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칼라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칼라툼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로, 아모리트족 왕 일라-카브카부가 통치한 시기에 처음 등장했다. 그의 아들 샴시-아다드 1세는 세력을 확장하여 상 메소포타미아를 장악했으나, 그의 아들 이쉬메-다간 1세는 왕국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에칼라툼은 바빌론의 지배를 받다가 미탄니 제국에 편입되었고, 결국 히타이트에 의해 함락되었다. 에칼라툼은 아시리아 시대에도 언급되었으며, 정확한 위치는 현재 논쟁 중이나, 티그리스강 주변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모리인 - 바빌로니아
    바빌로니아는 현재 이라크 지역의 메소포타미아 남부에 위치한 고대 문명으로, 다양한 언어와 문화가 공존하며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등의 강력한 군주 아래 번성했으나 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당하며 쇠퇴한 문명이다.
  • 아모리인 - 아수르
    아수르는 메소포타미아 북부의 고대 도시이자 국가, 수호신 이름이며 아시리아 문명의 발상지로 종교적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보호받고 있다.
  • 바빌로니아 - 바빌론
    바빌론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이자 여러 왕조의 수도로,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시대의 번영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명의 흔적을 간직한 채 현재 이라크에 위치,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문화적, 종교적 상징성이 커 현대 예술 및 대중문화에서도 중요한 모티프로 사용된다.
  • 바빌로니아 - 칼데아
    칼데아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남동부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서부 셈어를 사용하는 민족이 이주해와 아카드 문화에 동화되었으며, 천문학과 점성술을 발전시킨 바빌로니아의 지배 계급이자 지식 계층이었다.
  • 아시리아 - 아시리아력
    아시리아력은 아시리아인들이 사용하는 달력으로, 기원전 4750년을 원년으로 하여 12개의 달로 구성되며, 봄의 시작인 니산월 1일에 새해를 시작하고 윤달을 사용한다.
  • 아시리아 - 마르딘
    마르딘은 터키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마르딘 주의 중심지로, 메소포타미아 평원이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자리 잡아 다양한 문명의 교차로 역할을 해왔으며, 다양한 문화적 유산을 간직하여 '야외 박물관'이라고도 불린다.
에칼라툼
개요
국가아무루인
수도에칼라툼
존속 기간기원전 1830년경 ~ 기원전 1764년경
이전제3차 우르 왕조
다음고대 바빌로니아
역사
건국기원전 1830년경
멸망기원전 1764년경
통치자
기원전 1808년 ~ 기원전 1776년샴시아닷 1세
기원전 1775년 ~ 기원전 1764년이쉬메-다간 1세

2. 역사

에칼라툼은 일라-카브카부에 의해 처음 알려졌으며, 그의 아들 샴시-아다드 1세가 기원전 1810년경 왕위에 올라 하부르 강 유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샴시-아다드 1세는 에슈눈나의 다두샤와 동맹을 맺거나 대립하는 등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그의 확장은 이아흐둔림과 에슈눈나의 나람-신에 의해 저지되었고, 그는 바빌론으로 피신했다가 나람-신 사후 돌아와 상 메소포타미아 전체를 장악했다.[4][5]

이쉬메-다간 1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에칼라툼을 통치했지만, 왕국 전체를 유지하지 못하고 혼란스러운 시기를 보냈다. 마리의 짐리림 등 주변 군벌들의 표적이 되었고,[7] 기원전 1765년 엘람에게 점령당한 후 바빌론함무라비에게 피신했다. 이후 에칼라툼은 함무라비에게 종속되었다가 미탄니 제국, 히타이트에게 차례로 함락되었다.[9][10]

바빌론의 왕 마르두크-나딘-아헤가 에칼라툼을 점령했다는 기록이 있으며,[11] 신아시리아 통치자 산헤립은 418년 후 "아다드와 샬라" 신상을 에칼라툼으로 돌려보냈다고 전해진다.[12]

2. 1. 초기 역사 (아모리트족 통치 시기)

에칼라툼의 첫 번째로 알려진 왕은 아모리트족 출신인 일라-카브카부였으며, 그는 마리의 이기틀림과 갈등을 겪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아들 샴시-아다드 1세는 기원전 1810년경 왕위에 올라 갈등을 지속하고 하부르 강을 따라 계곡으로 세력을 확장하려 했다. 그는 지역 갈등에서 에슈눈나의 다두샤와 때로는 동맹을 맺고 때로는 적대 관계를 맺기도 했다(다두샤의 두 번째 연호는 "다두샤가 에칼라툼 군대를 물리친 해"였다).[4] 그의 확장은 이기틀림의 아들 이아흐둔림에 의해 저지되었고, 곧 다두샤의 동생이자 후계자인 에슈눈나의 나람-신에게 패배하여 동족 아모리트족이 세운 도시이자 통치하던 바빌론으로 도망쳤다.[4] 그는 나람-신의 죽음 이후 돌아왔다. 그 직후 샴시-아다드는 일련의 군사적 승리를 거두었고, 그는 역사학자들이 현재 상 메소포타미아 왕국이라고 부르는 곳을 세우며 상 메소포타미아 전체를 장악했다.[5] 이 작전에는 인근 아수르의 병합도 포함되었다. 그는 자신의 수도를 슈바트-엔릴에 세우고 에칼라툼을 장남 이쉬메-다간 1세에게 맡겼다. (그의 다른 아들 야스마흐-아다드는 당시 마리의 왕위에 올랐다.) 이쉬메-다간은 유능한 군사 지도자로 보였지만, 기원전 1775년경 아버지의 죽음 이후 왕국 전체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에칼라툼을 지켰고, 그의 형제는 마리를 잃고 살해되었다.

이쉬메-다간의 치세는 혼란스러웠고, 종종 누르루검(위치 불명)과 군사적 갈등을 겪었다.[6] 그는 여러 차례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도시의 권력을 회복할 수 없었고, 인근의 군벌, 특히 마리의 짐리림의 표적이 되었다.[7] 엘람인이 기원전 1765년에 에칼라툼을 점령했을 때, 그는 전통적인 동맹인 바빌론함무라비에게 피신하여 왕좌를 되찾는 데 도움을 받았다. 바빌론에서의 그의 시간은 동맹이라기보다는 포로에 더 가까웠을 수 있다.

이후 에칼라툼은 바실 도시가 되어 바빌론의 함무라비 왕에게 종속되었고(연호는 "함무-라비 왕이 수바르투 지역, 에칼라툼, 부룬다, 티그리스 강에서 시파르 운하까지의 잠라스 지역을 정복한 해"였다), 그는 메소포타미아 전체를 통제하게 되었다. 이쉬메-다간이 죽자 그의 아들 무트-아슈쿠르가 그 뒤를 이었다.[9] 그는 에칼라툼의 마지막 알려진 왕이었다. 이후 에칼라툼은 미탄니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결국 수필룰리우마 1세 (기원전 1344–1322년) 아래 히타이트에게 함락되었다.[10]

2. 2. 바빌로니아와 미탄니의 지배

에칼라툼의 첫 번째 왕은 아모리트족 일라-카브카부였으며, 그는 마리의 이기틀림과 갈등을 겪었다. 그의 아들 샴시-아다드 1세는 기원전 1810년경 왕위에 올라 하부르 강을 따라 세력을 확장하려 했다. 그는 에슈눈나의 다두샤와 동맹을 맺기도 하고 대립하기도 했다. 다두샤의 연호 중에는 "다두샤가 에칼라툼 군대를 물리친 해"라는 기록이 있다.[4] 샴시-아다드 1세의 확장은 이기틀림의 아들 이아흐둔림에 의해 저지되었고, 곧 에슈눈나의 나람-신에게 패배하여 바빌론으로 피신했다.[4] 그는 나람-신의 죽음 이후 돌아와 상 메소포타미아 전체를 장악하고, 슈바트-엔릴을 수도로 삼았다.[5] 이쉬메-다간 1세는 아버지 샴시-아다드 1세의 뒤를 이어 에칼라툼을 통치했지만, 기원전 1775년경 아버지의 죽음 이후 왕국 전체를 유지하지는 못했다.

이쉬메-다간의 치세는 혼란스러웠고, 마리의 짐리림 등 주변 군벌들의 표적이 되었다.[7] 기원전 1765년 엘람인이 에칼라툼을 점령하자, 그는 바빌론함무라비에게 피신하여 왕좌를 되찾는 데 도움을 받았다. 그러나 바빌론에서의 시간은 동맹이라기보다는 포로에 가까웠을 가능성이 있다.

이후 에칼라툼은 바빌론의 함무라비 왕에게 종속되었고, 함무라비는 메소포타미아 전체를 통제하게 되었다. 이쉬메-다간의 아들 무트-아슈쿠르가 그 뒤를 이었지만,[9] 에칼라툼은 미탄니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결국 수필룰리우마 1세 치하의 히타이트에게 함락되었다.[10]

2. 3. 신아시리아 시대

아모리트족 일라-카브카부는 에칼라툼의 첫 번째로 알려진 왕이었으며, 마리의 이기틀림과 갈등을 겪었다. 그의 아들 샴시-아다드 1세는 기원전 1810년경 왕위에 올라 갈등을 지속하고 하부르 강을 따라 계곡으로 세력을 확장하려 했다. 그는 지역 갈등에서 에슈눈나의 다두샤와 때로는 동맹, 때로는 적이었다(다두샤의 두 번째 연호는 "다두샤가 에칼라툼 군대를 물리친 해"였다). 그의 확장은 이기틀림의 아들 이아흐둔림에 의해 저지되었고, 곧 다두샤의 동생이자 후계자인 에슈눈나의 나람-신에게 패배하여 동족 아모리트족이 세운 도시이자 통치하던 바빌론으로 도망쳤다.[4] 그는 나람-신의 죽음 이후 돌아왔다. 그 직후 샴시-아다드는 일련의 군사적 승리를 거두었고, 상 메소포타미아 전체를 장악하여 역사학자들이 현재 상 메소포타미아 왕국이라고 부르는 곳을 세웠다.[5] 이 작전에는 인근 아수르의 병합도 포함되었다. 그는 자신의 수도를 슈바트-엔릴에 세우고 에칼라툼을 장남 이쉬메-다간 1세에게 맡겼다. (그의 다른 아들 야스마흐-아다드는 당시 마리의 왕위에 올랐다.) 이쉬메-다간은 유능한 군사 지도자로 보였지만, 기원전 1775년경 아버지의 죽음 이후 왕국 전체를 유지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에칼라툼을 지켰고, 그의 형제는 마리를 잃고 살해되었다.

이쉬메-다간의 치세는 혼란스러웠고, 종종 누르루검(위치 불명)과 군사적 갈등을 겪었다.[6] 그는 여러 차례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도시의 권력을 회복할 수 없었고, 인근의 군벌, 특히 마리의 짐리림의 표적이 되었다.[7] 엘람인이 기원전 1765년에 에칼라툼을 점령했을 때, 그는 전통적인 동맹인 바빌론함무라비에게 피신하여 왕좌를 되찾는 데 도움을 받았다. 바빌론에서의 그의 시간은 동맹이라기보다는 포로에 더 가까웠을 수 있다.

이후 에칼라툼은 바실 도시가 되어 바빌론의 함무라비 왕에게 종속되었고(연호는 "함무-라비 왕이 수바르투 지역, 에칼라툼, 부룬다, 티그리스 강에서 시파르 운하까지의 잠라스 지역을 정복한 해"였다), 함무라비는 메소포타미아 전체를 통제하게 되었다. 이쉬메-다간이 죽자 그의 아들 무트-아슈쿠르가 그 뒤를 이었다.[9] 그는 에칼라툼의 마지막 알려진 왕이었다. 이후 에칼라툼은 미탄니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결국 수필룰리우마 1세 (기원전 1344–1322년) 아래 히타이트에게 함락되었다.[10]

한 비문은 바빌론의 왕 마르두크-나딘-아헤 (기원전 1095–1078년경)가 에칼라툼을 점령했다고 주장한다.[11]

신아시리아 통치자 산헤립 (기원전 705–681년)은 418년 후에 신들(그들의 숭배상) "아다드와 샬라"를 에칼라툼으로 돌려보냈다고 보고했는데, 그는 그들이 바빌론 통치자 마르두크-나딘-아헤 (기원전 1095–1078년경)에 의해 추방되었다고 주장했다.[12]

3. 위치

에칼라툼의 원래 이름은 하마지였으며, 우르 제3왕조 멸망 후 이신의 이쉬비-에라에 의해 파괴된 후 변경되었다고 추정된다는 연구가 있다.[13]

마리의 고(古) 바빌로니아 시대 문서에는 에칼라툼이 티그리스강 서쪽, 하부르 삼각 지대에 위치한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14] 한 연구자는 마리 문서에 에칼라툼이라는 이름의 도시가 두 개 존재하며, 하나는 티그리스강에, 다른 하나는 샴시-아다드의 수도로서 하부르강 지류의 발원지에 위치하며 현대의 "쿠에일트라"에 해당한다고 제안했다.[15][16]

에마르에서 출발하여 돌아오는 긴 고 바빌로니아 시대의 여정(태블릿의 일부가 손실됨)에서 에칼라툼은 아수르 이후 북쪽으로 가는 길의 첫 번째 정류장이자, 돌아오는 길에 아수르 직전의 마지막 정류장이었다.[17][18]

텔 하조르에서 마리로, 그리고 에칼라툼으로 이어지는 예상 무역 경로가 기록된 태블릿 조각이 발견되었다.[19]

에칼라툼은 아수르에서 하루 거리에 있으며, 다음의 위치로 비정(比定)된다.


  • 티그리스강 동쪽 제방, 아수르 북쪽 15km 지점의 텔 하이칼(툴룰 엘-하이칼)(동경 43.272797 / 북위 35.597384) [6][20]
  • 티그리스강 동쪽 제방, 아수르 동쪽 20km 지점의 텔 아크라.[21][22]
  • 티그리스강 서쪽 제방, 아수르 북쪽 18km 지점의 텔 후와이쉬(탈 알-후와이쉬).[23][24]

참조

[1]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7
[2] 서적 The Amorite Dynasty of Ugarit: Historical Implications of Linguistic and Archaeological Parallels https://books.google[...] BRILL 2019-09-16
[3] 간행물 "Assur avant L'Assyrie" 1997
[4] 간행물 "Dāduša's stela and the vexed question of identifying the main actors on the relief" 2017
[5] 간행물 "Cuneiform Texts from Kazane Höyük" 1998
[6] 간행물 "Išme-Dagan’s Military Actions in the Jezirah: A Geographical Study" 1984
[7] 간행물 "Zimri-Lim’s March to Victory" 1972
[8] 서적 "Letters to the King of Mari: A New Translation with Historical Introduction, Notes, and Commentary" Eisenbrauns 2003
[9] 간행물 "Assyrian King-Lists, the Royal Tombs of Ur, and Indus Origins" 2001
[10] 서적 "Chapter 1. Introduction"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22
[11] 간행물 "Akkadian Apocalypses" 1966
[12] 간행물 "State-Sponsored Sacrilege: “Godnapping” and Omission in Neo-Assyrian Inscriptions" 2015
[13] 서적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Urkeš and the Hurrian Beginnings in Northern Mesopotamia" Undena 1998
[14] 서적 "Mari et le Proche-Orient à l’époque amorrite: Essai d’histoire politique" Société pour l’étude du Proche-Orient ancien, Sophie Démare-Lafont 2003
[15] 간행물 "Towards a Historical Geography of the Khābūr Triangle Region in Old Babylonian Times. Part 1." https://www.academia[...] 2012
[16] 간행물 "Towards a Historical Geography of the Khābūr Triangle Region in Old Babylonian Times, Part II" 2014-2015
[17] 간행물 "An Old Babylonian Itinerary" 1953
[18] 간행물 "The Road to Emar" 1964
[19] 간행물 "An Old Babylonian Letter from Hazor with Mention of Mari and Ekallātum" 2000
[20] 간행물 "Nouvelles decouvertes epigraphiques au Palais de Mari (Salle 115)" 1973
[21] 간행물 "Ruinenbeschreibungen der Machmur-Ebene aus dem Nachlass von Walter Bachmann" 1995
[22] 간행물 "Assyria and Dilmun Revisited" 1997
[23] 웹사이트 "Tell Ḥuwaish = Tell Ḥuwaish" https://www.academia[...] 2022
[24] 간행물 "Ekallatum, Samsi-Addu’s capital city, localised" https://hal.science/[...] 2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