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른스트로베르트 그라비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른스트로베르트 그라비츠는 독일의 의사이자 나치 친위대(SS)의 고위 간부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정권의 인체 실험 및 T4 작전에 관여했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 후 의학을 공부했으며, 나치당에 가입하여 친위대에서 활동하며 독일 적십자사의 실질적인 수장으로도 활동했다. 그는 수용소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가스 괴저 감염 실험 등 잔혹한 인체 실험을 자행했으며, T4 작전을 통해 정신 질환자와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안락사에 관여했다. 1945년 베를린 전투 중, 베를린을 탈출하려다 히틀러에게 거절당하자 가족과 함께 자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치 강제 수용소 관련자 - 알리체 오를로브슈키
알리체 오를로브슈키는 나치 강제 수용소에서 잔혹 행위를 저지른 독일인 여성으로, 라벤스브뤼크, 마이다네크, 플라쇼프 수용소에서 경비원 및 감독관으로 활동하며 죄수들을 가혹하게 대우하고 학대했으며, 전쟁 후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석방 후 서독에서 반유대주의 발언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마이다네크 범죄 혐의로 재체포 후 재판 중 사망했다. - 독일적십자사 관련자 - 마르가레테 힘러
마르가레테 힘러는 간호사 출신으로 나치 독일 고위 관료 하인리히 힘러의 아내였으며, 나치당 가입 후 남편의 활동을 지원하고 독일 적십자사에서 활동하다 전쟁 후 포로로 수감, 석방되었고 탈나치화 과정에서 나치 수혜자로 분류되었다. - 독일적십자사 관련자 - 카를 에두아르트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카를 에두아르트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은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의 마지막 공작이자 영국의 왕족이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제국을 지지하여 영국 왕실로부터 작위를 박탈당했고, 나치당 고위직을 역임하며 아돌프 히틀러를 지지한 후 전범으로 처벌받았다. - 카프 폭동 관련자 - 카를 오베르크
카를 오베르크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나치당에 입당하여 SS 고위 간부로 승진,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에서 반유대 정책과 레지스탕스 탄압을 주도하며 "파리의 도살자"라는 악명을 얻었으나, 전후 사형 선고를 받았음에도 사면되어 석방되어 논란을 야기했다. - 카프 폭동 관련자 - 브루노 슈트레켄바흐
브루노 슈트레켄바흐는 나치 독일 친위대 장교로, 아인자츠그루펜 지휘관으로 민간인 학살에 가담하고 제국보안본부에서 활동했으며, 전쟁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재판을 받지 못하고 사망했다.
에른스트로베르트 그라비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출생 | 1899년 6월 8일 |
출생지 | 샤를로텐부르크, 브란덴부르크, 프로이센 왕국, 독일 제국 |
사망 | 1945년 4월 24일 (45세) |
사망지 | 포츠담-바벨스베르크, 마르크 브란덴부르크 대관구, 나치 독일 |
다른 이름 | Ernst-Robert Grawitz |
소속 | |
정치 체제 | 나치 독일 |
군사 조직 | [[파일:Flag of the Red Cross.svg|border|23px]] 독일 적십자사 |
군사 경력 | |
최종 계급 | SS-오베르그루펜퓌러 |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
주요 보직 | |
직책 | 무장친위대 |
훈장 | |
훈장 내역 | [[파일:D-PRU EK 1914 2 Klasse BAR.svg|x20px|link=2급 1914년형 철십자장|alt=2급 1914년형 철십자장]] [[파일:D-PRU EK 1914 1 Klasse BAR.svg|x20px|link=1급 1914년형 철십자장|alt=1급 1914년형 철십자장]] [[파일:DEU Spanienkreuz 2 swords BAR.svg|x20px|link=스페인 십자장]] [[파일:DEU EK 2 Klasse BAR.svg|x20px|link=2급 1939년형 철십자장]] [[파일:Ribbon of War Merit Cross.png|x20px|link=전공십자장]] |
2. 생애
에른스트로베르트 그라비츠는 독일 제국 베를린 서부의 샬로텐부르크에서 태어났다. 군의관의 아들이었다.
===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의학 공부 ===
제1차 세계 대전에는 1917년부터 종군했지만, 1918년 영국군의 포로가 되었다. 1919년에 포로 수용소에서 석방된 후, 베를린 대학교에서 의학을 배우고, 의학 박사가 되었다. 1920년의 카프 폭동에는 의용군의 일원으로서 참가했다. 1929년부터 내과 의사로 일했다.
=== 나치당과 친위대 활동 ===
1931년에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에 입당(당원 번호 1,102,844). 1932년 3월 29일에는 친위대에 입대했다(대원 번호 27,483). 1933년에 베를린 베스트엔트 병원의 주임 의사가 되었다.
1935년 6월 1일에 친위대 위생국장으로, 1937년에는 독일 적십자사 부총재로 임명되었다. 그는 ''Reichsarzt SS und Polizei''(제국 의사 SS 및 경찰)으로서, 1937년부터 1945년까지 DRK, 즉 독일 적십자사의 사실상 수장이었으며, DRK를 원래의 적십자 원칙에서 크게 변화시켰다.
1940년, 무장친위대 위생 총감으로 임명되었다. 1941년에는 그라츠 대학교의 명예 교수가 되었다.
=== 강제 수용소에서의 생체 실험과 T4 작전 ===
그라비츠는 "동성애자들의 타락한 세계를 근절"하고 동성애의 소위 "치료법"을 연구하는 나치 프로그램을 지원했다. 이에는 나치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 포함되었다.[1] 그는 SS의 수석 의무관이었으며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열정적인 실험을 한 인물"이었다.[2]
1942년부터 1943년에 걸쳐, 카를 게르하르트 등과 함께 라벤스브뤼크 강제 수용소에서 죄수를 이용한 가스 괴저의 감염 실험 등 잔혹한 인체 실험을 했다.
그라비츠는 또한 1939년부터 정신 질환과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T4 작전 "[안락사]"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나치 독일의 아동 안락사를 포함한 살인에 관여했다.[3] 관리들은 살인 프로그램의 운영 부분을 수행할 의사들을 선택했다.[4] 또한, SS 내부 및 외부의 연구자들은 SS 수용소에 수감된 수감자들을 실험에 활용하길 원했다.[5] 이를 위해 관련 당사자들은 그라비츠에게 신청해야 했고, 그라비츠는 요청서를 ''Reichsführer-SS'' 하인리히 히믈러에게 전달했으며, 히믈러가 최종 승인을 내렸다.[5]
=== 최후 ===
유럽에서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즈음에, 그라비츠는 아돌프 히틀러의 ''총통 벙커''에서 의사로 근무했다. 다른 관리들이 진격하는 소련 붉은 군대를 피해 베를린을 떠나려는 것을 알게 된 그라비츠는 히틀러에게 베를린을 떠나도록 허락해달라고 청원했지만, 그의 요청은 거부되었다.[2] 이후 총통 벙커에서 아돌프 히틀러를 보좌하는 의사 중 한 명으로 일했지만, 1945년의 베를린 전투 중, 베를린을 탈출하고 싶다는 그의 요청이 히틀러에게 거절당하자 절망했다. 소련 붉은 군대가 베를린 전투에서 진격하자, 그라비츠는 포츠담-바벨스베르크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수류탄으로 자신과 가족을 살해했다.[2] 4월 24일에 자택에서 가족과 함께 수류탄으로 자결했다.
그의 최후는 2004년의 영화 『몰락』에서 재현되었으며, 크리스티안 헤닝이 그라비츠를 연기했다.
2. 1.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의학 공부
에른스트로베르트 그라비츠는 독일 제국 베를린 서부의 샬로텐부르크에서 태어났다. 제1차 세계 대전에 1917년부터 종군했으나, 1918년 영국군의 포로가 되었다. 1919년 포로 수용소에서 석방된 후, 베를린 대학교에서 의학을 배우고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20년 카프 폭동에는 의용군의 일원으로 참가했다.2. 2. 나치당과 친위대 활동
에른스트로베르트 그라비츠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종군했다가 1918년 영국군의 포로가 되었다.[2] 1919년 포로 수용소에서 석방된 후 베를린 대학교에서 의학을 배우고 의학 박사가 되었다. 1920년 카프 폭동에는 의용군의 일원으로 참가했으며, 1929년부터 내과 의사로 일했다.1931년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에 입당(당원 번호 1,102,844)했고, 1932년 3월 29일에는 친위대(SS)에 입대했다(대원 번호 27,483).[2] 1933년 베를린 베스트엔트 병원의 주임 의사가 되었다. 1935년 6월 1일에는 친위대 위생국장으로 임명되었고, 1937년에는 독일 적십자사 부총재가 되었다. 1937년부터 1945년까지 DRK, 즉 독일 적십자사의 사실상 수장이었으며, DRK를 원래의 적십자 원칙에서 크게 변화시켰다.
1940년, 무장친위대 위생 총감으로 임명되었다. 1941년에는 그라츠 대학교의 명예 교수가 되었다.
3. 나치 정권 하의 범죄 행위
그라비츠는 "동성애자들의 타락한 세계를 근절"하고 동성애의 소위 "치료법"을 연구하는 나치 프로그램을 지원했다. 이에는 나치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 포함되었다.[1] 그는 SS의 수석 의무관이었으며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열정적인 실험을 한 인물"이었다.[2]
1942년부터 1943년까지 카를 게르하르트 등과 함께 라벤스브뤼크 강제 수용소에서 죄수를 이용한 가스 괴저의 감염 실험 등 잔혹한 인체 실험을 했다.
그라비츠는 또한 1939년부터 정신 질환과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T4 작전 "[안락사]"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나치 독일의 아동 안락사를 포함한 살인에 관여했다.[3] 관리들은 살인 프로그램의 운영 부분을 수행할 의사들을 선택했다.[4] 또한, SS 내부 및 외부의 연구자들은 SS 수용소에 수감된 수감자들을 실험에 활용하길 원했다.[5] 이를 위해 관련 당사자들은 그라비츠에게 신청해야 했고, 그라비츠는 요청서를 ''Reichsführer-SS'' 하인리히 히믈러에게 전달했으며, 히믈러가 최종 승인을 내렸다.[5]
3. 1. 강제 수용소 생체 실험
에른스트로베르트 그라비츠는 SS의 수석 의무관이었으며,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주도했다.[2] 1942년부터 1943년까지 카를 게르하르트 등과 함께 라벤스브뤼크 강제 수용소에서 죄수를 이용한 가스 괴저 감염 실험 등 잔혹한 인체 실험을 자행했다. SS 내부 및 외부 연구자들이 수용소 수감자들을 실험에 활용하고자 할 때, 그라비츠에게 신청하면 그가 하인리히 히믈러에게 요청서를 전달하여 최종 승인을 받도록 하는 역할을 했다.[5]3. 2. T4 작전 참여
에른스트로베르트 그라비츠는 1939년부터 정신 질환과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T4 작전 "안락사"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나치 독일의 아동 안락사를 포함한 살인에 관여했다.[3] 관리들은 살인 프로그램의 운영 부분을 수행할 의사들을 선택했다.[4]4. 죽음
유럽에서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즈음에, 그라비츠는 아돌프 히틀러의 ''총통 벙커''에서 의사로 근무했다.[2] 다른 관리들이 진격하는 소련 붉은 군대를 피해 베를린을 떠나려는 것을 알게 된 그라비츠는 히틀러에게 베를린을 떠나도록 허락해달라고 청원했지만, 그의 요청은 거부되었다.[2] 1945년의 베를린 전투 중, 베를린을 탈출하고 싶다는 그의 요청이 히틀러에게 거절당하자 절망하였다.[2] 소련 붉은 군대가 베를린 전투에서 진격하자, 그라비츠는 포츠담-바벨스베르크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수류탄으로 자신과 가족을 살해했다.[2]
그의 최후는 2004년의 영화 『몰락』에서 재현되었으며, 크리스티안 헤닝이 그라비츠를 연기했다.
5. 외부 링크
6.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The Nazi doctor who experimented on gay people – and Britain helped to escape justice
https://www.theguard[...]
2015-05-05
[2]
서적
The Third Reich at War
[3]
서적
From Racism to Genocide: Anthropology in the Third Reich
[4]
서적
The Nazi Doctors: Medical Killing and the Psychology of Genocide
[5]
서적
Army of Evil: A History of the SS
[6]
서적
The Third Reich at War
[7]
웹인용
The Nazi doctor who experimented on gay people – and Britain helped to escape justice
https://www.theguard[...]
2015-05-05
[8]
서적
The Nazi Doctors: Medical Killing and the Psychology of Genoci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