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마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마고도는 윈난성, 쓰촨성, 샨시성 등을 거쳐 티베트, 네팔, 인도까지 연결되었던 고대 무역로이다. 6세기 후반에 형성되어 차와 말을 교역했으며, 윈난-티베트, 쓰촨-티베트, 샨시-간쑤, 탕구 등 여러 경로가 존재했다. 이 길은 중국 차와 티베트 말을 교환하는 주요 통로였으며, 쓰촨성과 윈난성은 차 생산의 중심지였다. 2013년에는 국가중요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청두와 라사를 연결하는 사천-티베트 철도 건설에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도로 - 그랜드 트렁크 로드
그랜드 트렁크 로드는 기원전 3세기부터 존재했던 인도 동부와 중앙아시아를 연결하는 도로로, 여러 제국을 거치며 개축 및 확충되었고, 현재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주요 도로로 남아 있으며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 - 고대 도로 - 잔도
잔도는 험준한 지형에 건설된 길로서 중국 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으며, 초기 단순 통로에서 교량과 터널을 포함한 정교한 구조물로 발전하여 군사적 요충지 및 교통로로 활용되었고, 암벽에 도로를 고정하는 촉도 건설 기술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재건축되기도 한다. - 윈난성의 지리 - 중국 남방 카르스트
중국 남방 카르스트는 중국 남부의 다양한 지역에 걸쳐 나타나는 독특한 카르스트 지형으로, 봉림, 봉총, 싱크홀 등의 지형과 희귀 동식물을 포함한 생태계를 이루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지만, 경제 성장과 환경 문제에 직면하여 보존 노력이 필요한 지역이다. - 윈난성의 지리 - 윈구이고원
윈구이고원은 중국 남서부의 윈난성과 구이저우성에 걸쳐 있는 해발 1,000m~2,000m의 고원 지대로, 험준한 산악 지형, 카르스트 지형, 깊은 협곡, 호수, 그리고 다양한 소수 민족과 토목 공학적 위업이 특징이다. - 무역로 - 대서양 노예 무역
- 무역로 - 그랜드 트렁크 로드
그랜드 트렁크 로드는 기원전 3세기부터 존재했던 인도 동부와 중앙아시아를 연결하는 도로로, 여러 제국을 거치며 개축 및 확충되었고, 현재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주요 도로로 남아 있으며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
| 차마고도 | |
|---|---|
| 개요 | |
![]() | |
| 유형 | 교역로 |
| 위치 | 중국 윈난성, 쓰촨성, 티베트 자치구 |
| 관련 유물 | 차, 말, 소금, 기타 상품 |
| 역사 | |
| 기원 | 당나라 시대 |
| 주요 시기 | 송나라,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
| 기능 | 교역, 문화 교류, 군사적 통로 |
| 주요 경로 | |
| 윈난 경로 | 윈난성 - 티베트 |
| 쓰촨 경로 | 쓰촨성 - 티베트 |
| 특징 | |
| 지리적 특징 | 험준한 산악 지형, 깊은 계곡 |
| 교통 수단 | 마방 (말, 야크), 인력 |
| 문화적 영향 | 다양한 민족의 문화 교류 촉진 |
| 경제적 중요성 | |
| 주요 교역품 | 차, 말, 소금, 직물, 약재 |
| 교역 방식 | 물물교환, 화폐 거래 |
| 현대적 의의 | |
| 문화 유산 | 역사적, 문화적 가치 보존 노력 |
| 관광 자원 | 차마고도 트레킹 코스 개발 |
| 관련 용어 | |
| 마방 | 차마고도에서 교역을 담당하던 상인 조직 |
| 차관 | 차마고도 주변의 관문, 요새 |
| 참고 문헌 | |
| 서적 | Traders of the Golden Triangle (A study of the traditional Yunnanese mule caravan trade) - Andrew Forbes, David Henley (2011) |
| 논문 | Silk Roads in the Kingdom of Bhutan and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Heritage Inventory - Tim Williams (2016) Archaeology International |
| 웹사이트 | The Southwest Silk Road: cultural transmission in Southeast Asia - Hajni Elias The Leverhulme Trust |
2. 경로
차마고도는 '마방(馬幇)'이라 불리는 상인들이 말과 야크를 이용해 중국의 차와 티베트의 말을 서로 사고팔기 위해 지나다니던 길이다. 해발고도 4,000m가 넘는 험준하고 가파른 길이지만 경치가 매우 아름답다. 2007년 KBS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 《인사이트 아시아 - 차마고도》를 통해 한국에도 널리 알려졌다.[4]
차마고도는 크게 여덟 개 노선으로 나뉘며, 마방들이 주로 이용하던 경로는 다음과 같다.
- 윈난성-티베트 경로: 시솽반나, 쓰마오, 다리, 리장, 샹그릴라, 더친을 거쳐 티베트, 네팔, 인도로 이어지는 경로
- 쓰촨성-티베트 경로: 야안, 다두허, 캉딩, 더거를 거쳐 티베트, 네팔, 인도로 이어지는 경로
쓰촨성은 차마사(茶馬司)라는 관청을 두어 국가가 주도하던 곳이었다.
2. 1. 윈난성-티베트 경로
시솽반나, 쓰마오, 다리, 리장, 샹그릴라, 더친을 거쳐 티베트, 네팔, 인도로 이어지는 경로는 6세기 후반에 형성된 윈난-티베트 차마고도(滇藏茶马古道)이다. 이 길은 윈난성의 주요 차 생산지인 이우(Yiwu)와 푸얼 시(普洱市) (시솽반나다이족자치주(西双版纳傣族自治州) 소재)에서 시작하여 오늘날의 다리 시(大理市) (다리바이족자치주(大理白族自治州) 소재), 리장 시(丽江市), 샹그릴라(香格里拉)를 거쳐 라싸(拉萨)로 이어졌다. 일부는 티베트(Tibet, 西藏)에서 인도와 네팔로 재수출되기도 했는데, 이는 고대 중국과 남아시아를 잇는 중요한 무역로였다.[4]2. 2. 쓰촨성-티베트 경로
차마고도에는 크게 여덟 개 노선이 있으며, 마방들이 주로 이용하던 경로는 다음과 같다.- 야안(雅安), 다두허, 캉딩(康定), 더거(德格) - 티베트 - 네팔 - 인도
쓰촨성은 차마사(茶馬司)라는 관청을 두어 국가가 주도하던 곳이었다.[4] 고대 사천-티베트 차마고도(川藏茶马古道)는 산시-캉딩-티베트 차마고도의 일부이다. 동쪽의 야저우(雅州) 차 생산지인 야안에서 시작하여, 다젠로(大建炉, 현재 캉딩)를 지나 서쪽 티베트의 라싸에 이르고, 최종적으로 부탄, 네팔, 인도로 이어진다. 1000km가 넘는 이 길은 고대 티베트와 중국 본토를 잇는 필수적인 다리이자 연결 고리였다.[4]
2. 3. 싼시-간쑤 경로
싼시-간쑤 차마고도는 중국 본토에서 차가 서쪽으로 이동하여 말과 교역을 하던 주요 도로였다. 이는 고대 실크로드의 주요 경로 중 하나이다.[4]2. 4. 탕구 도로
한나라 시대부터 시작된 탕구도(蹚古道)는 산시 상인들과 서남 변경의 고대 차마 시장에 의해 형성되었다. 명과 청 시대 정부가 차 판매에 대한 정부 통제를 실시하면서 차 판매가 지역별로 나뉘었고, 가장 번성한 차마 무역 시장은 강정이었다.[4]3. 역사
KBS에서 2007년에 6편으로 구성된 차마고도에 관한 다큐멘터리, 《인사이트 아시아 - 차마고도》를 제작하면서 한국에 널리 알려졌다. 차 외에도 노새 대상은 청두에서 생산된 소금과 비단 제품, 특히 촉금(蜀錦, 쓰촨성 자수의 일종)을 운반했다.
3. 1. 차 생산의 기원

쓰촨성과 윈난성은 세계 최초로 차를 생산한 지역으로 여겨진다. 최초의 차 재배 기록은 기원전 65년 이전에 쓰촨성의 몽정산진(蒙顶山镇, Mount Mengding)에서 차가 재배되었음을 보여주며, 청두(成都)와 야안시(雅安) 사이에 위치한다. 야안은 20세기까지 중요한 차 무역 중심지였다.
약 1000년 전부터 차마고도는 윈난성에서 티베트로, 그리고 쓰촨성을 거쳐 중국 중부로 이어지는 무역로가 되었다.[4][5][6][7][8] 이 무역망을 통해 차(주로 벽돌차)가 윈난성 푸얼 하니 이족 자치현(普洱哈尼彞族自治縣, Pu'er Hani and Yi Autonomous County)에서 시작하여 중국과 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여겨진다.[9][10] 이 노선은 중국 차와 티베트 말(Tibetan ponies)을 교역했기 때문에 그 이름이 붙여졌는데, 이는 적어도 송나라(宋代) 시대부터 시작된 관행으로, 당시 튼튼한 말은 중국이 북쪽의 유목민과 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1]
사람과 말 모두 무거운 짐을 운반했다. 차 운반꾼들은 때때로 자기 몸무게보다 더 무거운 60kg~90kg의 차를 운반하기도 했다.[12][13][14] 운반꾼들은 걷는 동안 균형을 잡고 쉴 때 짐을 지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금속 끝이 달린 지팡이를 사용했기 때문에 짐을 내려놓을 필요가 없었다 (사진 참조).
3. 2. 차마 무역과 문화 교류
'마방(馬幇)'이라 불리는 상인들이 말과 야크를 이용해 중국의 차와 티베트의 말을 서로 사고팔기 위해 지나다녔다. 이곳을 통해 문화 교류도 활발하였다. 해발고도 4,000m가 넘는 험준하고 가파른 길이지만 경치가 매우 아름다운 길로 유명하다.사천성과 운남성은 세계 최초의 차 생산 지역으로 여겨진다. 최초의 차 재배 기록은 기원전 65년 이전에 사천성의 몽정산진(蒙顶山镇, Mount Mengding)에서 차가 재배되었음을 시사하며, 청두(成都)와 야안(雅安) 사이에 위치한다. 야안은 20세기까지 중요한 차 무역 중심지였다.
약 1000년 전부터 차마고도는 운남성에서 티베트로, 그리고 사천성을 거쳐 중국 중부로 이어지는 무역로가 되었다.[4][5][6][7][8] 이 무역망을 통해 차(주로 벽돌차)가 운남성 푸얼 하니 이족 자치현(普洱哈尼彞族自治縣, Pu'er Hani and Yi Autonomous County)에서 시작하여 중국과 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여겨진다.[9][10] 이 노선은 중국 차와 티베트 말(Tibetan ponies)을 교역했기 때문에 그 이름이 붙여졌는데, 이는 적어도 송나라(宋代) 시대부터 시작된 관행으로, 당시 튼튼한 말은 중국이 북쪽의 유목민과 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1]
사람과 말 모두 무거운 짐을 운반했다. 차 운반꾼들은 때때로 자기 몸무게보다 더 무거운 60kg~90kg의 차를 운반하기도 했다.[12][13][14] 운반꾼들은 걷는 동안 균형을 잡고 쉴 때 짐을 지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금속 끝이 달린 지팡이를 사용했기 때문에 짐을 내려놓을 필요가 없었다.
차 외에도 노새 대상은 청두에서 생산된 소금과 비단 제품, 특히 蜀錦(shujin, 사천 자수의 일종)을 운반했다.
4. 문화 유적
마방(馬幇)이라 불리는 상인들이 말과 야크를 이용해 중국의 차와 티베트의 말을 서로 사고팔기 위해 지나다녔던 길로, 문물 교류도 활발하였다. 해발고도 4,000m가 넘는 험준하고 가파른 길이지만 경치가 매우 아름다운 길로 유명하다. 2007년 KBS에서 6편으로 구성된 차마고도에 관한 다큐멘터리, 《인사이트 아시아 - 차마고도》를 제작하면서 한국에 널리 알려졌다.
고대 차마고도는 복잡한 도로망으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그중 쓰촨성, 윈난성, 구이저우성의 일부 고대 차마고도와 관련 유적지는 2013년 3월 5일 중국 국가중요문물보호단위 7차로 지정되었다.[15] 국가중요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된 문화유산에는 고대 도로 유적, 역참, 상점, 탑, 다리와 부두, 관련 길드 건물, 종교 건물, 광산 및 제련소 유적과 가마터, 암각화 및 비문 등 고대 차마고도 네트워크 내에 다양한 유적이 포함된다.
4. 1. 쓰촨성의 차마고도 유적
쓰촨성은 차마사(茶馬司)라는 관청을 두어 국가가 차 무역을 주도하던 곳이었다. 고대 차마고도는 복잡한 도로망으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그중 쓰촨성, 윈난성, 구이저우성의 일부 고대 차마고도와 관련 유적지는 2013년 3월 5일 중국 국가중요문물보호단위 7차로 지정되었다.[15]국가중요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된 문화유산에는 고대 도로 유적, 역참, 상점, 탑, 다리와 부두, 관련 길드 건물, 종교 건물, 광산 및 제련소 유적과 가마터, 암각화 및 비문 등 고대 차마고도 네트워크 내에 다양한 유적이 포함된다.[16]
쓰촨성의 고대 차마고도 유적은 다음과 같다.
| 이름 | 위치 | 설명 | 사진 | 안내판 |
|---|---|---|---|---|
| 청두 | ||||
| 핑러 롱산 고대 길 | 핑러진, 충라이 시 | 핑러 고진 남쪽, 남쪽 실크로드 유적지 안에 위치 | ![]() | ![]() |
| 린제 슈안마링 고대 길 | 린제진, 충라이 시 | |||
| 톈타이산 지징촌 고대 길 | 톈타이산진, 충라이 시 | ![]() | ![]() | |
| 지아관 궁디엔 고대 길 | 지아관진, 충라이 시 | ![]() | ![]() | |
| 고대 기름(소금) 우물 유적 | 후오징진, 충라이 시 | ![]() | ||
| 리닝 허리 바위 차마 고대 길 | 차오옌후진, 푸장현 | 리닝 허리 바위 꼭대기의 오래된 소나무에서 창탄호 해안의 고대 길까지 이어지는 470m 길이의 오래된 돌길 | ![]() | ![]() |
| 송마우 고대 길 (룽치 구간) | 룽치진, 두장옌 시 | ![]() | ![]() | |
| 자공 | ||||
| 뤄산 광장 | 자리우징 구 | |||
| 후이차이커우 고대 소금 길 | 자리우징 구 | ![]() | ||
| 무예 해변 부두 | 궁진 구 | 상부와 하부 두 개의 부두로 구성, 배의 도랑은 강희 35년(1696년)에 파고, 평강 위어 게이트는 광서 30년(1904년)에 건설됨 | ![]() | ![]() |
| 궁징 올드 스트리트 소금 길 | 궁진 구 | |||
| 시안진 소금 부두 | 옌탄 구 | |||
| 루저우 | ||||
| 광밍 고대 길 | 푸지진, 루 현 | 루 현 푸지진 광밍촌에 위치, 남동쪽-북서쪽으로 이어지며, 현재 길이 1091m, 너비 1.7m~2.9m[17] | ![]() | |
| 바오리엔가 우편 길 | 롱마탄 구 | 길이 810m | ![]() | |
| 샤완 우편 길 | 지앙양 구 | |||
| 펑밍 우편 길 | 허장 현 | ![]() | ![]() | |
| 바이루 우편 길 | 허장 현 | |||
| 시안탄 고대 우편 길 | 허장 현 | |||
| 다시촨첸 우편 길 | 쉬용 현 | |||
| 원숭이 능선 촨첸 우편 길 | 쉬용 현 | |||
| 구안더우촌 촨첸 우편 길 | 쉬용 현 | |||
| 치수이 강 차마 우편 길 | 쉬용 현 | |||
| 얼랑 우편 길 | 구린 현 | |||
| 야안 | ||||
| 관음탑 | 위청 구 | ![]() | ![]() | |
| 징주암 돌 아치문 | 밍산 구 | ![]() | ![]() | |
| 우궁 | 밍산 구 | ![]() | ![]() | |
| 간루 링촨 원 돌 아치문 | 밍산 구 | ![]() | ![]() | |
| 황제 차밭 | 밍산 구 | ![]() | ||
| 톈티 고대 길 | 밍산 구 | ![]() | ![]() | |
| 간시포 차마 고대 길 옛 숙소 유적 | 톈촨 현 | ![]() | ![]() | |
| 변차 관창고 | 톈촨 현 | ![]() | ![]() | |
| 페이시엔 관문과 남쪽 경계 아치문 | 루산 현 | ![]() | ![]() | |
| 안장 허리 절벽 비문 | 루산 현 | |||
| 다샤오링 다리의 도로 재건 기념비 | 싱징 현 | |||
| 청나라 시대 공싱차 유적 | 싱징 현 | 강씨 가문의 저택으로도 알려짐 | ||
| 당나라 시대 칭시 관문 유적 | 한위안 현 | |||
| 청나라 시대 칭시 고대 도시 유적 | 칭시 진, 한위안 현 | |||
| 24 다오구아이 고대 길 유적 | 한위안 현 | |||
| 양촨먼 고대 길 유적 | 칭시 진, 한위안 현 | |||
| 아바 | ||||
| 바이장팡 고대 판자 길 | 간바오향, 리 현 | 자구지향, 간바오향, 리 현의 바오디엔 사원 근처 자구지 강 북쪽 강둑에 위치 | ||
| 푸토우산의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 석각 | 푸토우향, 리 현 | |||
| 커구 판자 길 | 커구향, 원촨 현 | 원촨 현 커구향 자잡 계곡 뇌강 북쪽 강둑에 위치, 현존하는 유적은 158m 길이, 0.4~2m 너비이며, 청나라 시대 비문 두 개가 포함됨 | ||
| 포용 고대 길 | 마얼캉 시 | |||
| 간쯔 | ||||
| 화린핑 차마 고대 길 | 싱롱진, 루딩 현 | ![]() | ![]() | |
| 포얼 절벽 차마 고대 길 | 렁첸진, 루딩 현 | ![]() | ![]() | |
| 잉거 입 차마 고대 길 | 바탕 현 | ![]() | ||
| 량산 | ||||
| 간뤄 칭시 협곡 고대 길 | 핑바향, 간뤄 현 | ![]() | ![]() | |
| 위에시의 딩산 다리와 링관 비문 | 딩산향, 위에시 현 | ![]() | ![]() | |
| 덩샹잉 고대 숙소 | 시더 현 | ![]() | ![]() | |
| 시더 몐산 캠프 유적 | 시안더 현 몐산진 | ![]() | ![]() | |
| 몐닝의 야롱 강 | 몐닝 현 | | | ||
| 송핑관 | 후이리 현 | |||
4. 2. 윈난성의 차마고도 유적
윈난성에는 2013년 3월 5일 중국 국가중요문물보호단위 7차로 지정된 고대 차마고도 유적이 21개 현(시)에 걸쳐 86개가 있다.[18] 이 문화유산에는 고대 도로, 역참, 상점, 탑, 다리, 부두, 관련 길드 건물, 종교 건물, 광산 및 제련소 유적, 가마터, 암각화 및 비문 등이 포함된다.
4. 3. 구이저우성의 차마고도 유적
고대 차마고도는 복잡한 도로망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구이저우성을 포함한 쓰촨성, 윈난성의 일부 고대 차마고도와 관련 유적지는 2013년 3월 5일 중국 국가중요문물보호단위 7차로 지정되었다.[15] 국가중요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된 문화유산은 고대 도로 유적, 역참, 상점, 탑, 다리와 부두, 관련 길드 건물, 종교 건물, 광산 및 제련소 유적과 가마터, 암각화 및 비문 등 고대 차마고도 네트워크 내에 다수 존재한다.| 이름 | 위치 | 상세 위치 | 설명 |
|---|---|---|---|
| 귀양 구간[28] | |||
| 창포령 고도로 | 귀양 백운구 | 창포령 삼림공원에 위치하며, 약 3km 길이의 석축 도로로 명나라 시대에 건설되었다. | |
| 지네 언덕 고도로 (지네 다리 포함) | 귀양 수이웬 현 사파링진 | 현재 약 5km 길이의 옛 도로이며, 지네 다리는 길이 41m, 너비 5m의 3개의 아치형 다리로 고양이 동굴 강을 가로지른다. | |
| 흑니 고도로 | 귀양 칭전 시 흑니 초소 마을 | 명나라 홍무제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현재 길이 5km의 녹색 석재로 된 도로이다. | |
| 흑니 부두 | 귀양 칭전 시 흑니 초소 마을 | 청나라 도광제 16년(1836년)에 건설되었다. | |
| 칭옌 고도로 | 귀양 화시 구 칭옌진 | 명나라 만력제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현재 길이 8km이다. | |
| 비제 구간[29] | |||
| 칠성관 고도로 | 비제 칠성관 구 양자완향 | 현재 남아있는 고도로는 길이 2km, 너비 1~2m이다. | |
| 칠성관 절벽 | 비제 칠성관 구 양자완향 | ||
| 비제 산시 성원 | 비제 칠성관 구 청관진 | "춘추 조상당"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청관진 남중로 41번지에 위치한다. 건륭제 시대에 처음 건설되었고,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거리 상점, 극장 건물, 대강당, 종루, 북루, 남북 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사보 고도로 | 비제 웨이닝 현[30] 연창진 | 연창진 사보 마을 남쪽에 위치하며, 명나라 홍무제 시대에 건설되었고 약 10km가 남아있다. | |
| 영홍 고도로 | 비제 웨이닝 현 진두오향 | 진두오향 영홍 마을에 위치하며, 약 3km 길이의 석축 도로로, 현재 구간은 관음연에서 꺼더강을 따라 옛 마을 거리까지 이어진다. | |
| 육공교 장해 | 비제 웨이닝 현 짜오하이진 | 청나라 함풍제 시대에 건설되고 동치제 시대에 수리되었다. 북서-남동 방향으로 345m 길이이며, 그중 328m가 제방 길이이고 너비는 3m이다. 제방과 다리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다리는 따중 강을 가로지르는 3개의 아치형 석교로 길이 17m, 너비 4.5m, 순경간 3.6m, 높이 2.2m이다. 제방과 다리는 석재로 건설되었고, 제방 전체에 버드나무가 심어져 있다. | |
| 꺼더 다리 | 비제 웨이닝 현 진두오향 | ||
| 감통 고도로 | 비제 따팡 현 황니탕향 | 명나라 시대에 건설된 현재 2km 길이의 돌로 포장된 도로이다. | |
| 고야 고도로 | 비제 따팡 현 쌍산향 및 주위엔향 | 홍무 17년(1384년)에 건설되었으며, 현재 약 5km 길이이다. | |
| 구리 고도로 | 비제 첸시 현 구리향 | 홍무 17년(1384년)에 건설되었으며, 현재 약 2km 길이이다. | |
| 앵무새 부리 고도로 | 비제 허장 현 슈이탕향 | 슈이탕향 슈이탕 마을에 위치하며, 명나라 홍무제 시대에 건설되었고 약 3~4km 길이이다. | |
| 이성룡 상회 | 비제 진사 현 고가거리 | "로마 거리 소금집"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청관진 로마로 133번지에 위치하고 청나라 시대에 건설되었다. 건물은 "용문" 스타일로 배치되어 있으며, 외양간, 주요 방, 남북 별관, 소금 창고, 방화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우탕 강 고도로 | 비제 진사 현 | ||
| 이두 암각화 | 비제 진사 현 칭치향 | ||
| 칭치 장시 성원 | 비제 진사 현 칭치향 | ||
| 로우치의 매씨 효제 | 비제 진사 현 | 도광제 5년(1825년)에 건설되었으며, 높이 약 9미터이다. | |
| 안순 구간 | |||
| 지공배 옛 역참 | 안순 관링 현 | ||
| 광솔령 고도로 (발령교 폐허 포함) | 안순 관링 현 | ||
| 고술루 세키다이 | 안순 관링 현 | ||
| 북구 고도로 | 안순 관링 현 | ||
| 안롱 고도로 | 안순 관링 현 | ||
| 판장교 석조 조각군 | 안순 관링 현, 첸시난 주 칭롱 현 | ||
| 류판수이 구간 | |||
| 다이티에관에서 깐즈야오까지의 고도로 (류즈 구간) | 류판수이 류즈 구 | ||
| 옛 소프트 다리 고도로 (환영 다리 포함) | 류판수이 판저우 시 | ||
| 샤오지에즈 고도로 | 류판수이 판저우 시 | ||
| 후오푸 고도로 | 류판수이 판저우 시 | ||
| 차팅 고도로 | 류판수이 판저우 시 | ||
| 보관된 옛 도로 | 류판수이 판저우 시 | 황금 땅 고도로로도 알려져 있다. | |
| 매화나무 옛 도로 | 류판수이 판저우 시 | 큰 우물 고도로로도 알려져 있다. | |
| 핑관에서 생징관까지의 고도로 | 류판수이 판저우 시 | ||
| 샤오샹 고도로 | 류판수이 판저우 시 | 두 강 물 골짜기 고도로로도 알려져 있다. | |
| 석관 옛 도로 | 류판수이 판저우 시 | ||
| 첸시난 구간 | |||
| 판장교 석조 조각군 | 첸시난 주 칭롱 현, 안순 관링 현 | ||
| 판강 다리 옛 도로 | 첸시난 주 칭롱 현 | ||
| 반못 고도로 | 첸시난 주 칭롱 현 | ||
| 안굴 파항 | 첸시난 주 칭롱 현 안구향 | 1826년에 건설된 4개의 기둥과 3개의 단일 문이 있는 벽돌과 도자기 구조물이다.[31] | |
| 소나무 언덕 사찰 | 첸시난 주 푸안 현[32] | ||
| 다이티에관에서 깐즈야오까지의 고도로 (푸안 구간) | 첸시난 주 푸안 현 | ||
| 마링 옛 도로 (목조 다리 포함) | 첸시난 주 일롱 신 구 | ||
5. 현대적 의의
21세기에 들어서 차마고도의 유산은 청두를 라사와 연결하는 철도 건설을 추진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중국 중앙정부의 13차 5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사천-티베트 철도는 캉딩을 포함한 노선 상의 도시들을 연결하여 주민 복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34]
5. 1. 사천-티베트 철도 건설
21세기에 들어서 차마고도의 유산은 청두를 라사와 연결하는 철도 건설을 추진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중국 중앙정부의 13차 5개년 계획의 일환인 이 계획 철도는 사천-티베트 철도(川藏铁路)라 불리며, 캉딩을 포함한 노선 상의 도시들을 연결할 것이다. 당국은 이 철도가 주민 복지에 큰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주장한다.[34]참조
[1]
서적
Traders of the Golden Triangle (A study of the traditional Yunnanese mule caravan trade)
Chiang Mai. Cognoscenti Books
[2]
논문
Silk Roads in the Kingdom of Bhutan and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Heritage Inventory
http://pdfs.semantic[...]
2016
[3]
보고서
Final Technical Report on the results of the UNESCO/Korean Funds-in-Trust Project: Support for the Preparation for the World Heritage Serial Nomination of the Silk Roads in South Asia, 2013–2016
https://unesdoc.unes[...]
[4]
웹사이트
Horse Corridor in Heaven
http://shambhalatime[...]
Shambhalatimes.org
2010-01-18
[5]
웹사이트
Tea-Horse Route
http://www.chinatrek[...]
Chinatrekking.com
[6]
웹사이트
The road line of the ancient tea-and-horse trade road
http://www.yellowshe[...]
Yellowsheepriver.com
[7]
웹사이트
Richness, Diversity and Natural Beauty on the Tea Horse Road
http://english.cri.c[...]
English.cri.cn
[8]
웹사이트
Strange Brew:The Story of Puer Tea 普洱茶
http://songofcha.wor[...]
[9]
서적
The Ancient Tea Horse Road: Travels with the Last of the Himalayan Muleteers
Viking Canada
[10]
서적
Pu'er Tea Traditions
Chiang Mai, Cognoscenti Books
[11]
웹사이트
The Tea Horse Road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0-05
[12]
웹사이트
Between Winds and Clouds: Chapter 2
http://www.gutenberg[...]
Gutenberg-e.org
2007-12-04
[13]
웹사이트
Holiday
http://www.weeklyhol[...]
Weeklyholiday.net
2012-03-09
[14]
웹사이트
History and Legend of Sino-Bangla Contacts
http://bd.china-emba[...]
Bd.china-embassy.org
[15]
웹사이트
国务院核定公布第七批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
http://www.gov.cn/gz[...]
[16]
웹사이트
四川省人民政府关于公布四川省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和省级文物保护单位保护范围的通知
https://www.sc.gov.c[...]
2014-11-05
[17]
웹사이트
泸州茶马古道上的"国宝"
http://finance.lzep.[...]
泸州新闻网
2013-11-22
[18]
문서
《国立西南联合大学旧址等298处文物保护单位保护范围和建设控制地带划定方案》(云南省文物局)
[19]
웹사이트
漾濞彝族自治县文化和旅游局关于漾濞县各级文物保护单位文物安全直接责任单位和直接责任人的公告
http://www.daliyangb[...]
2020-03-16
[20]
웹사이트
思茅区不可移动文物名录
http://www.puershi.g[...]
2020-11-19
[21]
웹사이트
宁洱茶马古道
http://www.puernews.[...]
2022-07-22
[22]
논문
浅谈迪庆茶马古道及其相关的地名文化遗存
[23]
웹사이트
关于茶马古道翁里段封闭施工的通告
https://www.gongshan[...]
2021-12-20
[24]
웹사이트
兰坪县人民政府关于公布国家级文物保护单位玉水坪遗址、茶马古道(老姆井段)保护范围的通知
https://file.nujiang[...]
2014-10-21
[25]
웹사이트
隆阳区不可移动文物汇总表(188项)
http://www.longyang.[...]
2022-06-28
[26]
웹사이트
国家级文保单位:茶马古道腾冲段
https://mp.weixin.qq[...]
2021-06-04
[27]
웹사이트
德宏民族团结月40年丨德宏文保丨 陇川杉木笼茶马古道
http://www.dh.gov.cn[...]
2022-10-11
[28]
웹사이트
我市五处文物纳入"茶马古道"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
http://epaper.gywb.c[...]
贵阳日报
2013-06-09
[29]
웹사이트
悠悠历史苍茫古道 "茶马古道"毕节段
http://www.csunews.c[...]
云贵旅游地理网
2013-05-12
[30]
웹사이트
威宁报社:第七批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名单出炉
http://www.gz.xinhua[...]
新华网
2013-05-16
[31]
웹사이트
优势:晴隆县文化旅游资源
http://www.qxnrb.com[...]
[32]
웹사이트
普安县情简介
http://gzpa.gog.cn/s[...]
多彩贵州网
2015-08-09
[33]
웹사이트
Lijiang Daily News - Bunakou
http://szb.ljrbw.com[...]
2022-08-07
[34]
웹사이트
Reviving the ancient tea-horse route
http://news.cntv.cn/[...]
2015-08-13
[35]
웹사이트
The Southwest Silk Road: cultural transmission in Southeast Asia
https://www.leverhul[...]
The Leverhulme Trust
[36]
논문
6005 茶馬古道沿いに見る建築的様相の報告 その1 : 麗江古城周辺から大理古城周辺を事例として(農村計画)
https://www.aij.or.j[...]
日本建築学会
2007-05-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