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경 (렘브란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경 (렘브란트)은 렘브란트가 1642년에 완성한 대형 유화로, 암스테르담의 시민 민병대를 묘사한 작품이다. 이 그림은 프란스 반닝 코크 대위와 17명의 대원에게 의뢰받아 제작되었으며, 렘브란트는 빛과 그림자를 활용한 명암대비와 역동적인 구성을 통해 당시 초상화의 형식을 혁신했다. '야경'은 크기, 명암대비, 움직임의 표현으로 유명하며, 훼손과 복원 과정을 거쳐 현재는 암스테르담 국립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작품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었으며, 영화, 음악, 문학 등에서 재해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암스테르담 국립미술관 소장품 - 직물 길드 이사회
    직물 길드 이사회는 렘브란트 판 레인이 1662년에 그린 단체 초상화로, 암스테르담의 직물 감정인 조합 대표 5명과 하인을 묘사하며, 렘브란트의 빛과 그림자 표현, 인물 묘사가 돋보이는 17세기 네덜란드 미술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작품이자 그의 혁신적인 시도를 보여주는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렘브란트 그림 - 니콜라스 튈프 박사의 해부학 수업
    렘브란트가 1632년에 그린 "니콜라스 튈프 박사의 해부학 수업"은 튈프 박사가 시체의 해부학적 구조를 설명하는 모습을 담아 당시 네덜란드 황금 시대의 해부학 수업 풍경과 렘브란트의 예술성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해부학적 오류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모작과 패러디를 낳았다.
  • 렘브란트 그림 -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
    렘브란트 판 레인이 1633년에 그린 "갈릴래아 호수의 폭풍"은 갈릴래아 호수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폭풍을 잠재우는 기적을 묘사한 작품으로, 복음서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빛과 어둠의 대비를 통해 극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며 1990년 도난 사건 이후 현재 행방이 묘연하다.
야경 (렘브란트)
기본 정보
네덜란드어 명칭De Nachtwacht
화가렘브란트 반 레인
제작 연도1642년
종류캔버스에 유채
크기363 x 437 cm
소장암스테르담 국립미술관 (암스테르담 박물관에서 영구 임대)
소재지암스테르담, 네덜란드
양식바로크 미술
네덜란드 황금 시대 회화
온라인 컬렉션암스테르담 컬렉션 온라인

2. 역사

야경》은 네덜란드 황금 시대의 정점인 1642년에 완성되었다. 암스테르담 민병대(총병대) 대장 프란스 반닝 코크와 그의 부대원들이 렘브란트에게 의뢰한 작품이다.

De jonge heer van Purmerland als Capitein geeft last aan zijnen Lietenant de heer van Vlaerdingen om sijn compaignie Burgers te doen marcherennl

(젊은 푸르메를란트 영주(바닝 코크) 대장이 플라르딩겐 영주(판 라우텐부르흐) 부대장에게 시민대의 행진을 명령한다)

바닝 코크는 프랑스에서 법학을 배우고 암스테르담으로 돌아와 시민대(자경단) 대장이 되었으며, 1650년에는 암스테르담 시장까지 역임한 인물이다. 렘브란트는 바닝 코크와 대원 17명(총 18명)에게 제작을 의뢰받았으며, 이들의 이름은 그림 중앙 오른쪽 뒤편 방패에 그려져 있다.

당시 지불 및 수주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발주자들의 기록에 따르면 각자 100길더씩, 총 1,600길더가 렘브란트에게 지불되었다. 이는 당시 초상화 보수로는 큰 액수였다. 이 그림은 렘브란트를 포함한 화가들에게 시민대가 발주한 7점의 집단 초상화 중 하나이며, 새로 건립된 조총수 조합 회관 연회장에 걸기 위해 발주되었다.

2. 1. 제작 배경

1639년경, 프란스 반닝 코크 대위와 그의 클로베니에르(시민 민병대) 17명이 렘브란트에게 그림을 의뢰했다.[4] 그림에는 1715년경에 그려진 방패에 18명의 이름이 적혀 있으며, 이는 고용된 드러머가 무료로 그림에 추가되었기 때문이다.[5] 렘브란트는 이 그림에 대해 1,600 길더를 받았다. 당시 관례와 달리, 렘브란트는 각 인물에게 동일한 금액을 받지 않고, 그림 속 비중에 따라 차등을 두어 총 1,600길더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 그림은 당시 다양한 예술가들에게 의뢰된 일련의 일곱 점의 민병대원 그림(Schuttersstuknl) 중 하나였다.

이 그림은 암스테르담의 새로 지어진 클로베니에르도엘렌(사격수 회관)의 연회장에 걸릴 목적으로 의뢰되었다. 렘브란트에게 의뢰가 들어온 것과 다른 예술가들에게도 일련의 의뢰가 주어진 것은 1638년 프랑스의 마리 드 메디치 여왕의 방문 때문이라는 추측도 있다. 여왕은 아들 루이 13세의 명령으로 프랑스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중이었지만, 그녀의 도착은 화려한 의식으로 환영받았다.

반닝 코크는 약사의 외아들이었지만 프랑스에서 법학을 배우고 암스테르담으로 돌아와 시민대(자경단) 대장이 되었다. 그는 부유한 상인, 선주, 귀족인 폴케르트 오버란더(Volckert Overlander)의 딸과 결혼했고, 그의 사후에는 그 유산과 영주의 지위를 계승했으며, 이 그림이 그려진 후 1650년에는 암스테르담 시장까지 된 인물이었다.

일부 연구자들은 렘브란트나 다른 화가들에 대한 그림 발주가 프랑스의 왕비 마리 드 메디시스1638년 네덜란드 방문에 맞춰 이루어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녀는 당시 프랑스에서 쫓겨난 신세였지만, 암스테르담에서 화려한 환영을 받았다.

이 그림을 발주한 대원들이 지불한 액수와 같은 평등함으로 각자를 그리지 않은 렘브란트에게 불만을 품었고,[35] 이것이 '야경' 이후의 수주 감소나 렘브란트의 인생 몰락의 시작이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정확하지 않다.

2. 2. 그림의 이동과 훼손

1715년, ''야경''은 암스테르담 시청으로 옮겨지면서 그림의 사방이 잘려나갔다. 이는 두 기둥 사이에 그림을 맞추기 위한 조치였으며, 19세기 이전에는 흔한 관행이었다. 이로 인해 그림 왼쪽의 두 인물, 아치 상단, 난간, 계단 가장자리가 손실되었고, 유실된 부분은 발견되지 않았다.[11][6] 게리트 런덴스가 그린 17세기 그림 사본은 원래 구성을 보여준다.[7][8]

나폴레옹이 네덜란드를 점령했을 때 시청은 담 궁전이 되었고, 그림은 트리프 가문의 Trippenhuisnl로 옮겨졌다. 나폴레옹은 그림 반환을 명령했지만, 점령이 끝난 후 다시 Trippenhuisnl로 옮겨져 네덜란드 과학 아카데미가 자리하게 되었다. 1885년 레이크스미술관 건물이 완공될 때까지 그곳에 보관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39년 9월, 캔버스는 액자에서 분리되어 원통형으로 말려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 동굴의 금고에 4년 동안 보관되었다.[9] 전쟁이 끝난 후 캔버스는 다시 장착되고 복원되어 레이크스미술관으로 돌아왔다.

2003년 12월 11일, 레이크스미술관의 대대적인 개축 공사로 인해 임시 장소로 옮겨졌다가, 2013년 4월 개축이 완료되자 Nachtwachtzaalnl(''야경의 방'')에 있는 원래 자리로 돌아왔다.

2021년 6월부터 9월까지 컨볼루션 신경망, 즉 인공 지능(AI)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잘려나간 부분을 재현하여 전시되었다.[10] 이 재현은 원근법을 수정하고, 렘브란트가 사용한 색상과 붓놀림을 사용했다. 렘브란트의 잘린 그림은 3개월 동안 전시되었다.[11][12]

2019년 10월 복원 작업 중인 그림 (''야경 작전'')


이 그림은 오랫동안 어두운 바니시로 덮여 있어서 밤의 장면을 묘사하는 듯한 잘못된 인상을 주었다.[13]

1975년 복원에 대한 뉴스 영화 (네덜란드어)


'''세 차례의 훼손 사건'''

  • 1911년 1월 13일, 실직한 전직 해군 요리사가 구두 수선용 칼로 그림을 찢으려 했으나, 두꺼운 바니시 층 덕분에 손상을 입지 않았다.[14][15]
  • 1975년 9월 14일, 실직한 교사 빌헬루스 데 라이크가 빵칼로 공격하여 여러 개의 지그재그 칼자국을 냈으나, 4년 만에 복원되었다.[14]
  • 1990년 4월 6일, 정신과 환자가 산을 뿌렸으나, 보안 요원들의 빠른 대처로 바니시 층만 손상되고 완전히 복원되었다.[18]


2019년 7월, 복원 작업이 시작되었다. 복원은 공개적으로 진행되었으며,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송출되었다.

3. 작품 분석

《야경》은 세 가지 중요한 요소로 유명하다. 첫째, 거대한 크기(세로 363cm, 가로 437cm)이다. 둘째, 빛과 그림자의 효과적인 사용(키아로스쿠로)이다. 셋째, 당시에는 부동자세로 그려지던 군대나 자경단의 집단 초상화에 움직임의 요소를 도입한 것이다.

《야경》은 네덜란드 황금 시대의 절정기였던 1642년에 완성되었다. 이 그림은 시민대(조총수 조합에 의한 시민 자경단[32])가 출동하는 순간을 그리고 있다. 검은 옷에 대장의 표식인 붉은 장식띠를 비스듬히 걸친 프란스 반닝 코크 대장과, 노란 옷을 입은 빌럼 판 라위텐부르흐 부대장은 대를 이끌고 움직이려 하며, 그 주변에서는 총에 화약을 채우는 대원이나 총을 겨누는 대원이 총의 기량을 보이고, 고수가 드럼을 잡고, 뒤에서는 기수가 대기를 게양하고 있다. 일제히 사람들이 움직이기 시작하여 그 아래에서는 개가 짖어대고, 왼쪽에는 소년이 뛰어다니고 있다. 각 대원은 각각 다른 방향으로 몸을 향하고, 다양한 표정을 보여주며, 대원의 움직임이 교차하여 화면에 약동감을 만들어내고 있다.

통칭인 『야경』은 오랫동안 이 그림의 내용에 잘 맞는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이는 그림 표면이 갈색으로 변색된 데 따른 오해이다. 사실, 이 그림은 의 정경을 묘사하고 있다. 바닝 코크 가문에 보관되어 있던 이 그림의 소묘에는 다음과 같은 설명이 옆에 적혀 있어, 보다 적절한 제목의 단서가 되고 있다.

:''De jonge heer van Purmerland als Capitein geeft last aan zijnen Lietenant de heer van Vlaerdingen om sijn compaignie Burgers te doen marcheren'' (대장인 젊은 푸르메를란트 영주(바닝 코크)가 부대장인 플라르딩겐 영주(판 라우텐부르흐)에게 시민대의 행진을 명령한다)

3. 1. 등장인물

등장인물 이름이 적힌 표식




중앙에는 검은색 복장에 붉은색 요대를 띤 대장 프란스 반닝 코크와 황색 복장에 흰색 요대를 띤 중위 빌럼 반 루이텐부르크가 있다.[4] 그 뒤에는 민병대의 상징을 들고 있는 소위 얀 피셔 코르넬리센이 있다.

그림 속에는 총 34명의 인물이 등장하며, 이들의 이름은 1715년경 그려진 방패에 기록되어 있다.[5] 렘브란트는 그림 속에 자신을 그려 넣기도 했는데, 기수와 오른쪽 옆 인물 뒤에 있는 베레모를 쓴 인물이 바로 그이다.[31]

3. 2. 상징과 알레고리

렘브란트는 빛과 그림자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중앙의 대장과 부대장, 그리고 중앙 왼쪽 뒤의 소녀에게 시선을 집중시킨다. 렘브란트는 민병대(총병대)의 상징물을 그림 속에 자연스럽게 배치했다.[31]

노란 드레스를 입은 소녀는 민병대를 상징하는 마스코트와 같은 존재이다. 소녀가 허리에 찬 닭의 발톱은 조총수(clauweniers)를 상징한다. 죽은 닭은 쓰러뜨린 적을 상징하며, 노란색은 승리를 의미한다. 닭 뒤의 총 또한 조총대를 상징한다. 소녀는 자경단의 잔(고블릿)을 들고 있으며, 소녀 앞의 인물은 참나무 잎으로 장식된 투구를 쓰고 있는데, 이는 조총수의 전통적인 상징이다.[32]

4. 기술적 측면

렘브란트의 《야경》은 오랫동안 어두운 바니시 층으로 덮여 있어 밤의 장면을 묘사하는 듯한 오해를 받았다.[13] 1940년대에 바니시가 제거되면서 원래의 밝은 색채가 드러났다.[16]

국립 박물관은 2011년 10월 26일 《야경》을 위해 새롭고 지속 가능한 LED 조명을 설치했다. 새로운 LED 조명은 3,200 켈빈색온도를 가지며, 90이 넘는 연색 지수를 가지고 있어 그림의 복잡한 색상 팔레트의 미세한 뉘앙스를 표현하는 데 적합하다. 이를 통해 박물관은 에너지의 80%를 절약하고, 자외선과 열이 없어 그림에 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2020년 5월 13일, 국립미술관은 528장의 사진을 조합하여 44.8 기가픽셀에 달하는 《야경》의 초고해상도 이미지를 공개했다.[20] 이 이미지는 24행 22열로 배열된 사진들을 신경망 기술로 이어 붙여 만들었으며,[21] 과학자들은 이 이미지를 통해 그림을 원격으로 자세히 연구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손상 정도를 추적할 수 있게 되었다.

4. 1. 복원과 보존

이 그림은 오랫동안 어두운 바니시로 덮여 있어서 밤의 장면을 묘사하는 듯한 잘못된 인상을 주었다.[13] 1940년대에 바니시가 제거되면서 원래의 밝은 색채를 되찾았다.[16]

1911년 1월 13일, 실직한 구두 수선공이자 전직 해군 요리사였던 한 남자가 일자리를 찾을 수 없다는 것에 항의하며 구두 수선용 칼로 그림을 찢으려 했으나,[14][15] 두꺼운 바니시 층 덕분에 그림은 손상되지 않았다.[13]

1975년 9월 14일, 실직한 교사였던 빌헬루스 데 라이크가 빵칼로 작품을 공격하여 여러 개의 지그재그 칼자국을 냈지만,[14] 4년 만에 복원되었다. 다만, 가까이서 보면 손상의 흔적이 여전히 남아 있다. 정신 질환을 앓고 있던 데 라이크는 "주님을 위해 한 일"이라고 주장했으며,[14] 기소되기 전인 1976년 4월 자살했다.[17]

1990년 4월 6일, 탈출한 정신과 환자가 숨겨진 펌프 병으로 그림에 산을 뿌렸으나,[15] 보안 요원들이 개입하여 남자를 막고 재빨리 캔버스에 물을 뿌려 바니시 층만 손상되었고, 완전히 복원되었다.[18]

2019년 7월부터 대규모 복원 작업(''야경 작전'')이 시작되었다. 복원은 특별히 제작된 유리 울타리 안에서 공개적으로 진행되었으며,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송출되었다.[19] 타코 디비츠 국립 박물관장은 17년 동안 그곳에서 일했지만 그림의 상단을 본 적이 없다고 말하며, "우리는 [렘브란트]가 ''야경''을 어떻게 만들었는지에 대해 거의 아는 것이 없습니다."라고 덧붙였다.[19]

2021년, 컨볼루션 신경망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잘려나간 부분을 재현한 이미지가 공개되었다.[10] 이 재현은 게리트 런덴스의 사본을 바탕으로 원근법을 수정하고, 렘브란트가 사용한 색상과 붓놀림을 사용했다. 잘려나간 부분에는 중위들을 중앙에 배치했지만, 원래는 그들을 중앙에서 벗어나 배치하여, 현재 복원된 빈 공간으로 행진하게 하여, 그림 왼쪽으로 행진하는 군대의 역동성을 만들었다. AI가 유실된 부분을 재현한 렘브란트의 잘린 그림은 3개월 동안 전시되었다. 증강된 그림은 "관람객이 완전한 원본을 보고 있다고 속이는" 것을 피하기 위해 영구 전시되지 않을 것이며, 증강은 예술가의 해석이 아닌 과학적인 해석이다.[11][12]

4. 2. 조명

국립 박물관은 2011년 10월 26일에 《야경》을 위해 새롭고 지속 가능한 LED 조명을 공개했다. 이 새로운 기술을 통해 LED 조명으로 그림의 복잡한 색상 팔레트의 미세한 뉘앙스를 표현할 수 있게 된 것은 처음이다.

새로운 조명은 3,200 켈빈색온도를 가진 LED 조명을 사용하며, 이는 텅스텐 할로겐과 같은 따뜻한 백색 광원과 유사하다. 이 조명은 90이 넘는 연색 지수를 가지고 있어 《야경》과 같은 유물 조명에 적합하다. 새로운 LED 조명을 사용함으로써 박물관은 에너지의 80%를 절약하고, 자외선과 열이 없어 그림에 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4. 3. 디지털 이미지

2020년 5월 13일, 국립미술관은 528장의 사진을 조합하여 44.8 기가픽셀에 달하는 《야경》의 초고해상도 이미지를 공개했다.[20] 이 이미지는 24행 22열로 배열된 사진들을 신경망 기술로 이어 붙여 만들었다.[21] 과학자들은 이 이미지를 통해 그림을 원격으로 자세히 연구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손상 정도를 추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일반인들도 온라인에서 그림의 세밀한 부분까지 확대하여 감상할 수 있다.

5. 문화적 영향


  • 모리스 메를로퐁티는 1961년 에세이 "눈과 마음"에서 이 작품을 언급하며, 선장의 공간성이 양립할 수 없는 두 시선의 만남에 놓여 있다고 썼다.[22]
  • 구스타프 말러교향곡 7번 2악장, Ayreon의 "유니버설 마이그레이터 파트 1: 드림 시퀀서"의 "프란스 B. 코크 선장의 사격대", 킹 크림슨의 1974년 앨범 ''스타리스 앤 바이블 블랙''의 노래 "나이트 워치" 등 고전 및 록 음악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알렉산더 코르다의 1936년 전기 영화 ''렘브란트''에 등장한다.
  • 장 뤽 고다르의 1982년 영화 ''정열''에서 라이브 배우들을 통해 재현된다. 고다르는 자신의 영화를 렘브란트의 그림과 비교하며, 둘 다 "구멍으로 가득하고 제대로 채워지지 않은 공간"이라고 묘사했다.
  • 1995년 영화 ''나이트 워치''에서 주요 플롯 장치로 사용되었으며, 그림의 도난 사건을 다룬다.
  • 테리 프래쳇의 2002년 동명의 책 영국 표지에서 패러디되었다.
  • 피터 그리너웨이 감독의 2007년 영화 ''나이트워칭''과 2008년 영화 ''렘브란트의 J'Accuse''에서 그림의 숨겨진 의미와 음모론을 다룬다. 그리너웨이는 ''야경''을 서구 세계에서 ''모나리자'', ''최후의 만찬'', 시스티나 성당 천장에 이어 네 번째로 유명한 그림이라고 묘사한다.
  • 2006년 포르투갈 작가 아구스티나 베사 루이스의 문학 작품 ''A Ronda da Noite''에 영감을 주었다.[25]
  • ''어메이징 레이스 21''에서 암스테르담의 과제로 라이브 배우를 사용하여 ''야경''을 재현하는 미션이 등장했다.[26]
  • 넷플릭스 드라마 ''센스8'' 시즌 2 에피소드 3에 등장한다.[27]
  • 대한민국 텔레비전 드라마 ''도깨비'' 5화에서 도깨비/김신(공유)의 미술품 컬렉션으로 등장했다.
  • 2022년 비디오 게임 ''호라이즌 포비든 웨스트''에서 틸다 반 데르 미어의 미술 금고에 등장했다.
  • 피터 그리너웨이의 영화 "렘브란트의 야경"(2007년)에서 렘브란트가 시민 자경단원들의 스캔들을 고발하기 위해 "야경"을 그린 것으로 묘사된다.

6. 한국과의 관련성

2016년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도깨비'' 5화에서 도깨비/김신(공유)의 미술품 소장품으로 등장하여 한국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27]

참조

[1] 웹사이트 "Militia Company of District II under the Command of Captain Frans Banninck Cocq'" https://www.rijksmus[...]
[2] 웹사이트 The Night Watch, Rembrandt van Rijn, 1642 https://www.rijksmus[...] 2023-10-12
[3] 서적 Rembrandt's Holland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21-10-18
[4] 간행물 De Amsterdamsche Schutters-stukken in en buiten het nieuwe Rijksmuseum http://www.jhna.org/[...] Oud Holland 1886-01-01
[5] 뉴스 Rembrandt's Night Watch Unravelled: Identity of All the Militiamen Are Finally Revealed http://www.artdaily.[...] 2013-02-19
[6] 웹사이트 Cut it Off – From the series Operatie Nachtwacht https://www.rijksmus[...] 2021-06-24
[7] 웹사이트 Kopie naar De Nachtwacht, Gerrit Lundens (toegeschreven aan), ca. 1642 - ca. 1655 https://www.rijksmus[...] 2023-10-31
[8] 웹사이트 The Company of Captain Banning Cocq ('The Nightwatch') http://www.nationalg[...] National Gallery 2013-02-19
[9] 웹사이트 De Kluis – national World War II treasure room https://web.archive.[...] 2018-10-18
[10] 웹사이트 Artificial Intelligence – From the series Operatie Nachtwacht https://www.rijksmus[...] 2021-06-24
[11] 뉴스 AI helps return Rembrandt's The Night Watch to original size https://www.theguard[...] 2021-06-23
[12] 웹사이트 Missing Pieces – From the series Operatie Nachtwacht https://www.rijksmus[...] 2021-06-24
[13] 서적 The World of Rembrandt: 1606-1669 https://archive.org/[...] Time-Life Books 1968
[14] 뉴스 Rembrandt's 'The Night Watch' Slashed https://www.nytimes.[...] 2018-10-17
[15] 웹사이트 Art attack: Famous works vandalised https://www.bbc.com/[...] 2023-05-31
[16] 웹사이트 16 Things You Might Not Know About Rembrandt's The Night Watch https://www.mentalfl[...] 2021-07-11
[17] 뉴스 "[?] Who Slashed Rembrandt Painting Reported a Suicide" https://www.nytimes.[...] 1976-04-22
[18] 뉴스 Rembrandt's 'Night Watch' Painting Vandalized https://www.latimes.[...] 2013-02-19
[19] 웹사이트 "'Like a military operation': restoration of Rembrandt's Night Watch begins" https://www.theguard[...] 2019-07-05
[20] 웹사이트 Ultra high resolution photo https://www.rijksmus[...] 2022-01-04
[21] 웹사이트 Most detailed ever photograph of The Night Watch – From the series Operatie Nachtwacht https://www.rijksmus[...] 2021-06-24
[22] 웹사이트 Night Watch (Terry Pratchett) Easter Egg - Night Watch Cover https://eeggs.com/it[...] 2021-02-27
[23] 웹사이트 BBC - h2g2 - Paul Kidby - Discworld Illustrator - A912593 http://news.bbc.co.u[...]
[24] 웹사이트 Book:Night Watch - Discworld & Terry Pratchett Wiki https://web.archive.[...] 2014-09-07
[25] 웹사이트 A Ronda da Noite - Livro - WOOK https://www.wook.pt/[...] 2021-02-27
[26] 웹사이트 "'The Amazing Race' eliminates Racers Abbie Ginsberg and Ryan Danz" https://www.realityt[...] 2020-12-03
[27] 뉴스 The Sense8 Season-Two Trailer Is an Action-Packed Lecture on Rembrandt https://www.vulture.[...] 2017-05-06
[28] 웹사이트 About NW3D http://www.nightwatc[...] nightwatch3d.com 2013-02-19
[29] AV media Onze helden zijn terug! https://www.youtube.[...] ING Nederland 2021-10-05
[30] 웹사이트 "www.meinbezirk.at: Matthias Laurenz Gräff, 15 Jahre Diplom-Jubiläum zum Akademischen Maler" https://www.meinbezi[...] 2023-11-29
[31] 문서 Ernst van de Wetering: Rembrandts verborgen zelfportretten. Rembrandt’s Hidden Self-portraits. In: Kroniek van het Rembrandthuis 2002, Nr. 1–2, S. 1–44, ZDB-ID 801386-X
[32] 문서 自警団員は、16世紀以降に普及した火縄銃(アーキバス、arquebus)にちなんで火縄銃手(Arquebusiers、アルケブス銃兵)と呼ばれていた。
[33] 웹사이트 http://www.nationalg[...]
[34] 웹사이트 レンブラントの《夜警》、300年ぶりに本来の姿に。AIで欠損部分を復元 https://bijutsutecho[...] 2021-06-26
[35] 문서 위레ム・판・라이덴ブルフ 부대장은 키가 작기 때문에 추가 요금을 내고 키가 크게 그리도록 의뢰했다. 그러나 구도의 사정으로 반대로 더욱 낮게 그려져 얼굴도 절반 밖에 그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불만을 토로했다고 한다.
[36] 서적 欲望の美術史 光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