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약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약자는 한자의 필기 편의성을 위해 획을 줄이거나 변형한 글자를 의미한다.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는 약자를 정식으로 채택하여 표준으로 사용하며, 대한민국에서는 1967년 문교부 주도로 약자 제정을 시도했으나 흐지부지되었다. 현재는 일부 약자가 대법원 인명용 한자표에 등재되어 있으며, 한국어문회 등에서 주관하는 한자능력 인증 시험에서 일부 약자 사용을 허용하고 있다. 약자는 초서나 행서를 해서체로 바꾸거나 획을 생략하는 방식으로 발전해왔으며, 근대 이후에는 알파벳, 가나, 한글 자모 등으로 성부를 대체하는 경우도 나타났다. 과거 한국에서는 일본의 신자체와 유사한 약자가 사용되었으며, 일부 신문사에서는 대용자를 사용하여 표외자를 표기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니코드 미수록 문자 - 금석문자경
    금석문자경은 1997년 발매된 한자 글꼴 및 데이터베이스로, 다양한 버전 업데이트와 웹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등을 제공하다가 2018년 사업이 종료되었다.
  • 유니코드 미수록 문자 - 인더스 문자
    인더스 문자는 기원전 2600년에서 1900년경 하라파 시대에 사용된 400개 이상의 기호로 구성된 문자 체계로, 주로 유물에서 발견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인 것으로 추정되지만 아직 해독되지 않았다.
  • 한자 - 한문
    한문은 고대 중국어 문법에 기반한 문어체로, 동아시아 각국에서 현지화되었으며, 한자의 특성상 해석이 다양할 수 있고, 외교 및 문화 교류를 통해 수용되어, 현대에는 학술 연구, 고전 문학 등에서 사용되며 동아시아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한자 - 한자 부활
    한자 부활은 과거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한자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나 주장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글 전용법 이후 제한된 한자 사용에 대한 논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교육 부활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한자 미사용이, 베트남에서는 로마자 보급 후 감소한 한자 사용에 대한 부활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약자

2. 약자의 역사와 정의

약자는 한자의 획을 줄이거나 변형하여 필기 편의성을 높인 글자이다. 약자는 주로 공적이지 않은 필기 환경에서 발전해왔으며, 점획을 생략하거나 흘려쓴 초서행서해서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근래에는 성부(聲符)를 알파벳이나 가나, 한글 자모로 대체한 사례도 있다.[1]

일본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민간에서 쓰이던 약자를 정식으로 채택하여 표준 자체로 제정하여 각각 신자체간화자라고 칭한다. 일본의 신자체는 실제로 쓰인 자체만을 조사하여 채택하였으나, 중국의 간화자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자체도 적지 않다. 또한 전자는 일본의 상용한자 범위 내에서만 적용되어 이른바 표외자(表外字)에는 구래의 구자체가 그대로 사용되는 반면, 간화자는 범위 제한 없이 모든 한자에 대하여 간화 자형을 제시 및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도 1967년문교부 주도로 약자를 제정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박정희 대통령의 한글전용 5개년 계획이 발표되며 흐지부지되었다.[1]

대한민국의 경우, 일부 약자는 [https://efamily.scourt.go.kr/cs/CsBltnWrtList.do?bltnbordId=0000010 대법원 인명용 한자표]에서 정자와 함께 쓸 수 있는 글자로 지정되어 있다. 그 외에(특히 초서체 계통의 약자)는 공식적으로 인정되고 있지 않다. 사단법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등 일부 한자관련 단체에서 주관하는 한자능력 인증 시험에서 일부 약자를 정자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한국어문회의 경우 급수에 따라서 약자 쓰기 문항을 출제, 약자를 준공식적으로 인정해주고 있기도 하다.

2. 1. 약자의 기원과 발전

약자는 주로 비공식적인 필기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했다. 초서, 행서 등 흘림체를 해서체로 바꾸거나, 획의 일부를 생략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초서체를 해서화한 사례로는 「第」→「㐧」, 「門」→「门」, 「無」→「
17px
」,「喜」→「㐂」,「圖」→「図」,「訁」「飠」「糹」→「讠」「饣」「纟」 등이 있다.

「𦥯」「炏」「吅」「
|17x17픽셀]]」 등 →「ツ」「丷」,「學」「興」→「学」「兴」,「選」「營」→「
|17x17픽셀]]」「営」,「單」「機」→「单」「
|17x17픽셀]]」,「臣」「𠂤」→「リ」,「堅」「賢」→「坚」「䝨」,「師」「帥」→「师」「帅」,「歸」→「帰」와 같이 글자의 일부분을 생략하기도 하였다.

「歷」에서 「秝」「止」를 생략한 「厂」,「嚴」에서 「敢」을 생략한 「
|17x17픽셀]]」,「個」에서 「古」를 생략한 「㐰」,「劇」에서 「豕」을 생략한 「
|17x17픽셀]]」등과 같이 특정 부분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었다.

복잡한 부분을 「文」「又」로 대체한 「權」→「权」,「離」→「
|17x17픽셀]]」,「𢇇」을 「关」으로 대체한 「關」→「関」,「聯」→「聠(
|17x17픽셀]])」「联」의 경우처럼 글자의 복잡한 부분을 다른 글자로 대체하기도 하였다.

같은 두 자가 반복될 때 나머지 한 자를 점 2개로 대체(「棗」→「枣」)하거나, 같은 세 자가 반복될 때 아래 두 자를 점 4개(冫을 마주 적은 것)로 대체(「森」「協」「壘」→「
|17x17픽셀]]」「𫝓」「塁」)하는 경우도 있었다.

근대 이후에는 알파벳, 가나, 한글 자모 등으로 성부를 대체하는 경우도 나타났다.

2. 2. 한국, 중국, 일본의 약자 비교

3. 한국의 약자

한국의 근현대 약자는 대개 일본신자체와 비슷하여 일본인들도 알아볼 수 있다. 하지만 权(權, 저울 권) 자와 같이 중화인민공화국이나 싱가포르간체자와 동일한 것도 더러 존재하고, 䴡(麗, 아리따울 려)처럼 간체자·신자체에 포함되지 않은 독특한 약자도 존재한다. 이들 약자 중에서 ‘竜’(龍, 미르 룡) 자와 같이 고자(古字)에 속하는 것들도 더러 있고, (無, 없을 무) 자와 같이 초서의 변형인 것도 있다. 나머지는 정자보다 후대에 만들어진 해서의 이체자(異體字)이다.

3. 1. 약자 제정 시도

3. 1. 1. 문교부 약자 제정 시도 (1967)

1967년 11월 10일 문교부 소속 국어심의회 한문분과위원회는 필기가 어려운 한자 542자를 선정한 〈한자약자시안〉을 마련하였다.[2] 이 시안에는 일본식 신자체와 동일한 것 57자, 중공식 간화자와 동일한 것 33자, 양식을 절충하여 제정한 것 43자가 포함되어 있었다.[3]

한문분과위원회는 1968학년도 교과서에 약자를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1967년 2월 23일에 약자 제정에 착수했으며,이가원 교수를 포함한 7명의 학자가 핵심적으로 관여했다.[4] 일석 이희승 박사가 의장, 외솔 최현배가 부위원장으로 선출된 28인의 국어심의회에서 약자시안을 심의하였으나, 최현배를 포함한 한글 학회 인사는 약자 제정이 학생에게 이중 부담을 주고 한글전용법의 입법 정신에 어긋난다며 반대 의사를 표했다.[5] 문교부 약자에는 사용된 실례는 있으나 자주 쓰이지 않아 생소한 자체가 많았고, 실제로 사용된 예가 없음에도 작위적으로 개변이 가해져 만들어진 글자도 있었기에 학계와 여론의 반발을 샀다.[6] 결국 21일의 첫 모임에서 반대의견에 부딪쳐 해당 시안은 철회되었다.[6]

542자의 〈한자약자시안〉이 백지화되자 문교부는 관용 약자 215자를 추려 새로 제정안을 마련했고, 같은 해 12월 21일 국어심의회에 제출했다. 심의 결과 6자의 자체를 고치고 자획이 비교적 적은 17자는 정자로 되돌려 198자만을 제정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그러나 이에 반대한 6명이 심의 도중에 퇴장하는 바람에 성원미달로 정식으로 채택여부를 결정짓지 못한 채 산회하였다.[7]

198자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문교부 198자 약자안[8]
價—価關—関團—団覽—
15x15픽셀
離—17x17픽셀辯—弁續—続惡—悪演—
17x17픽셀
議—
17x17픽셀
傳—伝卽—即廳—庁學—学會—会
假—仮廣—広斷—断兩—両裏—裡寶—宝屬—属壓—压鹽—塩儀—仅錢—銭證—証聽—𦗟艦—
17x17픽셀
劃—㓰
覺—覚鑛—鉱擔—担麗—䴡臨—临拂—払數—数愛—爱榮—栄貳—弍轉—転眞—真體—体凾—函後—后
監—监區—区當—当勵—励萬—万佛—仏藥—薬營—営壹—壱節—
17x17픽셀
鎭—鎮遞—逓解—觧興—𪥌
據—拠舊—旧黨—党灣—湾壽—
17x17픽셀
孃—嬢豫—予殘—残點—店質—貭總—捴喜—㐂
擧—挙國—囯對—対滿—満師—师帥—帅樣—様藝—芸蠶—蚕靜—静贊—賛蟲—虫
劍—剣權—权臺—台聯—联賣—売絲—糸壤—壌譽—誉雜—雑淨—浄讚—讃齒—歯虛—虚
檢—検勸—勧帶—带戀—恋麥—麦寫—㝍隨—随讓—譲慾—欲將—将寢—寝險—険
擊—𨊥歸—敀稻—稲靈—灵脈—脉辭—辞濕—湿嚴—17x17픽셀優—
17x17픽셀
裝—装參—参稱—称驗—験
堅—坚劇—17x17픽셀獨—独禮—礼狀—状乘—乗餘—余圓—円壯—壮濟—済慘—惨彈—弹賢—䝨
輕—軽讀—読爐—炉喪—丧與—与圍—囲藏—
17x17픽셀
齊—斉册—冊擇—択
慶—
17x17픽셀
緊—紧同—仝勞—労雙—双愼—慎驛—駅爲—為臟—
17x17픽셀
劑—剤處—所鬪—閗號—号
經—経難—
17x17픽셀
燈—灯龍—龍發—発釋—釈實—实譯—訳僞—偽奬—
17x17픽셀
條—条賤—賎廢—廃畫—画
繼—継寧—寕樂—楽留—畄變—変選—
17x17픽셀
兒—児煙—烟應—応爭—争卒—卆淺—浅品—𠯮擴—拡
觀—𣁐單—単亂—乱率—
17x17픽셀
邊—
17x17픽셀
聲—声亞—亜硏—研醫—医戰—战晝—昼鐵—鉄豐—豊歡—歓



1967년 연내에 합의를 보고 채택할 계획이었으나, 박정희 정부의 한글전용화 5개년 계획이 구체화됨에 따라 1968년 3월 30일 문교부는 약자안을 폐기하기로 결정했다.

3. 1. 2. 한국어문회 약자 제정 시도 (1981)

1980년대 초, 한자의 가독성을 높이고 필기의 효율성을 증진하기 위해 약자 제정 논의가 다시 등장했다. 한국어문회는 1981년 181자의 약자 시안을 발표하고, 신문사와 인쇄업계에 사용을 권고했다.[12]

조선일보는 이 중 90자를 채택하여[13] 1983년 4월부터 1993년 4월까지 10년간 지면에 적용했다. 90자 약자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조선일보 약자 90자
價—価繼—継獨—独禮—礼攝—摂肅—粛譯—訳轉—転澤—沢
區—区舊—旧當—当灣—湾數—数蠅—蝿豫—予囑—嘱廢—廃
國—国覺—覚膽—胆蠻—蛮濕—湿辭—辞醫—医廳—庁劃—㓰
廣—広觀—観讀—読賣—売燒—焼釋—釈餘—余總—総學—学
據—拠關—関黨—党寶—宝絲—糸隨—随鬱—欝處—処擴—拡
擧—挙團—団亂—乱發—発續—続圍—囲傳—伝蟲—虫會—会
權—権圖—図戀—恋邊—辺纖—繊壓—圧劑—剤觸—触獻—献
歐—欧對—対壘—塁實—実繡—𫃯應—応濟—済遞—逓畵—画
毆—殴擔—担樓—楼壽—寿繩—縄與—与蠶—蚕鐵—鉄繪—絵
歸—帰斷—断獵—猟屬—属聲—声譽—誉證—証擇—択號—号



조선일보의 약자 사용은 일본식 약자라는 비판을 받으며 논란을 일으켰다. 경향신문은 조선일보 약자가 "국적이 없는 한자 약자"라고 비판했다.[14] 그러나 경향신문의 주장은 타당성이 결여되어 있었다는 반박이 있었다.

이에 한국어문회 소속 및 언론계 인사는 일본 주요 언론사 사장 등에게 항의서를 보내는 등, 약자 파동이 일기도 했다.[15]

4. 약자와 대용자

1967년 12월 한국신문협회에서 2,000자의 신문용 상용한자를 제정한 이래 일부 신문사에서는 표외자를 표기하기 위하여 대용자 내지 통용자를 채택하여 사용하기 시작했다. 濠洲(호주) 대신 豪州(호주), 席捲(석권) 대신 席卷(석권), 車輛(차량) 대신 車兩(차량), 返還(반환) 대신 反還(반환), 叛亂(반란) 대신 反乱(반란), 日蝕(일식) 대신 日食(일식), 畸形(기형) 대신 奇形(기형)으로 적는 것이 그 실례이다.[16]

일본식 약자를 그대로 차용하여 대용자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萬歲(만세)는 万才(만세), 臺數(대수)는 台数(대수), 戰鬪(전투)는 戦斗(전투), 豫習(예습)은 予習(예습)으로 쓰는 것이 그 예이다.

20세기 전반에 걸쳐 일본 한자음으로는 같지만 한국 한자음으로는 일치하지 않는 위와 같은 대용자가 관용되었다.[16][15] 현재도 일본이 당용한자 제정 당시에 병합한 글자를 그대로 한국 한자음으로 읽어 차용해온 사례가 있다. 일례로 굴착(掘鑿)과 일본식 대용자를 채택한 굴삭(掘削)은 모두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으며, 한 단어의 한자 표기에서 聯(연이을 련)과 일본식 대용자인 連(잇닿을 련)이 병용되는 현상 또한 일본식 대용자를 수입해온 영향이다.

5. 약자의 현대적 의의와 전망

5. 1. 더불어민주당의 입장 (참고)

참조

[1] 뉴스 漢字略字案 폐기 1968-03-31
[2] 뉴스 『漢文略字試案』 마련 1967-11-11
[3] 저널 문교부 제정 한자 약자에 대한 여론 1967-11-20
[4] 뉴스 常用漢字를 略字로 1967-11-12
[5] 뉴스 漢文略字反對 성명 1967-04-14
[6] 뉴스 漢字略字 大幅縮小될듯 1967-11-21
[7] 뉴스 漢字略字 198字 1967-12-22
[8] 뉴스 漢字略字 198字로 줄여 1967-12-22
[9] 저널 新聞活字 바꾸기와 略字와의 問題點 1981-10
[10] 서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년사 1999
[11] 뉴스 略字時代로 가자 1981-04-16
[12] 저널 「新聞用 略字(試案)」 選定의 經過報告 1981-10
[13] 뉴스 오늘부터 漢字略字 사용 1983-04-26
[14] 뉴스 國籍이 없는 漢字略字 1983-07-20
[15] 서적 월간조선 조선일보사 1984-01
[16] 서적 現代國語國字의 諸問題 일조각 19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