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승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승춘은 1940년 서울에서 태어나 2017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시각 디자이너이다.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를 졸업하고, OB맥주, 오리콤 등에서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1988년 하계 올림픽 공식 엠블럼을 제작했으며, 1970년대부터 여러 기업과 공공기관의 CI 디자인을 수행했다. 2006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정년 퇴임 후 명예교수로 임용되었으며, 2015년에는 디자이너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그래픽 디자이너 - 민희진
    민희진은 SM엔터테인먼트에서 다수 아이돌 그룹의 비주얼 브랜딩을 총괄하며 '콘셉트 장인'으로 불렸고, 이후 하이브 자회사 어도어를 설립하여 뉴진스를 데뷔시켰으나, 하이브와의 경영권 분쟁과 여러 논란 끝에 어도어 대표직에서 해임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이자 기업인이다.
  • 대한민국의 그래픽 디자이너 - 조영제 (디자이너)
    조영제는 1935년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를 졸업하고 모교 교수로 36년간 재직하며 한국 디자인 교육과 발전에 기여했으며, OB맥주 레이블 리뉴얼, 제일모직, 신세계백화점 등의 CI 디자인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1988 서울 올림픽 디자인을 총괄하며 한국 디자인계의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 대광고등학교 동문 - 마광수
    마광수는 대한민국의 국문학자이자 작가, 대학교수로, 시인과 소설가로 활동하며 성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문학관으로 기성 문단과 갈등을 빚었고, 소설 《즐거운 사라》로 외설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 대광고등학교 동문 - 김광석
    김광석은 '사랑했지만', '서른 즈음에' 등의 히트곡과 소극장 공연으로 대중과 소통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싱어송라이터로, 그의 음악적 영향력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사망 원인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문 - 오윤 (화가)
    오윤은 소설가 오영수의 아들이자 1980년대 민중미술 운동의 대표 작가로, 흑백 목판화를 통해 사회적 약자의 삶과 고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고, 한국 전통 예술과 서구 미술을 결합한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하여 한국 현대 판화의 선구자로 인정받았다.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문 - 김민기 (가수)
    김민기는 1970년대 저항가요를 대표하며, 가수, 작곡가, 극작가, 연출가로 활동했고,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을 연출했으며, 2024년 위암으로 사망했다.
양승춘 - [인물]에 관한 문서
양승춘
2005년 양승춘
출생일1940년 12월 25일
출생지일제강점기 경성부 (현재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사망일2017년 6월 20일
국적대한민국
학력
학교대광고등학교
대학교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학과 학사
직업
분야그래픽 디자인
직업그래픽 디자이너

2. 생애

양승춘은 1940년 12월 25일에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나 2017년 6월 20일에 사망한 대한민국의 디자이너이자 교육자이다. 대광고등학교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학과를 졸업했다. OB 맥주 CI, 1988년 하계 올림픽 엠블럼 등을 제작했으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를 역임했다.[8][14][15][16]

1969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가 공인 디자이너 자격을 받았다.[12]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최한 대한민국 산업디자인전람회에서 초대 작가, 심사위원으로 활동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40-1965)


  • 1940년 12월 25일 서울특별시에서 6남매 가운데 셋째로 태어났다.
  • 1959년 대광고등학교를 졸업했고, 1965년에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학과를 졸업하면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8]
  • 1964년 서울대학교 재학 도중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한 제1회 상공인의 날 포스터 공모전에서 당선되었다.
  • 1965년 청소년 선도의 달 포스터 공모전에서 당선되었고, 같은 해에 열린 제1회 전국 쇼윈도 콘테스트에서는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2. 2. 초기 디자이너 경력 (1965-1968)

1965년부터 1968년까지 양승춘은 OB 맥주(당시 동양맥주), 합동통신사 광고기획실(현재의 오리콤)에서 디자이너로 근무했다.[8] 1966년에는 OB맥주 신문광고로 조선일보가 주최한 조선일보광고대상을 수상했다.[9][10]

또한 1966년부터 1968년까지 대한민국 정부가 주최한 대한민국 상공미술전람회(상공미전)에서 특선을 3차례 수상했다.[11]

2. 3. 디자인 그룹 활동 및 교육 경력 (1968-1980)

1968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과 조교 및 시간강사로 임용되었고, 1970년에는 전임교수로 임용되었다.[12] 1974년 문교부의 지원을 통해 《한글 타입페이스 디자인》 연구 과정에 참여했다. 1977년 한국그래픽디자인협회 회원전에서 《한글 타이포그래픽 문자의 세계》를 출품했다.[13] 1978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발간한 연구지 《조형》에 〈사진 예술의 사적 흐름과 미학적 고찰〉이라는 논문을 게재했다.

1966년부터 1971년까지 이태영, 정시화, 배천범 등 서울대학교 출신 디자이너들과 함께 디자인 그룹 프리즘에서 활동했다. 1972년 한국그래픽디자인협회(現 한국시각디자인협회)를 설립했다. 1970년대에는 대학교 선배이자 동료 교수였던 조영제, 김교만과 함께 디자인 작업을 했다. 1977년부터 1980년까지 한국시각디자인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2. 4. 주요 디자인 활동 (1980-2006)

1974년 OB 맥주 CI를 제작한 것을 시작으로 여러 공공기관 및 기업의 디자인 프로젝트에 참여했다.[14] 1983년에는 1988년 하계 올림픽의 공식 엠블럼을 제작했다.[15]

2. 5. 후기 활동 및 별세 (2006-2017)

2006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에서 정년 퇴임하고 명예교수로 임용되었다.[16] 1998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운영위원을 역임했다. 2015년 한국디자인진흥원으로부터 안정언, 정시화와 함께 제4대 디자이너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7] 2017년 6월 20일에 향년 77세를 일기로 사망했다.[18]

3. 주요 디자인 프로젝트

연도프로젝트
1974년OB 맥주 CI
1975년CJ제일제당 CI
1976년삼성물산 CI, 도레이케미칼 CI
1977년신세계백화점 CI, 대한주택공사 CI
1980년한일은행 CI, 가톨릭중앙의료원 CI, 성모병원 CI
1982년삼성생명보험 CI
1984년국립현대미술관 CI, 한샘 CI, 금복주 CI
1986년삼양사 CI
1987년한양투자금융 CI
1989년한국존슨앤드존슨 CI, 백화 CI
1990년종가집 CI
1991년SBS 서울방송 CI
1993년대구 백화점 CI
1994년관악구청 CI
1995년문화체육관광부 CI, 가톨릭대학교 CI
2000년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CI, 서울시립재활병원 CI


참조

[1] 뉴스 [김문 기자가 만난 사람] 정년 퇴임 앞둔 서울대 마지막 ‘학사 교수’ 양승춘 씨 http://www.seoul.co.[...] Seoul Shinmun 2019-08-09
[2] 웹사이트 [양승춘] 대한민국 1세대 그래픽디자이너 http://www.kidp.or.k[...]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2020-11-03
[3] 웹사이트 디자이너 열전 - 양승춘 https://terms.naver.[...]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2020-11-03
[4] 웹사이트 디자인 칼럼 - 양승춘 (1940 ~ ) http://www.designdb.[...]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2019-08-09
[5] 웹사이트 Seoul 1988 – Emblem https://www.theolymp[...] Olympic Design 2020-11-04
[6] 웹사이트 [디자이너 명예의 전당] 역대 헌정 현황 http://www.kidp.or.k[...]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2019-08-09
[7] 뉴스 디자이너 양승춘 별세 http://mdesign.desig[...] Monthly Design 2019-08-09
[8] 뉴스인용 [김문 기자가 만난 사람] 정년 퇴임 앞둔 서울대 마지막 ‘학사 교수’ 양승춘 씨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9-08-09
[9] 웹인용 [양승춘] 대한민국 1세대 그래픽디자이너 http://www.kidp.or.k[...] 한국디자인진흥원 2020-11-03
[10] 웹인용 디자이너 열전 - 양승춘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2020-11-03
[11] 웹인용 應用美術(응용미술) 登龍門(등용문) 第(제)1回商工美展(회상공미전) https://newslibrary.[...] 2020-12-31
[12] 웹인용 디자인 칼럼 - 양승춘 (1940 ~ ) http://www.designdb.[...] 한국디자인진흥원 2019-08-09
[13] 웹인용 後素會展(후소회전) 17~23일 선화랑 https://newslibrary.[...] 2020-12-31
[14] 웹인용 Seoul 1988 – Emblem https://www.theolymp[...] Olympic Design 2020-11-04
[15] 웹인용 인터뷰 휘장當選(당선) 梁承椿(양승춘)씨 서울大美大(대미대)부교수 https://newslibrary.[...] 2020-12-31
[16] 웹인용 서울대 교수 30명 강단 떠나 https://news.naver.c[...] 2020-12-31
[17] 웹인용 [디자이너 명예의 전당] 역대 헌정 현황 http://www.kidp.or.k[...] 한국디자인진흥원 2019-08-09
[18] 뉴스인용 디자이너 양승춘 별세 http://mdesign.desig[...] 월간 디자인 2019-0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