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베르타케라톱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베르타케라톱스는 센트로사우루스아과에 속하는 각룡류 공룡의 한 속이다. 이 공룡은 다른 센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과 달리 긴 눈썹 뿔을 가지고 있으며, 몸길이는 약 5.8m, 무게는 약 3.5톤으로 추정된다. 캐나다 앨버타주에서 발견되었으며,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의 기저 위치에 있는 것으로 분류된다. 알베르타케라톱스는 한때 "메두사케라톱스"라는 가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네도케라톱스
    네도케라톱스는 코뿔이 없는 특징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한때 트리케라톱스의 아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의 이름으로 재분류되었으며, 트리케라톱스와의 관계에 대한 논쟁이 있는 각룡류 공룡의 한 속이다.
  • 2007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에오트리케라톱스
    에오트리케라톱스는 약 6880만 년 전 호스슈 캐니언 지층에서 발견된 카스모사우루스아과에 속하는 각룡류 공룡의 한 속으로, 눈 위의 뿔과 코 위의 작은 뿔, 전상악골의 독특한 돌기가 특징이며 트리케라톱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켄트로사우루스아과 - 파키리노사우루스
    파키리노사우루스는 뿔 대신 납작한 돌기가 있는 초식 공룡으로, 북아메리카에서 번성했으며 코 돌기 형태에 따라 여러 종으로 구분된다.
  • 켄트로사우루스아과 - 파키리노사우루스족
    파키리노사우루스족은 2012년에 정의된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의 분지군으로, 켄트로사우루스 아페르투스보다 파키리노사우루스 카나덴시스에 더 가깝고 콧뿔이 혹 모양으로 진화한 아켈로우사우루스와 파키리노사우루스를 포함한다.
  •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의 공룡 - 트리케라톱스
    트리케라톱스는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각룡류 공룡의 한 속으로, 거대한 두개골과 뿔이 특징이며 백악기 말기에 번성했고, 현재는 두 종으로 분류된다.
  •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의 공룡 - 티라노사우루스
    티라노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서식했던 몸길이 15m에 달하는 거대한 육식 공룡으로, 강력한 턱힘과 짧은 앞다리, 긴 꼬리를 가진 최상위 포식자였으며, '수'와 '스카티' 등의 표본과 대중문화 속 인기 덕분에 그 생태와 행동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알베르타케라톱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필립 J. 커리 공룡 박물관에 있는 두개골
필립 J. 커리 공룡 박물관에 있는 두개골
학명Albertaceratops
명명자Ryan, 2007
종명nesmoi
명명자Ryan, 2007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
아강이궁아강
하강지배파충하강
상목공룡상목
†조반목
미분류 아목†신조반류
아목†각각아목
하목†각룡하목
케라톱스과
아과켄트로사우루스아과
Albertaceratops
고생물학적 정보
화석 발견 시기백악기 후기, 7750만년 전

2. 특징

복원도


알베르타케라톱스는 다른 센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들과 달리 긴 눈썹 뿔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켄트로사우루스아과는 일반적으로 짧은 눈썹 뿔을 가지고 있다. 코 위에는 뼈로 된 융기가 있었고, 프릴에는 두 개의 크고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갈고리가 있었다.[2] 몸길이는 5.8m, 무게는 3500kg으로 추정된다.[1]

하나의 완전한 두개골 화석과 꼬리 부분의 뼈 조각 화석(로열 티렐 고생물학 박물관 소장)으로 알려져 있다.

알베르타케라톱스는 긴 눈 위 뿔을 가진다는 점에서 다른 켄트로사우루스아과와 구별된다. 켄트로사우루스아과는 보통 눈 위 뿔이 짧거나 아예 없기 때문이다. 또한, 알베르타케라톱스는 코 부분에 골질의 혹이 있으며, 프릴 위쪽에는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두 개의 큰 갈고리가 있다.

3. 발견 및 명명

Albertaceratops skull
알베르타케라톱스 홀로타입, TMP 2001.26.1의 두개골


''알베르타케라톱스''는 2001년 8월에 발견된 단일 완전한 두개골 (TMP.2001.26.1)과 두개골 및 몸통 뼈 조각들로 알려져 있다.[2] 종명 ''A. nesmoi''는 앨버타주 매니베리스에 거주하는 농부 세실 네스모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는데, 매니베리스는 메디신햇에서 남쪽으로 71km 떨어진 인구 100명 미만의 작은 마을이다. 이 농부는 화석 사냥꾼들을 돕기 위한 그의 노력에 대한 보답으로 존경을 받았다.[2]

추가 표본은 미국 몬태나주의 주디스 리버 지층에서 보고되었는데, 이는 올드맨 지층과 동일하며, 단지 캐나다-미국 국경에 의해 구분될 뿐이다. 그러나 추가 연구 결과, 이 유해는 다른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인 ''메두사케라톱스''에서 나온 것으로 밝혀졌다. 두 케라톱스과 공룡 모두 약 7,750만 년 전에 같은 시대에 살았다.[3]

4. 분류

알베르타케라톱스는 마이클 J. 라이언의 분석에 의해 기초적인 켄트로사우루스아과로 밝혀졌다. 케라톱스과는 전통적으로 눈 위 뿔의 유무에 따라 카스모사우루스아과(눈 위 뿔 존재)와 켄트로사우루스아과(눈 위 뿔 짧거나 없음)로 분류되었으나, 알베르타케라톱스의 발견으로 이 분류법은 수정되었다. 라이언은 두개골에 뚫린 콧구멍의 수, 즉 비공 안의 상악골공 개수로 두 아과를 구분하는 새로운 분류법을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상악골공이 두 개면 카스모사우루스아과, 하나면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이다. 알베르타케라톱스는 스티라코사우루스파키리노사우루스와 마찬가지로 비공에 있는 구멍이 하나였다.[4]

알베르타케라톱스는 공식 발표 전에는 "메두사케라톱스"(Medusaceratops)로 알려졌으나, 이 이름은 현재 다른 각룡류 공룡의 속명으로 사용되고 있다.[5]

4. 1. 켄트로사우루스아과 내 계통

아래 분기도는 Chiba ''et al.'' (2017)의 계통 발생 분석을 따르며, 이는 ''메두사케라톱스''(Medusaceratops lokii)의 체계적인 재평가를 포함한다.[4]

알베르타케라톱스는 켄트로사우루스아과 내에서 디아블로케라톱스, 마카이로케라톱스 등과 함께 가장 기저에 위치한다.

Ryan 등 (2016)의 계통 분석에 따르면, 센트로사우루스아과의 기저 위치에 위치해 있다.[5]

분류는 다음과 같다.

켄트로사우루스아과


5. 메두사케라톱스와의 관계

알베르타케라톱스는 공식적으로 발표되기 전에는 "메두사케라톱스"(Medusaceratops영어, "메두사의 뿔 얼굴"이라는 의미)로 알려졌으나, 이후 다른 각룡류 공룡에게 이 이름이 사용되었다.

본 종은 처음 캐나다 앨버타 주에서 발견되었지만, 이후 미국 몬태나 주의 뼈 퇴적층(bone bed)에서도 알베르타케라톱스와 메두사케라톱스의 화석이 함께 발견되었다.

현재 알베르타케라톱스로 조립된 복원 골격 중 일부는 몬태나 주에서 발견된 표본을 토대로 한 것이며, 그 중 상당수는 메두사케라톱스의 골격이 섞여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논문 A New Basal Centrosaurine Ceratopsid from the Oldman Formation, Southeastern Alberta
[3] 서적 A New Chasmosaurine Ceratopsid from the Judith River Formation, Montana Indiana University Press
[4] 논문 New material and systematic re-evaluation of ''Medusaceratops lokii'' (Dinosauria, Ceratopsidae) from the Judith River Formation (Campanian, Montana)
[5] 논문 A basal ceratopsid (Centrosaurinae: Nasutoceratopsini) from the Oldman Formation (Campanian) of Alberta, Canada http://www.nrcresear[...] 2017
[6] 논문 A new basal centrosaurine ceratopsid from the Oldman Formation, southeastern Alberta http://www.bioone.or[...]
[7] 서적 A New Chasmosaurine Ceratopsid from the Judith River Formation, Montana Indiana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