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황금 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덜란드 황금 시대는 17세기에 네덜란드가 경제, 과학, 군사, 예술,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번영을 누린 시기를 지칭한다. 네덜란드는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한 후, 프로테스탄트 윤리, 저렴한 에너지원, 기업 금융의 발달,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경제적 번영을 이루었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와 서인도 회사를 통해 무역을 장악하고 식민 제국을 건설했으며, 과학과 예술 분야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네덜란드의 노예제도 개입과 관련된 논란으로 인해 "황금 시대"라는 용어 사용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네덜란드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합스부르크 네덜란드는 1482년부터 1795년까지 현재의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부르고뉴 공작령 상속으로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나 스페인의 가톨릭 박해와 전제정치로 80년 전쟁을 겪으며 북부 7개 주는 독립하고 남부 지역은 합스부르크의 지배를 받았다. - 17세기 네덜란드 - 네덜란드 황금시대 회화
네덜란드 황금시대 회화는 17세기 네덜란드에서 칼뱅주의 영향으로 종교화 비중이 낮아진 대신 풍속화, 풍경화, 정물화 등 다양한 장르가 발전하고 렘브란트, 할스, 베르메르 등 대표 화가들이 등장하여 사실적인 묘사와 섬세한 표현 기법으로 후대에 큰 영향을 미친 미술 작품들을 지칭한다.
네덜란드 황금 시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시기 | 1588년 - 1672년 |
지역 | 네덜란드 공화국 |
주요 도시 | 암스테르담 레이던 델프트 하를럼 |
정치 | |
정치 체제 | 공화국 |
통치 기구 | 총독, 연합주 의회 |
사회 | |
사회 계층 | 상인 계층, 칼뱅주의자 |
경제 | |
경제 특징 | 무역 중심, 해상 무역, 상업 발전 |
주요 산업 | 조선업 어업 무역 금융업 |
문화 | |
문화 특징 | 미술, 과학, 문학 발전 |
미술 | 회화 발달, 렘브란트, 요하네스 베르메르 등 활동 |
과학 | 현미경 발명 등 과학 기술 발전 |
철학 | 르네 데카르트, 바뤼흐 스피노자 등 영향 |
종교 | 칼뱅주의 중심, 종교적 관용 정책 |
군사 | |
주요 전쟁 | 80년 전쟁, 영국-네덜란드 전쟁 |
역사 | |
주요 사건 | 네덜란드 독립 전쟁 베스트팔렌 조약 |
종말 | 람페르트의 해,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발발 |
관련 인물 | |
화가 | 렘브란트 요하네스 베르메르 프란스 할스 얀 스테인 |
과학자 |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안톤 판 레이우엔훅 얀 스왐머담 |
철학자 | 르네 데카르트 바뤼흐 스피노자 |
작가 | 피터르 코르넬리스존 호프트 요스트 판 덴 폰델 |
기타 | |
영향 | 유럽 문화, 경제, 과학 발전에 큰 영향 |
2. 역사적 배경
1568년, 훗날 유트레히트 동맹(Unie van Utrechtnl)에 서명한 7개 주가 필리페 2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켜 80년 전쟁이 시작되었다. 이 전쟁은 네덜란드 황금 시대의 중요한 역사적 배경이 된다.[4]
2. 1. 80년 전쟁과 독립
1568년, 훗날 유트레흐트 동맹(Unie van Utrechtnl)에 서명한 7개 주가 필립 2세에 대한 반란을 시작하여 80년 전쟁으로 이어졌다.[4] 저지대 국가들이 완전히 재정복되기 전에 잉글랜드와 스페인 간의 전쟁인 1585-1604년 잉글랜드-스페인 전쟁이 발발했다.[5] 잉글랜드의 개입은 스페인군이 진격을 중단하게 만들었고, 중요한 무역 도시인 브뤼헤와 겐트를 장악하게 했지만, 당시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항구였던 앤트워프는 장악하지 못했다. 1585년 8월 17일 앤트워프 포위 후 함락되었고, 북부와 남부 네덜란드(대부분 현대 벨기에) 사이의 분열이 확립되었다.연합 주(대략 오늘날의 네덜란드)는 적대 행위를 종식시키지 못한 12년 휴전까지 싸웠다.[6] 80년 전쟁과 다른 유럽 강대국들 사이의 30년 전쟁을 종식시킨 1648년의 베스트팔렌 조약은 네덜란드 공화국에 스페인 왕관으로부터의 공식적인 승인과 독립을 가져다주었다.[7][8]
2. 2. 숙련 노동자들의 이주

브뤼헤, 겐트, 안트베르펜 항구 도시들의 숙련된 장인들과 부유한 상인들 사이에서 프로테스탄트들이 두드러졌다. 1585년 안트베르펜 항복 조건에 따라, 프로테스탄트 주민들은 (개종을 거부하는 경우) 도시와 합스부르크 영토를 떠나기 전에 4년 동안 자신의 일을 정리할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9][40] 다른 곳에서도 비슷한 조치가 취해졌다.
1585년에서 1630년 사이에 북쪽으로 이주한 프로테스탄트가 남쪽으로 이주한 가톨릭보다 많았지만, 가톨릭 신자들의 이동도 상당했다. 북쪽으로 이주한 사람들 중 다수는 암스테르담에 정착하여, 작은 항구였던 암스테르담을 1630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항구이자 상업 중심지 중 하나로 변모시켰다.
남부 네덜란드에서 북부 네덜란드로 대규모 이주한 프로테스탄트 원주민 외에도, 종교 박해를 피해 이전에 도망친 외국 난민들도 유입되었다. 특히 포르투갈과 스페인 출신의 세파르디 유대인들과, 후에는 프랑스의 프로테스탄트들이 있었다. 청교도 조상들도 신대륙으로의 항해 전에 암스테르담에 머물렀다.
3. 경제적 번영
네덜란드의 경제적 번영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결과였다.
칼뱅주의에 기반한 프로테스탄트 윤리는 검소함과 교육을 장려하여 낮은 이자율과 높은 읽기 능력을 가져왔다. 풍부한 자본은 함대와 다양한 상품 재고 유지에 기여하여 가격 안정과 이윤 창출에 도움이 되었다.[10] 풍차와 이탄에서 얻는 값싼 에너지는 제재소 발명을 통해 대규모 함대 건조를 가능하게 했다.[11]
1602년 주식회사 형태의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 설립과 암스테르담 증권거래소 설립은 기업 금융 발전을 이끌었다. VOC는 아시아 무역 독점권을 통해 17세기 세계 최대 상업 기업이자 최초의 다국적 기업이 되었고,[43] 1609년 암스테르담 은행 설립은 초기 중앙은행 역할을 수행했다.[43]
동서 및 남북 무역로 교차점이라는 지리적 이점과 라인강을 통한 내륙 연결은 무역에 유리했다. 네덜란드 상인들은 발트해 연안과 지중해 주변 국가 간 무역을 주도했고, 북아메리카 신생 영국 식민지와의 무역, 스페인과의 무역도 번창했다.[17]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와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WIC)는 향신료 무역 독점권을 획득하고 해상 무역을 지배했다. 브라질, 카리브 제도,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 식민지를 건설했으나, 식민 지배 과정에서 원주민 학살과 노예 무역 등 끔찍한 탄압이 자행되었다.[9] 1640년부터 나가사키 항(長崎) 데지마(出島) 무역 거점을 통해 일본과의 무역을 독점했다.[42] 란가쿠(蘭学)를 통해 산업혁명과 과학기술혁명 지식을 일본에 전달하는 데 기여했다.[42]
3. 1. 프로테스탄트 윤리
로널드 핀들레이와 케빈 H. 오루크는 네덜란드의 부상에 기여한 요인 중 일부가 칼뱅주의에 기반한 프로테스탄트 윤리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이 윤리는 검소함과 교육을 장려했으며, 이는 "유럽에서 가장 낮은 이자율과 가장 높은 읽기 능력을 가져왔다. 풍부한 자본 덕분에 인상적인 부를 유지할 수 있었는데, 이는 거대한 함대뿐 아니라 다양한 상품의 풍부한 재고에 구체적으로 나타났다. 이 재고는 가격을 안정시키고 이윤 기회를 활용하는 데 사용되었다."[10]
3. 2. 저렴한 에너지원
이 시기 네덜란드의 무역, 산업, 예술, 과학 발전에는 여러 요인이 기여했다. 필수적인 조건은 풍차와 이탄으로부터 얻는 값싼 에너지 공급이었는데, 이는 운하를 통해 도시로 쉽게 운반되었다. 풍력 제재소의 발명[11]은 전 세계 무역과 공화국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군사 방위를 위한 대규모 함대 건조를 가능하게 했다.
3. 3. 기업 금융의 탄생
1602년, 주식회사 형태의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가 설립되어 암스테르담 증권거래소를 설립했다. VOC는 아시아 무역에 대한 네덜란드의 독점권을 획득하여 2세기 동안 유지되었으며, 17세기 세계에서 가장 큰 상업 기업이 되었다.[43] VOC는 세계 최초의 다국적 기업이었다.[43] 1609년 암스테르담 은행 설립은 초기 중앙은행의 역할을 수행했다.[43]3. 4. 지리적 이점
네덜란드는 동서 및 남북 무역로의 교차점이라는 유리한 위치에 있었고, 라인강을 통해 독일 내륙과 연결되어 있었다. 네덜란드 상인들은 프랑스와 포르투갈에서 와인을 발트해 연안으로 운송하고 곡물을 가져와 지중해 주변 국가로 가져갔다. 1680년대까지 매년 평균 1000척에 가까운 네덜란드 선박이 발트해로 들어와 쇠퇴하는 한자 동맹의 시장과 무역을 했다.[17] 네덜란드는 북아메리카의 신생 영국 식민지와의 무역 대부분을 장악했고, 1648년 스페인과의 전쟁이 끝난 후 스페인과의 무역도 번창했다.3. 5. 네덜란드 제국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와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WIC)는 향신료 무역 독점권을 획득하고, 세계 해상 무역을 지배했다. 영국과의 경쟁은 영국-네덜란드 전쟁으로 이어졌다. 네덜란드는 브라질, 카리브 제도,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 식민지를 건설했다. 식민 지배 과정에서 원주민 학살과 노예 무역 등 끔찍한 탄압이 자행되었다. (예: 1621년 얀 피터르손 코엔의 반다 제도 주민 학살)[9]3. 6. 일본과의 무역 독점
1640년, 나가사키 항(長崎湾)에 있는 섬 데지마(出島)의 무역 거점을 통해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는 일본과의 무역을 독점했다. 네덜란드는 중국과 일본과 무역을 하고, 쇼군(将軍)에게 조공을 바쳤다.[42] 1854년까지 네덜란드는 일본이 서양과 교류하는 유일한 통로였다. 유럽에서 도입된 과학적 지식은 일본에서 "란가쿠(蘭学)"로 알려졌다. 네덜란드는 당시 유럽에서 일어난 산업혁명과 과학기술혁명의 지식을 일본에 전달하는 데 기여했다. 일본은 네덜란드로부터 많은 과학 서적을 구입하거나 번역하여 서양 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시계 등의) 공산품을 얻었고, (19세기의 전기 현상이나 기구 등의) 다양한 서양 발명품의 시연을 일본에서 실시했다.[42] 17세기와 18세기, 네덜란드는 유럽에서 가장 경제적으로 풍요롭고 과학적으로 발전된 국가였으며, 이를 통해 일본에 서양의 지식을 전달하는 특권적인 위치를 얻게 되었다.[42]4. 유럽의 강대국으로 부상
네덜란드는 유럽 국가들 간의 무역도 지배했다. 저지대 국가들은 동서와 남북의 무역 루트가 교차하는 곳이자 라인강을 통해 광대한 독일 내륙으로 연결되는 유리한 위치에 있었다. 네덜란드 상인들은 프랑스와 포르투갈에서 발트해 지역으로 와인을 수송하고, 지중해 주변 국가들로 향하는 곡물을 싣고 돌아오며 중개 무역을 통해 이익을 얻었다. 1680년대에는 매년 평균 약 1000척의 네덜란드 선박이 발트해로 들어갔으며[44], 쇠퇴해 가던 한자 동맹의 시장과 무역을 장악했다. 네덜란드는 초기 단계에 있던 북미의 영국 식민지와의 무역 지배권도 얻을 수 있었다. 1648년 스페인과의 전쟁이 종결된 후, 네덜란드와 북미 영국 식민지와의 무역도 번영했다.
5. 사회 구조
17세기 네덜란드에서 사회적 지위는 주로 소득에 따라 결정되었다. 토지 귀족은 대부분 내륙 주에 거주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았고, 도시의 상인 계급이 네덜란드 사회를 지배했다. 성직자는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모두 세속적인 영향력이 크지 않았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스페인과의 80년 전쟁 발발 이후, 다소 억압받고 있었다. 신흥 프로테스탄트의 동향은 가톨릭 교회 영역보다 더 넓은 지역을 사회적으로 지배했지만, 분열되어 있었다.[18]
귀족이 사회적 지위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 반대로, 부유한 상인들은 지주가 되거나, 문장이나 가문을 얻음으로써 스스로에게 고귀함을 더했다. 귀족들도 재정적인 이유로 다른 계층과 교류했고, 자신의 딸을 부유한 상인에게 시집보내거나, 스스로 상인이 되거나, 관공서나 군의 직책을 맡기도 했다. 상인들 또한 관공서를 더 큰 경제력과 특권의 수단으로 여기기 시작했다. 대학은 관청에 들어가기 위한 길이 되었다. 부유한 상인이나 귀족들은 아들을 유럽으로 이른바 그랜드 투어에 보냈다. 종종 가정교사(과학자라면 더욱 좋았다)를 동반시켜, 젊은이들은 여러 유럽 국가의 대학을 방문했다. 이러한 상류 계급과 귀족의 상호 교류는 17세기 후반에 특히 두드러졌다.[19]
노동자와 작업원들은 일반적으로 다른 유럽 국가들보다 많은 임금을 받았고, 세금도 높았지만, 비교적 높은 생활 수준을 누렸다. 농민들은 주로 시민과 선원을 부양하는 현금 작물을 팔아 번영했다.
5. 1. 계층 구조
귀족과 파트리시안 다음으로 부유한 중산층은 프로테스탄트 목사, 변호사, 의사, 소규모 상인, 산업가 및 대규모 국가 기관의 서기관 등으로 구성되었다.[19] 더 낮은 지위에는 농민, 수공업자, 상인 및 정부 관료들이 있었다. 그 아래에는 숙련 노동자, 하녀, 종, 선원 및 서비스업 종사자들이 있었다.[19] 피라미드의 맨 아래에는 "빈민"이 있었는데, 이들은 빈곤한 농민으로 대다수가 도시에서 거지나 일용직 노동자로 운을 시험했다.5. 2. 여성의 역할
17세기 네덜란드 가정에서 여성의 중심적인 역할은 가정과 가사일에 집중되어 있었다.[20] 네덜란드 문화에서 가정은 외부 세계의 기독교적 미덕 부족과 부도덕함으로부터 안전한 피난처로 여겨졌다.[21] 또한 가정은 네덜란드 공화국의 축소판을 나타냈는데, 이상적인 가정의 원활한 운영은 정부의 상대적 안정과 번영을 반영했다.[21] 가정은 네덜란드 사회의 공공 생활에 필수적인 부분이었다. 지나가는 사람들은 특정 가족의 부와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장식된 네덜란드 가정의 현관을 쉽게 볼 수 있었다. 가정은 또한 이웃, 친구, 친척들이 교류하는 장소였으며, 17세기 네덜란드 시민들의 사회 생활에서 그 중요성을 더욱 공고히 했다.[21]
네덜란드 가정의 물리적 공간은 성별에 따라 구분되었다. 집 앞에는 남성들이 'Voorhuis'라고 알려진 작은 공간에서 일하거나 사업을 할 수 있었던 반면, 여성들은 부엌과 개인 가족실과 같은 집의 거의 모든 다른 공간을 통제했다.[22] 남편과 아내 사이의 권력 영역은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었지만(남편은 공공 영역에서 권위를 가지고, 아내는 가정과 사적 영역에서 권위를 가졌다), 17세기 네덜란드 사회의 여성들은 여전히 자신의 통제 영역 내에서 광범위한 자유를 누렸다.[20][21] 미혼 여성들은 연인과 구혼자들과 다양한 자유를 누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고, 기혼 여성들은 매춘굴을 드나드는 남편을 공개적으로 망신시킬 권리를 누렸다. 또한 기혼 여성은 성적 접촉이 매독이나 다른 성병의 전염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증거나 이유가 있는 경우 남편의 성적 욕구를 합법적으로 거부할 수 있었다.[20][21] 네덜란드 여성들은 또한 남성들과 함께 성찬식에 참여할 수 있었고, 미망인들은 재산을 상속받고 자신의 재정과 남편의 유언장을 관리할 수 있었다.[21] 그러나 여성의 권위 영역은 여전히 주로 가사일에 있었지만, 역사적 증거에 따르면 아내가 가족 사업에서 상당한 통제권을 유지한 경우도 있었다.[20] 여성과 아내에게 가사의 여러 측면을 지시하는 남성이 쓴 안내서는 많이 유포되었는데, 그중 가장 인기 있는 것은 야코프 캣츠의 ''Houwelyck''이다.[22] 수많은 17세기 네덜란드 풍속화에서 알 수 있듯이, 여성이 수행하는 가장 중요한 가사에는 하녀 감독, 요리, 청소, 바느질, 방적이 포함되었다.[22][23]

당시 예술과 문학에서 보듯이, 미혼 여성은 정숙함과 성실함을 유지하는 데 가치를 두었는데, 이 시기는 여성의 삶에서 가장 불안정한 시기로 여겨졌다.[20] 어린 시절부터 시민 계급 여성들은 어머니에게서 독서를 포함한 다양한 가사 관련 업무를 배우며 주부로서의 삶을 준비했다.[20] 당시 네덜란드 미술은 미혼 여성이 구혼과 같은 상황에서 스스로를 처신해야 하는 이상적인 모습을 보여주는데, 일반적으로 정원이나 자연, 음악 수업이나 파티, 바느질, 연애 편지 수신과 관련된 주제가 포함되었다.[22] 그러나 풍속화와 페트라르카적 시가 주장하는 젊은 여성의 이상은 현실을 반영하지 못했다. 여행자들의 기록은 젊은 여성들이 구혼 영역에서 누렸던 다양한 자유를 보여준다. 젊은 여성을 방치하는 결과에 대한 칼뱅주의 설교의 만연은 젊은 사랑 문제에 대한 부모의 감독 부족이라는 일반적인 경향을 말해준다.[20]
네덜란드 작가인 야코프 캣츠 등은 당시 유행하던 결혼에 대한 대중적 의견을 반영했다. 그와 다른 문화 권위자들은 칼뱅주의 이상에 영향을 받았는데, 이 이상은 부부 간의 평등을 강조하고, 동반자 관계를 결혼의 주된 이유로 여기며, 생식은 그 동반자 관계의 단순한 결과로 간주했다.[20] 그러나 여성을 약한 존재로 보는 비평등적인 사상도 여전히 존재했고, 거북이의 이미지는 양성의 분리된 영역과 강점을 표현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20] 여성은 하녀 감독, 요리, 청소, 바느질 외에도 시장에 가서 식료품을 직접 사는 등 가사에 대한 어느 정도의 재정적 통제를 유지하도록 장려받았다.[20]
네덜란드 문화에서는 모성과 어머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다. 어머니는 모유 수유를 권장받았는데, 젖먹이를 사용하면 어머니와 아이 사이의 유대감이 형성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네덜란드 사람들은 어머니의 젖은 원래 자궁에 있던 피에서 나온 것이며, 그러한 물질을 유아에게 먹이면 생리적 및 건강상의 이점도 얻을 수 있다고 믿었다.[20] 17세기 네덜란드 사회에서는 아이들이 처음으로 집에서 종교를 배우기 시작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따라서 여성들은 남편과 함께 식사 시간을 이용하여 종교적 주제에 대해 논의하고 기도에 집중했다.[20]
17세기 네덜란드 문화는 특히 노년 여성에 대한 상반된 태도를 유지했다. 일부 네덜란드 작가들은 노년을 삶에서 죽음으로의 시적인 전환으로 이상화했다. 다른 작가들은 노화를 최종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질병으로 간주했으며, 어떤 작가들은 노인들을 지혜롭고 최고의 존경을 받을 만한 사람들로 칭찬했다.[20] 그러나 노년 여성과 미망인을 위한 행동에 관한 논문들은 그들의 본질적인 지혜가 아니라 경건함을 유지하고, 절제를 실천하고, 비교적 은둔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20][21] 다른 유럽 예술 전통과 달리 네덜란드 예술은 노년 여성을 혐오스럽거나 기괴한 존재로 묘사하는 경우가 거의 없고, 오히려 젊은 세대 여성들이 존경할 만한 경건하고 순수한 인물로 숭배했다.[21]
6. 종교
칼뱅주의는 네덜란드 공화국의 국교였지만, 주변 국가들에 비해 관용적인 국가였다. 그러나 부와 사회적 고위 지위는 거의 독점적으로 프로테스탄트가 소유하고 있었다. 17세기 초, 엄격한 칼뱅주의자들과 더 관용적인 프로테스탄트인 렘온스트란트파 사이에 격렬한 논쟁이 벌어져 나라를 분열시켰다. (반렘온스트란트파로 알려진) 교리적 적대자들은 도르트 회의(1618년 – 1619년)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지만, 렘온스트란트파는 예정설을 부정하고 양심의 자유를 옹호했다.
에라스무스(1466년경 – 1536년)가 주요 제창자였던 르네상스 인문주의도 확고한 기반을 가지고 관용적인 풍토의 일부 요소를 이루고 있었다. 80년 전쟁에서 종교가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가톨릭에 대한 관용을 내세우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지만, 불관용적인 의지는 돈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가톨릭은 비밀 집회(눈에 띄지 않는 교회 기능을 하는 집)에서 의식을 거행할 특권을 구입할 수 있었지만, 관공서에서 직책을 얻는 것은 불가능했다.
전반적으로 네덜란드의 관용성은 다른 나라에서 온 종교적 난민, 특히 부를 지닌 포르투갈 출신 유대인 상인들을 끌어들였다. 1685년 프랑스의 낭트 칙령 폐지로 상인이나 과학자 등 많은 프랑스 위그노 이민자들이 발생했다. 하지만 철학자 스피노자(1632년 – 1677년) 등 일부는 사회적 불명예로 인해 이주했다.
6. 1. 종교적 관용
칼뱅주의는 네덜란드 공화국의 국교였지만, 통일성이 존재했던 것은 아니다. 네덜란드는 이웃 국가들에 비해 관용적인 국가였으나, 부와 사회적 지위는 거의 전적으로 프로테스탄트에게 속해 있었다. 유트레히트와 고우다와 같이 주로 가톨릭 배경을 가진 도시들은 황금 시대의 혜택을 누리지 못했다. 프로테스탄트 도시들에서도 신앙의 통일성은 표준과는 거리가 멀었다. 17세기 초, 엄격한 칼뱅주의자들과 레몬스트란트로 알려진 프로테스탄트들 사이의 격렬한 논쟁은 국가를 분열시켰다. 레몬스트란트들은 예정론을 부인하고 양심의 자유를 옹호한 반면, 그들의 더 교리적인 적대자들(반레몬스트란트로 알려짐)은 도르트 종교회의(1618-19)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 다양한 종파들은 종교적 불관용을 비실용적으로 만드는 데 기여했을 수 있다.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약 1466-1536)가 중요한 옹호자였던 르네상스 인문주의도 굳건한 발판을 마련했고, 부분적으로 관용의 분위기에 책임이 있었다.
가톨릭에 대한 관용은 유지하기가 쉽지 않았는데, 종교는 스페인에 대한 80년 전쟁(정치적 및 경제적 자유가 또 다른 중요한 동기였음)에서 독립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관용적인 성향은 돈으로 극복될 수 있었다. 따라서 가톨릭 신자들은 비밀 예배소(눈에 띄지 않게 교회로 사용되는 집)에서 예배를 드릴 특권을 살 수 있었지만, 공직은 불가능했다. 가톨릭 신자들은 가장 큰 단일 종파 중 하나였음에도 불구하고 각 도시의 자체 지역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가톨릭 화가 요하네스 페르메이르는 델프트 도시의 "교황주의자 코너"에 살았다. 재침례파와 유대인에게도 마찬가지였다.
전반적으로 네덜란드는 다른 나라에서 온 종교 난민, 특히 많은 부를 가져온 포르투갈의 유대인 상인들을 끌어들일 만큼 충분히 관용적이었다. 1685년 프랑스의 낭트 칙령 폐지는 많은 프랑스 위그노들의 이민으로 이어졌는데, 그들 중 많은 수가 상인이나 과학자였다. 그러나 바뤼크 스피노자(1632-1677) 철학자와 같은 일부 인물은 사회적 낙인을 경험했다.
7. 과학
관용적인 지적 분위기 덕분에 네덜란드 공화국은 유럽 전역의 과학자들과 사상가들을 불러들였다.[24] 특히, 명성 높은 라이덴 대학교는 지식인들의 모임 장소가 되었다.
네덜란드 변호사들은 국제 해상법과 상법에 대한 지식으로 유명했다. 휴고 그로티우스(1583-1645)는 국제법의 기초를 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자유로운 바다" 또는 ''Mare liberum''이라는 개념을 발명했는데, 이는 세계 무역 지배를 위한 네덜란드의 주요 경쟁국인 영국의 강력한 반발을 받았다. 그는 또한 그의 책 ''전쟁과 평화의 법칙에 관하여''에서 국가 간 갈등에 대한 법률을 공식화했다.
크리스티안 하위헌스(1629-1695)는 천문학자, 물리학자, 수학자였다. 그는 진자 시계를 발명하여 정확한 시간 측정에 중요한 발전을 이루었다. 그의 천문학 공헌 중에는 토성의 행성 고리에 대한 설명이 있다.[25] 안토니 반 레벤후크는 최초로 현미경으로 생명체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박테리아를 묘사하여 미생물학 분야의 기초를 마련했다.[26]
얀 리흐워터(1575-1650)는 네덜란드의 바다와의 끊임없는 싸움에서 중요한 승리를 거두었다.
7. 1. 지식인들의 중심지
네덜란드 공화국은 관용적인 지적 분위기 덕분에 유럽 전역의 과학자들과 사상가들을 끌어들였다.[24] 특히, 빌럼 오란여가 80년 전쟁 동안 스페인에 대한 라이덴의 강력한 저항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1575년에 설립한 라이덴 대학교는 지식인들의 모임 장소가 되었다.체코의 교육자이자 작가인 얀 아모스 코메니우스는 교육 이론으로 유명했지만, 17세기 체코 프로테스탄티즘의 선구자이기도 했다. 반종교개혁을 피해 네덜란드 공화국으로 이주했고 노르트홀란트주 나르던에 묻혔다. 코메니우스는 라우렌스 더 게르의 초청을 받아 암스테르담을 방문했고, 그곳에서 생애 마지막 14년(1656-1670)을 보냈다. 그는 그곳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들을 출판했는데, 총 43권으로 그의 총 저술량의 절반에 해당한다.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르네 데카르트(1596-1650)는 1628년부터 1649년까지 네덜란드에 살았다. 그는 암스테르담과 라이덴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들을 출판했다. 또 다른 프랑스 출신 철학자인 피에르 베이유는 1681년 프랑스를 떠나 네덜란드 공화국으로 갔고, 로테르담 명문학교에서 역사와 철학 교수가 되었다. 그는 1706년 사망할 때까지 로테르담에 살았다.[24] 버트런드 러셀은 그의 저서 ''서양철학사''(1945)에서 "그는 [데카르트] 20년 동안(1629-49) 네덜란드에 살았고, 프랑스를 몇 차례 짧게 방문하고 영국을 한 번 방문했는데, 모두 업무 때문이었다. 17세기 네덜란드의 중요성을 과장해서 말할 수 없다. 그곳은 사색의 자유가 있는 유일한 나라였기 때문이다."라고 언급했다.[24]
7. 2. 과학적 업적
네덜란드 공화국은 관용적인 지적 분위기 덕분에 유럽 전역의 과학자들과 사상가들을 끌어들였다. 특히 라이덴 대학교는 지식인들의 모임 장소가 되었다.[24] 휴고 그로티우스는 국제법의 기초를 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4] 그는 "자유로운 바다"(''Mare liberum'')라는 개념을 발명했고, 그의 저서 ''전쟁과 평화의 법칙에 관하여''에서 국가 간 갈등에 대한 법률을 공식화했다.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진자 시계를 발명하고, 토성의 행성 고리를 설명했다.[25] 안토니 반 레벤후크는 현미경을 통해 미생물을 최초로 관찰하고 묘사하여 미생물학 분야의 기초를 마련했다.[26] 그의 현미경은 복합 현미경이 아닌 단순한 확대경이었지만, 렌즈 연마 기술 덕분에 최대 245배의 배율을 얻을 수 있었다.[27]
얀 리흐워터는 간척 사업을 통해 공화국에 상당한 면적의 땅을 추가했다. 그는 여러 개의 큰 호수를 간척지로 바꾸고 풍차로 물을 퍼내는 방식으로 간척 사업을 진행했다.
8. 문화
네덜란드 황금시대에는 시민 계층을 중심으로 문화가 발전했다. 다른 나라에서는 귀족들이 예술의 후원자 역할을 했지만, 네덜란드에서는 귀족의 수가 적어 부유한 상인들이 이 역할을 맡았다.[28][29]
당시 바로크 양식이 유행했지만, 칼뱅주의를 믿는 네덜란드 사람들의 검소한 생활 방식과는 맞지 않아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대신 시민들이 문화 발전을 이끌었는데, 특히 홀란트, 제를란트, 위트레흐트와 같은 서부 지방에서 두드러졌다.
문화 활동의 중심에는 시민군(''스휘터라이'')과 레토릭의 방(''rederijkerskamer'')이 있었다. 시민군은 도시를 지키는 역할 외에도 부유한 시민들의 사교 모임 장소였고, 레토릭의 방은 시, 연극, 토론 등 문학 활동을 장려하는 단체였다.
중산층의 식생활은 다양하고 풍족했으며,[28][29] 17세기에는 고급 요리가 부유한 시민들에게까지 퍼졌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를 통해 수입된 향신료, 설탕, 과일 등이 사용되었고, 차와 커피도 일상생활의 일부가 되었다.[30] 엘리트들은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 검은색 옷을 즐겨 입었는데, 이는 염색의 어려움과 장식 비용 때문이었다.[31][32]
8. 1. 시민 문화
저지대 국가의 문화 발전은 이웃 국가들과는 달랐다. 몇몇 예외(특히 네덜란드 극작가 요스트 판 덴 본델)를 제외하고는 바로크 운동은 큰 영향력을 얻지 못했다. 바로크의 풍부함은 대부분 칼뱅주의적이었던 주민들의 검소함과 맞지 않았다. 새로운 발전의 주요 원동력은 시민, 특히 서부 지방, 무엇보다 홀란트였고, 그 다음으로는 제를란트와 유트레히트였다. 다른 국가들에서 부유한 귀족들이 종종 예술의 후원자가 된 것과 달리, 네덜란드에서는 귀족의 상대적 부재로 인해 부유한 상인과 다른 귀족들이 그 역할을 수행했다.
문화 활동의 중심지는 시민군(''스휘터라이'')과 레토릭의 방(''rederijkerskamer'')이었다. 시민군은 도시 방위와 치안을 위해 만들어졌지만, 중요한 역할을 자랑스럽게 수행하고 이를 후세에 남기기 위해 많은 돈을 지불한 부유한 사람들의 만남의 장소 역할도 했다. 레토릭의 방은 도시 차원의 단체로서 시, 극, 토론과 같은 문학 활동을 종종 경연 대회를 통해 장려했다. 도시들은 자신들의 단체에 자부심을 가지고 이를 지원했다.
네덜란드 황금기에는 중산층의 식사가 다양하고 풍부했다.[28][29] 15세기에는 고급 요리가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주로 귀족들에게 국한되었지만 17세기부터는 부유한 시민들에게도 이러한 종류의 요리가 제공되었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덕분에 향신료, 설탕, 이국적인 과일이 수입되었다. 17세기 후반에는 차와 커피 소비가 증가하여 일상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차는 과자, 사탕 또는 마지판과 쿠키와 함께 제공되었다.[30] 당시 네덜란드의 풍부한 식사에는 많은 사치스러운 요리와 음료가 포함되었다.[30]
엘리트들은 지위의 상징으로 검은색 옷을 입었다. 이러한 지위는 염색 과정의 어려움과 정교한 장식의 비용에서 비롯되었으며,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청교도의 자제심 때문만은 아니었다.[31][32]
8. 2. 회화

네덜란드 황금기 회화는 카라바조풍이나 사실주의와 같은 바로크 회화의 여러 특징을 따랐지만, 정물화, 풍경화, 풍속화와 같은 분야를 발전시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초상화도 인기가 있었지만, 전통적으로 가장 높은 장르로 여겨졌던 역사화는 구매자를 찾기 어려웠다. 종교 미술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고, 조각도 거의 제작되지 않았다. 미술품 수집과 회화는 다른 지역에서도 일반적이었지만, 미술사가들은 부유한 네덜란드 중산층과 성공한 상인 후원자들의 증가가 특정 그림 주제의 인기를 이끈 원동력이라고 지적한다.[33]
반종교개혁으로 인해 가톨릭 국가와 달리 교회의 후원이 부족했고, 이는 일상생활을 그린 풍속화나 다른 세속적인 주제의 그림이 많아지는 결과를 낳았다. 예를 들어 풍경화와 해양화는 바다에서 되찾은 땅과 공화국의 황금기를 이끈 무역과 해군력의 원천을 반영한다. 네덜란드 바로크 회화의 특징적인 주제 중 하나는 시민과 민병대 길드의 대규모 초상화로, 렘브란트 판 레인의 ''밤의 경비''가 대표적이다. 정물화의 특별한 장르로는 프롱크스틸레번(네덜란드어로 '화려한 정물화'라는 뜻)이 있다. 이 양식은 1640년대 앤트워프에서 프란스 스니더스, 오시아스 베르트, 아드리아엔 반 위트레흐트와 네덜란드 황금기 화가들에 의해 발전되었다. 그들은 다양한 물체, 과일, 꽃, 죽은 사냥감을 종종 살아있는 사람과 동물과 함께 묘사하여 풍요로움을 강조하는 정물화를 그렸으며, 이 양식은 곧 네덜란드 공화국의 예술가들에게 채택되었다.[34]
오늘날 네덜란드 황금기의 가장 유명한 화가로는 렘브란트, 델프트의 거장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혁신적인 풍경화가 야코프 반 레이스달, 초상화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은 프란스 할스 등이 있다. 주목할 만한 예술적 양식과 경향으로는 하를렘 매너리즘, 유트레히트 카라바지오풍, 델프트파, 라이덴 피인스힐더들, 그리고 네덜란드 고전주의가 있다.
8. 3. 건축
네덜란드 건축은 황금 시대에 새로운 정점을 찍었다. 경제가 번창하면서 도시들은 크게 확장되었다. 새로운 시청, 저울집, 창고들이 건설되었다. 재산을 모은 상인들은 도시 안팎에 새로 파낸 많은 운하(방어 및 운송 목적)를 따라 새로운 집을 지었는데, 이 집들은 그들의 새로운 지위에 걸맞은 장식적인 정면을 가지고 있었다. 시골 지역에서는 많은 새로운 성과 저택이 건설되었지만, 대부분은 남아 있지 않다.17세기 초에는 여전히 후기 고딕 양식의 요소가 우세했으며, 르네상스 모티프와 결합되었다. 수십 년 후 프랑스 고전주의가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는데, 수직적 요소가 강조되었고, 장식은 줄어들었으며, 벽돌보다 천연석이 선호되었다. 세기 말엽에는 이러한 절제된 경향이 더욱 강화되었다. 1670년경부터 가장 주목할 만한 주택 정면의 특징은 양쪽에 기둥이 있고, 위에 발코니가 있을 수도 있지만, 다른 장식은 없는 현관이었다.
1595년부터 개혁 교회가 위탁되어 건설되었으며, 그중 많은 수가 오늘날에도 랜드마크로 남아 있다.
17세기 네덜란드에서 가장 유명한 건축가는 야코프 판 캄펜, 피터 포스트, 필립스 빙보온스, 리에벤 더 케이, 헨드릭 더 케이저였다.

8. 4. 조각
17세기 네덜란드의 조각은 회화나 건축에 비해 덜 두드러졌으며, 이웃 국가들에 비해 작품 수도 적었다. 이는 개신교 교회 내부에 조각상이 거의 없었기 때문인데, 로마 가톨릭의 성상 숭배에 대한 반대는 종교 개혁의 쟁점 중 하나였다. 또 다른 이유는 상대적으로 소규모 귀족 계급 때문이었다. 조각 작품들은 정부 건물, 사유 건물(종종 건물 정면을 장식하는 경우), 그리고 교회 외부를 위해 제작되었다. 묘비와 초상 흉상을 위한 시장도 존재했다.황금기 초기에 활동했던 헨드릭 더 케이서는 몇 안 되는 저명한 네덜란드 출신 조각가 중 한 명이다. 1650년대와 1660년대에는 플랑드르 출신 조각가 아르투스 1세 퀘리누스가 퀘리누스 가문과 롬보우트 페르훌스트와 같은 추종자들과 함께 고전주의 양식으로 암스테르담 왕궁(현 암스테르담 시청)을 장식했다. 이는 네덜란드 황금기 조각의 주요 기념물로 남아 있다.
8. 5. 문학
황금기는 문학 발전에도 중요한 시대였다. 이 시대의 주요 인물로는 게르브란트 브레데로(Gerbrand Bredero), 야코프 캣츠(Jacob Cats), 피터르 호프트(Pieter Hooft), 요스트 판 덴 본델(Joost van den Vondel)이 있다.[35]9. 논란
"네덜란드 황금기"라는 용어는 21세기에 들어와 이 시기 네덜란드의 노예 제도 개입으로 인해 논란이 되고 있다.[36]
9. 1. 노예 무역 문제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네덜란드 황금기"라는 용어는 이 시기 네덜란드의 광범위한 노예 제도 개입으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네덜란드 노예상들은 약 170만 명을 대서양과 인도양 노예 무역의 일부로 노예화했다.[36] 2019년 암스테르담 박물관은 전시회에서 이 문구의 사용을 중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예술 감독 마르그리에트 샤베메이커는 "황금기는 어떤 의미에서 승자들의 이야기이며, [네덜란드]의 식민 과거를 감추고 있다. 노예 제도뿐만 아니라 빈곤도 은폐하고 있다. 모든 사람이 황금기에 참여한 것은 아니며, 전혀 그렇지 않았다"라고 설명했다. 이 발표는 마르크 뤼터 네덜란드 총리와 미셸 로흐 정치인 등에게 비판받았다.[37] 반면 쿠라카오의 활동가이자 예술가인 퀸시 가리오(Quinsy Gario)는 "네덜란드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황금기라는 용어가 잘못된 용어라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라고 썼다.[38]참조
[1]
서적
The miracle of the Dutch Republic as seen in the seventeenth century
http://www.dianamuir[...]
H.K. Lewis & Co Ltd
2015-03-12
[2]
웹사이트
Het debat over de naam Gouden Eeuw is waardevol en nodig
https://www.trouw.nl[...]
2023-05-13
[3]
웹사이트
Amsterdam Museum gebruikt term 'Gouden Eeuw' niet meer
https://historiek.ne[...]
2023-05-13
[4]
서적
The Dutch wars of independence: warfare and commerce in the Netherlands 1570-1680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014
[5]
서적
The Dutch revolt, 1559-1648
Longman
1989-12-18
[6]
논문
The Thirty Years War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11-20
[7]
논문
A New Country (1609–1650)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11-20
[8]
서적
Revolt in the Netherlands : The Eighty Years War 1568-1648
Reaktion Books
[9]
서적
The Dutch seaborne empire, 1600–1800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0]
논문
Globalization in Historical Perspectiv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8-03-09
[11]
웹사이트
Saag Molens
http://www.dbnl.org/[...]
[12]
웹사이트
The Big Problem of Large Bills: The Bank of Amsterdam and the Origins of Central Banking
https://web.archive.[...]
2011-06-08
[13]
웹사이트
VOC-kenniscentrum, thema slavernij
https://web.archive.[...]
[14]
논문
Monopoly and Free Trade in Dutch-Asian Commercial Policy: Debate and Controversy within the VOC
1973
[15]
논문
Rangaku and Westernization
1984
[16]
서적
Japan and the Dutch 1600-1853
Routledge
[17]
웹사이트
Baltic Connections: Mercantilism in the West Baltic
https://web.archive.[...]
2008-12-19
[18]
서적
Well-being in Amsterdam's Golden Age
Amsterdam University Press
[19]
서적
Picturing Men and Women in the Dutch Golden Age: Paintings and People in Historical Perspective
Yale UP
[20]
웹사이트
The Portrayal of Women in Dutch Art of the Dutch Golden Age: Courtship, Marriage and Old Age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2017-02-25
[21]
논문
Wives and Wantons: Versions of Womanhood in 17th Century Dutch Art
https://pages.wustl.[...]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2017-02-25
[22]
서적
Vermeer's women : secrets and silence
Fitzwilliam Museum
2011
[23]
논문
Fertility trends by social status
2008
[24]
서적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and Its Connection with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Simon and Schuster
[25]
서적
Distant Worlds: Milestones in Planetary Explor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6-06-20
[26]
서적
Under the Microscope: A Hidden World Revealed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2016-06-20
[27]
웹사이트
Antony van Leeuwenhoek
http://www.ucmp.berk[...]
2016-02-19
[28]
웹사이트
De rijke Hollandse dis
http://www.wereldexp[...]
2004-08-16
[29]
웹사이트
De Nederlandse keuken
http://www.antiqbook[...]
[30]
논문
Culinary History of New York
http://www.culinaryh[...]
Culinary Historians of New York
[31]
뉴스
When the Old Masters Were the P.R. Agents of the Rich and Powerful
https://www.nytimes.[...]
2024-06-26
[32]
뉴스
The old black
https://www.theguard[...]
2024-06-26
[33]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Thomson/Wadsworth
[34]
웹사이트
Answers - The Most Trusted Place for Answering Life's Questions
https://www.answers.[...]
2021-02-17
[35]
서적
Books: a living history
J. Paul Getty Museum
[36]
웹사이트
Confronting the Netherlands' Role in the Brutal History of Slavery
https://www.smithson[...]
2021-06-01
[37]
웹사이트
A Dutch Golden Age? That's Only Half the Story
https://www.nytimes.[...]
2019-10-25
[38]
웹사이트
Netherlands slavery: Saying sorry leaves Dutch divided
https://www.bbc.co.u[...]
2022-12-19
[39]
서적
(제목 없음)
http://www.dianamuir[...]
H. K. Lewis
1969
[40]
서적
The Dutch seaborne empire, 1600–1800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77
[41]
웹사이트
Saag Molens
http://www.dbnl.org/[...]
[42]
일반
(제목 없음)
[43]
웹사이트
The Big Problem of Large Bills: The Bank of Amsterdam and the Origins of Central Banking
http://www.frbatlant[...]
2005-08
[44]
웹사이트
Baltic Connections: Mercantilism in the West Baltic
http://www.balticcon[...]
[45]
웹사이트
WereldExpat: De rijke Hollandse dis
http://www.wereldexp[...]
[46]
웹사이트
Gastronomie: De Nederlandse keuken
http://www.antiqbook[...]
[47]
웹사이트
Culinary history
http://www.culinaryh[...]
[48]
웹사이트
Culinary history
http://www.culinaryh[...]
[49]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Thomson/Wadsworth
2005
[50]
웹사이트
Oxford Dictionary of Art Terms: Pronkstilleven
http://www.answer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