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비흐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비흐어는 흑해 북부 연안에 거주했던 우비흐인들이 사용했던 언어로, 1864년 코카서스 전쟁 이후 터키로 이주하면서 쇠퇴했다. 1992년 마지막 유창 화자인 테브피크 에센치의 사망으로 사어가 되었으며, 80개 이상의 자음과 3개의 모음을 가진 복잡한 음운 체계와 교착어적 문법 구조가 특징이다. 언어학자들은 우비흐어의 기록을 남겼으며, 현재는 터키 등지에 흩어져 사는 우비흐인들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문화적 상징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서캅카스어족 - 카바르다어
    카바르다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중동의 체르케스인 디아스포라에서 사용되고, 아디게어와 함께 체르케스어파로 분류되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정서법을 사용하고 적은 모음과 많은 자음을 가진다.
  • 북서캅카스어족 - 압하스어
    압하스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며 압하스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언어로, 복잡한 자음 체계와 적은 수의 모음을 특징으로 하고, 압하지야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 사용자가 분포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압하지야의 공용어로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포합어 - 알류트어
    알류트어는 알래스카와 러시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에스키모-알류트족의 언어로, 동부, 아트카, 아투 섬, 코퍼 섬 방언으로 나뉘며, SOV 어순을 따르고 언어 활성화 노력이 진행 중이다.
  • 포합어 - 나바호어
    나바호어는 아타바스칸어족에 속하며 미국 남서부 나바호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성조와 복잡한 동사 활용, SOV 어순을 특징으로 하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암호 통신에 사용되기도 했다.
  • 튀르키예의 언어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튀르키예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우비흐어
개요
언어 이름우비흐어
고유어 이름tuex̂ıbze, t°axəbza, tʷɜχɨbzɜ
발음t͡pɜχɨbzɜ, /tʷɜxɨbzɜ/
다른 이름우비흐어 (Убыхыбзэ, wɨbɨx), 우비흐어 (Убыхыбзэ), 오비흐어 (Oubykh), 패히 (Päkhy)
일반 정보
어족북서캅카스어족
사용 지역소치 주변 (1864년 이전), 터키 (1864년 이후), 캅카스
사용자우비흐인
사멸 시기1992년 10월 7일 테브피크 에센치 사망
문자무문자 언어 (임시 표기법 개발됨)
언어 부호iso3: uby, glotto: ubyk1235
언어 상태
유네스코 세계 위험에 처한 언어 지도에 따라 사멸된 언어로 분류됨
유네스코 세계 위험에 처한 언어 지도에 따라 사멸된 언어로 분류됨

2. 역사

우비흐인은 본래 흑해 북동부 연안, 오늘날의 러시아 소치 인근 지역에 거주하던 캅카스 민족이었다. 이들은 반유목 생활을 했으나, 1864년 코카서스 전쟁에서 제정 러시아에 패배한 후 역사적 전환점을 맞았다. 러시아 제국에 의해 고향에서 추방당한 우비흐인들은 1875년오스만 제국 영토였던 오늘날의 터키 지역으로 대규모 이주를 단행했다.

터키에 정착한 우비흐인들은 점차 터키 문화에 동화되었고, 일상에서 터키어와 체르케스어, 아랍어 사용이 늘면서 고유 언어인 우비흐어는 급격히 쇠퇴하였다.

우비흐어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7세기 오스만 제국 여행가 에브리야 첼레비의 여행기 Seyahatnâme|세야하트나메ota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후 몇몇 기록이 있었으나, 20세기 초 아돌프 디르의 조사 당시 이미 언어는 소멸 위기에 놓여 있었다.

20세기 중반부터 조르주 뒤메질, 한스 보그트 등 여러 언어학자들이 소멸 위기의 우비흐어를 기록하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마지막 유창한 화자인 테브피크 에센치는 연구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여 많은 음성 자료와 언어 정보를 남기는 데 협력했다.[2]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1992년 10월 7일, 테브피크 에센치가 사망하면서 우비흐어는 결국 사어가 되었다.[2] 언어학자들의 노력으로 남겨진 기록들은 우비흐어의 독특한 특징과 역사를 보여준다. 압하스 작가 바그라트 신쿠바의 역사 소설 The Last of the Departed|더 라스트 오브 더 디파티드eng는 우비흐 민족의 운명을 다루고 있다.

2. 1. 기원과 쇠퇴

우비흐어를 사용하는 우비흐인은 원래 흑해 북부 연안, 특히 오늘날의 소치 지역에 거주하던 반유목민 집단이었다.[2] 1864년 이전까지 이들은 소치 주변, 구체적으로는 볼콘카 강 남쪽부터 호스타 강 북쪽까지의 지역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1864년 제정 러시아와의 코카서스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우비흐인들의 운명은 크게 바뀌었다. 러시아 제국은 우비흐인들을 고향 땅에서 강제로 추방했고, 살아남은 이들은 1875년경 오늘날의 터키 영토로 대규모 이주를 감행해야 했다. 터키에 정착한 우비흐인들은 하지 오스만, 크르크프나르, 마수키예, 하지 야쿠프 등의 마을을 세웠다.

새로운 정착지에서 우비흐인들은 점차 터키 사회에 문화적으로 동화되기 시작했다. 일상생활에서는 아랍어와 체르케스어가 더 선호되었고, 이 과정에서 두 언어의 많은 단어가 우비흐어에 유입되기도 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우비흐어는 급격히 생명력을 잃어갔다.

우비흐어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7세기 오스만 제국의 여행가 에브리야 첼레비가 그의 여행기 세야하트나메에 남긴 것이다. 이후 19세기에는 제임스 벨(1840년)과 표트르 우슬라르(1887년) 등이 우비흐어 단어나 기록을 남겼다. 20세기 초인 1913년,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요청으로 우비흐어를 조사한 아돌프 디르는 1928년 출판한 저서에서 이미 우비흐어가 소멸 직전에 놓여 있음을 지적했다. 그는 당시 대부분의 우비흐인이 체르케스어와 터키어를 함께 사용하는 삼중 언어 구사자였으며, 우비흐어 고유의 민담이나 노래는 거의 사라졌다고 기록했다.

언어의 소멸 위기 속에서도 프랑스의 언어학자 조르주 뒤메질을 비롯한 여러 학자들은 우비흐어를 기록하고 연구하기 위해 노력했다. 뒤메질은 1930년대부터 우비흐어 연구에 매진했으며, 한스 보그트, 조지 휴잇, A. 슘루 외즈소이 등도 마지막 화자들의 도움을 받아 귀중한 자료를 남겼다.[2] 특히 테브피크 에센치와 후세인 코잔은 연구에 크게 기여했으며, 테브피크 에센치는 뒤메질이 만든 표기법으로 우비흐어를 쓰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비흐어의 쇠퇴를 막을 수는 없었다. 터키 내 여러 지역에 흩어져 살던 우비흐어 화자들은 점차 줄어들었다. 사판자 지역의 화자들은 1965년까지 대부분 사망했고, 카흐라만마라슈에서는 1967년에 마지막 화자가 세상을 떠났다. 삼순 지역에서는 1974년 조사 당시 이미 우비흐어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결국, 마지막 유창한 우비흐어 화자로 알려진 테브피크 에센치1992년 10월 7일 사망하면서 우비흐어는 사어가 되었다.[2] 2011년 조사에 따르면, 우비흐어 단어를 일부 기억하거나 몇 가지 구절을 말할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압하스 작가 바그라트 신쿠바는 그의 역사 소설 ''The Last of the Departed''에서 우비흐인의 비극적인 운명을 다루기도 했다.

2. 2. 사멸

우비흐인은 원래 흑해 북부 연안, 특히 오늘날의 소치 지역에 거주하던 민족이었으나, 1864년 제정 러시아와의 코카서스 전쟁에서 패배한 후 살아남은 이들은 대거 터키로 이주하였다. 이들은 터키 내 하지 오스만, 크르크프나르, 마수키예, 하지 야쿠프 등의 마을에 정착했지만, 점차 터키 문화에 동화되면서 아랍어와 체르케스어를 주로 사용하게 되었고 우비흐어는 급격히 쇠퇴하였다.

우비흐어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7세기 오스만 제국의 여행가 에브리야 첼레비가 그의 여행기 Seyahatnâme|세야하트나메ota에 '사즈어'(Sadz)라는 이름으로 남긴 것이다. 근대에 들어서는 1840년 영국의 모험가 제임스 벨이 우비흐어 단어를 기록했고, 1887년에는 러시아의 언어학자 표트르 우슬라르가 압하스어 문법서 부록에 우비흐어 자료를 실었다. 1913년에는 독일의 언어학자 아돌프 디르가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요청으로 우비흐어를 조사하여 1928년에 관련 서적을 출판했는데, 이는 최초의 체계적인 우비흐어 기록으로 평가받는다. 디르는 이미 이때 우비흐어가 소멸 위기에 처했음을 지적하며, 대부분의 우비흐인이 체르케스어와 터키어를 함께 사용하는 다중언어 화자였고 우비흐어 고유의 민담이나 노래는 거의 사라졌다고 기록했다.

20세기 들어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1930년 헝가리의 언어학자 율리우스 폰 메사로스가 터키를 방문하여 우비흐어를 기록하고 1934년 ''Die Päkhy-Sprache''를 출판하여 초기 연구의 기초를 다졌다. 같은 시기 프랑스의 언어학자 조르주 뒤메질 역시 우비흐어 연구를 시작하여, 이후 가장 중요한 우비흐어 연구자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우비흐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80개가 넘는 자음)를 밝혀내고 민담집, 문법 연구서(''Le Verbe Oubykh'', 1975) 등을 출판하며 언어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노르웨이의 한스 보그트는 1963년 방대한 우비흐어-프랑스어 사전을 출판하여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이러한 기록과 연구 과정에서 마지막 유창한 우비흐어 화자인 테브피크 에센치의 역할은 절대적이었다. 그는 8세까지 우비흐어만 사용하며 자란 모어 화자로, 1956년부터 사망 1년 전인 1991년까지 조르주 뒤메질, 한스 보그트, 조지 휴잇, A. 슘루 외즈소이, 조르주 샤라치제 등 여러 언어학자들과 협력하여 방대한 언어 자료와 녹음을 남기는 데 헌신했다.[2] 에센치는 뒤메질이 고안한 표기법으로 우비흐어를 쓰는 법을 배우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비흐어의 소멸을 막을 수는 없었다. 1992년 10월 7일, 테브피크 에센치가 사망하면서 우비흐어는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진 사어가 되었다.[2] 2011년 보고에 따르면, 현재 우비흐어 단어를 아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일부 노인들이 몇몇 구절을 기억하는 정도에 불과하다. 최근 연구로는 2011년 로한 S. 펜윅(Rohan S. Fenwick)이 출판한 영어 문법서 ''A Grammar of Ubykh''가 있으며[9], 일부 우비흐인 후손들 사이에서 자신들의 언어를 되살리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압하스 작가 바그라트 신쿠바의 역사 소설 [http://www.circassianlibrary.org/lib/html/Shinkuba-The_Last_of_the_Departed/contents.html ''The Last of the Departed영어'']는 우비흐 민족의 비극적인 운명을 다루고 있다.

우비흐어 연구 및 기록 주요 기여자
인물주요 기여
에브리야 첼레비17세기 Seyahatnâme|세야하트나메ota에 "사즈어"로 우비흐어 기록
제임스 벨1840년 우비흐어 단어 기록
표트르 우슬라르1887년 압하스어 문법서 부록에 우비흐어 기록
아돌프 디르1913년 조사 및 1928년 체계적 기록 출판
율리우스 폰 메사로스1930년 조사 및 1934년 Die Päkhy-Sprache 출판
조르주 뒤메질1930년대부터 연구 시작, 민담집, 음운 연구, 문법서(Le Verbe Oubykh, 1975) 등 다수 출판
한스 보그트1963년 우비흐어-프랑스어 사전 출판
테브피크 에센치마지막 유창한 화자, 언어 기록 및 연구에 결정적 기여 (1956-1991)
조르주 샤라치제후기 연구 참여, 문법 기술 (1989)
조지 휴잇후기 연구 참여
A. 슘루 외즈소이후기 연구 참여
브라이언 조지 휴잇관련 문헌 출판
존 콜라루소관련 문헌 출판
비아체슬라프 치리크바관련 문헌 출판 및 2011년 현황 보고
로한 S. 펜윅 (Rohan S. Fenwick)2011년 영어 문법서 A Grammar of Ubykh 출판[9]


2. 3. 연구

우비흐어의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알려진 것은 17세기경 에브리야 체레비가 그의 저서 Seyahatnâme|세야하트나메ota에 "사즈어"라는 이름으로 기록한 것이다. 근대에 들어서는 제임스 벨(James Bell)이 1840년에 "아바자어"로 우비흐어 단어를 기록했고, 1887년에는 표트르 우슬라르가 압하스어 문법서의 부록으로 우비흐어 기록을 남겼다.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요청에 따라 아돌프 디르가 1913년에 우비흐어를 조사했으며, 1928년에 우비흐어에 관한 서적을 출판했다. 이는 알려진 가장 오래된 체계적인 우비흐어 기록으로 평가받는다. 디르는 이미 1913년 조사 시점에서 우비흐어가 절멸 위기에 처해 있음을 지적했다.

헝가리 언어학자 율리우스 폰 메사로스는 1930년 터키를 방문하여 우비흐어에 대한 기록을 남겼고, 그의 1934년 저서 Die Päkhy-Sprache|디 패히-슈프라헤deu는 초기 우비흐어 연구의 기초를 마련했다. 프랑스 언어학자 조르주 뒤메질 역시 1930년 터키를 방문하여 우비흐어를 녹음하기 시작했으며, 1931년에 우비흐어 저서를 출판했다. 뒤메질은 이후 가장 저명한 우비흐어 연구자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조르주 뒤메질을 중심으로 많은 학자들이 우비흐어를 기록했다. 이 과정에서 마지막 유창한 화자 중 한 명인 테브피크 에센치의 역할이 매우 중요했다. 에센치는 1956년부터 사망 전 해인 1991년까지 연구에 적극적으로 협력했으며[2], 뒤메질이 고안한 표기법으로 우비흐어를 쓰는 법을 배우기도 했다. 1950년대에 뒤메질은 우비흐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 특히 80개가 넘는 자음의 존재를 밝히는 중요한 연구들을 발표했다. 그는 이전 기록들의 부정확성을 지적하며 디르(1928)와 자신(1931)의 텍스트, 메사로스(1934)의 텍스트를 교정했다.

노르웨이 언어학자 한스 보그트는 1963년 기념비적인 우비흐어-프랑스어 사전 Dictionnaire de la langue oubykh|딕시오네르 드 라 랑그 우비크fra를 출판했다. 이 사전은 이후 1965년 뒤메질에 의해 일부 내용이 수정 및 보완되었다. 뒤메질은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에 우비흐어 및 북서 코카서스어 어원에 대한 여러 논문을 발표했으며, 1975년에는 우비흐어 동사와 명사 형태론을 포괄적으로 다룬 중요한 저서 Le Verbe Oubykh|르 베르브 우비크fra를 출판했다.

1980년대 이후 우비흐어 연구는 다소 둔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르주 샤라치제는 1989년에 우비흐어 전체 문법을 기술한 연구를 발표했다.

1992년 10월 7일, 마지막 유창한 화자인 테브피크 에센치가 사망하면서 우비흐어는 사어가 되었다[2]. 이후 2011년, 로한 펜윅(Rohan Fenwick)이 영어로 된 포괄적인 문법서 A Grammar of Ubykh|어 그래머 오브 우비크eng를 출판하며 연구의 명맥을 이었다[9].

압하스 작가 바그라트 신쿠바의 역사 소설 The Last of the Departed|더 라스트 오브 더 디파티드eng는 우비흐인의 운명을 다루고 있다.

우비흐어 연구에 기여한 주요 학자들은 다음과 같다:

  • 조르주 뒤메질
  • 한스 보그트
  • 테브피크 에센치
  • 율리우스 폰 메사로스
  • 아돌프 디르
  • 조르주 샤라치제
  • 뱌체슬라프 치리크바
  • 존 콜라루소
  • 브라이언 조지 휴잇
  • 로한 펜윅 (Rohan Fenwick)

2. 4. 현재

우비흐어는 마지막 유창한 화자로 알려진 테브피크 에센치(Tevfik Esenç)가 1992년 10월 7일에 사망하면서 사어가 되었다.[2] 그의 죽음 이전까지 조르주 뒤메질, 한스 보그트, 조지 휴잇, A. 슘루 외즈소이 등 여러 언어학자들이 에센치를 비롯한 마지막 화자들의 도움으로 수천 페이지 분량의 자료와 오디오 녹음을 수집하고 정리했다.[2] 테브피크 에센치조르주 뒤메질이 고안한 표기법으로 우비흐어를 쓰는 법을 배우기도 했다.

비록 언어는 사멸했지만, 우비흐인들은 현재도 터키와 러시아 영내의 캅카스 지역에서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살아가고 있다. 일부 우비흐인들 사이에서는 자신들의 언어를 다시 배우려는 움직임과 관심이 나타나고 있다.[9]

우비흐어는 화자 공동체에 의해 직접 기록된 적은 없지만, 에브리야 첼레비가 그의 세야하트나메에 일부 구절을 기록했고, 여러 언어학자들의 노력 덕분에 상당 부분의 구전 문학과 일부 나르트 사가가 기록으로 남았다.[2] 이러한 기록 덕분에 우비흐어는 사멸한 후에도 그 독특한 특징으로 인해 언어학자들의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다.

1980년대 이후 우비흐어에 대한 언어학 연구는 다소 둔화되었으나, 2011년 로한 펜윅(Rohan Fenwick)이 ''A Grammar of Ubykh''를 출판하는 등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9]

압하스 작가 바그라트 신쿠바는 그의 역사 소설 ''The Last of the Departed''에서 우비흐 민족의 운명을 다루기도 했다.

2011년 보고에 따르면, 현재 우비흐어 단어를 아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알고 있더라도 몇 가지 구절을 말할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하다. 공식적인 우비흐어 화자 통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과거 우비흐인들이 거주했던 터키 내 사판자, 발르케시르 마냐스 지구, 카흐라만마라슈, 삼순 등지에서도 화자는 거의 사라진 것으로 보고된다.

우비흐어 연구에 기여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
브라이언 조지 휴잇
조르주 뒤메질
한스 보그트
존 콜라루소
테브피크 에센치
비아체슬라프 치리크바


3. 특징

우비흐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현재는 사어가 되었다. 이 언어는 여러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음운론과 문법 구조에서 두드러진 면모를 보인다. 다른 북서캅카스어족 언어인 아디게어압하스어와 유사성을 공유하면서도 독자적인 분파를 형성한다.

음운론적으로 우비흐어는 닿소리(자음)가 매우 많고 홀소리(모음)가 극히 적은, 전형적인 캅카스 제어의 특징을 보여준다. 총 84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6], 이는 세계적으로도 매우 많은 수에 속한다. 반면, 모음은 음소적으로 단 3개(/ɐ/, /ɜ/, /ɨ/)만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주변 자음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이음으로 실현된다.[6] 또한, 북서캅카스어족 중 드물게 인두음화된 자음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문법적으로 우비흐어는 교착어이면서 포합어적인 특징이 매우 강하다. 주로 단음절 또는 이음절 어근을 사용하지만, 접사가 많이 붙어 하나의 단어가 매우 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ɜχʲɜzbɜtɕʼɜʁɜwdɨtʷɐjlɜfɜqʼɜjtʼmɜdɜχ/` ('만약 당신이 그가 (그것)을 그들을 위해 다시 내 아래에서 모두 꺼낼 수 없게 만들지 않았다면')와 같이 복잡한 의미가 하나의 단어로 표현되기도 한다. 능격-절대격 언어로,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직접 목적어를 문법적으로 동일하게 취급하며, 분할 능격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명사 체계는 상대적으로 단순하여 3개의 주요 격(절대격, 사격-능격, 처격)을 구분하지만, 동사 체계는 매우 복잡하다. 동사는 주어뿐만 아니라 직접 목적어, 간접 목적어, 심지어 수혜자와도 일치해야 하는 복잡한 동사 일치 체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여러 시제와 상을 구분하는 등 정교한 굴절 체계를 갖추고 있다. 명사와 동사의 경계는 다소 모호하여 명사가 동사처럼 쓰이거나(예: `/mɨzɨ/` '아이' → `/sɨmɨzɨjtʼ/` '나는 아이였다') 동사 어근이 명사로 쓰이는 경우(예: `/qʼɜ/` '말하다' → `/sɨqʼɜ/` '내가 말하는 것')도 흔하다.[4][5]

어휘 면에서는 아디게어아랍어로부터 많은 차용어를 받아들였으며, 페르시아어, 압하스어, 남캅카스어족 언어의 영향도 일부 보인다. 특히 언어 소멸 직전에는 아디게어 어휘가 대량으로 유입되었다. 또한,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요소로 표현하는 북서캅카스어족의 특징이 반영된 관용구가 풍부하게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사랑하다'는 `/ʈʂʼɜn bɨjɜ/` (문자 그대로 '잘 보다')로 표현되었다.[7][8]

다른 북서캅카스어족 언어들과 비교했을 때, 우비흐어는 아디게어 및 압하스어와 유사성을 보이면서도 독자적인 특징을 유지하며 제3의 분파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다른 북서캅카스어들이 원래의 순음 계열 흔적을 보존하는 반면, 우비흐어는 화석화된 구개음 계열 표지를 가지고 있다(예: 우비흐어 `/ɡʲɨ/` '심장' vs. 다른 언어 `/ɡʷə/`). 또한, 다른 언어들이 진정한 인두 자음을 가진 것과 달리, 우비흐어는 인두음화를 이차 조음의 특징으로 사용하는 유일한 언어이다. 지리적 영향으로 압하스어와 많은 특징을 공유하기도 했으며, 후기 우비흐어 화자 중 다수는 아디게어를 이중 언어로 사용했다.

3. 1. 음운론

우비흐어는 닿소리(자음)의 수가 매우 많은 반면 홀소리(모음)의 수는 극히 적은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캅카스 제어에서 흔히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이다.

우비흐어는 84개의 닿소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 중 3개는 차용어에서만 나타난다.[6] 한때 기네스북에 등재될 정도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자음을 가진 언어로 알려졌으나,[10] 이후 !Xóõ어 등 더 많은 자음을 가진 언어가 발견되었다.[11] 그럼에도 클릭 자음이 없는 언어 중에서는 매우 많은 자음을 보유하고 있으며,[6] 특히 20개의 구개수음과 29개의 순수 마찰음 음소를 가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반면, 홀소리(모음)는 음소적으로 단 3개(/ɨ/, /ɜ/, /ɐ/)만이 구별된다.[6] 모음 수가 적어 주변 자음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이음으로 실현되는 경향이 강하다.

또한, 북서 코카서스어족 중 드물게 인두음을 구별하며, 다른 관련 언어보다 인두음 종류가 많다. 다만 화자에 따라 음소 구별의 차이가 있어, 마지막 화자인 테브피크 에센치는 84개의 음소를 구별했지만 일부 화자는 약 60개 정도만 구별하기도 했다.

3. 1. 1. 자음

우비흐어는 84개의 닿소리(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 중 3개([k], [g], [v])는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이를 제외한 고유 자음 음소는 80개 또는 81개로 보는데, 이는 [kʼ]를 고유 음소로 간주하는지에 대한 학자 간의 견해 차이 때문이다. 한때 우비흐어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자음을 가진 언어로 알려졌으나, !Xóõ어(130개 자음) 등이 발견되면서 기록이 바뀌었다.[10] 그럼에도 우비흐어는 클릭 자음을 사용하지 않는 언어 중에서는 여전히 매우 많은 자음을 보유하고 있다.[6]

우비흐어 자음 체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9개의 기본 조음 위치와 광범위한 이차 조음(순음화, 구개음화, 인두화 등)이 존재한다.
  • 구개수음 음소가 20개, 순수 마찰음 음소가 29개로 다른 언어에 비해 매우 많다.
  • 세 가지 유형의 후치경음(설단음, 설첨음, 설첨 폐쇄음)을 구별한다.
  • 북서 코카서스어족 중 드물게 인두음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 치경음치경구개음 사이에서 독특한 순음화 현상이 나타난다.


화자에 따라 구별하는 자음 음소의 수는 달랐다. 마지막 화자인 테브피크 에센치는 외래어 유래 자음을 포함해 84개의 음소를 구별했지만, 일부 화자는 60개 정도만 구별하기도 했다.

다음 표는 뒤메질(Dumézil, 1975)과 펜윅(Fenwick, 2011)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우비흐어 자음 체계이다. 뒤메질은 [kʼ]를 고유 음소로 간주하였다. 차용어에만 나타나는 자음 [k], [g], [v]는 별도로 표시하였다.

우비흐어 자음표
rowspan=2 colspan=2 |순음치경음후치경음치경구개음권설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평음인두평음순음측음평음순음평음순음구개평음순음인두구개평음순음인두순음+인두
비음mn(ʔ)
파열음무성음ptt͡pkqqʷˤ
유성음bdd͡bɡʲɡɡʷ
방출음pˤʼt͡pʼkʲʼkʷʼqʲʼqʷʼqˤʼqʷˤʼ
파찰음무성음t͡st͡ʃt͡ɕt͡ɕᶲʈ͡ʂ
유성음d͡zd͡ʒd͡ʑd͡ʑᵝɖ͡ʐ
방출음t͡sʼt͡ʃʼt͡ɕʼt͡ɕᶲʼʈ͡ʂʼ
마찰음무성음fsɬʃʃʷɕɕᶲʂxχʲχχʷχˤχˤʷh
유성음vzʒʒʷʑʑᵝʐɣʁʲʁʁʷʁˤʁˤʷ
방출음ɬʼ
접근음ljw
전동음r


3. 1. 2. 모음

우비흐어의 홀소리(모음)는 다른 북서 코카서스어족 언어들처럼 그 수가 매우 적어, 2개 또는 3개만이 음소적으로 구별된다. 모음의 수가 적은 대신, 주변 닿소리(자음)의 영향을 받아 매우 다양한 이음으로 실현되는 특징이 있다.[6]

모음의 정확한 수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의 의견 차이가 존재한다. 어떤 학자들은 압하스어처럼 장모음과 단모음의 대립(/a/ 와 /aː/)으로 보아 2개의 모음(/ə/, /a/)을 설정하는 반면(이모음설), 다른 학자들은 아디게어처럼 광모음과 반광모음의 대립(/ɐ/ 와 /ɜ/)으로 보아 3개의 모음(/ɨ/, /ɜ/, /ɐ/)을 설정한다(삼모음설).

우비흐어의 모음 체계는 수직 모음 구조를 가진다. 이는 국제음성기호(IPA) 모음 도표에서 세로축에 해당하는 입의 열림 정도(모음 높이)에 따른 구별은 있지만, 가로축에 해당하는 혀의 위치(전설 모음, 후설 모음 등)에 따른 구별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음운 구조가 다양한 이음이 나타나는 주된 원인이 된다.

아래는 두 가지 주요 학설에 따른 모음 체계를 보여주는 표이다.

삼모음설이모음설
좁음/폐쇄/ɨ//ə/
반광/개/ɜ//a/
광/장개/ɐ//aː /


3. 2. 문법

우비흐어는 교착어적인 특성을 가지며, 접사가 매우 많이 사용되어 포합어로 간주되기도 한다. 주로 단음절 또는 이음절 어근을 사용하지만, 접사가 길게 붙어 하나의 단어가 매우 길어지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당신이 그가 (그것)을 그들을 위해 다시 내 아래에서 모두 꺼낼 수 없게 만들지 않았다면'과 같은 복잡한 의미를 하나의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

능격-절대격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자동사 문장의 주어와 타동사 문장의 직접 목적어를 문법적으로 동일하게 취급하는 방식이다. 분할 능격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기본 어순은 주어-동사(SV) 또는 행위자-목적어-동사(AOV)이다.

명사 체계는 비교적 단순하며 몇 가지 격을 구분한다. 명사와 동사의 경계는 다소 모호하여 명사가 동사처럼 쓰이거나 동사 어근이 명사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4][5]

반면 동사 체계는 매우 복잡하다. 동사는 많은 접두사접미사가 붙어 다양한 의미를 표현하며 복잡한 파생굴절을 한다. 특히 동사 일치 체계가 복잡하여, 동사는 주어뿐만 아니라 직접 목적어, 간접 목적어, 때로는 수혜자와도 일치해야 한다. 여러 시제와 상을 구별하는 등 정교한 문법 체계를 갖추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명사, 동사, 수사 섹션에서 다룬다.

3. 2. 1. 명사

우비흐어의 명사 체계는 비교적 단순하다. 명사동사의 경계는 다소 모호한데, 모든 명사는 상태 동사의 어근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 *mɨzɨ* '아이', *sɨmɨzɨjtʼ* '나는 아이였다'), 많은 동사 어근은 명사 접두사를 사용하여 명사가 될 수 있다 (예: *qʼɜ* '말하다', *sɨqʼɜ* '내가 말하는 것').[4][5]

우비흐어는 능격-절대격 언어로, 자동사주격타동사의 목적격이 문법적으로 동일하게 취급된다. 단어의 문법적 기능은 표지(어미 등)에 의해 부여된다.

=== 격 ===

주요 은 세 가지가 있다. 일부 분석에서는 사격-능격이 기능이 다른 두 개의 동음이의어 격으로 보아 총 4개의 격이 나타난다고 보기도 한다. Fenwick (2011) 등 다른 연구에서는 5개의 기본 격을 설정하기도 한다.

  • 절대격 (ABS): 어미 없이 어근 그대로 사용된다. 자동사의 주어와 타동사의 직접 목적어를 나타낸다. (예: *tɨt* '남자')
  • 사격-능격 (OBL-ERG): 단수는 *-n*, 복수는 *-nɜ* 어미가 붙는다. 타동사 구문의 주어, 전치동사의 대상, 또는 다른 접미사를 취하지 않는 간접 목적어를 나타낸다. (예: *mɨzɨn* '(아이에게/아이가)')
  • 처격 (LOC): *-ʁɜ* 어미가 붙으며, 장소나 위치를 나타낸다 (영어의 ''in'', ''on'', ''at'' 등).

::



::그들은 강가로 갔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격 또는 격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어미들이 존재한다.

  • 부사격 (ADV): *-nɨ* 어미가 붙어 형용사를 부사로 만든다.

::



::아주 좋다

  • 도구격 (INSTR): *-ɜwn(ɨ)* 어미가 붙는다. 도구나 수단을 나타낸다. Dumézil(1975)은 이를 격으로 취급했다.

::



::바다노코도 양손으로 컵을 들고…

  • 공격/공동격-공구격 (COM-INSTR): *-ɐlɜ* 어미가 붙는다. 함께 함('~와 함께') 또는 도구의 의미를 나타낸다. '~와' (and)의 의미도 가진다.

::



::또 한 명도 치즈와 생선을 사서 가져왔다

또한, *-lɐq* ('~쪽으로')와 *-ʁɐfɜ* ('~을 위해')와 같은 후치사는 합성 여격으로 언급되기도 하지만, 이들이 격으로서의 지위를 갖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예: *ɜχʲɨlɐq ɜstʷɜdɜw* '나는 그것을 왕자에게 보낼 것이다')

=== 성, 관사, 수 ===

명사에는 문법적 성 구분이 없다.

정관사는 *ɐ*이다 (예: *ɐtɨt* '그 남자'). 영어의 ''a'' 또는 ''an''에 해당하는 부정관사는 없지만, *zɜ*-(어근)-*ɡʷɜrɜ* (문자 그대로 '하나'-(어근)-'어떤')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예: *zɜnɜjnʃʷɡʷɜrɜ* '어떤 젊은이')

수는 능격 명사에만 어미 *-nɜ*로 표시된다. 절대격 논항의 수는 동사 어근의 교체(예: *ɐkʷɨn blɜs* '그는 차 안에 있다' vs. *ɐkʷɨn blɜʒʷɜ* '그들은 차 안에 있다')나 동사 접미사를 통해 표시된다 (예: *ɐkʲʼɜn* '그는 간다', *ɐkʲʼɐn* '그들은 간다'). 2인칭 복수 접두사 *ɕʷ*-는 해당 접두사가 능격, 절대격, 간접 논항 중 무엇을 나타내는지에 관계없이 복수 표시를 유발한다.

  • 절대격: *ɕʷɜstʷɐn* ('나는 너희 모두를 그에게 준다')
  • 간접격: *sɨɕʷɨntʷɐn* ('그는 너희 모두에게 나를 준다')
  • 능격: *ɐsɨɕʷtʷɐn* ('너희 모두는 그것/그들을 나에게 준다')


마지막 예문에서 목적어 *ɐ*-는 단수 '그것'인지 복수 '그들'인지 모호할 수 있다.

=== 형용사와 후치사 ===

대부분의 경우, 형용사는 명사에 접미사로 붙는다. 예를 들어, *tʃɨbʒɨjɜ* ('고추')에 *pɬɨ* ('빨간')를 붙이면 *tʃɨbʒɨjɜpɬɨ* ('빨간 고추')가 된다. 형용사는 굴절되지 않는다.

후치사는 드물게 사용된다. 대부분의 처소 관련 의미 기능과 일부 비처소 기능은 동사 앞의 전치동사 요소로 표현된다 (예: *ɐsχʲɜwtxqʼɜ* '너는 그것을 나를 위해 썼다'). 그러나 *sɨʁʷɜ sɨɡʲɐtɕʼ* ('나처럼'), *ɐχʲɨlɐq* ('왕자 근처')와 같은 몇몇 후치사가 존재한다.

3. 2. 2. 동사

우비흐어 동사는 매우 교착어적이며 포합어적인 특성을 보여, 주로 단음절 또는 이음절 어근을 사용하지만 하나의 형태론적 단어가 9음절 이상 길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ɜχʲɜzbɜtɕʼɜʁɜwdɨtʷɐjlɜfɜqʼɜjtʼmɜdɜχ/는 '만약 당신이 그가 (그것)을 그들을 위해 다시 내 아래에서 모두 꺼낼 수 없게 만들지 않았다면'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동사는 많은 접두사접미사를 통해 복잡한 파생굴절을 한다. 명사와 동사의 경계는 다소 모호하여, 모든 명사는 상태 동사의 어근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예: /mɨzɨ/ '아이' → /sɨmɨzɨjtʼ/ '나는 아이였다'), 많은 동사 어근은 명사 접두사를 사용하여 명사가 될 수 있다(예: /qʼɜ/ '말하다' → /sɨqʼɜ/ '내가 말하는 것').[4][5]

=== 동사 일치 ===

동사 일치 체계는 매우 복잡하다. 영어 동사가 주어와만 일치하는 것과 달리, 우비흐어 동사는 주어, 직접 목적어, 간접 목적어와 모두 일치해야 한다. 또한 수혜자 목적어도 동사에 표시해야 한다. 수혜자는 동사 앞에 붙는 /χʲɜ/- 접두사로 표시되지만, 일반적으로 이미 세 개의 일치 접두사를 가진 동사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성 구별은 2인칭 활용에서만 나타나며, 화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된다. 여성 2인칭 표지는 /χɜ/-이며, 다른 대명사 접두사처럼 기능한다. 예를 들어, /wɨsχʲɜntʷɨn/ ('그가 당신에게[일반; 성 중립] 나를 위해 그것을 준다')와 /χɜsχʲɜntʷɨn/ ('그가 당신에게[여성] 나를 위해 그것을 준다')를 비교할 수 있다.

=== 동사 구조 ===

동작 동사는 어근에 정해진 순서로 접사적 요소를 배치하는 "슬롯형" 구조를 가진다. 중요한 요소만 추려보면 동사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절대격(ABS) - 사격(OBL)b - 관계 동사 전사 - 사격(OBL)a - 동사 전사(PREV) - 능격(ERG) - 부정사(NEG) - 동사 어근 - 상(ASP) - 복수사(PL) - 시제(TENSE) - 복수사(PL) - 부정사(NEG)'''

복수사와 부정사가 두 개 있는 이유는 시제에 따라 나타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 인칭과 수 ===

자유 인칭 대명사는 다른 북서캅카스어처럼 능격-절대격 구별이 없다.[6]

자유 인칭 대명사
1인칭2인칭3인칭
단수표준/s(ɨ)ʁʷɜ//(w(ɨ))ʁʷɜ/ (비표준 /χɜʁʷɜ/)/ɐʁʷɜ/
AB/(s)χɜ/
복수표준/ʃɨʁʷɜɬɜ//ɕʷɨʁʷɜɬɜ//ɐʁʷɜɬɜ/
테브피크 에센치/ʃɜɬɜ//ɕʷɜɬɜ/
오스만 귕귈/ʃɨʁʷɜ//ɕʷɨʁʷɜ/



동사 내 인칭 마커는 절대격, 능격, 사격을 표시하며, 단수와 복수를 구별한다. 3인칭 사격 마커는 뒤따르는 동사 전철(preverb)의 유무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남녀 구별은 2인칭 단수에서 고어적으로 존재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현대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후속 마커나 동사 어근이 유성음이고 능격 인칭 마커에 악센트가 없을 때, 1인칭 단수·1인칭 복수·2인칭 복수 능격 마커는 대응하는 유성음(각각 z-, ʒ-, ʑʷ-)이 된다.

동사 인칭 마커
인칭1인칭2인칭3인칭
사격 또는 동사 전철 없을 때사격 또는 동사 전철 있을 때
절대격 (ABS)s(ɨ)-w(ɨ)-ø-
ʃ(ɨ)-ɕʷ(ɨ)-ɐ-
능격 (ERG)s(ɨ)-, z-w(ɨ)-ø-
ʃ(ɨ)-, ʒ-ɕʷ(ɨ)-, ʑʷ(ɨ)-nɐ-
사격 (OBL)s(ɨ)-w(ɨ)-ø-n(ɨ)-
ʃ(ɨ)-ɕʷ(ɨ)-ɐ-nɐ-



=== 관계 동사 전치사 ===

관계 동사 전치사는 항상 사격(OBL)a 인칭 마커와 함께 나타나며, 사격(OBL)a 마커 역시 관계 동사 전치사와 함께 나타난다. 세 종류가 있다.


  • '''수혜격''' (BEN): -/χʲɜ/-
  • 사격(OBL)a를 위해, 또는 그를 향해 동작을 수행함을 나타낸다.
  • 예: /ɐ-w-χʲɜ-s-ʃ-ɜwt/ (3sg.ABS-2sg.OBLa-BEN-1sg.ERG-do-FUT.II) "나는 당신a을 위해 그것을 할 것이다."
  • 예: /ɐ-nkʲɜ-nɨ ʃɨ-zɜ-χʲɜ-ʃ-nɜ-ɜw/ (the-friend-ADV 1pl.ABS-recip.OBLa-BEN-become-PL-FUT.I) "서로a 친구가 됩시다." (recip. = 상호)
  • '''피해자격''' (MAL): -/t͡ɕʷʼɨ/-
  • 사격(OBL)a의 의향에 반하여, 또는 그에게 거슬러 동작을 수행함을 나타낸다.
  • 예: /ɐ-s-t͡ɕʷʼɨ-ø-ʁʷɐ-tʷʼɨ-qʼɜ/ (3sg.ABS-1sg.OBLa-MAL-3sg.OBLb-PREV-leave-PRET) "그b는 나의a 소망에 반하여 그것을 떠났다."
  • '''공동격''' (COM): -/d͡ʒɨ/-
  • 사격(OBL)a와 함께 동작을 수행함을 나타낸다.
  • 예: /jɜ-zɜ-d͡ʒɨ-nɐ-d͡ʑʷɜ-qʼɜ/ (null.ABS-recip.OBLa-COM-3pl.ERG-drink-PRET) "그들erg은 함께a 마셨다."


=== 사전동사 요소 ===

다수의 지역, 전치사, 기타 기능들은 다양한 사전동사(preverb) 요소를 통해 표현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사동태가 생성된다. 사전동사 요소는 결정사(determinant)와 사전동사(preverb)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뉜다. 사전동사의 수는 제한적이며 주로 위치와 방향을 나타낸다. 결정사의 수도 제한적이지만, 이 부류는 더 개방적이며 /tʃɜ/- ('말에 관해'), /ɬɜ/- ('사물의 발 또는 기초에 관해') 등이 포함된다.

단순한 위치를 나타내는 데에는 여러 사전동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음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 위에 있으며 접촉
  • 위에 있으며 비접촉
  • 아래에 있으며 접촉
  • 아래에 있으며 비접촉
  • 옆에
  • 공간을 통과
  • 고체를 통과
  • 평평한 수평 표면에
  • 수평이 아닌 또는 수직 표면에
  • 균일한 덩어리 안에
  • ~쪽으로
  • 위쪽 방향으로
  • 아래쪽 방향으로
  • 튜브형 공간으로
  • 밀폐된 공간으로


'화자 쪽으로'라는 의미의 별도 방향 사전동사 /j/-도 있으며, 동사 복합체에서 별도의 자리를 차지한다. 사전동사는 영어에서 전체 구문이 필요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동사 /jtɕʷʼɐ/-는 '땅에' 또는 '땅 속에'를 의미한다: /ʁɜdjɜ ɐjtɕʷʼɐnɐɬqʼɜ/ ('그들은 그의 시신을 묻었다'; 문자 그대로 "그들은 그의 시신을 땅에 넣었다"). 사전동사 /fɐ/-는 불에서, 불 안으로, 또는 불에 관해 행해지는 행동을 의미한다: /ɐmdʒɜn zɜtʃɨtʃɜqʲɜ fɐstχʷɨn/ ('나는 불에서 횃불을 꺼낸다').

=== 상 (Aspect) ===

상(Aspect)은 5가지 종류가 있으며, 여러 상을 조합하여 /ɐj-lɜ/, /ɐj-fɜ/, /ɐj-lɜ-fɜ/, /t͡ɕʷɜ-fɜ/ 등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 '''습관상''' (HAB): -/gʲɜ/-
  • 습관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 예: /ɐ-wɨrɨs-ɐlɜ ʃɨ-zɜjɜ-gʲɜ-ɐ-nɜjɬ/ (the-Russia-COM 1pl.ABS-fight-HAB-PL-IMPF) "우리는 항상 러시아와 전쟁을 했다."
  • '''반복상''' (ITER): -/ɐj(ɨ)/-
  • 동작의 반복을 나타내지만, 일부 동사에서는 의미가 변화한다 (예: '다시 주다', '돌려주다').
  • 예: /ɐ-wɨ-s-tʷɨ-n/ (3sg.ABS-2sg.OBL-1sg.ERG-give-PRES) "나는 당신에게 그것을 준다." → /ɐ-wɨ-s-tʷ-ɐjɨ-n/ (3sg.ABS-2sg.OBL-1sg.ERG-give-ITER-PRES) "나는 당신에게 그것을 돌려준다."
  • '''완료상''' (EXH): -/lɜ/-
  • 완전한 동작, 완결된 동작을 나타낸다.
  • 예: /ɐ-s-t͡ɕʼɜ-ɐj-lɜ-n/ (3sg.ABS-1sg.ERG-know-ITER-EXH-PRES) "나는 그것을 완전히 기억한다."
  • 예: /ʁɜ-ɬɐpʼɜ dʁɜ-ø-ø-pʼt͡ɕʼɜ-lɜ-tʼɨn (...)/ (3sg.poss-foot SUB-3sg.ABS-3sg.ERG-clean-EXH-CONV (...)) "그가 발을 다 씻고 나면…"
  • '''과대상''' (EXC): -/t͡ɕʷɜ/-
  • 정도를 넘은 동작을 나타낸다.
  • 예: /jɜ-s-fɨ-t͡ɕʷɜ-n/ (null.ABS-1sg.ERG-eat-EXC-PRES) "나는 너무 많이 먹고 있다."
  • '''가능상''' (POT): -/fɜ/-
  • 동작의 가능 또는 불가능을 나타낸다.
  • 예: /s-kʲʼɜ-fɜ-qʼɜ-mɜ/ (1sg.ABS-go-POT-PRET-NEG) "나는 갈 수 없었다."


=== 시제 (Tense) ===

시제(Tense)는 과거-현재-미래 구분이 존재하며(접미사 -/qʼɜ/ 와 -/ɜwt/는 각각 과거와 미래를 나타냄), 불완료상 접미사 -/jtʼ/도 발견된다(이는 시제 접미사와 결합 가능). 총 8개에서 10개의 시제가 존재한다.

시제의 단수/복수는 절대격의 수에 의존한다. 즉, 사격이나 능격이 복수라도 절대격이 단수이면 시제는 단수형을 사용한다. 단, 2인칭 복수가 사격 또는 능격에 있는 경우에는 절대격이 단수여도 시제는 복수형이 된다.

아래 표는 주요 시제 4가지의 긍정/부정 및 절대격 단수/복수에 따른 형태 변화를 보여준다.

주요 시제 형태 변화
시제글로스긍정부정
절대격 단수절대격 복수절대격 단수절대격 복수
현재형PRES-n-ɐ-n-m(ɨ)-어근-n-m(ɨ)-어근-ɐ-n
과거형PRET-qʼɜ-qʼɜ-n-qʼɜ-mɜ-qʼɜ-nɜ-mɜ
미래형(Ⅱ)FUT.II-ɜwt-nɜ-ɜwt-ɜwmɨt-nɜ-ɜwmɨt
반과거IMPF-nɜjtʼ-ɐ-nɜjɬ-nɜjtʼ-mɜ-ɐ-nɜjɬɜ-mɜ


  • 타동사 `bjɜ` (보다) 긍정형 예시 (능격 1인칭 단수 고정)


시제절대격 2인칭 단수절대격 2인칭 복수
현재형/wɨzbjɜn//ɕʷɨzbjɐn/
과거형/wɨzbjɜqʼɜ//ɕʷɨzbjɜqʼɜn/
미래형(Ⅱ)/wɨzbjɜwt//ɕʷɨzbjɜnɜwt/
반과거/wɨzbjɜnɜjtʼ//ɕʷɨzbjɐnɜjɬ/


  • 자동사 `kʲʼɜ` (가다) 부정형 예시


시제절대격 1인칭 단수절대격 1인칭 복수
현재형/sɨmkʲʼɜn//ʃɨmkʲʼɐn/
과거형/skʲʼɜqʼɜmɜ//ʃkʲʼɜqʼɜnɜmɜ/
미래형(Ⅱ)/skʲʼɜwmɨt//ʃkʲʼɜnɜwmɨt/
반과거/skʲʼɜnɜjtʼmɜ//ʃkʲʼɐnɜjɬɜmɜ/



=== 동사 활용 패턴 ===

동사는 논항 구조에 따라 크게 4가지 패턴(A~D 패턴)으로 나뉜다.


  • 자동사 (A 패턴): 절대격 논항만 가짐.
  • /ɐ-tɨt ø-qˤɜ-qʼɜ/ (the-man(ABS) 3sg.ABS-run-PRET) "그 남자는 달렸다."
  • /ɐ-tɨt ɐ-qˤɜ-qʼɜ-n/ (the-man(ABS) 3pl.ABS-run-PRET-PL) "그 남자들은 달렸다."
  • 사격이 있는 자동사 (B 패턴): 절대격과 사격 논항을 가짐.
  • /sɨ-wɨ-jɜ-n/ (1sg.ABS-2sg.OBL-hit-PRES) "나는 당신을 때렸다."
  • 타동사 (C 패턴): 절대격과 능격 논항을 가짐.
  • /sɨ-ʑʷ-bjɜ-ɐ-n/ (1sg.ABS-2pl.ERG-see-PL-PRES) "당신들은 나를 본다."
  • /ɕʷɨ-z-bjɜ-ɐ-n/ (2pl.ABS-1sg.ERG-see-PL-PRES) "나는 당신들을 본다."
  • 사격이 있는 타동사 (D 패턴): 절대격, 사격, 능격 논항을 가짐.
  • /ɐ-sɨ-wɨ-tʷɨ-n/ (3sg.ABS-1sg.OBL-2sg.ERG-give-PRES) "당신은 그것을 나에게 준다."


사격 또는 능격으로 2인칭 복수형이 나타나면 시제가 복수형이 되므로, 절대격 3인칭의 단수와 복수 구별이 불가능해진다.

  • /ɐ-ɕʷɨ-s-tʷɨ-ɐ-n/ (3sg.ABS-2pl.OBL-1sg.ERG-give-PL-PRES) "나는 그것을 당신들에게 준다."
  • /ɐ-ɕʷɨ-s-tʷɨ-ɐ-n/ (3pl.ABS-2pl.OBL-1sg.ERG-give-PL-PRES) "나는 그것들을 당신들에게 준다."

  • 사격이 2개 있는 예
  • /ɐ-s-χʲɜ-w-ʁɜ-nɨ-wtʷɨ-ɐj-ɜwt/ (3sg.ABS-1sg.OBLa-BEN-2sg.OBLb-PREV-3sg.ERG-remove-ITER-FUT.II) "그erg는 그것을 당신b으로부터 나a에게서 빼앗아 되돌릴 것이다."


=== 상태 동사 ===

상태 동사는 동작 동사와 대체로 동일한 구조를 취하지만, 시제가 동작 동사와 달리 현재와 과거 두 종류뿐이다. 명사나 형용사가 서술어가 되는 경우에도 상태 동사와 동일한 시제를 사용하여 복합어를 만든다.

상태 동사 시제
시제글로스긍정부정
절대격 단수절대격 복수절대격 단수절대격 복수
현재형STAT.PRES-n-mɜ-nɜ-mɜ
과거형STAT.PAST-jtʼ-jɬ-jtʼ-mɜ-jɬɜ-mɜ


  • 예: /ɐ-gʲɨd͡zɜ-jɬɜ-mɜ/ (3pl.ABS-big-STAT.PAST.PL-NEG) "그것들은 크지 않았다."


=== 의문문 ===

의문문은 동사 접미사나 접두사를 사용하여 문법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 예/아니오 의문문: 접미사 -/ɕ/
  • /wɜnɜ ɐwbjɜqʼɜɕ/? ('그것을 봤니?')
  • 복잡한 의문문(WH-의문문 등): 접두사 -/j/
  • /sɐkʲʼɜ wɨpʼtsʼɜj/? ('이름이 뭐니?')


'어디', '무엇'과 같은 의문 대명사를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의문문은 동사 복합체에서만 표시될 수 있다.

  • /mɐwkʲʼɜnɨj/? ('어디 가니?')
  • /sɐwqʼɜqʼɜjtʼɨj/? ('무슨 말을 했었니?')


=== 접속사 ===

접속사 /ɡʲɨ/ ('그리고')와 /ɡʲɨlɜ/ ('그러나')는 일반적으로 동사 접미사(-/ɡʲɨ/, -/ɡʲɨlɜ/)로 사용되지만, 각각에 해당하는 독립된 입자(/ve/ < 아랍어, /ɜʁʷɜ/)도 있다.

3. 2. 3. 수사

우비흐어는 북서캅카스어족의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20진법을 사용한다. 공통격 표지 `-ɐlɜ`를 사용하여 21 이상의 숫자를 표현할 수 있다.

숫자수사숫자수사숫자수사
111ʒʷɨzɜ21tʼqʷʼɜtʷʼɐlɜ zɐlɜ
2tʼqʷʼɜ12ʒʷɨtʼqʷʼɜ30tʼqʷʼɜtʷʼɐlɜ ʒʷɐlɜ
3ɕɜ13ʒʷɨɕɜ40tʼqʷʼɜmt͡ɕʼɜtʼqʷʼɜtʷʼ
4pʼɬʼɨ14ʒʷɨpʼɬʼ50tʼqʷʼɜmt͡ɕʼɜtʼqʷʼɜtʷʼɐlɜ ʒʷɐlɜ
5ʃxɨ15ʒʷɨʃx60ɕɜmt͡ɕʼɜtʼqʷʼɜtʷʼ
616ʒʷɨf80pʼɬʼɨmt͡ɕʼɜtʼqʷʼɜtʷʼ
7blɨ17ʒʷɨbl100ʃʷɜ
8ʁʷɜ18ʒʷɨʁʷɜ200tʼqʷʼɜʃʷɜ
9bʁʲɨ19ʒʷɨbʁʲ300ɕɨʃʷɜ
10ʒʷɨ20tʼqʷʼɜtʷʼ1000min


  • 예시

:: 나는 1904년에 태어났다

::

bɨn-ɐlɜbʁʲɨʃʷɜ-ɐlɜpʼɬʼɨ-ʃʷɜ-ɜwnsɨ-ʁˤ-qʼɜ.
1000-COM900-COM4-year-INSTR1SG.ABS-be.born-PRET


3. 3. 문자

우비흐어는 본래 문자가 없는 언어였으나, 언어학자들이 기록과 연구를 위해 여러 문자 체계를 고안했다.[12][6] 하지만 표준화된 공식 문자 체계는 없다.

언어학자 로나 펜윅(Rona Fenwick)은 튀르키예어 컴퓨터 자판으로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고안된 '실용적인 우비흐어 표기법'을 제안했다. 그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실용적인 우비흐어 표기법
IPA표기법IPA표기법IPA표기법IPA표기법
[ɐ]a[z]z[tʃʼ]ç'[qʼ]q'
[ɜ]e[s]s[ʒ]j[ʁ]ğ
[ɨ]ı[r]r[ʃ]ş[χ]x
[b]b[n]n[ʒʷ]ju[qʲ]qi
[p]p[l]l[ʃʷ]şu[qʲʼ]q'i
[pʼ]p'[ɬ]lh[ɖʐ]cr[ʁʲ]ği
[v]v[ɬʼ]l'h[ʈʂ]çr[χʲ]xi
[f]f[dʷ]du[ʈʂʼ]ç'r[qʷ]qu
[w]w[tʷ]tu[j]y[qʷʼ]q'u
[m]m[tʷʼ]t'u[ɡ]g[ʁʷ]ğu
[bˤ]bh[dʑ]ci[k]k[χʷ]xu
[pˤ]ph[tɕ]çi[kʼ]k'[qˤ]qh
[pˤʼ]p'h[tɕʼ]ç'i[ɣ]ĝ[qˤʼ]q'h
[vˤ]vh[ʑ]ji[x][ʁˤ]ğh
[wˤ]wh[ɕ]şi[ɡʲ]gi[χˤ]xh
[mˤ]mh[dʑʷ][kʲ]ki[qʷˤ]
[d]d[tɕʷ]çü[kʲʼ]k'i[qʷˤʼ]q'ö
[t]t[tɕʷʼ]ç'ü[ɡʷ]gu[ʁʷˤ]ğö
[tʼ]t'[ʑʷ][kʷ]ku[χʷˤ]
[dz]dz[ɕʷ]şü[kʷʼ]k'u[h]h
[ts]ts[dʒ]c[xʷ]x̂u[ʐ]jr
[tsʼ]ts'[tʃ]ç[q]q[ʂ]şr



한편, 우비흐어 연구에 큰 기여를 한 조르주 뒤메질과 한스 포크트는 각자의 연구에서 편의상 고안된 문자 체계를 사용했다. 두 학자의 표기법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뒤메질은 모음을 3개(/ɜ/, /ɐ/, /ɨ/)로 보았지만, 포크트는 모음을 4개(/a/, /aː/, /oː/, /ə/)로 설정했다. (엄밀히 말하면 포크트는 장단 모음을 구분하는 2모음 체계를 주장했다는 견해도 있다.) 또한 뒤메질은 [kʼ]를 고유 음소로 간주했지만 포크트는 그렇지 않았다. 아래 표는 두 학자가 사용한 문자를 비교한 것으로, 각 표기법의 차이와 외래어(주로 튀르키예어)에만 나타나는 음소 표기를 보여준다.

뒤메질과 포크트의 우비흐어 표기법 비교
표기 (뒤메질/포크트)IPA표기 (뒤메질/포크트)IPA표기 (뒤메질/포크트)IPA표기 (뒤메질/포크트)IPA표기 (뒤메질/포크트)IPA
a
(뒤메질: /ɜ/, 포크트: /a/)
/ɜ/, /a/ạ (뒤메질) / aː (포크트)
(뒤메질: /ɐ/, 포크트: /aː/)
/ɐ/, /aː/b
/b/
/b/
/bˤ/
/bˤ/c
/t͡s/
/t͡s/
c’
/t͡sʼ/
/t͡sʼ/ċ
/t͡ɕ/
/t͡ɕ/ċ’
/t͡ɕʼ/
/t͡ɕʼ/
/t͡ɕʷ/
/t͡ɕʷ/c°’
/t͡ɕʷʼ/
/t͡ɕʷʼ/
č
/ʈ͡ʂ/
/ʈ͡ʂ/č’
/ʈ͡ʂʼ/
/ʈ͡ʂʼ/čʹ
/t͡ʃ/
/t͡ʃ/čʹ’
/t͡ʃʼ/
/t͡ʃʼ/d
/d/
/d/

/dʷ/
/dʷ/e (외래어)
/e/
/e/f
/f/
/f/g (외래어)
/g/
/g/
/gʲ/
/gʲ/

/gʷ/
/gʷ/h
/h/
/h/ı (외래어)
/ɯ/
/ɯ/i (외래어)
/i/
/i/k (외래어)
/k/
/k/
k’
/kʼ/ (뒤메질만 고유 음소)
/kʼ/
/kʲ/
/kʲ/kʹ’
/kʲʼ/
/kʲʼ/
/kʷ/
/kʷ/k°’
/kʷʼ/
/kʷʼ/
l
/l/
/l/λ (뒤메질) / ɬ (포크트)
/ɬ/
/ɬ/λ’
/ɬʼ/
/ɬʼ/m
/m/
/m/
/mˤ/
/mˤ/
n
/n/
/n/o (외래어)
/o/
/o/ö (외래어)
/œ/
/œ/oː (포크트)
/oː/ (다른 학자들은 /ɜw/~/ow/로 봄)
/oː/p
/p/
/p/
p’
/pʼ/
/pʼ/
/pˤ/
/pˤ/p̄’
/pˤʼ/
/pˤʼ/q
/q/
/q/q’
/qʼ/
/qʼ/

/qʲ/
/qʲ/qʹ’
/qʲʼ/
/qʲʼ/
/qʷ/
/qʷ/q°’
/qʷʼ/
/qʷʼ/
/qˤ/
/qˤ/
q̄’
/qˤʼ/
/qˤʼ/q̄°
/qʷˤ/
/qʷˤ/q̄°’
/qʷˤʼ/
/qʷˤʼ/r
/r/
/r/s
/s/
/s/

/ɕ/
/ɕ/
/ɕʷ/
/ɕʷ/š°
/ʃʷ/
/ʃʷ/š
/ʂ/
/ʂ/šʹ
/ʃ/
/ʃ/
t
/t/
/t/
/tʷ/
/tʷ/t’
/tʼ/
/tʼ/t°’
/tʷʼ/
/tʷʼ/u (외래어)
/u/
/u/
ü (외래어)
/y/
/y/v (외래어)
/v/
/v/
/vˤ/
/vˤ/w
/w/
/w/
/wˤ/
/wˤ/
x
/χ/
/χ/
/χʲ/
/χʲ/
/χʷ/
/χʷ/
/χˤ/
/χˤ/x̄°
/χˤʷ/
/χˤʷ/
χ
/x/
/x/y
/j/
/j/z
/z/
/z/ż
/ʑ/
/ʑ/
/ʑʷ/
/ʑʷ/
ž°
/ʒʷ/
/ʒʷ/ž
/ʐ/
/ʐ/žʹ
/ʒ/
/ʒ/γ
/ʁ/
/ʁ/γʹ
/ʁʲ/
/ʁʲ/
γ°
/ʁʷ/
/ʁʷ/γ̄
/ʁˤ/
/ʁˤ/γ̄°
/ʁˤʷ/
/ʁˤʷ/ǧ
/ɣ/
/ɣ/ʒ
/d͡z/
/d͡z/
ʒ̇
/d͡ʑ/
/d͡ʑ/ʒ°
/d͡ʑʷ/
/d͡ʑʷ/ǯ
/ɖ͡ʐ/
/ɖ͡ʐ/ǯʹ
/d͡ʒ/
/d͡ʒ/ʹ (뒤메질) / ? (포크트)
/ʔ/
/ʔ/
ə
(뒤메질: /ɨ/, 포크트: /ə/)
/ɨ/, /ə/


4. 방언

우비흐어의 방언은 많지 않았지만, 주목할 만한 한 갈래 방언이 있다. 문법적으로는 표준 우비흐어(즉, 테브피크 에센치의 방언)와 유사하지만, 음성 체계가 매우 달라 62개 정도의 음소로 축소되었다. 화자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므로 엄밀히 말하면 화자마다 방언을 설정할 수도 있지만,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조르주 뒤메질이 Karacalar에서 Osman Güngör라는 정보 제공자로부터 기록한 우비흐어이다. 뒤메질은 이를 '우비흐어 방언?'(Un dialecte oubykh?프랑스어)이라는 제목으로 소개하며 방언이라고 단정하지는 않았다.

이 방언(Karacalar 방언)의 주요 음성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dʷ/ /tʷ/ /tʷʼ/는 /b/ /p/ /pʼ/로 축약되었다.
  • /ɕʷ/ /ʑʷ/는 /ʃʷ/ /ʒʷ/와 구별되지 않는다.
  • /ɣ/는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 인두화는 더 이상 변별적이지 않으며, 많은 경우 쌍자음으로 대체되었다.
  • 구개수 자음의 구개음화는 더 이상 음운론적이지 않다.

5. 어휘

우비흐어의 차용어는 주로 아디게어 또는 아랍어에서 유래했으며, 소수의 어휘는 페르시아어, 압하스어, 남캅카스어족에서 왔다. 우비흐어 말기에는 아디게어 어휘가 대량으로 유입되었는데, Vogt (1963)는 수백 개의 사례를 언급한다. 음소 /ɡ/, /k/, /kʼ/는 아랍어와 아디게어 차용어를 통해 들어왔다. /ɬʼ/ 역시 아디게어에서 온 것으로 보이며, 비교적 이른 시기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ɣ/ 또한 아디게어에서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 음소를 포함하는 몇 안 되는 단어들이 아디게어 차용어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pɐɣɜ/ ('자랑스러운'), /ɣɜ/ ('고환') 등이 있다.

많은 차용어는 원래 우비흐어 동의어를 가지고 있었으나, 아랍어, 체르케스어, 러시아어 동의어의 영향으로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 /bɨrwɨ/ ('구멍을 뚫다, 천공하다' - 이란어파) = /pɕɐtχʷ/
  • /tʃɐj/ ('차' - 중국어) = /bzɨpɕɨ/
  • /wɨrɨs/ ('적' - 페르시아어) = /bˤɜqˤʼɜ/


일부 단어, 특히 더 오래된 어휘 중에는 덜 일반적인 어족에서 차용된 경우도 있다. Colarusso (1994)는 /χˤʷɜ/ ('돼지')가 원셈어족의 *''huka''에서, /ɜɡʲɜrɨ/ ('노예')가 이란어파 어근에서 차용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Chirikba (1986)는 후자(/ɜɡʲɜrɨ/)를 압하스어 기원으로 간주하며, 압하스어 ''agər-wa'' ('하층 농민; 노예', 문자 그대로 '메그렐인')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합성은 우비흐어를 포함한 북서 코카서스어족 어휘 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동사 "사랑하다"는 /ʈʂʼɜn bɨjɜ/ (문자 그대로 '잘 보다')로 표현되며,[7] /ʈʂʼɜn zbɨˈjɜn/ ('나는 그를 사랑한다')와 같이 사용된다.[8]

반복 또한 일부 어근에서 나타나며, 종종 의성어적 성격을 띤다. 예를 들어 /χˤɜχˤɜ/ ('긁다')는 /χˤɜ/ ('긁다')에서 파생되었고, /kʼɨrkʼɨr/ ('닭처럼 꼬꼬 울다')는 아디게어에서 차용되었으며, /wɜrqwɜrq/ ('개구리처럼 울다') 등이 있다.

다른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우비흐어에도 관용구가 풍부하다. 추상적인 개념을 일련의 구체적인 요소로 표현하는 것은 북서 코카서스어족의 특징으로, 우비흐어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다른 언어보다 더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ntʷɜ/ ('문')이라는 단어는 "치안 판사", "법원" 또는 "정부"를 의미하는 관용구로 사용된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당신은 그를 사랑했다"는 문자 그대로 '당신은 그를 잘 보았다'로 번역되며, "그녀는 당신을 기쁘게 했다"는 '그녀는 당신의 마음을 잘랐다'로 번역된다. /wɨrɨs/ ('러시아인')이라는 용어는 아랍어에서 차용된 단어로, 나중에는 "불신자", "비무슬림" 또는 "적"을 의미하는 속어적 용법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참조

[1] 간행물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s://unesdoc.unes[...] UNESCO 2010
[2] 서적 First Person Singular III: Autobiographies by North American Scholars in the Language Science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1998-01-01
[3] 서적 The Ghost of Freedom 2008
[4] 서적 Le verbe oubykh: études descriptives et comparatives (The Ubykh Verb: Descriptive and Comparative Studies) Imprimerie Nationale 1975
[5] 논문 North-West Caucasian 2005
[6] 서적 A Grammar of Ubykh Lincom Europa
[7] 서적 Die Päkhy-Sprache
[8]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Oubykh
[9] 논문 Ubykh Dictionary Draft - M https://zenodo.org/r[...] 2022-07-30
[10] 뉴스 Language with most consonants https://www.guinness[...] 2021-07-29
[11] 서적 ギネスブック ’85 講談社 1985
[12] 서적 A Grammar of Ubykh Lincom Europ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