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치경 방출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경 방출음은 혀끝이나 혀날을 윗니 뒤쪽 잇몸에 대고, 성대의 진동 없이 후두를 올려 구강 내 압력을 높여 내는 소리이다. 입 안의 통로를 완전히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파열음이며, 혀의 가운데 부분으로 만드는 중설음이고, 입으로만 공기가 나오는 구강음이다. 암하라어, 나바호어, 케추아어, 조지아어, 오로모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특히 코카서스 제어에서 자주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출음 - 양순 방출음
    양순 방출음은 아랫입술과 윗입술을 사용하여 후두를 상승시켜 기류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내는 무성 구강 방출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드물게 나타난다.
  • 방출음 - 치경 방출 마찰음
    치경 방출 마찰음은 혀끝과 윗니 뒤쪽 잇몸 사이에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무성음으로, 후두를 상승시켜 기류를 생성하는 방출음의 특징을 가지며, 여러 언어에서 나타난다.
  • 치경음 - 무성 치경 파열음
    무성 치경 파열음은 폐에서 나오는 공기로 혀끝과 치조 사이에서 발음되는 소리로, 혀로 공기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며, 한국어의 ㄷ, ㅌ, ㄸ, 영어의 't', 일본어의 た(タ) 등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치경음 - 치경 비음
    치경 비음(/n/)은 혀 앞쪽이 잇몸에 닿아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성 비음으로, 혀의 접촉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에서 사용된다.
치경 방출음
음성학 정보
IPA 기호
IPA Unicode 0x0074+0x02BC
IPA Unicode 0x0074+0x02BC
십진수116 + 357
X-SAMPAt_>
키르셴바움t`
IPA 정보 번호103 + 401
텍스트116, 700
JIS X 02131-3-84, 1-2-15
치음 정보
IPA 기호t̪ʼ
십진수116 + 810 + 357
X-SAMPAt_d_>

2. 조음 방법

치경 방출음은 성대의 진동 없이 와 치경을 이용하여 만드는 소리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발성: 무성음으로,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지 않는다.
  • 조음 위치: 설단음과 치경음의 조합으로, 혀를 치경에 대고 소리를 낸다.
  • 조음 방법:
  • 후두를 올려 성도 내 기류를 만들어 내는 방출음이다.
  • 연구개를 올려 비강으로 통하는 통로를 막아 구강음을 만든다.

2. 1. 조음 위치

혀끝이나 혀날을 윗니 뒤쪽의 치경(잇몸)에 대고 발음한다.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치경치음'''은 혀끝 또는 혀날로 윗 에 닿아 발음되며, 각각 '''설단''' 및 '''설첨'''이라고 한다.
  • '''치경치경음'''은 혀날로 치조제에 닿고 혀끝은 윗니 뒤에 닿아 발음된다.
  • '''치경음'''은 혀끝 또는 혀날로 치조제에 닿아 발음되며, 각각 ''설단'' 및 ''설첨''이라고 한다.
  • '''후치경음'''은 혀끝 또는 혀날로 치조제 뒤에 닿아 발음되며, 각각 ''설단'' 및 ''설첨''이라고 한다.

2. 2. 조음 방식


  • 발성 -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지 않는 무성음이다.
  • 조음 위치 - 설단과 치경에 의한 치경음이다.
  • 조음 방법
  • 구강 내 기류 - 후두를 상승시켜 성도 내에 기류를 생성함으로써 발생하는 방출음.
  • 연구개의 위치 -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강음이다.
  • /tʼ/에는 네 가지 특정 변이음이 있다.
  • 치경치음은 혀끝 또는 혀날로 윗 에 닿아 발음되며, 각각 ''설단'' 및 ''설단''이라고 한다.
  • 치경치경음은 혀날로 치조제에 닿고 혀끝은 윗니 뒤에 닿아 발음된다.
  • 치경음은 혀끝 또는 혀날로 치조제에 닿아 발음되며, 각각 ''설단'' 및 ''설단''이라고 한다.
  • 후치경음은 혀끝 또는 혀날로 치조제 뒤에 닿아 발음되며, 각각 ''설단'' 및 ''설단''이라고 한다.

3. 언어별 발음

암하라어에서 ጠ, ጡ, ጢ, ጣ, ጤ, ጥ, ጦ, ጧ의 첫소리, 나바호어케추아어족에서 tʼ, 조지아어에서 ტ, 오로모어에서 x에서 이 소리가 난다.[1] 코카서스 제어를 중심으로 나타난다.

언어별 표기
언어표기
암하라어ጠ, ጡ, ጢ, ጣ, ጤ, ጥ, ጦ, ጧ
나바호어, 케추아어족
조지아어
오로모어x
그루지야어
아디게어, 체첸어тӏ
케추아어


3. 1. 치경 또는 치경-치음

암하라어에서는 ጠ, ጡ, ጢ, ጣ, ጤ, ጥ, ጦ, ጧ의 첫소리, 나바호어케추아어족에서는 tʼ, 조지아어에서는 ტ, 오로모어에서는 x에서 이 소리가 난다. 코카서스 제어를 중심으로 나타나며, 그루지야어의 ტ, 아디게어체첸어의 тӏ, 케추아어의 tʼ 등이 해당된다.

언어별 표기
언어표기
암하라어ጠ, ጡ, ጢ, ጣ, ጤ, ጥ, ጦ, ጧ
나바호어, 케추아어족
조지아어
오로모어x
그루지야어
아디게어, 체첸어тӏ
케추아어



다할로어에서는 이 소리가 설단 치경음, 치경 파열음과 대조된다.[1] 다음은 그 예시이다.

단어IPA의미
t̪ʼat̪t̪a|다할로어dah'머리카락'

[1]

3. 2. 치경음

(예레반 방언)[2]տասը|տասըhy/t'asë[ˈtʼɑsə]'열'다른 동부 방언에서는 무성 치경 파열음 [t⁼]에 해당함체첸어 / / [tʼəj]'다리'다할로어[t̺ʼirimalle]'거미'설단음, 혀끝과 치경 파열음의 방출음과 대조됨[3]간자어[3][tʼóɗó]'검정색'조지아어ტიტა|ka/tita[ˈtʼitʼä]'튤립'하이더어qqayttas|qqayttashai[qʼajtʼas]'바구니'카바르디아어 / / [tʼə]'수양'카웨스카르어tǽrkse|''t'''ǽrksealc[tʼǽɾkse]'매운'크바르시어/t'aja[tʼaja]'떨어지다'메그렐어ტყები|ყებიxmf/tqɛbi[ˈtʼqʼɛbi]'가죽'나바호어yáʼátʼééh|yáʼáééhnv[jáʔátʼɛ́ːh] 또는 [jáʔátʼéːh]인사 또는 '안녕'문자 그대로 좋다[4]네즈 퍼스어tʼeyíitʼeyii|eyíieyiinez[tʼæˈjiːtʼæjiː]'평평한'오세트어
(아이언)стꙑалы|стъалыos/sthaly[ˈstʼäɫɪ̈]'별'케추아어tʼanta|antaqu[tʼæntæ]'빵'스반어ტჷნ|ჷნka/tʼən[tʼən]'몸'


4. 참고 사항

참조

[1]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and the IPA Chart {{!}}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http://www.internati[...] 2018-04-01
[2] 서적
[3] 논문 A Phonology of Ganza http://journals.dart[...] 2017-01-16
[4] 웹사이트 What does "Yá'át'ééh" mean? (Navajo Greeting) https://www.youtube.[...] 2021-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