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트레아 터와흐도 정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리트레아 터와흐도 정교회는 '하나로 만들어지다'라는 뜻의 게에즈어 단어인 '터와흐도'를 사용하는 오리엔트 정교회 계열의 기독교 교회이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를 거부하며 알렉산드리아, 안티오케이아, 예루살렘 교회와 분리된 역사를 가지며, 1920년대 이탈리아 식민지 시기에 에티오피아 정교회로부터 분리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1993년 에리트레아가 독립하면서 독립 교회가 되었다. 에리트레아 정교회는 7성사를 믿고, 게에즈어를 전례 언어로 사용하며, 구약 성경의 가르침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인다. 초대 총대주교는 아부네 필리포스였으며, 현재는 공석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리트레아의 기독교 - 동방교회성
동방교회성은 과거 교황 겸임 장관 시대 차관 추기경을 두었으나, 1967년부터 장관 추기경을 임명하여 운영하며, 이 문서는 1917년부터 현재까지의 역대 차관 및 장관 추기경 목록과 정보를 제공한다. - 4세기 설립 - 중세 그리스어
중세 그리스어는 비잔티움 제국에서 사용된 그리스어로, 고전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 사이의 과도기적 단계이며, 문어와 구어 간의 이중 언어 사용이 특징적이고, 주변 언어 및 여러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 4세기 설립 - 중세 라틴어
중세 라틴어는 서로마 제국 멸망 후 르네상스 시대까지 유럽에서 사용된 라틴어의 한 형태로, 고전 라틴어와 차이를 보이며 교회 공용어, 법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 서유럽의 언어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오리엔트 정교회 - 칼케돈 공의회
칼케돈 공의회는 에우티케스의 단성론 논쟁 해결을 위해 451년에 소집된 제4차 전례 공의회로,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지닌 단일 인격이라는 칼케돈 신조를 채택하여 두 본성의 불가분리성을 천명했으나, 일부 동방 교회의 거부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의 지위 상승으로 기독교 분열과 로마 교황청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 오리엔트 정교회 - 제온 (예배식)
제온은 정교회 예배에서 포도주에 뜨거운 물을 섞는 의식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형 당시 흘러나온 물과 신성을 상징하며, 슬라브와 그리스 관습에 따라 형태와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에리트레아 터와흐도 정교회 | |
---|---|
일반 정보 | |
![]() | |
고유 명칭 | Bet'ə K'rstian Tewahədo Ertra |
약칭 | EOTC |
분류 | 동방 기독교 |
교파 | 오리엔탈 정교회, 정교회 터와흐도 |
경전 | 정교회 터와흐도 성경 |
신학 | 오리엔탈 정교회 신학 |
정치 체제 | 주교제 |
언어 | 고대 교회 슬라브어, 티그리냐어 |
수장 | 수좌 주교 |
수장 이름 | 바실리오스 |
관할 지역 | 에리트레아 및 에리트레아 디아스포라 |
본부 | 아스마라 엔다 마리암 대성당, 아스마라, 에리트레아 |
설립자 | 사도이자 복음사가 마르코 (기원후 42년 알렉산드리아에서), 성 프루멘티우스 (기원후 328년 악숨에서, 에리트레아 정교회 전통에 따름), 아부네 필립포스 (기원후 1993년 아스마라에서, 현대) |
독립 | 에티오피아 정교회 터와흐도 교회로부터 1991년 독립 |
신자 수 | 250만–300만 명 |
웹사이트 | 에리트레아 정교회 |
지도 정보 |
2. 역사
''터와흐도'' (그으즈어 ተዋሕዶ ''tawāhidō'')는 '하나로 만들어지다'라는 뜻이다.[10] 알렉산드리아, 안티오케이아, 예루살렘의 교구들은 칼케돈 공의회의 원칙을 거부하고 451년 분리됐다.[10] 이후 1950년 에티오피아 정교회가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로부터 분리했고, 에리트레아 정교회는 1993년 독립했다.
1920년대 에리트레아의 이탈리아 식민지 세력은 별도의 에리트리아 정교회를 확립하려 했다. 그때까지 에리트레아의 정교회는 에티오피아 터와흐도 정교회의 일부였고 연결고리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식민지 개척자의 이익에 반하는 것은 에리트레아와 별도의 식민지였지만 이 식민지 체제에 완전히 통합되기 위해서는 이웃 국가의 영향력과 무관한 교회가 있어야 했다.
정교회 터와흐도 기독교의 연표 참조
2. 1. 기원
''터와흐도'' (그으즈어 ተዋሕዶ ''tawāhidō'')는 '하나로 만들어지다'라는 뜻이다.[10] 알렉산드리아, 안티오케이아, 예루살렘의 교구들은 칼케돈 공의회의 원칙을 거부하고 451년 분리됐다.[10] 이후 1950년 에티오피아 정교회가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로부터 분리했고, 에리트레아 정교회는 1993년 독립했다.''터와흐도''(täwaḥədo/ተዋሕዶgez)는 "하나가 됨"을 의미하는 게에즈어 단어이며, 아랍어의 ''타우히드''와 어원이 같다.
가톨릭 백과사전(1917년판)의 헤노티콘에 관한 기사에 따르면, 서기 500년경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크, 예루살렘의 총대주교구 내의 주교들은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정한 "두 본성" 교리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했고, 그 이후로 나머지 기독교와 분리되었다.[10] 이 분리된 기독교 교류는 오리엔트 정교회로 알려지게 되었다.
2. 2. 식민지 시대
1920년대 에리트레아의 이탈리아 식민지 세력은 별도의 에리트리아 정교회를 확립하려 했다. 그때까지 에리트레아의 정교회는 에티오피아 터와흐도 정교회의 일부였고 연결고리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식민지 개척자의 이익에 반하는 것은 에리트레아와 별도의 식민지였지만 이 식민지 체제에 완전히 통합되기 위해서는 이웃 국가의 영향력과 무관한 교회가 있어야 했다.2. 3. 에리트레아 독립 이후
에리트레아의 초대 독립 총대주교는 아부네 필리포스였으며, 2002년에 사망한 후 아부네 야콥이 계승했다. 아부네 야콥의 재위 기간은 짧았고, 아부네 안토니오스가 제3대 총대주교로 선출되어 2004년 4월 24일에 즉위했다. 알렉산드리아의 교황 세누다 3세가 아스마라에서 즉위식을 주재했다.2005년 8월, 아부네 안토니오스 총대주교는 의례적 역할에 제한되었고, 2006년 1월 13일 교회 성 시노드는 총대주교의 폐위를 통보했다. 아부네 안토니오스는 해임 사유를 거부하고 시노드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자신을 해임하는 데 책임이 있다고 밝힌 요프타헤 디메트로스를 포함한 두 명을 파문했다. 그는 에리트레아 정교회 수도원 평의회와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에 상소했다. 아부네 안토니오스는 에리트레아 정부의 압력으로 폐위되어 2006년부터 가택 연금 상태에 놓였다.
아부네 디오스코로스가 제4대 총대주교로 즉위했으나 2015년 12월 21일에 사망했다. 케를로스는 2021년 6월에 교회의 다섯 번째 총대주교가 되었다.
3. 신학적 특징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서방 정교회, 가톨릭 교회 및 위트레흐트 연합의 구 가톨릭 교회와 마찬가지로 에리트레아 정교 테와흐도 교회는 세례, 견신례/성유 도포, 성찬례, 고해 성사, 병자 성사, 혼인, 성품의 7성사에 대한 믿음을 고백한다. 이 교회는 처음 4가지를 "모든 신자에게 필수적"이라고 여긴다.[15]
이 교회는 고대 기독교의 성찬례에서 그리스도의 실체 현존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으며, "축성된 빵과 포도주는 그리스도의 몸과 피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축성된 요소 안에 참으로, 실질적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현존하십니다. 성찬례에서 우리는 주님의 복된 살을 먹고 빵과 포도주의 형태로 그분의 귀한 피를 마십니다."라고 말한다.[15]
다른 동방 기독교 전통과 마찬가지로, 결혼의 유대는 간음을 이유로만 해소될 수 있다. 신앙의 실천을 보호하기 위해, 교회 구성원들은 정교회 공동체 밖의 사람들과 결혼하는 것을 자제하도록 권고받는다. 순전히 시민 결혼식을 치르는 교회 구성원은 성사적으로 결혼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16]
3. 1. 전례 언어
에리트레아 터와흐도 정교회의 전통적인 전례 언어는 게에즈어이다. 이는 이 지역의 초기 악숨 기독교인의 언어였다. 게에즈어는 더 이상 모국어 사용자가 없지만, 여전히 교회 전례 행사와 축제에 사용된다. 그러나 설교인 ''시브케트''는 일반적으로 현지 티그리냐어로 진행된다. 현재 게에즈어는 교회 예배의 주요 언어로서 티그리냐어로 대체되고 있다.3. 2. 성경
터와흐도 교회 정경은 81권의 책을 포함하며, 이는 다른 정교회 및 오리엔트 기독교인들이 받아들이는 거의 모든 책을 포함한다. 마카베오기는 동방 정교회와 다른 오리엔트 정교회에서 일부 받아들여지지만, 터와흐도 교회에서는 그렇지 않다. 대신 받아들여지는 메카비안서는 어원적으로 연결된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내용은 상당히 다르다. 에리트레아 정교회 정경과 에티오피아 정교회 정경은 동일하다. 좁은 정경에는 에녹서, 희년서, 세 권의 메카비안서가 포함된다. 넓은 정경에는 좁은 정경의 모든 책과 더불어 두 권의 ''언약서'', 네 권의 ''시노도스서'', 한 권의 ''클레멘트서'', 그리고 디다스칼리아가 포함된다.3. 3. 유대교 및 이슬람과의 유사성
에리트레아 정교회는 에티오피아 교회처럼 다른 교회에서 찾아보기 힘든 구약 성경의 가르침을 더 강조한다.[19] 여성은 월경 중에는 교회 사원에 들어가는 것이 금지되며,[19] 또한 머리를 가려야 한다.[19] 정교회 회당과 마찬가지로 에티오피아 교회에서는 남녀가 분리되어 앉는다.[20] 여성의 머리 가림과 교회 내 남녀 분리는 다른 기독교 전통에서는 공식적으로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일부 비기독교 종교, 이슬람과 정통 유대교에서도 규칙이다.[21]기도하기 전에 에리트레아 정교회 신자들은 손과 얼굴을 씻는다. 또한 신발을 벗는다.[22][23] 에리트레아 정교회 신자들은 탈출기 3장 5절에 따라 교회 사원에 들어갈 때 신발을 벗는다.[20] 더욱이 에리트레아 정교회는 일곱째 날 안식일 (토요일)을 주의 날 (일요일)과 함께 지킨다.[24] 이러한 관습은 사도 헌장과 사도 규범에서 유래되었으며,[26][27] 겔라브데오스 황제는 "우리는 유대인들처럼 그것을 존중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는 성찬례를 거행하고 사랑의 잔치를 열 정도로 그것을 존중하며, 이는 우리 아버지 사도들이 디다스칼리아에서 가르친 바와 같다"고 말한다.[29]
에리트레아 교회는 할례를 요구하지 않지만, 돼지고기 및 기타 부정한 고기를 금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문화적 관습이다.[30]
4. 에리트레아의 총대주교
1994년 에리트레아 정교 테와흐도 교회의 자동 수장 선언이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에 의해 인정된 후, 에리트레아의 새로 설립된 총대주교좌는 1999년 아부네 필리포스가 에리트레아의 초대 총대주교로 선출될 때까지 공석이었다. 그는 2002년 아부네 야콥, 2004년 아부네 안토니오스의 뒤를 이었다. 아부네 안토니오스가 교회에 대한 정부 정책에 반대하자, 에리트레아 정부는 그를 폐위하고 2006년 가택 연금에 처했다.
2007년 4월, 시노드는 새로운 총대주교인 아부네 디오스코로스를 선출했다. 그는 2015년 12월 21일 사망할 때까지 에리트레아의 총대주교였지만, 그의 재임 기간은 아부네 안토니오스를 교회의 정당한 총대주교로 지지하는 이들에 의해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2021년 5월 13일부터 2022년 12월 2일까지는 케를로스가 총대주교직을 수행했다. 1994년부터 1999년까지, 그리고 2015년 12월부터 2021년 6월까지는 공석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Eritrean Orthodox Tewahedo Church
https://www.oikoumen[...]
World Council of Churches
2024-08-27
[2]
웹사이트
Eritrean Orthodox Church
https://www.lisantew[...]
Lisan Tewahedo
2024-08-27
[3]
웹사이트
ወግዓዊት ዌብ ሳይት ኦርቶዶክስ ተዋሕዶ ቤተ ክርስቲያን ኤርትራ – ቀዳሚ ገጽ
https://www.lisantew[...]
2022-09-03
[4]
웹사이트
Eritrean Orthodox Church (Oriental Orthodox)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5]
서적
Eritre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10-29
[6]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2nd Edition [6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09-21
[7]
웹사이트
Eritrea
https://www.state.go[...]
[8]
웹사이트
The ARDA website
https://www.thearda.[...]
2023-08-03
[9]
웹사이트
http://www.pewforum.[...]
[10]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Henoticon
https://www.newadven[...]
2022-09-03
[11]
뉴스
Eritrea Imposes New Controls on Orthodox Church
http://www.crosswalk[...]
Compass Direct News
2007-01-05
[12]
뉴스
Orthodox patriarch of Eritrea sacked
http://www.metimes.c[...]
2006-02-01
[13]
웹사이트
Abune Qerlos Elected as 5th Patriarch
https://shabait.com/[...]
2021-05-13
[14]
웹사이트
Official Consecration of His Reverend Abune Qerlos, 5th Patriarch of Eritrea
https://shabait.com/[...]
2021-06-13
[15]
웹사이트
prairienet.org/~dxmoges/eotc.htm
http://www.prairiene[...]
[16]
웹사이트
prairienet.org/~dxmoges/basic.htm
http://www.prairiene[...]
[17]
서적
Eritrea
https://books.google[...]
Cavendish Square Publishing, LLC
2020-04-15
[18]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1999
[19]
웹사이트
The Liturgy of the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http://www.eotc.fait[...]
Ethiopian Orthodox Church
1991
[20]
서적
The Church of Ethiopia – A panorama of History and Spiritual Life
Berhanena Selam
[21]
웹사이트
Wait, I thought that was a Muslim thing?!
https://www.commonwe[...]
Commonweal
2014-02-13
[22]
서적
A Sketch of Egyptian History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Methuen
1906
[23]
웹사이트
Did you know Muslims pray in a similar way to some Christians?
https://aleteia.org/[...]
Aleteia
2017-10-16
[24]
서적
The Orthodox Church of Ethiopia: A History
I.B.Tauris
2016-11-28
[25]
웹사이트
The Sabbath: A Hallowed and Holy Day
https://suscopts.org[...]
[26]
웹사이트
The Ethiopic Didascalia: Or, the Ethiopic Version of the Apostolical Constitutions, Received in the Church of Abyssinia
https://books.google[...]
1834
[27]
웹사이트
Apostolic Constitutions (Book VIII)
https://www.newadven[...]
[28]
서적
Church and State in Ethiopia, 1270-1527
Clarendon Press
[29]
서적
Ethiopia and the Red Sea: The Rise and Decline of the Solomonic Dynasty and Muslim European Rivalry in the Reg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0-28
[30]
웹사이트
Issue 122 – Circumcision and the Copts | the British Orthodox Church
https://britishortho[...]
[31]
웹사이트
Gizret - ግዝረት [Circumcision]
https://www.keraneyo[...]
2022-01-09
[32]
뉴스
ሊቀ ጳጳስ ብፁዕ አቡነ ባስልዮስ 6ይ ፓትርያርክ ኦርቶዶክስ ተዋሕዶ ቤተ ክርስቲያን ኤርትራ ኮይኖም ተመሪጾም!
https://www.lisantew[...]
[33]
뉴스
Abune Basilyos Elected as Patriarch of Eritrean Orthodox Church
https://ocpsociety.o[...]
2024-12-09
[34]
웹사이트
Скончался Предстоятель Эритрейской Церкви: новость ОВЦС
https://mospat.ru/r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