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톱니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앞톱니근은 1~9번(또는 1~8번) 갈비뼈에서 시작하여 어깨뼈 안쪽 경계에 부착되는 근육이다. 어깨뼈를 앞으로 당겨 팔의 앞굽힘을 가능하게 하며, 팔을 들어올리는 동작과 호흡을 돕는 역할을 한다. 긴가슴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유방암 수술 시 손상될 수 있다. 랫풀다운, 턱걸이 등의 운동을 통해 발달시킬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체 - 마름근
마름근은 등 상부에 위치한 큰마름근과 작은마름근으로 나뉘는 근육으로, 등뼈와 목뼈에서 시작하여 어깨뼈를 척추 방향으로 당기고 회전시켜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과 목의 움직임 및 자세 유지에 관여하며 등쪽어깨신경의 지배를 받아 승모근과 함께 어깨뼈를 안정적으로 지탱한다. - 신체 - 광배근
광배근은 등 부위에 위치하여 팔의 움직임과 척추의 운동에 기여하며, 흉배신경의 지배를 받고 다양한 변이를 보이며, 만성 어깨 통증 등 임상적으로 중요하고, 운동을 통해 강화할 수 있다. - 몸통 근육 - 마름근
마름근은 등 상부에 위치한 큰마름근과 작은마름근으로 나뉘는 근육으로, 등뼈와 목뼈에서 시작하여 어깨뼈를 척추 방향으로 당기고 회전시켜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과 목의 움직임 및 자세 유지에 관여하며 등쪽어깨신경의 지배를 받아 승모근과 함께 어깨뼈를 안정적으로 지탱한다. - 몸통 근육 - 갈비사이근
갈비사이근은 갈비뼈 사이에 위치하여 호흡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으로, 바깥갈비사이근, 속갈비사이근, 가장 안쪽 갈비사이근의 세 층으로 구성되어 흡기와 날숨을 돕고 늑간신경과 늑간 동맥의 지배 및 공급을 받으며 사각근 또한 일부로 분류되어 흡기에 관여한다.
앞톱니근 | |
---|---|
기본 정보 | |
![]() | |
![]() | |
라틴어 | musculus serratus anterior, serratus lateralis |
발음 | IPA: /ˌsɪˈreɪtəs ænˈtɪəriər/ |
세부 정보 | |
기시 | 위쪽 8 또는 9개 갈비뼈의 바깥쪽 표면에서 살덩이로 나옴 |
정지 | 어깨뼈 안쪽 모서리의 늑골 측면 |
혈액 공급 | 외측 흉부 동맥, 위 흉부 동맥 (상부), 흉배부 동맥 (하부) |
신경 분포 | 장흉신경 (팔신경얼기 C5-C7에서 유래) |
작용 | 어깨뼈를 내밀고 안정화하며, 상향 회전을 도움 |
대항근 | 큰마름근, 작은마름근, 등세모근 |
기타 정보 | |
한국어 이름 | 앞톱니근, 전거근 |
Gray's 해부학 주제 | 122 |
Gray's 해부학 페이지 | 438 |
Anatomography Parts ID | FMA13397 |
Dorlands 사전 접두사 | m_22 |
Dorlands 사전 접미사 | 12550741 |
2. 구조
앞톱니근은 9~10개의 근육가지(slip, muscle branch)로서, 1~9번 갈비뼈 혹은 1~8번 갈비뼈에서 시작된다. 2번 갈비뼈에서 항상 근육가지 2개가 시작되기 때문에 근육가지 수가 늑골 수보다 항상 많다.[9]
앞톱니근은 등뼈를 따라 위쪽각(superior angle)과 아래쪽각(inferior angle) 사이 견갑골의 안쪽 경계를 따라 만입된다. 정지점(point of insertion)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나뉜다.[9]
- '''앞톱니근 위쪽 부분'''은 위쪽각 인근에서 만입된다.
- '''앞톱니근 중간 부분'''은 안쪽 경계를 따라 만입된다.
- '''앞톱니근 아래쪽 부분'''은 아래쪽각 근처에서 만입된다.
2. 1. 위치 관계
앞톱니근은 어깨밑근 깊은 곳에 있다. 어깨밑근 윤활주머니(subscapularis (supraserratus) bursa)가 앞톱니근에서 분리되며,[10] 어깨가슴윤활주머니(scapulothoracic (infraserratus) bursa)는 늑골에서 분리된다.[11]2. 2. 신경 지배
팔신경얼기의 가지인 긴가슴신경이 앞톱니근에 분포한다.[12] 긴가슴신경은 앞톱니근 표면에서 아래로 뻗어있다.[2]2. 3. 혈액 공급
가쪽가슴동맥, 가슴등동맥이 앞톱니근에 혈액을 공급한다.[13]3. 기능
앞톱니근의 세 부위는 모두 가슴우리를 둘러싼 어깨뼈를 앞으로 당기는데, 이는 팔의 앞굽힘(전경, anteversion)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앞톱니근은 마름근의 길항근이다. 그러나 위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이 같이 작용하면, 마름근과 함께 가슴우리에 대하여 어깨뼈가 눌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 부위들은 마름근의 협동근(synergist)이 된다. 아래쪽 부분은 어깨뼈 아래 부분을 바깥과 앞으로 당길 수 있으며, 따라서 팔을 들어올리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어깨뼈를 회전시킨다. 또한 세 부위 모두 팔이음부위(shoulder girdle)가 고정되어 있으면 늑골을 들어올릴 수 있고, 따라서 호흡을 돕는다.[9]
앞톱니근은 '날개근(big swing muscle)'이나 '권투선수 근육(boxer's muscle)'으로도 불리는데, 견갑골의 내밈(전인, protraction)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펀치를 날리면 어깨뼈를 앞으로 당기고 가슴우리(rib cage) 주변으로 당긴다는 뜻이다.[5]
앞톱니근은 웨이트를 머리 위로 들어 올리는 등의 경우에 수행하는 어깨뼈 상방회전(upward rotation)에도 중요하다. 앞톱니근은 등세모근의 위쪽 섬유와 아래쪽 섬유와 동시에 어깨뼈 상방회전을 수행한다.[14]
4. 임상적 의의
긴가슴신경은 앞톱니근에 분포하는데, 유방암 수술 시 겨드랑이에서 림프절 제거 수술 등 일부 수술을 할 때 손상되기 쉽다. 긴가슴신경이 손상되면 날개어깨뼈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15][6]
5. 동물
어깨근육은 견갑상완그룹(scapulohumeral group), 상완거근그룹(axiohumeral group), 견갑거근 그룹(axioscapular group)의 세 범주로 나뉜다. 앞톱니근은 대능형근(rhomboid major),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승모근(trapezius)과 함께 견갑거근 그룹을 이룬다. 승모근은 분리되어 발달하지만, 나머지 세 근육은 1~8번 혹은 1~10번 늑골이나, 늑골에 상응하는 경추(cervical vertebrae) 수평돌기(transverse process)로부터 발달한다.[16]
기능적 요구는 앞톱니근에 의해 형성된 기본 단위로부터 간 근육의 발달을 야기한다. 원시생명(primitive life) 형태에서, 견갑축 그룹 기능은 견갑골척추연(vertebral border of the scapula)의 움직임을 통제한다. 견갑골 후방 움직임과 관련된 섬유는 능형근으로 진화하고, 복부 운동 관련 섬유는 앞톱니근으로, 두기골 움직임 관련 섬유는 견갑거근으로 진화한다. 앞톱니근 진화 자체는 1. 말단섬유(distal fiber)와 근위섬유(proximal fiber) 그룹핑 2. 중간섬유 크기 축소 3. 상방부위와 하방부위를 견갑골 상각과 하각으로의 만입을 야기한다.[16]
영장류에서 흉곽은 넓고 견갑골은 관절와(glenoid cavity)를 바깥으로 향하게 하도록 후방으로 회전된다. 또한 쇄골은 내측력(medial force)을 돌본다. 말이나 네발짐승 등 달리는 포유류에게서 견갑골은 흉곽 측면에 수직으로 매달려 있고 쇄골은 없다. 따라서 기어오르는 동물들에게서 앞톱니근은 자유지(free limb)의 반력(reaction force)에 대항하여 견갑골을 지지하고, 늑골에 굽힘력(bending force)을 가한다. 이 힘들을 유지하기 위하여 늑골들은 현저한 만곡률을 가지고 쇄골에 지탱된다. 달리는 동물들에게서 흉곽은 앞톱니근과 흉근에 있는 견갑골 사이에 매달려 있다.[17]
6. 관련 운동
앞톱니근은 어깨뼈를 앞으로 당겨 흉곽 주위로 움직이게 하는 근육이다. 이는 팔을 앞으로 굽히는 동작에 필수적이며, 능형근의 길항근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앞톱니근의 위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이 함께 작용할 때는 능형근과 함께 어깨뼈를 흉곽에 밀착시키는 협력근 역할도 한다.[1]
또한, 앞톱니근은 어깨뼈 아래쪽 끝을 가쪽과 앞으로 당겨 어깨뼈를 회전시키고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어깨 이음매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갈비뼈를 들어 올려 호흡을 돕기도 한다.[1]
앞톱니근은 어깨뼈를 앞으로 내미는 동작, 즉 주먹을 날릴 때 어깨뼈가 앞으로 당겨져 갈비뼈를 감싸는 동작을 주로 담당한다. 이러한 역할 때문에 "큰 스윙 근육" 또는 "복서의 근육"이라고도 불린다.[5]
앞톱니근은 승모근의 위쪽 및 아래쪽 섬유와 함께 작용하여 어깨뼈의 위쪽 회전을 유지하며, 이는 머리 위로 물건을 들어 올리는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관련 운동으로는 랫풀다운과 턱걸이가 있다.
7. 이미지
참조
[1]
Harvnb
[2]
학술지
Isolated paralysis of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surgical release of the distal segment of the long thoracic nerve in 52 patients
2014-06
[3]
서적
Shoulder Arthroscopy: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2-16
[4]
서적
Shoulder Arthroscopy: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2-16
[5]
간행물
Anatomy, Thorax, Serratus Anterior Muscles
https://pubmed.ncbi.[...]
StatPearls Publishing
2024
[6]
학술지
Scapular winging: anatomical review, diagnosis, and treatments.
2008-03
[7]
Harvnb
[8]
Harvnb
[9]
Harvnb
[10]
서적 인용
Shoulder Arthroscopy: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2-16
[11]
서적 인용
Shoulder Arthroscopy: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2-16
[12]
저널 인용
Isolated paralysis of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surgical release of the distal segment of the long thoracic nerve in 52 patients
https://pubmed.ncbi.[...]
2014-06
[13]
저널 인용
Applied anatomy of serratus anterior muscutaneous flap for breast reconstruction or swelling
http://scienceon.kis[...]
2003
[14]
웹사이트
For Strong Healthy Shoulders, Functional Anatomy Surrounding the Scapulae
http://www.t-nation.[...]
2014-10-26
[15]
저널 인용
Scapular winging: anatomical review, diagnosis, and treatments.
2008-03
[16]
Harvnb
[17]
Harvn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