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하이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얼하이호는 중국 윈난성에 위치한 고산 호수이다. 남북 길이 약 40km, 동서 너비 약 7-8km, 면적 250km²로 중국에서 두 번째로 큰 고산 호수이며, 대리시의 배경을 이룬다. 호수의 어원은 고대 부족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백어(白語)에서 "낮은 물"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얼하이호는 다양한 어류와 수생식물의 서식지였으나, 현재는 외래종의 유입과 토착종의 감소로 생태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어업, 농업, 식수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며, 관광 명소로도 유명하다. 과거에는 남조국과 대리국의 생활 터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얼하이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정보 | |
![]() | |
위치 | 다리 시, 다리 바이족 자치주, 윈난 성 |
길이 | 40km |
너비 | 8km |
면적 | 250km2 |
평균 깊이 | 11m |
저수량 | 2.5km3 |
표고 | 1972m |
명칭 | |
중국어 (병음) | Ěrhǎi |
중국어 (간체) | 洱海 |
다른 이름 | 叶榆泽 (Yè yú zé) 昆明池 (Kūnmíng chí) |
일반 정보 | |
성인 | 단층호 |
담수/기수 | 담수 |
2. 어원
"洱"(er)은 '귀'(耳)와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洱海라는 이름은 한자 표기 및 백어(白語) 어원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설이 있다.[1][2]
2. 1. 한자 표기 관련 설
한나라부터 당나라 시대까지, 洱海 인근에는 '쿤밍이(昆明夷)' 또는 쿤밍 야만인(昆明夷)이라 불리는 고대 부족이 거주했다. 따라서 이 호수는 "쿤밍 호수"라고도 불렸다. '쿤밍이'는 '쿤미'(昆弥)라고도 불렸다. 이후 중국 문헌에는 "昆弥"가 "昆弭"(쿤미)로 기록되었는데, 여기서 "弭"는 "弥"의 회의자이다. 그리고 호수의 이름도 물(氵)이라는 뜻의 부수가 붙은 "渳"(mi)로 바뀌었다. 방궈위(方國瑜)는 "洱"(er)이 "渳"에서 간략화된 것이며, 그 후 "洱海"라는 이름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왔다고 믿고 있다.[1]백족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중국어 이름 "예위저"(예위(葉雨) + 저(澤, 호수))에서 "예위"는 "낮은 물"을 의미하는 백어(白語)에서 유래했으며, IPA로는 /jɛ33ji33/로 표기된다. 백어 다리 방언에서 "낮은"(낮음, /jɛ33/)은 /ɛɹ33/로 발음되기도 한다. 서린(徐林)은 중국어 이름 "洱"이 /ɛɹ33/에서 유래했다고 믿는다.[2]
2. 2. 백어 어원 관련 설
한나라부터 당나라 시대까지, 洱海 인근에는 '쿤밍이(昆明夷)' 또는 쿤밍 야만인(昆明夷)이라 불리는 고대 부족이 거주했다. 따라서 이 호수는 "쿤밍 호수"라고도 불렸다. '쿤밍이'는 '쿤미'(昆弥)라고도 불렸다. 이후 중국 문헌에는 "昆弥"가 "昆弭"(쿤미)로 기록되었는데, 여기서 "弭"는 "弥"의 회의이다. 그리고 호수의 이름도 물(氵)이라는 뜻의 부수가 붙은 "渳"(mi)로 바뀌었다. 방궈위(方國瑜)는 "洱"(er)이 "渳"에서 간략화된 것이며, 그 후 "洱海"라는 이름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왔다고 믿고 있다.[1]백족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중국어 이름 "예위저"(예위(葉雨) + 저(澤, 호수))에서 "예위"는 "낮은 물"을 의미하는 백어(白語)에서 유래했으며, IPA로는 /jɛ33ji33/로 표기된다. 백어 다리 방언에서 "낮은"(낮음, /jɛ33/)은 /ɛɹ33/로 발음되기도 한다. 서린(徐林)은 중국어 이름 "洱"이 /ɛɹ33/에서 유래했다고 믿는다.[2]
3. 지리
얼하이는 윈난성 다리시의 북서쪽에 위치하는 담수호로 윈난 성에서는 뎬츠호 다음으로 큰 호수이다. 고원 지대에 위치하고 있고 해발 1972m, 남북으로 긴 형태를 하고 있으며, 남북으로 길이 약 40km, 동서로 약 7km에서 8km의 폭을 가지고 있다. 호수의 표면적은 약 250km2이고, 전치호 다음으로 중국에서 두 번째로 큰 고산호수이다. 호수의 둘레는 116km이며, 평균 수심은 11m, 총 저수량은 2.5e9m3이다.
호수는 대리시의 배경을 이루며, 서쪽에서는 창산에 붙어 대리진을 끼고 있다. 호수의 북쪽 끝은 상관진, 남쪽 끝은 하관진이다. 호수에는 북쪽의 미주, 미적과 동쪽의 보러우, 그리고 서쪽 창산의 작은 개울들이 물을 공급한다. 남쪽의 양비은 호수의 배수구이며, 결국 란창강(메콩강)으로 흘러든다.
단층호로, 주변은 창산 등의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여러 개의 하천에서 물이 유입되지만, 외부로 흘러나가는 하천은 다리시 하관진 부근의 서이하뿐이며, 란창강을 거쳐 최하류에서는 메콩강이 된다.
4. 생태
얼하이 호는 어업, 농업, 식수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부이족은 그물이나 가마우지를 이용해 고기를 잡고, 장쑤성 타이호에서 들여온 소어류 양식도 이루어진다. 본래 따리잉어와 같은 고유종이 많았으나 1970년대 이후 외래종이 증가하여 생태계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생활하수 유입으로 인한 부영양화도 심각한 문제이다.[3]
이 호수는 과거 남조국 왕실의 사슴 목장이었다.
4. 1. 어류
부이족이 그물이나 가마우지 낚시를 이용해 고기잡이를 하고 있으며, 장쑤성의 타이호에서 유입된 소어류 양식도 이루어지고 있다. 본래 따리잉어 등의 고유종이 많았지만, 1970년대 이후 외래종이 증가해 현재는 외래종이 우세해지는 등 생태계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고 있다. 또한 생활하수 유입 등으로 부영양화가 진행되고 있다.[4]얼하이 호는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곳이었다. 윈난성의 고유종이 많은 세 주요 호수 중 하나이며, 다른 두 호수는 푸시엔 호와 디엔 호(전치호)이다.[3] 얼하이 호에서 알려진 23종의 어류와 아종 중 8종은 고유종이다: ''Cyprinus barbatus'', ''C. daliensis'', ''C. longipectoralis'', ''C. megalophthalmus'', ''Paracobitis erhaiensis'', ''Poropuntius daliensis'' (syn. ''Barbodes daliensis''), ''P. exiguus'' (동의어 ''B. exigua'') 및 ''Zacco taliensis'' (동의어 ''Schizothorax taliensis'').[3] 이 중에서 ''C. barbatus''와 ''C. longipectoralis''만 2000년 이후로 기록되었으며, 나머지는 수십 년 동안 기록되지 않아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3] 몇몇 비고유종 토착종 또한 호수에서 절멸되었다. 반대로, 이 호수는 현재 10종 이상의 외래종 어류의 서식지가 되었다.[3]
몇몇 토착 수생식물도 호수에서 사라졌다.[3]
4. 2. 수생식물
얼하이 호는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곳이었다. 얼하이 호는 고유종이 많은 윈난성의 세 주요 호수 중 하나이며, 다른 두 호수는 푸시엔 호와 디엔 호(전치호)이다.[3] 그러나 몇몇 토착 수생식물은 호수에서 사라졌다.[3]5. 이용
얼하이호는 고기잡이, 농업, 식수 등 여러 방면으로 활용되고 있다. 수산업에서는 바이족(白族)이 그물과 우카이(鵜飼)를 이용한 어업을 하고 있으며, 장쑤성 타이호(太湖)에서 도입된 납자루(シロウオ)류의 양식도 이루어지고 있다. 원래는 “다리잉어(大理鯉)” 등의 고유종이 많았으나, 1970년대 이후 외래종이 증가하여 현재는 붕어가 우세해지는 등 생태계 변화가 심하다. 또한, 생활하수 유입 등으로 부영양화가 진행되고 있다[4]。
5. 1. 어업
얼하이호는 고기잡이, 농업, 식수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수산업으로는 부이족이 그물이나 가마우지 낚시를 이용해 고기를 잡고 있으며, 장쑤성 타이호에서 유입된 소어류 양식도 이루어지고 있다. 본래 따리잉어 등의 고유종이 많았지만, 1970년대 이후 외래종이 증가하여 현재는 외래종이 우세해지는 등 생태계 변화가 급격히 일어나고 있다. 또한 생활하수의 유입 등으로 부영양화가 진행되고 있다.[4]5. 2. 기타
얼하이호는 고기잡이, 농업, 식수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수산업 측면에서는 부이족이 그물을 이용하거나 가마우지를 이용한 낚시를 하고 있으며, 장쑤성 타이호에서 들여온 작은 물고기 양식도 이루어지고 있다. 원래는 따리잉어와 같은 고유종이 많았지만, 1970년대 이후 외래종이 늘어나 현재는 외래종이 우세해지는 등 생태계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생활하수 유입 등으로 인해 부영양화가 진행되고 있다.[4]6. 관광
위도상으로는 태양의 복사열을 잘 받는 위치에 있지만, 고지대에 있기 때문에 기온은 연중 온화하고 관광에 적합하다. 호수의 연평균 수온은 16.9°C로 안정되어 있다. '풍화설월'의 명소인 따리 4경 중 하나인 ‘얼하이의 달’로 호수면에 떠오르는 달의 풍치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남안의 하관진과 북서쪽에 위치하는 호접천을 잇는 관광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선내에서는 바이족(白族)의 삼도차(三道茶)를 제공하거나 바이족의 춤을 선보이는 경우도 있다.
6. 1. 주요 명소
호숫가는 하이킹으로 탐험할 수 있다. 주요 명소로는 서쪽 제방에 있는 '''얼하이 공원(Erhai Park)'''과 '''나비 샘(Butterfly Springs)'''이 있다. '''관음각(Guanyin Ge)''', '''금梭섬(Jinsuo Island, 金梭岛)''', '''남조 풍정섬(Nanzhao Folklore Island, 南诏风情岛)''', '''소보타섬(Xiaoputuo Island, 小普陀)''' 등 호수 위의 섬들도 방문할 수 있다.
이 호수는 현지 주민(바이족(Bai people))에게 중요한 식량 공급원이며, 훈련된 가마우지(cormorant)를 이용한 독특한 어업 방식으로 유명하다. 가마우지는 물고기를 잡아 어부들에게 가져오는데, 새들이 물고기를 삼키지 못하도록 목에 고리를 채워 놓는다.
6. 2. 기타
위도 상으로는 태양의 복사열을 잘 받는 위치에 있지만, 고지대에 있기 때문에 기온은 연중 온화하고 관광에 적합한 기후를 가진다. 호수의 연평균 수온은 16.9°C로 안정되어 있다. 풍화설월의 명소인 따리 4경 중 하나인 ‘얼하이의 달’로 호수면에 떠오르는 달의 풍치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남안의 하관진과 북서쪽에 위치하는 호접천을 잇는 관광선이 운행되고 있다. 선내에서는 바이족(白族)의 삼도차(三道茶)를 제공하거나 바이족의 춤을 선보이는 경우도 있다.
호숫가는 하이킹으로 탐험할 수 있다. 주요 명소로는 서쪽 제방에 있는 '''얼하이 공원(Erhai Park)'''과 '''나비 샘(Butterfly Springs)'''이 있다. '''관음각(Guanyin Ge)''', '''금梭섬(Jinsuo Island, 金梭岛)''', '''남조 풍정섬(Nanzhao Folklore Island, 南诏风情岛)''', '''소보타섬(Xiaoputuo Island, 小普陀)''' 등 호수 위의 섬들도 방문할 수 있다.
이 호수는 현지 주민(바이족)에게 중요한 식량 공급원이며, 그들의 독특한 어업 방식으로 유명하다. 훈련된 가마우지(cormorant)들이 물고기를 잡아 어부들에게 가져온다. 새들이 물고기를 삼키지 못하도록 목에 고리를 채워 놓는다.
7. 역사
얼하이호는 옛날에 엽유택(葉楡澤), 곤미천(昆弥川), 시얼허(西洱河), 시얼허(西二河) 등으로 불렸다.[1] 차마고도의 출발지이며, 8세기에 남조는 농업용수나 식용수 확보를 위해 이곳에 수도를 두었다고 추측된다.[1] 또한 주위의 숲은 사슴 사냥터로 이용되었다.[1] 937년 대리국도 얼하이호를 생활 터전으로 이용했다.[1]
7. 1. 고대
옛 명칭에는 엽유택(葉楡澤), 곤미천(昆弥川), 시얼허(西洱河), 시얼허(西二河) 등이 있다.[1] 차마고도의 출발지로, 8세기에 남조국은 농업용수나 식용수 확보를 위해 이곳에 수도를 두었다고 추측된다.[1] 또한 주위의 숲은 사슴 사냥의 장소로서 이용되고 있었다고 한다.[1] 그 다음 937년에 개국한 대리국도 얼하이를 생활의 터전으로 이용했다.[1]7. 2. 남조국 시기
얼하이호는 옛날에 엽유호, 곤미천, 시얼허(西洱河), 시얼허(西二河) 등으로 불렸다. 이곳은 차마고도의 출발지이기도 하다. 8세기에 남조국은 농업용수나 식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이곳에 수도를 두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주위의 숲은 사슴 사냥터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937년에 건국된 대리국도 얼하이호를 생활 터전으로 삼았다.7. 3. 대리국 시기
얼하이호는 옛 명칭으로 엽유호, 곤미천, 시얼허(西洱河), 시얼허(西二河) 등으로 불렸다.[1] 차마고도의 출발지이며, 8세기에 남조는 농업용수나 식용수 확보를 위해 이곳에 수도를 두었다고 추측된다.[1] 또한 주위의 숲은 사슴 사냥의 장소로서 이용되었다고 한다.[1] 그 후 937년에 개국한 대리국도 얼하이호를 생활의 터전으로 이용했다.[1]참조
[1]
서적
方国瑜文集
Yunnan Education Publishing House
2001-01-01
[2]
학술지
点苍山洱海考释
1986-06-01
[3]
학술지
Six decades of changes in vascular hydrophyte and fish species in three plateau lakes in Yunnan, China
[4]
서적
世界の湖と水環境
成山堂書店
2001-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