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벤어는 동시베리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퉁구스어족 언어이다. 러시아인과의 혼혈로 인해 에벤어의 영향을 받은 러시아어 방언이 사용되기도 했다. 현재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7개의 단모음과 7개의 장모음, 18개의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벤어는 주격-대격 정렬과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지며, 13개의 격과 15개의 상을 가진다. 에벤어 연구는 19세기 말에 시작되었으며, 1950년대 이후 사전과 학술 저작이 발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사하 공화국의 문화 - 돌간어 돌간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며 사하어와 함께 북 시베리아어를 구성하고, 모음 조화, 교착어,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지며, 8개의 격과 야쿠트어의 영향을 받은 어휘를 사용하며 키릴 문자로 표기하고 약 1,050명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사하 공화국의 문화 - 에벤크어 에벤크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중국, 몽골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음운론적 특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뉘며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러시아와 중국에서는 각각 키릴 문자와 몽골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에벤어의 모음에는 7개의 단모음(a, ə, o, ө, u, i, e)과 7개의 장모음(aa, əə, oo, өө, uu, ii, ee)이 존재하며, 이 중에서는 비교적 단모음의 사용 빈도가 높다. 에벤어에도 이중 모음은 존재하지만, 주로 외래어에 사용된다. 모음 조화의 원칙은 엄격하여 모음은 양성 모음(a, aa, o, oo), 음성 모음(ə, əə, ө, өө), 중성 모음(i, ii, e, ee, u, uu)의 세 가지로 분류되며,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은 하나의 단어 안에서 함께 나타날 수 없다.
와 는 각각 와 의 변이음이다.[7] 에벤어에는 p, m, w, d, t, n, l, r, s, g, k, x, ŋ, ɲ, dʒ, ʧ, j 18개의 자음이 있으며, 자음군도 몇 개 존재한다. 알타이 제어의 특징으로 자음 r는 어두에 나타나지 않으며, 자음 n, g, s, r는 어말에 나타나는 빈도가 비교적 높다.
4. 3. 모음 조화
에벤어에는 7개의 단모음(a, ə, o, ө, u, i, e)과 7개의 장모음(aa, əə, oo, өө, uu, ii, ee)이 존재하며, 이 중에서는 비교적 단모음의 사용 빈도가 높다. 에벤어에도 이중 모음은 존재하지만, 주로 외래어에 사용된다.
에벤어에는 모음 조화 원칙이 엄격하여 모음은 양성 모음(a, aa, o, oo), 음성 모음(ə, əə, ө, өө), 중성 모음(i, ii, e, ee, u, uu)의 세 가지로 분류되며,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은 하나의 단어 안에서 함께 나타날 수 없다.[1]
5. 문법
에벤어는 주격-대격 정렬을 특징으로 하며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른다. 필수적인 서술사가 존재하지만, 술어에 있는 명사가 3인칭으로 굴절될 경우 생략될 수 있다.[1]
5. 1. 품사
에벤어의 품사에는 후치사, 접속사, 입자, 부사가 있으며 명사와 동사도 포함된다. 에벤어의 명사는 형용사와 부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에벤어는 주격-대격 정렬을 특징으로 하며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른다. 필수적인 서술사가 존재하지만, 술어에 있는 명사가 3인칭으로 굴절될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에벤어의 명사는 주격, 대격, 여격, 향격, 두 가지 형태의 처격, 경유격, 세 가지 형태의 탈격, 도구격, 공동격을 포함하여 13개의 격으로 표시된다. 또한 단수 또는 복수, 소유, 그리고 주관적(주어 명사에 목적어가 없음을 나타냄)으로 굴절된다. 명사 굴절은 전적으로 접미사 부착 방식이다. 대명사는 인칭, 재귀 대명사, 소유 형태로 구분되며, 양도 가능 및 양도 불가능한 형태 간의 구별이 있다.
동사는 15개의 상에 대한 접두사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정 부정 및 의문 형태와 함께 6가지 태 구분을 특징으로 한다. 분사를 형성하는 14가지 방법이 있으며, 그중 8개는 전성이다.
5. 2. 명사
에벤어의 명사는 주격, 대격, 여격, 향격, 두 가지 형태의 처격, 경유격, 세 가지 형태의 탈격, 도구격, 공동격을 포함하여 13개의 격으로 표시된다. 또한 단수 또는 복수, 소유, 그리고 주관적(주어 명사에 목적어가 없음을 나타냄)으로 굴절된다. 명사 굴절은 전적으로 접미사 부착 방식이다. 대명사는 인칭, 재귀 대명사, 소유 형태로 구분되며, 양도 가능 및 양도 불가능한 형태 간의 구별이 있다.[1]
5. 3. 대명사
에벤어의 대명사는 인칭, 재귀 대명사, 소유 형태로 구분되며, 양도 가능 및 양도 불가능한 형태 간의 구별이 있다.[1]
5. 4. 동사
동사는 15개의 상에 대한 접두사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정 부정 및 의문 형태와 함께 6가지 태 구분을 특징으로 한다. 분사를 형성하는 14가지 방법이 있으며, 그 중 8개는 전성이다.
6. 문자
현재 에벤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에벤어 표기법의 역사는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930년대 초까지: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초기 표기 시도
1931-1937년: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
1937년 이후: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현대 표기
19세기 말부터 에벤어 연구가 시작되었지만, 에벤어 사전이나 학술 저작은 1950년대 이후에나 발표되기 시작했다. 1952년에 출간된 벤칭의 『러시아어 에벤어 사전』은 에벤어 주요 방언의 어구를 2만 어 정도 수록하고 있다.[1]
6. 1. 현대 에벤어 알파벳
현재 에벤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에벤어 표기법의 역사는 다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에벤어 연구는 19세기 말에 시작되었지만, 에벤어 사전이나 학술적 저작이 발표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이후이다. 이 시기에 벤칭이 쓴 『러시아어 에벤어 사전』(1952년)은 에벤어 2만 어 정도를 싣고 있으며, 에벤어 주요 방언의 대다수 어구를 수록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Even (Lamut) language and alphabet
http://www.omniglot.[...]
2017-02-08
[2]
간행물
Ethnologue15
[3]
웹사이트
Эвенский язык
https://tapemark.nar[...]
2024-11-29
[4]
웹사이트
Endangered Languages of Siberia - The Even Language
http://lingsib.iea.r[...]
2017-02-09
[5]
문서
Russian dialects in East Siberia and Kamchatka
http://www.ruhr-uni-[...] [6]
문서
Kim, Juwon
2011
[7]
서적
Vowel harmony in two Even dialects: Production and perception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