安市城─] - 두피디아 http://www.doopedia.[...] 2016-11-11
[4] 웹사이트 안시성전투 http://encykorea.aks[...] 2016-11-11
[5] 웹사이트 资治通鉴·唐纪·唐纪十四_古诗文网 https://m.gushiwen.o[...] 2018-08-23
[6] 웹사이트 안시성싸움 http://terms.naver.c[...] 2016-11-11
[7] 서적 Medieval Chinese Warfare 300–9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9-02
[8] 서적 Skaff 2012 https://books.google[...]
[9] 웹사이트 Record of Restoring the Buddha Relic at Minzhong Temple http://museum.sinica[...] Academia Sinica
[10] 서적 Beijing – A Concise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11-22
[11] 서적 Encyclopedia of China: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19
[12] 서적 Beijing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14-05-15
[13] 서적 The Poetics of Sovereignty: On Emperor Taizong of the Tang Dynast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Yonhap News Agency https://en.yna.co.kr[...] 2020-02-06
[15] 서적 Medieval Chinese Warfare 300–9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9-02
[16] 웹사이트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안시성전투 http://encykorea.aks[...] 2016-11-11
[17] 문서 『三国史記』高句麗本紀九
[18] 웹사이트 안시성싸움[安市城─] - 두피디아 http://www.doopedia.[...] 2016-11-11
[19] 웹사이트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안시성전투 http://encykorea.aks[...] 2016-11-11
[20] 웹사이트 资治通鉴・唐纪・唐纪十四_古诗文网 https://m.gushiwen.o[...] 2018-08-23
[21] 웹사이트 안시성싸움 http://terms.naver.c[...] 2016-11-11
[22] 서적 Medieval Chinese Warfare 300–9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9-02
[23] 웹사이트 Record of Restoring the Buddha Relic at Minzhong Temple ! Museum of the Institute of History & Philology, Academia Sinica http://museum.sinica[...] 2022-10-16
[24] 서적 Beijing – A Concise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11-22
[25] 서적 Encyclopedia of China: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19
[26] 서적 Beijing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14-05-15
[27] 서적 The Poetics of Sovereignty: On Emperor Taizong of the Tang Dynast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8] 웹사이트 Yonhap News Agency https://en.yna.co.kr[...] 2020-02-06
[29] 문서 흔히 [[양만춘]]으로 알려진 안시성주의 이름은 중국 소설에 최초로 나오는 이름이며, 실제 안시성주의 이름은 불명이다.
[30] 문서 능연각훈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