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순 방출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순 방출음은 무성 무기음과 유사하게 입술을 사용하여 소리를 내는 자음의 한 종류이다. 이 소리는 성대의 진동 없이,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며, 후두를 올려 성도 내에 기류를 생성하여 만들어지는 방출음이다. 암하라어, 케추아어, 조지아어, 오로모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특히 에티오피아 셈족 언어에서 흔히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순음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양순음 - 양순 비음
    양순 비음(/m/)은 입술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성 비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구개화, 연구개화, 인두화 등의 변이음이 존재한다.
  • 방출음 - 치경 방출 마찰음
    치경 방출 마찰음은 혀끝과 윗니 뒤쪽 잇몸 사이에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무성음으로, 후두를 상승시켜 기류를 생성하는 방출음의 특징을 가지며, 여러 언어에서 나타난다.
  • 방출음 - 치경 방출음
    치경 방출음 [tʼ]은 혀끝과 치경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무성 구강 방출음으로, 다양한 변이음이 존재하며 여러 언어, 특히 코카서스 제어에서 흔히 발견된다.
양순 방출음
기본 정보
IPA 번호101 + 401
IPA 기호
IPA Unicode 0x0070+0x02BC
IPA 기호
십진수112, 700
X-SAMPAp_>
Kirshenbaum
브라유 점자p, ⠐, ⠄
음성학적 특징
조음 방법파열음
조음 위치양순음
발성무성음
기식방출음

2. 특징

3. 언어별 예시

양순 방출음은 여러 언어에서 발견되지만, 그 빈도는 언어마다 차이가 있다. 특히 에티오피아 셈족 언어를 포함한 에티오피아 언어권에서 흔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방출음은 조음 위치가 뒤쪽인 경우가 많으며, 방출음을 가진 언어에서도 양순 방출음은 가지지 않거나, 가지고 있더라도 빈도가 낮다. 예를 들어 암하라어에서는 원칙적으로 게에즈어에서 온 차용어에서만 나타나며, 게에즈어에서는 그리스어에서 온 차용어에서 무성 무기음 p (π|프사이grc)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4]

양순 방출음을 사용하는 언어 예시
언어단어IPA비고
아디게어пӏакӏэady'얇은'
암하라어ጴጥሮ스am'베드로'
아르메니아어 (예레반 방언)[1]պոչhy'꼬리'다른 동아르메니아 방언에서는 무성 무기음에 해당
체첸어 / / '손가락'
간자어[2]'수집'
조지아어პეპელაka'나비'
하자어hûbbuhts'무거운 것을 들다'(의성어)
하이더어ttappadhai'부수다'(의성어)
할코멜렘어p̓əq̓hur'흰색'
카바르딘어 / / '못된'
구니가미어p'할머니'
네즈 퍼스어p’íłinnez'구멍'
오세트어 (이론)пъовырos'요리하다'
케추아어p’achaqu'옷'
우비흐어'wıpts'당신의 이름'우비흐어 음운론 참고
유로크어[3]kaap'yur'잎'


3. 1. 아프리카

에티오피아 셈족 언어를 포함한 에티오피아 언어권에서 양순 방출음은 흔한 음운론적 특징이다. 암하라어에서는 원칙적으로 게에즈어에서 온 차용어에서만 나타나며, 게에즈어에서는 그리스어에서 온 차용어에서 무성 무기음 p (π|프사이grc)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4]

양순 방출음을 가진 아프리카 언어
언어단어IPA비고
아디게어пӏакӏэ|пӏакӏэady'얇은'
암하라어ጴጥሮስ|p̣iéṭrosam'베드로'
체첸어 / / '손가락'
간자어[2]'수집'
그루지야어პეპელა|ელაka'나비'
하자어bbu|hûbbuhts'무거운 것을 들다'(의성어)
하이더어ttappad|ttappadhai'부수다'(의성어)
할코멜렘어p̓əq̓|əq̓hur'흰색'
카바르딘어 / / '못된'
케추아어p’acha|p’achaqu'옷'
우비흐어ıpowiki/>ts'당신의 이름'우비흐어 음운론 참고
유로크어[3]kaa''p'잎'

3. 2. 아메리카

언어단어IPA비고
할코멜렘어p̓əq̓|pʼəqʼhur[pʼəqʼ]흰색
네즈 퍼스어p’íłin|pʼiɬinnez[ˈpʼiɬin]구멍
케추아어p’acha|pʼat͡ʃaqu[pʼat͡ʃa]
유로크어[3]kaap'|kaːpʼyur[kaːpʼ]


3. 3. 유라시아

언어단어IPA비고
아디게어пӏакӏэ|아디게어|пӏакӏэady얇은
암하라어ጴጥሮስ|암하라어|ጴጥሮስam베드로
아르메니아어[1]պոչ|아르메니아 문자|պոչhy꼬리다른 동아르메니아 방언에서는 무성 무기음 해당
체첸어 / / 손가락
그루지야어პეპელა|그루지야 문자|ელაka나비
카바르딘어 / / 못된
구니가미어p{{paapaa|p{{aapaaxug할머니
오세트어пъовыр|пъовырos요리하다
케추아어p’acha|케추아 문자|p’achaqu
우비흐어ıpowiki/>ts당신의 이름우비흐어 음운론 참고



방출음은 일반적으로 조음 위치가 뒤쪽인 경우가 많으며, 방출음을 가진 언어에서도 양순 방출음은 가지지 않거나, 가지고 있더라도 빈도가 낮다. 예를 들어 암하라어에서는 원칙적으로 게에즈어에서 온 차용어에서만 나타나며, 게에즈어에서는 그리스어에서 온 차용어에서 무성 무기음 p (π|πgrc)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4]

참조

[1] 간행물
[2] 논문 A Phonology of Ganza http://journals.dart[...] 2017-01-16
[3] 웹사이트 Yurok consonants http://linguistics.b[...] UC Berkeley 2021-04-17
[4] 간행물
[5] 간행물
[6] 서적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