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마뉘엘 르 루아 라뒤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마뉘엘 르 루아 라뒤리는 프랑스의 역사학자로, 아날 학파의 영향을 받아 장기지속과 미시사 연구를 개척했다. 칼바도스에서 태어나 파리 고등사범학교에서 수학한 후, 몽펠리에 대학교, 콜레주 드 프랑스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그는 프랑스 공산당 당원이었으나 헝가리 혁명 이후 탈당했다. 대표 저서로는 《랑그도크의 농민들》, 《몽타이유》, 《로망스의 사육제》 등이 있으며, 기후사 연구에도 기여했다. 그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 등을 수훈했으며, 2023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시사학자 - 조너선 스펜스
    조너선 스펜스는 1936년 영국에서 태어나 2021년 사망한 영국의 중국사 연구 권위자이며, 예일대학교에서 40년 이상 강의하며 《현대 중국을 찾아서》 등 중국 관련 저서를 집필하고 미국역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 미시사학자 - 클리퍼드 기어츠
    클리퍼드 기어츠는 인도네시아 현지 조사와 다양한 저술을 통해 상징 인류학, 인볼루션, 극장 국가 등의 개념을 제시하며 사회 및 문화 이론에 기여한 미국의 문화인류학자이다.
  • 칼바도스주 출신 - 알랭 투렌
    프랑스 사회학자 알랭 투렌은 산업 사회학 발전에 기여하고 사회 운동론 연구와 탈산업 사회 개념 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 칼바도스주 출신 - 윌리엄 1세
    윌리엄 1세는 노르망디 공작이자 1066년 잉글랜드를 정복하고 잉글랜드 왕으로 즉위하여 봉건제 확립과 행정 및 사법 제도 정비 등 잉글랜드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사학사학자 - 리처드 호프스태터
    리처드 호프스태터는 20세기 미국의 역사학자로서, 미국 사회의 다양한 현상을 분석하고 사회심리학적 개념을 활용하여 정치사를 설명했으며, 퓰리처상을 두 차례 수상했다.
  • 사학사학자 - 아베 프레보
    아베 프레보는 격정적인 삶을 바탕으로 인간 심리를 탐구하는 작품을 남긴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사제, 번역가이다.
에마뉘엘 르 루아 라뒤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4년의 르 루아 라뒤리
2014년
로마자 표기Emmanuel Le Roy Ladurie
출생일1929년 7월 19일
출생지프랑스 칼바도스 레 무티에-앙-셍글레
사망일2023년 11월 22일
사망지프랑스 칼바도스 레 무티에-앙-셍글레
학력
출신교리세 앙리 4세
리세 라카날
모교고등사범학교
파리 대학교
경력
직장콜레주 드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
연구 분야역사학
학파아날 학파
참고 사항

2. 생애

르 루아 라뒤리는 프랑스 공산당(PCF) 탈당 이후,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 렉스프레스, 르 몽드 등에 기고하고 프랑스 텔레비전에 출연하며 대중적 인지도를 높였다.[7][8] 1978년 1월에는 반공주의 단체인 "자유 유럽 지식인 위원회"를 창립했다.[16] 그는 자신의 정치적 참여와 공산주의에 대한 분석을 《개방, 사회, 권력: 낭트 칙령에서 공산주의 몰락까지》(2004)와 《거대한 정치 재판, 또는 지옥 같은 교육학》(2002)에서 다루었다.

그의 스승은 아날 학파의 페르낭 브로델이다. 1970년대 초, 라뒤리는 "누벨 역사"(새로운 역사) 운동을 창시했으며, 특정 사건, 지역, 가족 또는 삶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연구 대상 기간의 삶의 기초가 되는 "구조"를 드러내는 "미시사"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나이얼 퍼거슨을 비롯한 일부 학자들은 "미시사"의 가치에 의문을 제기하며, 한 마을이나 한 도시의 한 사건 또는 한 가족에 대한 연구가 프랑스, 더 나아가 유럽 전체의 삶의 패턴을 드러낸다고 가정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주장한다. 또한 르 루아 라뒤리가 "구조"라는 용어를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았고, "구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왜 변화하는지, 심지어 그가 발견하려는 "구조"가 실제로 존재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르 루아 라뒤리는 프랑스 지역의 역사(''프랑스 지역의 역사'', 2004)와 인류측정학적 역사뿐만 아니라 기후 변화가 인간 역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진행했다. 그는 책 외에도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에세이를 썼는데, 컴퓨터를 역사 연구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 19세기 프랑스 군대의 비행률, 세계적인 질병 확산, 프랑스 농민들이 마법이 무능력을 초래한다고 믿었던 것 등에 대해 다루었다.[20] 특히 후자는 중세와 근대 초 프랑스 농민 남성들이 연애 상대를 무력하게 만들기 위해 마녀에게 (가상의) 마법의 힘을 사용하도록 돈을 지불하는 광범위한 관행을 언급한 것이다. 르 루아 라뒤리는 인간이 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인간 역사에서 환경적 요인에 초점을 맞춘 작업으로 최초의 현대 환경사학자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1955년, 마들렌 푸포니와 결혼하여 슬하에 아들 하나와 딸 하나를 두었다.[6]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에마뉘엘 르 루아 라뒤리는 칼바도스 레 무티에-앙-생글레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 자크 르 루아 라뒤리는 필리프 페탱 원수 휘하에서 농업부 장관을 지냈으며, 이후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가담했다.[2] 르 루아 라뒤리 가문은 원래 귀족 가문이었으나, 프랑스 혁명 당시 귀족 칭호를 포기했다.[2]

어린 시절 르 루아 라뒤리의 영웅은 페탱 원수였다.[2] 페탱 원수가 베르됭의 영웅에서 반역죄로 사형 선고를 받은 협력자로 전락한 것은 르 루아 라뒤리의 역사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르 루아 라뒤리는 1998년 인터뷰에서 "프랑스에는 매우 중요해졌다가 아무것도 아니게 된 사람들이 많습니다. 제 매력은 아마도 제 가족이 한때 중요했었고, 그 다음에는 아무것도 아니게 되었다는 사실 때문일 것입니다."라고 말했다.[2]

그는 캉의 콜레주 생 조제프, 파리의 리세 앙리 4세, 스코의 리세 라카날에서 교육받았다.[1]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1949년 졸업)에서 역사학을 공부하고 아그레가시옹파리 대학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2. 2. 학문적 경력

몽펠리에 고등학교, 몽펠리에 대학교, 파리의 고등연구실천학교, 파리 대학교,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가르쳤다.[1] 1973년부터 1999년까지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현대 문명사 교수를 역임했으며, 이후 명예 교수가 되었다.[1]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1974)와 미국 철학 학회(1979)의 회원이었다.[7][8]

2. 3. 정치 활동

르 루아 라뒤리는 1945년부터 1956년까지 프랑스 공산당(PCF)의 당원이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그의 부모는 아들이 사제가 되기를 바랐지만, 르 루아 라뒤리는 열렬한 공산주의자이자 무신론자가 되었다.[2] 1930년대 대공황과 1940년 독일에게 패배한 프랑스의 상황은 많은 프랑스인들이 자본주의와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믿음을 잃게 만들었다. 독일 점령 기간 동안 프랑스 공산주의자들의 레지스탕스 활동, 전통적인 프랑스 엘리트들의 비시 프랑스 지지, 그리고 소련의 계획 경제와 "과학적 사회주의"의 성공은 르 루아 라뒤리를 비롯한 많은 젊은이들이 공산주의를 인류의 희망으로 여기게 했다.[3]

PCF는 스스로를 "75,000명이 총에 맞은 당"이라고 자랑했지만, 실제 수치는 10,000명이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PCF는 레지스탕스에서의 역할 덕분에 1940년대 프랑스에서 큰 명성을 얻었다.[4] 독일 점령은 프랑스인들에게 심각한 트라우마를 안겨주었다. 르 루아 라뒤리는 전쟁 경험에 대한 반작용으로 공산주의자가 되었다고 설명했다.[2]

1949년, 르 루아 라뒤리는 아서 쾨슬러의 소설 ''한낮의 어둠''을 읽고 스탈린주의의 위대함을 확인하는 것으로 오해하기도 했다.[3] 그러나 1956년 헝가리 혁명 당시 소련이 헝가리 시민들을 짓밟는 것을 보고 공산주의에 대한 환멸을 느껴 PCF를 탈당했다.[5] 이후 사회당에 가입하여 1957년 몽펠리에에서 사회당 후보로 출마했지만 2.5%의 득표율을 얻는 데 그쳤고,[2] 1963년 사회당을 떠났다.[2]

1956년 헝가리 혁명 이후, 르 루아 라뒤리는 애니 크리겔과 함께 반공주의자 역사학자를 기리는 단체인 애니 크리겔 협회를 2000년에 설립하고 초대 회장을 맡았다.[9]

2. 4. 사망

Emmanuel Le Roy Ladurie프랑스어는 2023년 11월 22일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0][21][22]

3. 주요 연구 업적

페르낭 브로델의 제자인 르 루아 라뒤리는 아날 학파의 영향을 받아 "미시사" 연구를 개척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특정 사건, 지역, 가족 또는 개인의 삶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당시 사회의 기저에 깔린 "구조"를 밝혀내고자 했다. 대표적인 미시사 연구로는 《몽타이유》, 《로망스의 사육제》 등이 있다.

르 루아 라뒤리는 미시사 연구 외에도 프랑스 정치사, 인류측정학적 역사, 환경사 연구에도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1460년부터 1774년까지의 프랑스 정치사를 다룬 2권의 저서를 통해, 프랑스 왕정의 주요 관심사가 경제, 종교개혁, 귀족 정치였으며, 국가 성장의 주요 원동력은 군사적 확장과 스페인과의 경쟁을 위한 재정 확보였다고 주장했다.[20] 그는 국내 정책의 권위주의 시기와 외교 정책의 공격성 시기가 일치하며, 국내 정책의 자유주의 시기와 평화로운 외교 정책 시기가 일치한다는 점을 강조했다.[20] 또한 계몽주의 사상, 반성직주의, 자유주의가 1774년 프랑스를 프랑스 혁명으로 이끌었다고 보았다.[20] 특히 기후 변화가 인간 역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주목할 만하다.

다음은 르 루아 라뒤리의 주요 저서 목록이다.

출판 연도제목비고
1966《랑그도크의 농민들》 (Les paysans de Languedoc프랑스어)
1967《천 년 이후 기후의 역사》 (Histoire du climat depuis l'an mil프랑스어)
1973《역사가의 영토》 (Le Territoire de l'historien프랑스어)
1975《몽타이유》 (Montaillou프랑스어)
1979《로망스의 사육제》(Le Carnaval de Romans : de la Chandeleur au Mercredi des cendres (1579–1580)프랑스어)
1980《자스맹의 마녀》 (La Sorcière de Jasmin프랑스어)
1987《서기관 피에르 프리옹》 (Pierre Prion, scribe프랑스어)
1987《왕정 국가 1460~1610》 (L’État royal 1460-1610프랑스어)
1997《생시몽 혹은 궁정 체제》 (Saint-Simon ou Le système de la Cour프랑스어)
2000《랑그도크의 역사》 (Histoire du Languedoc프랑스어)



이 외에도 르 루아 라뒤리는 컴퓨터를 역사 연구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 19세기 프랑스 군대의 비행률, 세계적인 질병 확산, 프랑스 농민들의 마법에 대한 믿음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에세이를 발표했다.[20]

3. 1. 《랑그도크의 농민들》 (1966)

르 루아 라뒤리는 박사 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한 이 책에서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랑그도크 지역 농민들의 삶을 장기 지속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그는 십일조 기록, 임금 장부, 세금 영수증 등 방대한 양의 정량적 자료를 활용하여 랑그도크의 역사가 경제적 성장과 쇠퇴의 순환을 반복하는 "움직이지 않는 역사(l'histoire immobile)"였다고 주장했다. 그는 페르낭 브로델의 영향을 받아 지리, 기후뿐만 아니라 문화와 경제도 역사의 흐름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보았다.[20]

3. 2. 《몽타이유》 (1975)

《몽타이유》(Montaillou프랑스어)는 르 루아 라뒤리의 대표작으로, 카타르 이단 시대 프랑스 남부 몽타이유 마을에 대한 미시사 연구이다. 그는 파미에의 자크 푸르니에 주교의 종교 재판 기록을 바탕으로 몽타이유 주민들의 일상생활, 신앙, 사고방식 등을 생생하게 복원해냈다. 이 책은 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 르 루아 라뒤리를 미시사 연구의 선구자로 만들었다.[1]

3. 3. 《로망스의 사육제》 (1979)

《Le Carnaval de Romans : de la Chandeleur au Mercredi des cendres (1579–1580)|로망스의 사육제 : 성촉절부터 성회례의 수요일까지, (1579~1580)프랑스어》(1979)에서 르 루아 라뒤리는 1580년 프랑스 로망-쉬르-이제르에서 발생한 카니발 기간 동안의 학살 사건을 다루었다.[1] 그는 이 사건을 통해 16세기 후반 프랑스 농촌 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종교적 갈등을 분석했다.[1]

3. 4. 기후사 연구

르 루아 라뒤리는 기후 변화가 인간 역사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 선구적인 역사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천 년 이후 기후의 역사》(Histoire du climat depuis l'an mil|천 년 이후 기후의 역사프랑스어, 1967)를 비롯한 여러 저작을 통해 기후 변동과 사회, 경제적 변화 사이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는 인류측정학적 역사 연구도 병행하여, 인간의 신체적 특징과 사회, 문화적 변화 사이의 연관성을 탐구했다.

4. 역사관과 방법론

르 루아 라뒤리는 미시사 연구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1460년부터 1774년까지 프랑스 정치사를 다룬 두 권의 저서를 남기기도 했다.[20] 첫 번째 책인 ''L'Etat royal: de Louis XI à Henri IV, 1460-1610'' (영문 번역: ''The French Royal State: 1460-1610'')에서 그는 프랑스 왕실의 주요 관심사가 경제, 종교개혁, 귀족 정치였으며, 국가 성장의 주요 원인이 군사적 확장과 스페인과의 경쟁을 위한 재정 확보의 필요성에 있다고 주장했다.[20]

두 번째 책인 ''Ancien Régime: de Louis XIII à Louis XV, 1610-1774'' (영문 번역: ''The Ancien Régime'')에서 그는 프랑스 왕실의 국내 정책과 외교 정책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그는 국내 정책의 권위주의 시기와 외교 정책의 공격성 시기가 일치하며, 국내 정책의 자유주의 시기와 평화로운 외교 정책 시기가 일치한다고 주장했다.[20] 전쟁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프랑스 국가는 세금을 인상해야 했는데, 당시 프랑스 사회는 세 계층(제1신분: 가톨릭 교회, 제2신분: 귀족, 제3신분: 평민)으로 나뉘어 있었다. 제1신분과 제2신분은 면세 혜택을 받았기 때문에, 제3신분이 더 무거운 세금 부담을 져야 했다.[20]

르 루아 라뒤리는 전쟁이 재정적으로 큰 부담이었기 때문에 프랑스 국가는 갈등 시기에 세금을 대폭 인상해야 했고, 이는 사회적 저항을 억누르기 위한 탄압 증가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17세기 프랑스 정치를 주도한 추기경 리슐리외, 마자랭 추기경, 루이 14세는 프랑스를 세계 최강국으로 만들기 위한 ''la gloire''(영광) 추구에 몰두했으며, 이는 잦은 전쟁으로 이어졌다. 그 결과, 제3신분은 과도한 세금에 저항하여 빈번하게 반 세금 봉기를 일으켰고, 왕실은 이를 잔혹하게 진압했다. 그는 루이 15세 통치 시기에는 국내 자유주의와 국외 평화가 나타났지만, 추기경 리슐리외와 루이 14세 통치 시기에는 공격성과 권위주의가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또한 계몽주의 사상, 반성직주의, 자유주의가 1774년까지 프랑스를 프랑스 혁명으로 이끌었다고 언급했다.[20]

미국 역사학자 스튜어트 캐롤은 르 루아 라뒤리가 1990년대의 저서에서 개인의 결정과 ''사건사''에 큰 역사적 영향력을 부여했다고 평가했다. 이는 1973년 저서 ''역사학자의 영토''에서 양적 방법론과 장기적인 구조적 변화 연구를 강조하며 ''사건사''와 전기적 연구를 비판했던 것과는 다른 입장이다.[6]

4. 1. 아날 학파와 미시사

페르낭 브로델의 제자인 르 루아 라뒤리는 아날 학파의 영향을 받아 장기지속의 관점에서 역사를 연구했다.[20] 그는 특정 사건이나 인물보다는 사회 구조, 경제, 문화 등 장기적인 변화를 추적하는 데 관심을 가졌다. 1970년대 초, 르 루아 라뒤리는 "누벨 역사"(새로운 역사) 운동을 창시했다.[20]

르 루아 라뒤리는 역사가가 특정 사건, 지역, 가족 또는 삶에 대한 연구를 사용하여 연구 대상 기간의 삶의 기초가 되는 "구조"를 드러내는 미시사의 선구자이다.[20] 나이얼 퍼거슨과 같은 일부 학자들은 미시사의 가치에 의문을 제기하며, 한 마을이나 한 도시의 한 사건 또는 한 가족에 대한 연구가 프랑스, 더 나아가 유럽의 나머지 지역의 삶의 더 넓은 패턴을 드러낸다고 가정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주장한다.[20] 또 다른 비판은 르 루아 라뒤리의 "구조"라는 용어 사용에 집중되어 있는데, 비평가들은 그가 이 용어를 명확하게 정의한 적이 없으며, "구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왜 변화하는지, 심지어 르 루아 라뒤리가 발견하려고 하는 "구조"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설명한 적이 없다고 주장한다.[20]

4. 2. 비판과 논쟁

르 루아 라뒤리의 연구 방법론은 일부 비판을 받기도 했다. 나이얼 퍼거슨과 같은 일부 학자들은 미시사의 가치에 의문을 제기하며, 한 마을이나 한 도시의 한 사건 또는 한 가족에 대한 연구가 프랑스, 더 나아가 유럽의 나머지 지역의 삶의 더 넓은 패턴을 드러낸다고 가정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주장한다.[20] 또 다른 비판은 르 루아 라뒤리의 "구조"라는 용어 사용에 집중된다.[20] 그의 비평가들은 그가 이 용어를 명확하게 정의한 적이 없으며, "구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왜 변화하는지, 심지어 르 루아 라뒤리가 발견하려고 하는 "구조"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설명한 적이 없다고 주장한다.[20]

5. 저서

출판 연도제목원제비고
1966랑그도크의 농민들Les paysans de Languedoc
1967천 년 이후 기후의 역사'Histoire du climat depuis lan mil''
1973역사가의 영토'Le Territoire de lhistorien''
1975몽타이유Montaillou
1979로망스의 사육제 : 성촉절부터 성회례의 수요일까지, (1579~1580)Le Carnaval de Romans : de la Chandeleur au Mercredi des cendres (1579–1580)
1980자스맹의 마녀La Sorcière de Jasmin
1987서기관 피에르 프리옹Pierre Prion, scribe
1987왕정 국가 1460~1610L’État royal 1460-1610
1997생시몽 혹은 궁정 체제Saint-Simon ou Le système de la Cour
2000랑그도크의 역사Histoire du Languedoc
1972프랑스 신병의 인류학Anthropologie du conscrit françaisJ.-P. 아롱 외 공저
1972의사, 기후, 전염병Médecins, climat, épidémiesJ.-P. 데자이브 외 공저
1976프랑스의 경제 및 사회사Histoire économique et sociale de la France
1980옥 지방의 돈, 사랑, 죽음'L’Argent, lamour et la mort en pays dc
1980농촌 지역의 묘사Inventaire des campagnes
1981프랑스 도시사Histoire de la France urbaine
1983역사가들 사이에서Parmi les historiens
1991앙시앵 레짐, 1610-1770'LAncien Régime, 1610-1770''
1995프랑스 국립 도서관의 역사Histoire de la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1997플라터 시대Le Siècle des Platter
1997역사가, 숫자와 텍스트'LHistorien, le Chiffre et le Texte''
2001지역별 프랑스사: 프랑스 주변부, 기원에서 오늘날까지Histoire de France des régions : la périphérie française, des origines à nos jours
2001몽타유 주변, 옥시타니아 마을: 중세 시대의 한 마을의 역사와 종교성'Autour de Montaillou, un village occitan : histoire et religiosité dun village au Moyen Âge''
2002프랑스 농민의 역사: 흑사병에서 혁명까지Histoire des paysans français : de la peste noire à la Révolution
2002주요 정치 재판Les Grands Procès politiques
2002왕의 십일조La Dîme royale
2007중세부터 오늘날까지 기후사 요약'Abrégé dhistoire du climat du Moyen Âge à nos jours''아누슈카 바삭 공저
2009기후의 인간적이고 비교적인 역사Histoire humaine et comparée du climat
2010역사와 시스템Histoire et système
2011서기 1000년부터 오늘날까지의 기후 변동'Les fluctuations du climat de lan mil à aujourdui
2012농촌 문명La Civilisation rurale
2014역사와 함께한 삶. 회고록'Une vie avec lhistoire. Mémoires''
2015구체제의 프랑스 농민들'Les Paysans français dAncien Régime''
2016역사 수업 8개'Huit leçons dhistoire''
2017앙시앵 레짐의 간략한 역사'Brève histoire de lAncien Régime''



출판 연도(일본)제목(일본어 번역)역자출판사
1991, 2021몽타유: 피레네 산골 마을이노우에 코지, 와타나베 마사미, 나미키 준이치도스이쇼보
1985, 1997재스민의 마녀: 남프랑스의 여성과 주술스기야마 미츠노부신평론
1994랑그도크의 역사와다 아이코하쿠스이샤
2000기후의 역사이나가키 후미오후지와라 서점
1980, 1991, 2002새로운 역사: 역사 인류학으로의 길카바야마 코이치, 키노시타 켄이치, 사가라 마사토시, 나카하라 요시코, 후쿠이 노리히코후지와라 서점
2002남불 로망의 사육제 카르나발: 반란의 상상력쿠라모치 후미야신평론
2009기후와 인간의 역사: 입문, 중세부터 현대까지이나가키 후미오후지와라 서점
2019-기후와 인간의 역사이나가키 후미오후지와라 서점


6. 수상 및 서훈



참조

[1] 서적 Fifty Key Thinkers on History Routledge 2000
[2] 간행물 The Paratrooping Truffler https://www.timeshig[...] 1998-10-09
[3] 서적 French Intellectuals Against the Left: The Antitotalitarian Moment of the 1970s Berghahn Books 2004
[4] 서적 The French Communist Party in the Fifth Republic Clarendon Press 1994
[5] 서적 Intellectuals and the French Communist Party: Disillusion and Decline Clarendon Press 1991
[6] 서적 Le Roy Ladurie, Emmanuel Fitzroy Dearborn 1999
[7] 웹사이트 Emmanuel Bernard Le Roy Ladurie https://www.amacad.o[...] 2022-06-27
[8]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06-27
[9] 웹사이트 Kriegel Annie née Becker https://www.ex-pcf.c[...] 2024-02-11
[10] 뉴스 L’historien Emmanuel Le Roy Ladurie est mort https://www.lemonde.[...] Le Monde
[11] 서적 Fifty Key Thinkers on History Routledge 2000
[12] 서적 Fifty Key Thinkers on History Routledge 2000
[13] 서적 Fifty Key Thinkers on History Routledge 2000
[14] 서적 Fifty Key Thinkers on History Routledge 2000
[15] 서적 Fifty Key Thinkers on History Routledge 2000
[16] 서적 French Intellectuals Against the Left: The Antitotalitarian Moment of the 1970s Berghahn Books 2004
[17] 서적 French Intellectuals Against the Left: The Antitotalitarian Moment of the 1970s Berghahn Books 2004
[18] 서적 The Cultural Politics of Tel Quel: Literature and the Left in the Wake of Engagement Penn State Press 2010
[19] 서적 Fifty Key Thinkers on History Routledge 2000
[20] 서적 Fifty Key Thinkers on History Routledge 2000
[21] 뉴스 L’historien Emmanuel Le Roy Ladurie est mort https://www.lemonde.[...] 2023-11-23
[22] 웹사이트 Mort de l’historien Emmanuel Le Roy Ladurie https://www.lefigaro[...] 2023-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