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코포 사돌레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코포 사돌레토는 1477년 모데나에서 태어난 이탈리아의 추기경, 신학자, 그리고 르네상스 시대의 인문주의자였다. 그는 신 라틴어 시인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로마에서 교황 레오 10세의 비서와 카르팡트라의 주교를 역임했다. 사돌레토는 교황청에서 외교적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개신교 신자들을 가톨릭으로 회유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1539년 제네바 시민들에게 가톨릭 신앙으로 돌아올 것을 촉구하는 편지를 보냈고, 이에 장 칼뱅이 답신을 작성하며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사돌레토는 1547년 로마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저작들은 교육, 철학, 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77년 출생 - 안 드 브르타뉴 여공작
안 드 브르타뉴는 브르타뉴 공국의 마지막 독립 군주로서 프랑스 국왕 샤를 8세, 루이 12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으며, 예술을 후원하고 브르타뉴의 자치권을 지키려 노력했다. - 1477년 출생 - 여기 (화가)
- 1547년 사망 - 에르난 코르테스
에르난 코르테스는 16세기 스페인의 콘키스타도르로, 멕시코 원정을 통해 아즈텍 제국을 정복했지만, 정복 과정에서의 잔혹 행위와 아즈텍 문명 파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 1547년 사망 - 윤원로
윤원로는 조선 중기 문정왕후의 친척이자 윤원형의 형으로, 급변하는 정치 상황 속에서 부침을 겪으며 윤임 등과의 갈등, 을사사화 연루, 동생 윤원형과의 정쟁 끝에 사사된 인물이다. -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인문주의자 - 로렌초 발라
로렌초 발라는 이탈리아의 인문주의자, 철학자, 문헌학자로, 고전 문헌 연구를 통해 중세 시대의 권위에 도전하고 르네상스 인문주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특히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의 위조 사실을 밝혀내고, 스콜라 철학을 비판하는 등 파격적인 주장을 펼쳤다. -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인문주의자 - 안젤로 폴리치아노
안젤로 폴리치아노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고전학자이자 시인으로, 로렌초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았으며 고전 문헌 연구에 문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라틴어 및 이탈리아어 작품을 남겼다.
야코포 사돌레토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야코포 사돌레토 |
출생일 | 1477년 7월 12일 |
출생지 | 모데나, 이탈리아 |
사망일 | 1547년 10월 18일 |
사망지 | 로마, 교황령 |
국적 | 이탈리아 |
직책 | |
직함 | 카디널 |
교구 | 카르팡트라 교구 주교 |
임명일 | 1517년 4월 24일 |
임기 종료 | 1547년 10월 18일 |
이전 담당자 | 피에르 드 발레타리스 |
후임 담당자 | 파올로 사돌레토 |
서품 | 알 수 없음 |
서품자 | 알 수 없음 |
주교 성성 | 알 수 없음 |
주교 성성자 | 알 수 없음 |
추기경 임명일 | 1536년 12월 22일 |
추기경 임명자 | 교황 바오로 3세 |
계급 | 사제급 추기경 |
이전 직책 | 산 칼리스토 성당 추기경(1537-1545) 산타 발비나 성당 추기경(1545) |
종교 | 가톨릭교회 |
2. 생애
야코포 사돌레토는 1477년 모데나에서 태어나 신 라틴어 시인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라오콘 군상에 관한 것이다.[1] 교황 레오 10세는 그를 피에트로 벰보와 함께 비서로 선택했고, 1517년 카르팡트라의 주교로 임명했다.[1] 그는 여러 교황 아래에서 평화 중재자로서 교황청을 위해 많은 외교적 협상에서 활동했다. 그의 주요 목표는 평화로운 설득과 가톨릭 교리를 화해적인 형태로 제시하여 개신교 신자들을 다시 가톨릭으로 돌아오게 하는 것이었다. 1536년 추기경으로 임명되었고,[2] 1539년에는 제네바 시민들에게 가톨릭 신앙으로 돌아올 것을 촉구하는 편지를 썼으나 장 칼뱅이 이에 반박하는 답신을 썼다.[3] 사돌레토는 1547년 로마에서 7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477년 모데나에서 저명한 법학자의 아들로 태어난 야코포 사돌레토는 신 라틴어 시인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라오콘 군상에 관한 것이었다.[1] 로마에서 추기경 올리비에로 카라파의 후원을 받아 성직자의 길을 걸었다. 교황 레오 10세는 그를 피에트로 벰보와 함께 비서로 선택했고,[1] 1517년에는 카르팡트라의 주교로 임명했다.2. 2. 교황청에서의 활동
교황 레오 10세는 야코포 사돌레토를 피에트로 벰보와 함께 교황청 비서로 발탁했고,[1] 1517년에는 그를 카르팡트라의 주교로 임명했다.사돌레토는 여러 교황 아래에서 평화 중재자로서 교황청을 위해 많은 외교적 협상에서 활동했다. 그의 주요 목표는 평화로운 설득과 가톨릭 교리를 화해적인 형태로 제시하여 개신교 신자들을 다시 가톨릭으로 돌아오게 하는 것이었다. 그는 1522년 레오 10세가 사망할 때까지 자신의 교구를 거의 방문하지 못했다. 교황 클레멘스 7세는 1년 후 그를 로마로 다시 불렀다. 1527년 로마 약탈이 일어나기 몇 달 전에 로마를 떠난 그는 자신의 교구를 열성적으로 다스렸고, 그곳에서 큰 사랑을 받았다. 교황 바오로 3세는 1536년 그를 다시 로마로 소환하여 추기경으로 임명했으며, 산 칼리스토 성당을 그의 명목 교회로 부여했다.[2]
1539년, 사돌레토는 제네바 시민들에게 가톨릭 신앙으로 돌아올 것을 촉구하는 편지를 썼다. 장 칼뱅은 전년에 제네바를 떠나 스트라스부르에 거주하고 있었지만, 제네바 사람들은 여전히 칼뱅에게 사돌레토에게 답장을 써줄 것을 요청했고, 칼뱅은 요청에 따라 답장을 썼다.[3]
2. 3. 제네바와의 논쟁
1539년 추기경 사돌레토는 제네바 시민들에게 가톨릭 신앙으로 돌아올 것을 촉구하는 편지를 썼다. 장 칼뱅은 전년에 제네바를 떠나 스트라스부르에 거주하고 있었지만, 제네바 사람들은 여전히 칼뱅에게 사돌레토에게 답신을 써줄 것을 요청했고, 칼뱅은 이에 응했다.[3]2. 4. 사망
사돌레토는 1547년 로마에서 7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3. 주요 저작 및 사상
사돌레토는 신학과 관련된 온건한 작품 외에도 다양한 저술 활동을 하였다. 1607년 마인츠에서 그의 전집이 출판되었는데, 여기에는 ''서신집'' 모음, 교육에 관한 논문(1533년 초판), 철학 옹호서인 ''파이드로스''(1538년)가 포함되어 있다. 피오르디벨로의 전기가 포함된 최고의 전집은 베로나에서 1737년부터 1738년까지 출판되었다.
''로마서 주석''은 개신교 교리에 대한 반박을 담고 있는 주요 작품이지만, 로마와 파리에서 큰 반감을 샀다.[1]
3. 1. 저작 목록
사돌레토의 전집은 1607년 마인츠에서 출판되었으며, 여기에는 ''서신집'' 모음, 1533년에 초판이 발행된 교육에 관한 논문, 1538년에 쓰인 철학 옹호서인 ''파이드로스''가 포함되어 있다. 최고의 전집은 베로나에서 출판된 것(1737–1738)으로, 피오르디벨로의 전기가 포함되어 있다.주요 저작으로는 로마와 파리에서 큰 반감을 산 ''로마서 주석''이 있는데, 이는 개신교 교리에 대한 반박을 담고 있다.[1]
제목 | 발행년도 | 발행 위치 | 비고 |
---|---|---|---|
서신집 (Epistolae quotquot extant proprio nomine scripta|사돌레토의 이름으로 현존하는 모든 서신la) Pars prima | 1760 | 로마 | 라틴어 |
서신집 (Epistolae quotquot extant proprio nomine scripta|사돌레토의 이름으로 현존하는 모든 서신la) Pars secunda | 1760 | 로마 | 라틴어 |
서신집 (Epistolae quotquot extant proprio nomine scripta|사돌레토의 이름으로 현존하는 모든 서신la) Pars tertia | 1764 | 로마 | 라틴어 |
Jacobi Sadoleti ... Epistolae Leonis VII, Clementis VII, Pauli III nomine scriptae|야코포 사돌레토... 레오 7세, 클레멘스 7세, 바오로 3세의 이름으로 쓴 서신la | 1759 | 로마 | 라틴어 |
Monumenta reformationis lutheranae ex tabulariis secretioribus S. sedis, 1521-1525|루터 종교개혁 기념비 (1521-1525)la | 1884 | 레겐스부르크 | 라틴어, 편집: 피에트로 발란 |
Lettere del card. Iacopo Sadoleto e di Paolo suo nipote tratte dagli originali che si conservano a Parma nell'Archivio governativo|사돌레토 추기경과 그의 조카 파올로의 편지it | 1871 | 모데나 | 라틴어, 이탈리아어, 편집: 아마디오 론키니 |
Elogio della sapienza: De laudibus philosophiae|지혜의 찬사it | 1950 | 나폴리 | 이탈리아어, 라틴어, 편집: 안토니오 알타무라 |
Iacobi Sadoleti... In Pauli Epistolam ad Romanos commentariorum libri tres|로마서 주석la | 1535 | 리옹 | 라틴어 |
참조
[1]
서적
Vita Leonis Decimi, pontifici maximi: libri IV
https://books.google[...]
officina Laurentii Torrentini
[2]
웹사이트
Cardinal Title S. Callisto
http://www.gcatholic[...]
[3]
서적
Calvin's Tracts Relating to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1844
[4]
웹인용
'교회 분열은 악이다'
http://m.pckworld.co[...]
2020-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