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데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데아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남동부 지역과 그 지역에 거주했던 민족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원래는 페르시아 만 연안의 좁고 습한 지역을 가리켰으나, 기원전 608년부터 557년까지 칼데아인들의 전성기 이후에는 남부 메소포타미아 전체를 아우르는 광범위한 지역을 의미하게 되었다. 칼데아인은 기원전 10세기 후반 또는 9세기 초에 메소포타미아 남부로 이주해 온 서부 셈어족 유목민으로, 신바빌로니아 제국을 건설하여 번영을 누렸으나, 기원전 539년 페르시아에 의해 멸망했다. 칼데아인들은 천문학과 점성술에 능숙하여 '칼데아인의 지혜'라는 표현으로 그 명성을 알렸으며, 이후에는 점성술과 천문학을 담당하는 지식 계급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메르 - 키시
키시는 기원전 6천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한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로, 수메르 문명의 중심지이자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배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도시이며, 여러 왕조를 거쳐 번영과 쇠퇴를 반복하다 사산조 시대에 폐기되었다. - 수메르 - 바벨탑
바벨탑은 창세기에 등장하는 인간이 하늘에 닿기 위해 건설하려다 신의 방해로 실패하고 언어가 나뉘게 되었다는 설화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며 여러 외경과 문헌에서 기록을 찾아볼 수 있고 이후 다양한 매체에서 영감을 주어 소통의 중요성과 다양성의 가치를 상징하는 소재로 활용된다. - 수메르의 도시 - 키시
키시는 기원전 6천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한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로, 수메르 문명의 중심지이자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배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도시이며, 여러 왕조를 거쳐 번영과 쇠퇴를 반복하다 사산조 시대에 폐기되었다. - 수메르의 도시 - 님루드
님루드는 기원전 13세기에 건설된 고대 도시 칼후의 19세기 이름으로, 아시리아 제국의 수도였으며, 중요한 아시리아 유물들이 발굴되었으나 ISIL에 의해 파괴된 후 유네스코의 지원을 받아 복원 중인 유적이다. - 바빌로니아 - 바빌론
바빌론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이자 여러 왕조의 수도로,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시대의 번영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명의 흔적을 간직한 채 현재 이라크에 위치,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문화적, 종교적 상징성이 커 현대 예술 및 대중문화에서도 중요한 모티프로 사용된다. - 바빌로니아 - 바빌로니아력
바빌로니아력은 메소포타미아에서 사용된 태음태양력으로, 니푸르 달력에서 유래하여 메톤 주기를 통해 태음태양력으로 전환되었으며, 후대 달력에 영향을 미쳤고 7일 주기와 성일/악일 개념, 그리고 행정력(도식력)을 포함한다.
칼데아 | |
---|---|
칼데아 | |
다른 뜻 | 칼데아 (동음이의) |
명칭 | |
영어 | Chaldea |
IPA | /kælˈdiːə/ |
고대 그리스어 | Χαλδαία (Chaldaia) |
히브리어 | כשדים (Kaśdim) |
아람어 | ܟܠܕܘ (Kaldo) |
일본어 (가타카나) | カルデア (Karudea) |
바빌로니아어 | Kaldu |
역사 | |
위치 | 메소포타미아 남부 |
존속 기간 | 기원전 9세기 ~ 기원전 6세기 |
주요 도시 | 우르, 에리두, 우루크, 라르사 |
민족 | 칼데아인 |
언어 | 칼데아어 (아람어 방언) |
종교 |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 |
주요 정보 | |
설명 |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작은 셈족 국가. 영역은 대략 길이 640km, 너비 160km 정도였다고 한다. |
2. 명칭
'칼데아'라는 명칭은 그리스어 '칼다이아(Χαλδαία)'의 라틴어 표기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아카드어 '마트 칼두(māt Kaldu)' 또는 '카슈두(Kašdu)'를 헬레니즘화한 형태이다.[3] 히브리어 성경에는 '카스딤(כַּשְׂדִּים)'으로 나타나며,[4][5][6] 이는 '칼데아인'을 의미하는 아람어 '카스다인(כַּשְׂדָּאִין)'과 관련이 있다.
칼데아는 본래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하구 주변의 낮고 습한 충적 평야를 가리키는 말이었다.[12] 이 강들은 당시 서로 다른 하구를 통해 바다로 흘러 들어갔다. 시간이 지나면서 칼데아는 메소포타미아 남부 전체를 지칭하는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창세기 22:22에는 "카스딤"의 단수형으로 추정되는 케세드(כֶּשֶׂד)가 아브라함의 형제 나홀의 아들로 아람 나하라임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온다. 유빌리서 11:7에서는 "케세드의 아들 우르가 우르 카스딤 도시를 건설하고 자신과 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도시 이름을 지었다"고 주장한다.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37~)는 그의 저서 『유대고대사』에서 아르팍삭드와 칼데아를 연결시켜 "아르팍삭드는 아르팍삭드인(Arphaxadites)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에게 이름을 지어주었는데, 그들은 지금 칼데아인이라고 불린다"고 적고 있다.[8] 움베르토 카수토는 "아르팍삭드"(ארפכשד)라는 이름이 아랍차(Arapcha)-케세드의 합성어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9]
짧은 기간 지속된 바빌로니아 제11왕조(기원전 6세기)를 역사가들은 관례적으로 칼데아 왕조, 칼데아 제국, 또는 신바빌로니아 왕국이라고 부른다. 그렇다고는 해도, 이 왕조의 역대 통치자 중에서 칼데아인임이 밝혀진 것은 처음 네 명뿐이다. 마지막 통치자 나보니두스와 그의 아들이었던 섭정 벨사살의 출신은 분명하지 않지만, 아시리아 출신이라는 설도 있다.[33]
칼데아인이 정착한 지역은 바빌로니아 남부에 있으며, 주로 유프라테스강 동쪽 기슭을 따라 있었다. 칼데아라는 이름은 일반적으로 메소포타미아 남부 전역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지만, 본래의 칼데아는 사실상 유프라테스강과 티그리스강의 퇴적물에 의해 메소포타미아 남동쪽 끝에 형성된, 이 두 강의 흐름을 따라 약 약 643.74km 길이, 약 약 160.93km 너비에 달하는 광대한 평원이었다.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칼데아인을 כשדיםhe (카스딤)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칠십인역에서는 이를 칼데아인으로 번역하고 있다. 아브라함의 출생지도 카스딤의 우르로 기록되어 있다.
고대 그리스인이 칼데아인(Χαλδαῖοςgrc, 칼다이오스)이라고 불렀던 이들은, 바빌로니아가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기 전 바빌로니아의 지배 계급이었다. 헬레니즘 시대의 역사가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칼데아인을 가장 오래된 바빌로니아인으로 여겼다. 고대 세계에서 칼데아인은 천문학·점성술을 발전시킨 것으로 유명했으며, “칼데아인의 지혜”는 천문학·점성술을 의미했다.[34] 점성술을 담당하는 바빌로니아의 지식 계급 또는 제사 계급을 간단히 칼데아인이라고 부르기도 했다.[35]
3. 지리
초기 칼데아, 즉 "마트 칼디(mat Kaldi)"는 기원전 9세기 초부터 7세기 후반까지 신아시리아 제국의 지배하에 있던, 남동 바빌로니아에 산발적으로 독립적인 이주민들이 세운 작은 영토였다. 이 영토는 페르시아 만 서쪽 해안까지 뻗어 있었다. "마트 빗 야킨(mat Bit Yâkin)"이라는 표현도 동의어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칼데아인 5개 부족 중 가장 크고 강력한 부족의 이름 또는 그들의 영토를 가리킨다.[10] 빗 야킨의 초기 영토 범위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티그리스 강 하류에서 아라비아 반도까지 뻗어 있었다. 사르곤 2세는 빗 야킨이 딜문 또는 "바다 땅"(연안 동부 아라비아)까지 뻗어 있다고 언급했다.[11]
칼데아인의 수도는 "두르 야킨(Dur Yâkin)"이었으며, 이곳은 마르두크-발라단의 초기 거점이었다.[13] 칼데아의 왕은 빗 야킨의 왕이라고도 불렸는데, 이는 바빌론이나 아슈르의 왕들이 각각 수도의 이름으로 불린 것과 같다. 페르시아 만은 때때로 "빗 야킨의 바다" 또는 "칼데아 땅의 바다"라고 불리기도 했다.
칼데아인이 정착한 지역은 바빌로니아 남부, 주로 유프라테스 강 동쪽 기슭이었다. 본래 칼데아는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의 퇴적물에 의해 메소포타미아 남동쪽 끝에 형성된, 두 강의 흐름을 따라 약 약 643.74km 길이, 약 약 160.93km 너비에 달하는 광대한 평원이었다.
4. 역사
칼데아인들은 기원전 10세기 말에서 9세기 초 사이에 메소포타미아 남부 바빌로니아로 이주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기원전 850년대 후반 이전에는 역사적 기록에 나타나지 않는다.[19] 이들은 메소포타미아 남동부, 페르시아 만 상류의 비교적 빈곤한 지역에 정착했다.
칼데아인들은 정착 후 약 1세기 동안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토착 바빌로니아 왕들이나 아람 부족들에게 예속되어 있었다. 이 기간 동안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주요 세력은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였으며, 동쪽의 엘람과 칼데아인들보다 먼저 이 지역에 정착했던 아람인들이 있었다.
칼데아인들이 역사에 처음 등장한 것은 기원전 852년 아시리아 왕 살마네세르 3세의 연대기였다.[19] 살마네세르 3세는 바빌로니아 남동부를 침략하여 아무카니 부족의 수장 무살림-마르두크를 복속시키고,[20] 바카니라는 도시를 점령하고 벳-닥쿠리 부족의 수장 아디니로부터 조공을 받았다고 기록했다. 당시 칼데아 부족들은 강력한 세력이 아니었고, 바빌로니아 왕에게 위협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시리아 왕의 정복은 부수적인 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칼데아 지도자들은 이미 아시리아-바빌로니아식 이름, 종교, 언어 및 관습을 채택하여 상당히 아카드화되어 있었다.
기원전 780년, 칼데아인 마르두크-아플라-우수르가 토착 바빌로니아 왕 마르두크-벨-제리로부터 왕위를 찬탈하면서 칼데아인들은 바빌로니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아시리아 왕 살마네세르 4세는 마르두크-아플라-우수르를 공격하여 패배시키고 바빌로니아 북부를 탈환했다. 이후 칼데아인들은 다시 아시리아에 예속되었다.
칼데아인들은 신아시리아 제국 시대에 바빌론에 대한 지배권을 장악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했다. 이들은 강력한 아시리아에 직접 맞설 만큼 강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시리아 왕들이 다른 지역에 신경을 쓰거나 내분에 휘말려 있을 때를 기다려 엘람과 같은 다른 세력과 동맹을 맺고 바빌로니아를 장악하려 했다.
사르곤 2세 시대, 마르두크-아플라-이디나 2세(성경의 메로다크-발라단)는 엘람과 동맹을 맺고 기원전 721년부터 710년까지 바빌론을 장악했다. 그러나 사르곤 2세는 이들을 격파하고 메로다크-발라단을 엘람으로 몰아냈다. 메로다크-발라단은 이후 다시 왕위를 되찾았으나 곧 패배하고 망명 중 사망했다.
기원전 694년, 엘람인들이 아시리아 왕자 아술-나딘-슈미를 살해하자, 칼데아인들과 바빌로니아인들은 다시 엘람과 동맹을 맺었다. 아시리아 왕 센나케리브는 엘람과 칼데아를 정복하고 바빌론을 파괴했다. 에사르하돈은 바빌론을 재건하고 평화를 가져왔다.
샤마슈-슈무-우킨은 기원전 652년 아시리아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이후 아시리아는 내분으로 약화되었고, 칼데아인 추장 나보폴라사르는 기원전 620년 바빌론을 장악했다.
아술바니팔 사후 아시리아 제국이 내분에 휩싸이자, 나보폴라사르는 이 틈을 타 바빌론을 장악하고 신바빌로니아 제국을 건국했다. 그는 메디아와 동맹을 맺고 아시리아를 공격하여 멸망시켰다. 나보폴라사르는 기원전 619년에 바빌로니아에서 친아시리아주의의 중심지였던 니푸르를 점령하여 바빌로니아 전체를 장악했다.
기원전 615년, 메디아의 키아크사레스는 스키타이 및 킴메리아인과 동맹을 맺고 아시리아를 기습 공격하여 칼후와 아라파를 점령했다. 기원전 612년, 연합군은 니네베를 함락시키고 신-샤르-이슈쿤을 살해했다. 아술-우발리트 2세가 하란에서 저항했지만, 기원전 605년 카르케미시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아시리아 제국은 멸망했다.
나보폴라사르는 기원전 604년에 사망하고, 그의 아들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바빌론의 공중 정원을 건설하고, 예루살렘을 함락시켜 바빌론 유수를 일으킨 왕으로 유명하다. 그는 주변 지역을 정복하여 제국의 영토를 확장했다.
4. 1. 칼데아인의 기원과 정착
칼데아인은 기원전 10세기 후반 또는 9세기 초에 메소포타미아 남부 지역으로 이주해 온 서부 셈어족 유목민이었다.[14] 이들은 메소포타미아 원주민이 아니었으며, 아카드어를 사용하던 아시리아인, 바빌로니아인과는 다른 언어를 사용했다.[14] 칼데아인들은 기원전 940년에서 860년 사이에 메소포타미아로 이주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아람인과 수테인족이 바빌로니아에 나타난 지 약 1세기 후였다.[15]
칼데아인들은 바빌로니아 남부의 쇠퇴기에 이 지역에 정착하여 여러 부족 국가를 형성했다. 그중 가장 크고 강력한 부족은 빗-야킨(Bīt-Yâkin)이었다.[10] 빗-야킨의 영토는 티그리스 강 하류에서 아라비아 반도까지 뻗어 있었으며, 사르곤 2세는 딜문(오늘날의 바레인)까지 뻗어 있다고 언급했다.[11] 칼데아인들은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하구 주변의 낮고 습한 충적 평야 지대에 주로 거주했다.[12]
칼데아의 왕은 빗-야킨의 왕이라고도 불렸으며, 페르시아 만은 때때로 "빗-야킨의 바다" 또는 "칼데아 땅의 바다"라고 불렸다.
칼데아인들은 메소포타미아에 정착한 후 약 1세기 동안은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들은 토착 바빌로니아 왕들이나 아람 부족들에게 예속되어 있었다. 칼데아인들이 처음으로 역사에 등장한 것은 기원전 852년 아시리아 왕 살마네세르 3세의 연대기에서였다.[19] 살마네세르 3세는 바빌로니아 남동부를 침략하여 칼데아 부족들을 복속시켰다고 기록했다.[20]
주요 칼데아 부족들과 그들의 지역은 다음과 같았다.[6]
부족명 | 지역 |
---|---|
빗-야킨 | 칼데아인들이 페르시아 만에 정착했던 원래 지역 |
벳-닥쿠리 | |
벳-아디니 | |
빗-아무카니 | |
벳-실라니 |
이 무렵 칼데아 지도자들은 이미 아시리아-바빌로니아식 이름, 종교, 언어 및 관습을 채택하여 상당히 아카드화되었다.
4. 2. 아시리아의 지배와 칼데아인의 저항
칼데아는 기원전 9세기 초부터 신아시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던 남동 바빌로니아의 작은 영토였다. 칼데아인들은 산발적으로 독립을 유지하며 페르시아 만 서쪽 해안까지 세력을 뻗쳤다.[10] 이들은 여러 부족으로 구성되었으며, 그중 가장 강력한 부족은 빗-야킨이었다.[10]아시리아 왕 살마네세르 3세는 기원전 852년 바빌로니아를 침공하여 칼데아 부족들을 복속시키고 조공을 받았다.[19] 칼데아 지도자들은 아시리아-바빌로니아식 이름, 종교, 언어, 관습을 채택하여 아카드화되었다.
기원전 780년 칼데아인 마르두크-아플라-우수르가 바빌로니아 왕위를 찬탈하면서 역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아시리아는 이들을 다시 복속시켰다. 칼데아인들은 아시리아가 다른 지역 문제에 집중하거나 내분에 휩싸일 때, 엘람과 같은 다른 세력과 동맹을 맺고 바빌로니아 지배권을 장악하려 했다.
사르곤 2세 시대, 마르두크-아플라-이디나 2세(성경의 메로닥-발라단)는 엘람과 동맹을 맺고 기원전 721년부터 710년까지 바빌론을 장악했다. 그러나 사르곤 2세는 이들을 격파하고 메로닥-발라단을 엘람으로 몰아냈다. 메로닥-발라단은 기원전 703년 다시 왕위를 되찾았으나 곧 패배하고 망명 중 사망했다.
기원전 694년 엘람은 아시리아 왕자 아술-나딘-슈미를 살해했고, 칼데아인과 바빌로니아인은 다시 엘람과 동맹을 맺었다. 아시리아 왕 센나케리브는 엘람과 칼데아를 정복하고 바빌론을 파괴했다. 에사르하돈은 바빌론을 재건하고 평화를 가져왔다.
샤마슈-슈무-우킨은 기원전 652년 아시리아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이후 아시리아는 내분으로 약화되었고, 칼데아인 추장 나보폴라사르는 기원전 620년 바빌론을 장악했다. 나보폴라사르는 메디아와 동맹을 맺고 아시리아를 공격하여 멸망시켰다.
4. 3. 신바빌로니아 제국(칼데아 제국)의 성립과 번영
기원전 7세기 후반, 아시리아 제국이 내분으로 약화되자, 칼데아 부족 출신의 나보폴라사르는 이 틈을 타 바빌론을 장악하고 신바빌로니아 제국을 건국했다.[21] 그는 메디아와 동맹을 맺고 아시리아를 멸망시켰으며,[21] 그의 아들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제국의 영토를 크게 확장하고 바빌론을 웅장한 도시로 재건했다.아술바니팔(그리고 칸달라누)이 기원전 627년에 사망한 후, 신아시리아 제국은 격렬한 내전에 휩싸였다. 칼데아인 추장 나보폴라사르는 이 혼란을 틈타 기원전 620년 바빌론을 장악했다.[21] 신-샤르-이슈쿤이 반란 진압에 집중하는 동안, 나보폴라사르는 기원전 619년 니푸르를 점령하며 바빌로니아 전체를 장악했다.
나보폴라사르는 메디아의 키아크사레스와 동맹을 맺고, 기원전 615년 아시리아를 공격하여 주요 도시들을 점령했다. 기원전 612년, 연합군은 니네베를 함락시키고 신-샤르-이슈쿤을 살해했다. 아술-우발리트 2세가 하란에서 저항했지만, 기원전 605년 카르케미시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아시리아 제국은 멸망했다.
나보폴라사르는 기원전 604년에 사망하고, 그의 아들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22]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바빌론의 공중 정원을 건설하고, 예루살렘을 함락시켜 바빌론 유수를 일으킨 왕으로 유명하다. 그는 유다 왕국, 페니키아, 아라비아 북부 등 주변 지역을 정복하여 제국의 영토를 확장했다.
4. 4. 멸망과 이후
신바빌로니아 제국은 기원전 539년 페르시아의 키루스 2세에게 멸망당했다.[23] 이후 칼데아는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제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칼데아인'이라는 명칭은 특정 민족 집단을 지칭하기보다는 점성술과 천문학에 능통한 지식인 계층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34][35]페르시아인들은 이러한 "칼데아 사회 계급"을 읽고 쓰는 데 능숙하고, 특히 모든 형태의 주술, 마법, 마녀, 그리고 마술에 정통하다고 여겼다. 그들은 점성술사와 천문학자들을 "칼데아인"이라고 불렀다.
민족으로서의 칼데아인과 땅으로서의 칼데아는 아케메네스 제국의 페르시아 통치자들이 "칼데아"라고 불리는 주를 유지하지 않았고, 그들의 기록에 "칼데아인"을 민족으로 언급하지 않았다는 사실에서 소멸을 확인할 수 있다.
5. 칼데아의 군주
통치 기간 | 이름 |
---|---|
기원전 626년 ~ 605년 | 나보폴라사르 |
기원전 605년 ~ 562년 | 네부카드네자르 2세 |
기원전 562년 ~ 560년 | 아멜-마르두크 |
기원전 560년 ~ 556년 | 네르갈-사르-우수르 |
기원전 556년 | 라바시-마르둑 |
기원전 556년 ~ 539년 | 나보니두스 |
6. 언어
칼데아인들은 원래 서방 셈어족에 속하는, 구아람어와 유사한 언어를 사용했다.[4] 신아시리아 제국 시대에 제국 아람어가 공용어가 되면서, 칼데아인들을 포함한 메소포타미아 전역에서 아람어가 널리 사용되었다.[4] 후대에 '칼데아어'라고 불린 언어는 사실 아람어의 한 방언이었으며, 이는 히에로니무스에 의해 잘못 명명된 것이다.[4]
7. 종교
8. 유산
칼데아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중요한 일부였으며, 특히 천문학과 점성술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칼데아인의 지혜'는 천문학과 점성술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34], 이는 칼데아인들이 이 분야에서 얼마나 뛰어났는지를 보여준다. 점성술을 담당하는 바빌로니아의 지식 계급 또는 제사 계급을 간단히 칼데아인이라고 부르기도 했다.[35]
현대에는 칼데아 가톨릭 교회를 통해 칼데아인의 정체성이 일부 계승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칼데아인과 아시리아인은 동일 민족으로 간주된다. 칼데아가 멸망한 후 메소포타미아 전역(특히 북부)에서는 "아시리아인"이라는 용어와 그 파생어인 "시리아인"이 아람어를 사용하는 주민들을 위한 일반적인 민족 용어로 남았다.[28]
고대 후기에는 성경의 일부 책에서 사용된 아람어의 변종이 히에로니무스(히에로니무스 성)에 의해 잘못 "칼데아어"로 명명되었다. 이 부정확한 용법은 수세기 동안 서유럽에서 계속되었고, 19세기까지도 관습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서아시아의 그리스어와 히브리어 자료에서는 메소포타미아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대한 용어로 일반적으로 "아시리아어"가 사용되었고, 나중에는 "시리아어"도 사용되었다.
참조
[1]
서적
West Semitic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13
[2]
서적
A History of Babylon, 2200 BC – AD 75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3]
웹사이트
Mesopotamia in Greek and Biblical Perceptions: Idiosyncrasies and Distortions
https://research.vu.[...]
2014-12-15
[4]
서적
Daniel: An Exegetical and Theological Exposition of Holy Scripture
https://books.google[...]
B&H Publishing Group
1994-08-31
[5]
서적
Strong's Exhaustive Concordance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Hendrickson Publishers
2009
[6]
서적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00
[7]
학술지
Ancient Hebrew
https://www.academia[...]
[8]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https://www.perseus.[...]
[9]
웹사이트
Cassuto on Genesis, From Noah to Abraham 10:22:4
https://www.sefaria.[...]
2024-12-16
[10]
서적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1995
[11]
서적
The Sealand of Ancient Arabia
Yale University Press
1932
[12]
서적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00
[13]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the Peoples and Places of Ancient Western Asia: From the Early Bronze Age to the Fall of the Persian Empire
https://books.google[...]
2009
[14]
문서
Ancient Mesopotamia
[15]
문서
Ancient Mesopotamia
[16]
서적
The Secret Books of the Egyptian Gnostics
MJF Books
[17]
웹사이트
Mysticism Chapter 1: Spreading the Babylonian Mysteries
http://www.ccg.org/w[...]
CCG Publishing
2008-04-14
[18]
웹사이트
In and Outside the Square: The Sky and the Power of Belief in Ancient China and the World, c. 4500 BC – AD 200
https://sino-platoni[...]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9-09
[19]
서적
Assyrian Rulers of the Early First Millennium BC II (858–745 B.C.) (RIMA 3)
Toronto University Press
1996
[20]
문서
Door fitting from the Balawat Gates, BM 124660
[21]
문서
Assyrians in Chaldean and Achaemenians Babylonia
1984
[22]
문서
Assyria 1995: Proceedings of the 10th Anniversary Symposium of the Neo-Assyrian Text Corpus Project / Helsinki, September 7–11, 1995
[23]
웹사이트
Assyrians after Assyria
https://web.archive.[...]
1999-09-04
[24]
웹사이트
M. Tullius Cicero, For Lucius Murena, chapter 11
https://www.perseus.[...]
[25]
웹사이트
LacusCurtius • Cicero — De Divinatione: BookI
https://penelope.uch[...]
[26]
웹사이트
Lewis and Short
https://alatius.com/[...]
[27]
문서
Odes 1.11
[2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Volume 5, Easter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8-17
[29]
문서
Chaldaia
[30]
문서
Kaśdim
[31]
웹사이트
Chaldea
http://www.jewishenc[...]
2008-02-02
[32]
문서
Kaldo
[33]
문서
Ancient Iraq
[34]
서적
人間の尊厳について
国文社
[35]
서적
魔術と占星術
白水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