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악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는 호랑이 모양으로 나무를 깎아 만든 악기이다. 연주 시에는 대나무 채로 머리를 두드리고 등을 긁어 소리를 내며, 음악의 시작이나 종료를 알리는 신호로 사용된다. 고대 중국에서 기원하여 한국과 베트남에도 전래되었으며, 문묘제례악과 종묘제례악 등 제례 의식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율타악기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무율타악기 - 트라이앵글
트라이앵글은 삼각형 모양의 타악기로, 한 각이 열려 있어 독특한 배음을 내며, 종교 의식 악기에서 기원하여 오케스트라, 민속 음악, 대중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연주된다. - 중국의 악기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중국의 악기 - 편경
편경은 한국 전통 악기로, 중국에서 유입된 후 자체 제작이 가능해졌으며, 16개의 석경을 쳐서 소리를 내고, 청아한 음색과 안정적인 음정으로 국악기 조율의 표준이 된다. - 한국의 악기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한국의 악기 - 편경
편경은 한국 전통 악기로, 중국에서 유입된 후 자체 제작이 가능해졌으며, 16개의 석경을 쳐서 소리를 내고, 청아한 음색과 안정적인 음정으로 국악기 조율의 표준이 된다.
어 (악기) | |
---|---|
개요 | |
![]() | |
분류 | 타악기, 체명악기 |
관련 악기 | 축 (악기) |
명칭 | |
한국어 | 어 |
한자 | 敔 |
로마자 표기 | eo |
중국어 병음 | yǔ |
영어 | Yu |
상세 정보 | |
형태 | 나무로 만든 호랑이 모양의 악기 |
연주 방법 | 톱날 모양의 등을 9개로 쪼개어 끝을 위로 향하게 세운 후, 자(竹)로 긁어 소리를 냄 |
사용 | 아악에서 음악의 끝을 알리는 데 사용됨 |
유래 | 중국에서 유래 |
특징 | 축 (악기)와 함께 사용됨 |
2. 형태
유(敔)는 호랑이를 닮은 모양으로 만들어졌으며, 보통 칠해진 속이 빈 나무 상자이다.[1] 뒤쪽은 27개의 이빨 모양으로 톱니를 이루고 있으며, 때로는 호랑이의 줄무늬와 일치하도록 배치되기도 한다.
나무로 만든 엎드린 호랑이 모양을 조각하여 등줄기에 27개의 굵은 톱날을 달아 만든다. 대나무를 갈라 만든 견죽(甄竹)을 손에 들고 머리쪽에서 꼬리쪽으로 긁어 소리낸다. 문묘제례악과 종묘제례악에서는 음악이 끝나는 신호로 쓴다.[3][4][5]
어는 고대 중국의 팔음에 속하는 악기로, 축이나 박판과 같이 "목(木)"부로 분류된다. 호랑이 모양을 하고 있으며, 등에는 27개의 톱니 모양 새김이 있다. '목력'이나 '신' 등으로 불리는 대나무 사사라로 머리를 세 번 두드리고 등을 세 번 쓸어내려 연주를 마치는 신호로 사용되었다.[3]
호랑이를 본뜬 형상으로, 등 부분에는 "齟齬" (소고)[3]라는 27개의 톱니 모양 새김이 있다. "목력(木櫟)" / "籈"[4] 등으로 불리는 대나무 사사라로 머리를 3번 가볍게 두드린 다음 등을 3번 쓸어내려[3] 연주 종료를 알렸다고 한다.[5]
3. 연주 방법
고대 중국의 팔음에서는 축(한 왕조 시대 이후[3]는 연주 시작의 신호로 사용)이나 박판 등과 마찬가지로 "목(木)"에 구분된다.
호랑이를 본뜬 형상으로, 그 등 부분에는 "鉏鋙" (소고)[3]라는 27개의 톱니 모양의 새김이 있다. "목력(木櫟)" / "신(籈)"[4] 등으로 불리는 대나무 사사라로 머리를 3번 가볍게 두드린 다음 등을 3번 쓸어내리는[3] 것으로, 연주 종료의 신호로 사용되었다.[5]
4. 역사
중국에서는 주나라 시대부터 이 악기가 존재했다.[4]
4. 1. 한국 전래
한국의 어는 유와 동일하며 한국의 의례 음악에서 계속 사용된다. 베트남의 응우(ngữvi 또는 敔vi) 역시 유와 동일하다.
호랑이 형상을 하고 있으며, 등에는 '소고'[3]라는 27개의 톱니 모양 새김이 있다. '목력' 또는 '신'[4]이라고 불리는 대나무 사사라로 머리를 3번 가볍게 두드린 다음 등을 3번 쓸어내려[3] 연주를 종료한다[5]. '어'라는 한자는 멈추게 한다는 의미를 가진다[3].
주나라 때부터 있었으며, 한국에는 1117년 (예종 12년) 고려 때 송에서 전래되었다고 한다[4].
현재에도 문묘와 종묘의 제례악에서 사용된다[4].
5. 용도
어는 나무로 만든 엎드린 호랑이 모양의 악기로, 등줄기에 27개의 톱니가 있다. 견죽(甄竹)이라는 대나무 도구로 긁어 소리를 내며, 문묘제례악과 종묘제례악에서 음악이 끝나는 신호로 사용된다.[2] 고대 중국의 팔음 분류에서는 '목(木)'에 해당하며, 주나라 시대부터 존재했다. 한국에는 고려 예종 12년인 1117년에 송나라에서 전래되었다는 설이 있다.[4] 호랑이 등 부분에는 27개의 톱니 모양 새김이 있으며, '목력' 또는 '신'이라고 불리는 대나무 사사라로 머리를 3번 두드리고 등을 3번 쓸어내려 연주 종료를 알렸다.[3][4][5]
5. 1. 현대의 사용
고대 시대에 어는 곡의 끝을 알리는 데 사용되었다. 악기의 머리를 세 번 두드리고 등 부분을 한 번 긁어 음악을 마무리했다. 이는 음악의 시작을 알리기 위해 안쪽 바닥을 두드리는, 뾰족한 속이 빈 상자인 주와 대조된다.[2] 두 악기는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남아있는 사례는 대개 박물관과 공자 사당에 전시되어 있다. 아악 악기의 제작과 사용법을 지시하는 악경은 거의 완전히 유실되었으며, 현대 제작 및 연주의 측면은 추측이나 대체로 이루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사당, 특히 주요 타이완 공자 사당에서는 여전히 유교 의식에 사용한다. 복원된 형태는 소흥 오페라에도 사용된다.6. 다른 지역
한국의 어는 본질적으로 유와 동일하며 한국의 의례 음악에서 계속 사용된다. 베트남의 응우(ngữ|응우vi 또는 敔|어vi) 역시 본질적으로 유와 동일하다.
7. 갤러리
7. 1. 타이완
고대 시대에는 어는 곡의 끝을 알리는 데 사용되었다. 악기의 머리를 세 번 두드리고 등 부분을 한 번 긁어 음악을 마무리했다. 이는 음악의 시작을 알리기 위해 안쪽 바닥을 두드리는, 뾰족한 속이 빈 상자인 주와 대조된다. 두 악기 모두 주 시대의 연대기와 상서[2]에 등장하지만,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남아있는 사례는 대개 박물관과 공자 사당에 전시되어 있다. ''아악'' 악기의 제작과 사용법을 지시하는 악경은 거의 완전히 유실되었으며, 현대 제작 및 연주의 측면은 추측이나 대체로 이루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사당, 특히 주요 타이완 공자 사당에서는 여전히 유교 의식에 사용한다.7. 2. 대한민국
한국의 어는 본질적으로 유와 동일하며 한국의 의례 음악에서 계속 사용된다. 베트남의 응우(ngữvi 또는 敔vi) 역시 본질적으로 유와 동일하다.[1]참조
[1]
서적
Musical instruments of the world
Published for Unicef by Facts On File
1976
[2]
웹사이트
柷
http://www.chinamedl[...]
2002-06-15
[3]
웹사이트
鉦 - Yahoo!百科事典(日本大百科全書)
http://100.yahoo.co.[...]
[4]
웹사이트
鉦 とは - コトバンク(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https://kotobank.jp/[...]
[5]
웹사이트
ぎょの意味 - 国語辞書 - goo辞書(デジタル大辞泉)
http://dictiona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