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루멘티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루멘티우스는 4세기에 활동한 인물로, 에티오피아 기독교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는 형제 에데시우스와 함께 항해 중 노예가 되었으나, 악숨 왕의 신임을 얻어 왕자 에자나의 교육을 담당하며 기독교를 전파했다. 프루멘티우스는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에 의해 주교로 임명되어 악숨에 주교좌를 설치하고 에자나 왕을 개종시켰으며, 에티오피아 정교 테와히도 교회의 초대 아부네가 되었다.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가 아리우스주의 주교로 교체하려 했으나 거절당했으며, 에티오피아 전통에 따르면 신약성서를 게에즈어로 번역하고 게에즈 문자 발전에 기여했다. 프루멘티우스는 악숨 왕국과 티그라이의 수호성인으로 추앙받으며,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기념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티오피아 사람 - 에벳멜렉
    에벳멜렉은 성경에 등장하는 구스 출신 환관으로, 예레미야를 구덩이에서 구해내어 불의에 맞서는 정의로운 인물로 묘사되며, 예레미야서의 핵심 주제인 하나님께 대한 순종을 실천한 사례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 에티오피아의 기독교 - 동방교회성
    동방교회성은 과거 교황 겸임 장관 시대 차관 추기경을 두었으나, 1967년부터 장관 추기경을 임명하여 운영하며, 이 문서는 1917년부터 현재까지의 역대 차관 및 장관 추기경 목록과 정보를 제공한다.
  • 에티오피아의 기독교 - 에티오피아 터와흐도 정교회
    에티오피아 터와흐도 정교회는 "하나가 됨"을 뜻하는 게즈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완전한 융합을 믿는 동방 정교회에 속하는 기독교 교회로, 4세기 악숨 왕국에서 기독교를 국교로 공인한 후 81권의 성경과 독특한 전례와 전통을 가지고 있다.
  • 로마 가톨릭 주교 -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는 스페인의 사제이자 역사가로,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스페인의 잔혹 행위를 목격한 후 원주민 옹호에 평생을 바쳤으며, 식민 정책을 비판하고 인디언 인권 옹호에 기여했지만 아프리카 노예제도를 옹호한 과거는 비판받고 있다.
  • 로마 가톨릭 주교 - 카롤루스 (마인츠 대주교)
    카롤루스는 프랑크 왕국의 귀족이자 샤를마뉴 대제의 후손으로, 반란에 가담하고 아키텐 왕위를 주장하기도 했으며, 863년 마인츠 대주교가 되었다.
프루멘티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 프루멘티우스
성 프루멘티우스
칭호성인
고해자
악숨의 주교
에티오피아의 사도
출생4세기
출생지레바논 티레
사망기원후 383년경
공경하는 교파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가톨릭교회
성공회
축일12월 27일 (에티오피아 정교회)
7월 20일 (가톨릭교회)
11월 30일 (동방 정교회)
12월 18일 (콥트 정교회)
수호악숨 제국
생애
다른 이름프루멘티오스 (Φρουμέντιος, 그리스어)
프루멘티우스 (Frumentius, 라틴어)
프레므나토스 (ፍሬምናጦስ, 게즈어)
업적
주요 업적에티오피아에 기독교 전파
관련 인물아타나시우스

2. 생애

프루멘티우스의 생애는 4세기 역사가 티라니우스 루피누스의 기록과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구전 전승을 통해 전해진다. 루피누스는 프루멘티우스의 형제 에데시우스의 증언을 바탕으로 그의 생애를 기록했다.[6]

프루멘티우스는 에티오피아에서 '''케사테 비르한'''''(빛을 드러내는 자)과 '''아바 살라마''' (평화의 아버지)로 불렸으며, 에티오피아 정교 테와히도 교회의 수장에게 주어지는 칭호인 최초의 ''아부네''가 되었다.

에티오피아의 전통에 따르면, 프루멘티우스는 신약성서의 최초 게에즈어 번역을 담당했고, 게에즈 문자를 압자드 (자음만 있는 문자)에서 아부기다 (음절 문자)로 발전시키는 데 관여했다고 전해진다.

2. 1. 초기 생애와 악숨 왕국으로의 여정

4세기 티라니우스 루피누스의 기록에 따르면, 프루멘티우스는 어린 시절(약 316년) 형제 에데시우스와 함께 삼촌 메로피우스를 따라 고향 티레(현재 레바논)에서 '인도'로 항해를 떠났다.[6] 배가 홍해의 한 항구에 정박했을 때, 현지인들이 선원들을 모두 죽였으나 두 소년은 노예로 삼아 악숨 왕국의 왕에게 보냈다. 왕은 두 소년을 총애하여 신뢰하는 자리에 앉혔고, 죽기 직전 자유를 주었다. 그러나 과부 왕비는 프루멘티우스 형제가 궁정에 남아 어린 왕자 에자나를 가르치고 왕국 통치를 돕도록 설득했다.[1]

2. 2. 악숨 왕실에서의 활동과 기독교 전파

두 소년은 왕의 총애를 받아 신뢰받는 지위에 올랐으며, 왕이 죽기 직전에 그들은 자유를 얻었다. 그러나 과부 왕비는 그들에게 어린 왕자 에자나의 교육과 섭정을 부탁했다.[6] 프루멘티우스는 이 기회를 통해 기독교를 전파하기 시작했다. 그는 기독교 상인들이 신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고, 현지인들을 개종시켰다.[7][1]

2. 3. 주교 서품과 에티오피아 선교

에자나 왕이 성년이 되자, 프루멘티우스는 에티오피아의 기독교화를 위해 알렉산드리아로 가서 아타나시우스 총대주교에게 주교와 사제 파견을 요청했다.[3] 아타나시우스는 프루멘티우스를 그 일에 가장 적합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여 주교로 성성했는데,[8] 전승에 따르면 328년, 또는 다른 자료에 따르면 340년에서 346년 사이였다.

프루멘티우스는 에티오피아로 돌아가 악숨주교좌를 설치하고, 에자나 왕을 개종시키고 세례를 주었다. 에자나 왕은 많은 교회를 세우고 에티오피아 전역에 기독교를 전파했다. 프루멘티우스는 도구아 템비엔의 ''다바 셀라마''라고 불리는 에티오피아 최초의 수도원을 설립했다. 사람들은 프루멘티우스를 '''''케사테 비르한'''''(빛을 드러내는 자)과 '''아바 살라마''' (평화의 아버지)라고 불렀다. 그는 에티오피아 정교 테와히도 교회의 수장에게 주어지는 칭호인 최초의 ''아부네''가 되었다.

2. 4. 아리우스주의 논쟁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는 356년경 에자나 왕에게 편지를 보내 프루멘티우스를 아리우스주의를 지지하는 인도의 테오필로스로 교체해 달라고 요청했다. 프루멘티우스는 아리우스주의의 주요 반대자인 아타나시우스에 의해 임명되었기 때문이다. 에자나 왕은 이 요청을 거절했다.[9][10]

3. 업적 및 평가

프루멘티우스는 에티오피아기독교를 전파하고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에티오피아 최초의 주교이자, 에티오피아 정교회 수장에게 주어지는 칭호인 '아부네'의 시초가 되었다. 에티오피아 사람들은 그를 '케사테 비르한'(빛을 드러내는 자) 또는 '아바 살라마'(평화의 아버지)라고 불렀다.

3. 1. 에티오피아 기독교의 아버지

프루멘티우스는 4세기경 티레(현재의 레바논) 출신의 인물로, 어린 시절 삼촌과 함께 '인도'로 항해하다 홍해에서 배가 난파되어 노예로 악숨 왕국에 끌려갔다.[6] 그는 왕의 총애를 받아 신뢰받는 지위에 올랐고, 왕이 죽은 후에는 과부 여왕의 요청으로 어린 왕자 에자나의 교육을 맡으며 왕국 통치를 도왔다.

프루멘티우스는 이 기회를 통해 에티오피아에 기독교를 전파하기 시작했다. 먼저 기독교 상인들이 신앙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했고,[7] 나중에는 현지인들을 개종시켰다.[1]

에자나 왕자가 성년이 되자, 프루멘티우스는 알렉산드리아로 가서 아타나시우스에게 선교사 파견을 요청했다. 아타나시우스는 프루멘티우스를 주교로 성성했고,[8] 프루멘티우스는 에티오피아로 돌아가 악숨주교좌를 설치하고 에자나 왕을 개종시키는 등 기독교를 널리 퍼뜨렸다. 그는 도구아 템비엔에 ''다바 셀라마''라는 에티오피아 최초의 수도원을 설립하기도 했다.

에티오피아 사람들은 프루멘티우스를 '''케사테 비르한'''(빛을 드러내는 자)과 '''아바 살라마'''(평화의 아버지)라고 불렀으며, 그는 에티오피아 정교 테와히도 교회 수장에게 주어지는 칭호인 최초의 ''아부네''가 되었다.

이후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가 아리우스주의를 지지하는 주교로 프루멘티우스를 교체하라고 에자나 왕에게 요청했지만, 왕은 이를 거절했다.[9][10]

에티오피아의 전통에 따르면, 프루멘티우스는 최초로 게에즈어로 신약성서를 번역했고, 게에즈 문자를 압자드 (자음만 있는 문자)에서 아부기다 (음절 문자)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고 전해진다.

3. 2. 게에즈어 성서 번역 및 문자 발전

에티오피아의 전통에 따르면, 프루멘티우스는 신약성서를 게에즈어로 최초로 번역하였고, 게에즈 문자를 압자드(자음만 있는 문자)에서 아부기다(음절 문자)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고 전해진다.

4. 기념

에티오피아 정교회와 에리트레아 정교회는 프루멘티우스를 아바 살라마로 칭하며 기념하고 있다.[11]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12] 동방 정교회,[13] 로마 가톨릭교회[14]도 각기 다른 날짜에 그를 기념한다.

4. 1. 축일

에티오피아 정교회와 에리트레아 정교회는 아바 살라마의 성성 기념일을 타흐사스(에티오피아력 또는 콥트력 4번째 달) 18일과 그의 서거를 함레(에티오피아력 또는 콥트력 11번째 달) 26일에 기념한다.[11]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는 프루멘티우스 축일을 12월 18일에,[12] 동방 정교회는 11월 30일에,[13] 로마 가톨릭교회는 7월 20일[14]과 10월 27일[18]을 기념한다.

5. 수호성인

악숨 왕국과 그 영토, 그리고 에티오피아의 성 프루멘티우스 신학대학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https://books.google[...] A&C Black
[3] 백과사전 Frumentius
[4] 서적 Notes on Prosody and Abram Gannibal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4
[5] 서적 Ethiopia, the Unknown Land IB Tauris
[6] 간행물 Frumentius in the Ethiopic sources: Mythopoeia and text-critical considerations https://www.jstor.or[...] 2017
[7] 웹사이트 St. Frumentius and the Liturgy of the Ethiopian Church https://www.angelfir[...]
[8] 문서 Athanasius, Epistola ad Constantinum
[9] 웹사이트 "Letter of Constantius to the Ethiopians against Frumentius" http://christianbook[...] Bible Suite, Christian Booksheld
[10] 웹사이트 "Frumentius of Axum" http://www.blackwell[...] Blackwell Reference Online
[11] 서적 Synaxarium: The Bool of the Saints of The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http://www.stmichael[...]
[12] 웹사이트 Date of Feast/Consecration as Bishop of Ethiopia http://www.kidusmich[...] 2007-11-24
[13] 웹사이트 Friday, November 30, 2018 https://www.goarch.o[...] 2018-11-30
[14] 문서 Martyrologium Romanum, Editio Altera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4
[15] 문서 ブリタニカ百科事典第11版
[16] 문서 フルーメンティオスとも転写出来る。
[17] 백과사전 Frumentius
[18] 웹사이트 Date of Feast/Consecration as Bishop of Ethiopia http://www.kidusmich[...]
[19] 웹사이트 Friday, November 30, 2018 https://www.goarch.o[...] 2018-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