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그리스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그리스강은 터키 토로스 산맥에서 발원하여 시리아와 이라크를 거쳐 유프라테스강과 합류하여 샤트알아랍강을 이루는, 총 길이 약 1,850km의 강이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중요한 수송로였으며, 현재는 댐 건설과 가뭄으로 인한 수자원 관리 및 물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수메르 신화, 히타이트 신화, 성경,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와 신화에서 언급되며, 이라크의 수도 바그다드가 티그리스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티그리스강 | |
---|---|
지도 정보 | |
![]() | |
일반 정보 | |
이름 | 티그리스 강 |
원어 이름 (아랍어) | نهر دجلة (나르 디즐라) |
원어 이름 (튀르키예어) | Dicle Nehri (디즐레 네리) |
기타 이름 | Tigris |
지리 | |
위치 | 터키, 시리아, 이라크 |
발원지 | 하잘 호 |
발원지 위치 | 터키 엘라지 괼아르드 인근 |
발원지 좌표 | 38°29′0″N 39°25′0″E |
발원지 고도 | 1150m |
하구 | 샤트알아랍 강 |
하구 위치 | 이라크 알 쿠르나 |
하구 좌표 | 31°0′18″N 47°26′31″E |
하구 고도 | 1m |
유역 | 샤트알아랍 강 → 페르시아 만 |
수계 | 티그리스-유프라테스 수계 |
길이 | 1900km |
유역 면적 | 375,000km² |
왼쪽 지류 | 바트만 강 갈잔 강 보탄 강 하부르 강 대자브 강 소자브 강 '아드하임 강 지즈레 강 디얄라 강 |
오른쪽 지류 | 타르타르 호 |
주요 도시 | 디야르바키르 모술 바그다드 |
수문학 | |
유량 측정 위치 | 바그다드 |
최소 유량 | 337m³/s |
평균 유량 | 1014m³/s |
최대 유량 | 2779m³/s |
2. 역사
티그리스강은 사막이 많은 지역에서 오랫동안 중요한 수송로 역할을 해왔다. 얕은 흘수선의 선박은 바그다드까지 운항할 수 있지만, 모술에서 하류로 내려갈 때는 역사적으로 뗏목이 필요했다.[13][14][15] 바스라-바그다드-모술을 잇는 철도와 도로가 건설되어 화물 운송의 대부분을 전담하면서 20세기 중 이 강을 통한 무역은 그 비중이 감소하였다.
2. 1.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
티그리스강은 거대한 사막 국가들의 중요한 운송로로 사용되어 왔다. 얕은 흘수선의 선박은 바그다드까지 운항할 수 있지만, 모술까지의 운항에는 뗏목이 적절하다.[13][14][15] 20세기 중 바스라-바그다드-모술을 잇는 철도와 도로가 건설되면서 화물 운송의 대부분은 철도와 도로가 담당하게 되어 티그리스강을 통한 무역은 그 비중이 감소하였다.[13][14][15]2. 2. 중세 및 근대
티그리스강은 거대한 사막 국가들의 중요한 운송로로 사용되어 왔다. 이 강은 바그다드까지는 작은 배로도 운항이 가능하지만, 모술까지의 운항에는 뗏목이 적절하다.[13][14][15] 이 강을 통한 무역은 20세기 중 바스라-바그다드-모술을 잇는 철도와 도로가 건설되어 화물 운송의 대부분을 전담하면서 그 비중이 감소하였다.2. 3. 현대
티그리스강은 거대한 사막 국가들의 중요한 운송로로 사용되어 왔다. 이 강은 바그다드까지는 작은 배로도 운항이 가능하지만, 모술까지의 운항에는 땟목이 적절하다. 얕은 흘수선의 선박은 바그다드까지 운항할 수 있지만, 모술에서 하류로 내려갈 때는 역사적으로 뗏목이 필요했다.[13][14][15] 바스라-바그다드-모술을 잇는 철도와 도로가 건설되어 화물 운송의 대부분을 전담하면서 20세기 중 이 강을 통한 무역은 그 비중이 감소하였다.3. 지리
티그리스강은 동(東) 터키의 토로스 산맥에서 발원하여 전체 길이가 약 1,850킬로미터에 달한다. 발원지는 엘라지 시에서 서쪽으로 약 25킬로미터 떨어진 지점이며, 유프라테스강의 발원지로부터 30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티그리스강은 그 후 시리아와 터키의 국경까지 약 400킬로미터 동안 터키 영토를 흐르며, 시리아 영내를 44킬로미터만 흐른다[23]。
유프라테스강과의 합류 지점 바로 근처에서, 티그리스강은 몇몇 운하로 분기된다. 첫째로, 인공 운하 샤트 알-하이가 분기되어 나시리야 근교에서 유프라테스강과 합류한다. 둘째로, 샤트 알-무미나와 마자르 알-카비르가 분기되어 Central Marshes영어를 적신다. 더 하류에서는, 다른 두 갈래의 물줄기가 분기되어 Musharrah영어와 Kahla영어가 되어 하위제 늪지를 적신다. 주(主) 수로는 남쪽으로 이어져 알-카사라와 합류한다. 이러한 흐름은 Hawizeh Marshes의 물을 배수한다. 마지막으로, 티그리스강은 유프라테스강과 Al-Qurnah영어 근처에서 합류하여 샤트알아랍강을 형성한다. 대 플리니우스와 다른 고대 역사가들에 따르면, 유프라테스강은 원래 티그리스강과는 별개로 바다로 흘러드는 하구를 가지고 있었다[28]。
이라크의 수도 바그다드는 티그리스강의 강변에 위치해 있다. 항구 도시 바스라는 샤트알아랍강을 가로지른다. 고대 시대 동안, 티그리스강 연안이나 그 인근에 메소포타미아의 위대한 도시들이 건설되었으며, 메소포타미아 문명을 담당했던 수메르인들은 강물을 관개 용수로 끌어들였다. 티그리스강 연안의 주목할 만한 도시로는 니네베, 크테시폰 (테시폰), 셀레우키아 등이 있으며, 라가시 시는 기원전 2900년경에 운하를 굴착하여 티그리스강에서 관개 용수를 얻었다.
'''지류'''
티그리스강의 주요 지류는 가르잔, 안바르차이, 바트만, 대 자브강과 소 자브강이다.[11]
유프라테스강과의 합류 지점 부근에서 티그리스강은 여러 갈래로 나뉜다. 인공 운하인 샤트 알-하이는 나시리야 인근에서 유프라테스강과 합류한다. 샤트 알-무미나와 마자르 알-카비르는 중앙 늪지를 관개한다. 더 하류에서는 알-무샤라와 알-칼라가 분기되어 하위제 늪지를 관개한다. 주 수로는 남쪽으로 계속 흘러 알-카사라와 합류하며, 알-카사라는 하위제 늪지의 물을 배수한다. 마지막으로 티그리스강은 알-쿠르나 근처에서 유프라테스강과 합류하여 샤트 알 아랍을 형성한다.[12][28]
'''분류'''
티그리스강은 길이가 약 1,750km이며, 터키 동부의 토로스 산맥에서 발원한다.[3] 엘라지시의 남동쪽 약 25km 지점과 유프라테스강의 발원지에서 약 3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이 강은 400km 동안 터키 남동부를 지나 시리아-터키 국경의 일부를 형성하며, 이 중 44km 구간은 시리아에 위치한 강의 유일한 부분이다.[3] 가르잔, 안바르차이, 바트만, 대 자브강과 소 자브강이 티그리스강의 지류이다.[11]
유프라테스강과의 합류 지점 부근에서 티그리스강은 여러 갈래로 갈라진다. 인공 운하인 샤트 알-하이는 나시리야 인근에서 유프라테스강과 합류한다. 샤트 알-무미나와 마자르 알-카비르는 중앙 늪지를 관개한다. 더 하류로 내려가면 다른 두 개의 분류 수로 (알-무샤라와 알-칼라)가 분기되어 하위제 늪지를 관개한다. 주 수로는 남쪽으로 계속 흘러 알-카사라와 합류하며, 알-카사라는 하위제 늪지의 물을 배수한다. 마지막으로 티그리스강은 알-쿠르나 근처에서 유프라테스강과 합류하여 샤트 알 아랍을 형성한다. 플리니우스와 다른 고대 역사가들에 따르면, 유프라테스강은 원래 티그리스강과 별도로 바다로 흘러나갔다.[12]
이라크의 수도인 바그다드는 티그리스강 유역에 위치해 있으며, 항구 도시인 바스라는 샤트 알 아랍을 가로지른다. 고대에는 메소포타미아의 많은 주요 도시들이 티그리스강 유역이나 근처에 위치해 있었고, 티그리스강의 물을 끌어와 수메르 문명을 관개했다. 주요 티그리스강 유역 도시로는 니네베, 크테시폰, 셀레우키아가 있으며, 라가시는 기원전 2900년경에 건설된 운하를 통해 티그리스강의 물을 공급받았다.
'''주요 도시'''
고대에는 메소포타미아의 많은 도시들이 강 근처에 있었고 수메르인들은 이 강을 관개하여 문명을 이룩했다.[12][28] 티그리스강 근처의 주목할 만한 도시로는, 기원전 2400년에 인공수로를 만들어 관개를 했던 라가시를 포함해, 니네베, 크테시폰, 셀레우키아 등이 있다. 사담 후세인의 고향인 티크리트 또한 이 강 주위에 있으며, 이 강에서 이름을 딴 것이다. 이라크의 수도인 바그다드는 티그리스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 항구 도시인 바스라는 샤트알아랍강을 가로지른다.
3. 1. 지류
티그리스강의 주요 지류는 가르잔, 안바르차이, 바트만, 대 자브강과 소 자브강이다.[11]유프라테스강과의 합류 지점 부근에서 티그리스강은 여러 갈래로 나뉜다. 인공 운하인 샤트 알-하이는 나시리야 인근에서 유프라테스강과 합류한다. 샤트 알-무미나와 마자르 알-카비르는 중앙 늪지를 관개한다. 더 하류에서는 알-무샤라와 알-칼라가 분기되어 하위제 늪지를 관개한다. 주 수로는 남쪽으로 계속 흘러 알-카사라와 합류하며, 알-카사라는 하위제 늪지의 물을 배수한다. 마지막으로 티그리스강은 알-쿠르나 근처에서 유프라테스강과 합류하여 샤트 알 아랍을 형성한다.[12][28]
3. 2. 분류
티그리스강은 길이가 약 1,750km이며, 터키 동부의 토로스 산맥에서 발원한다.[3] 엘라지시의 남동쪽 약 25km 지점과 유프라테스강의 발원지에서 약 3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이 강은 400km 동안 터키 남동부를 지나 시리아-터키 국경의 일부를 형성하며, 이 중 44km 구간은 시리아에 위치한 강의 유일한 부분이다.[3] 가르잔, 안바르차이, 바트만, 대 자브강과 소 자브강이 티그리스강의 지류이다.[11]유프라테스강과의 합류 지점 부근에서 티그리스강은 여러 갈래로 갈라진다. 인공 운하인 샤트 알-하이는 나시리야 인근에서 유프라테스강과 합류한다. 샤트 알-무미나와 마자르 알-카비르는 중앙 늪지를 관개한다. 더 하류로 내려가면 다른 두 개의 분류 수로 (알-무샤라와 알-칼라)가 분기되어 하위제 늪지를 관개한다. 주 수로는 남쪽으로 계속 흘러 알-카사라와 합류하며, 알-카사라는 하위제 늪지의 물을 배수한다. 마지막으로 티그리스강은 알-쿠르나 근처에서 유프라테스강과 합류하여 샤트 알 아랍을 형성한다. 플리니우스와 다른 고대 역사가들에 따르면, 유프라테스강은 원래 티그리스강과 별도로 바다로 흘러나갔다.[12]
이라크의 수도인 바그다드는 티그리스강 유역에 위치해 있으며, 항구 도시인 바스라는 샤트 알 아랍을 가로지른다. 고대에는 메소포타미아의 많은 주요 도시들이 티그리스강 유역이나 근처에 위치해 있었고, 티그리스강의 물을 끌어와 수메르 문명을 관개했다. 주요 티그리스강 유역 도시로는 니네베, 크테시폰, 셀레우키아가 있으며, 라가시는 기원전 2900년경에 건설된 운하를 통해 티그리스강의 물을 공급받았다.
3. 3. 주요 도시
고대에는 메소포타미아의 많은 도시들이 강 근처에 있었고 수메르인들은 이 강을 관개하여 문명을 이룩했다.[12][28] 티그리스강 근처의 주목할 만한 도시로는, 기원전 2400년에 인공수로를 만들어 관개를 했던 라가시를 포함해, 니네베, 크테시폰, 셀레우키아 등이 있다. 사담 후세인의 고향인 티크리트 또한 이 강 주위에 있으며, 이 강에서 이름을 딴 것이다. 이라크의 수도인 바그다드는 티그리스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 항구 도시인 바스라는 샤트알아랍강을 가로지른다.4. 명칭
고대 그리스어 형태 Τίγρις/Tigrisgrc (Τίγρης/Tígrēsgrc)는 고대 페르시아어 𐎫𐎡𐎥𐎼𐎠/Tigrāpeo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엘람어 에서, 그리고 수메르어 𒀀𒇉𒈦𒄘𒃼/Idignasux 또는 (아마도 "흐르는 물"에서 유래)에서 유래되었다.[5] 수메르어 용어는 "빠른 강"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티그리스 강을 이웃인 유프라테스강과 대조하는데, 유프라테스 강은 느린 속도로 인해 더 많은 실트를 퇴적시키고 티그리스 강보다 더 높은 강바닥을 형성했다. 수메르어 형태는 아카드어로 으로 차용되었고, 거기에서 다른 셈어파 언어로 전파되었다 (; 또는 ; , 비교).[6][7]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티그리스 강을 지칭하는 또 다른 이름은 로, 문자 그대로 "빠른 강"을 의미한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는 아랍어로 으로 알려진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의 합류 지점을 가리킨다. 쿠르드어에서는 , "거대한 물"로 알려져 있다.[8]
이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온 언어에서 티그리스 강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언어 | 티그리스 강 이름 |
---|---|
아카드어 | , |
아랍어 | دِجلَةar, ; حُدَاقِلar, Ḥudāqil |
아람어 | 디글라트arc, |
아르메니아어 | Տիգրիսhy, , Դգլաթhy, |
고대 그리스어 | ἡ Τίγρης, -ητοςgrc, ; |
히브리어 | חִדֶּקֶלhe, [9] |
후리어 | [10] |
페르시아어 | }} Tigrā; 중세 페르시아어: Tigr; Dejle |
수메르어 | 100x20px |
시리아어 | ܕܸܩܠܵܬܼsyr |
튀르키예어 | Dicletr |
쿠르드어 | Dîcle, Dijlê, دیجلە |
4. 1. 언어별 명칭
고대 그리스어 형태 Τίγρις/Tigrisgrc (Τίγρης/Tígrēsgrc)는 고대 페르시아어 𐎫𐎡𐎥𐎼𐎠/Tigrāpeo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엘람어 에서, 그리고 수메르어 𒀀𒇉𒈦𒄘𒃼/Idignasux 또는 (아마도 "흐르는 물"에서 유래)에서 유래되었다.[5] 수메르어 용어는 "빠른 강"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유프라테스강과 대조된다.[6][7] 수메르어 형태는 아카드어로 으로 차용되었고, 거기에서 다른 셈어파 언어로 전파되었다.[6][7]중세 페르시아어에서 티그리스 강을 지칭하는 또 다른 이름은 로, 문자 그대로 "빠른 강"을 의미한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는 을 가리킨다.[8] 쿠르드어에서는 , "거대한 물"로 알려져 있다.[8]
이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온 언어에서 티그리스 강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언어 | 티그리스 강 이름 |
---|---|
아카드어 | , |
아랍어 | دِجلَةar, ; حُدَاقِلar, Ḥudāqil |
아람어 | 디글라트arc, |
아르메니아어 | Տիգրիսhy, , Դգլաթhy, |
고대 그리스어 | ἡ Τίγρης, -ητοςgrc, ; |
히브리어 | חִדֶּקֶלhe, [9] |
후리어 | [10] |
페르시아어 | }} Tigrā; 중세 페르시아어: Tigr; Dejle |
수메르어 | 100x20px |
시리아어 | ܕܸܩܠܵܬܼsyr |
튀르키예어 | Dicletr |
쿠르드어 | Dîcle, Dijlê, دیجلە |
5. 수자원 관리 및 분쟁
티그리스강은 강 유역과 인접한 건조 및 반사막 지역에 관개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이라크와 튀르키예에서 댐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댐 건설은 또한 티그리스 강이 역사적으로 튀르키예 산맥의 4월 적설 후 악명이 높았던 이라크의 홍수를 막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16] 모술 댐은 이라크에서 가장 큰 댐이다.
최근 튀르키예의 댐 건설은 튀르키예 내 환경적 영향과 하류 수량 감소 가능성으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티그리스-유프라테스 양강의 물은 분쟁에서 압력 수단으로 이용된다.[30]
2014년에는 티그리스 강 유량과 관련된 데이터 및 표준의 교환 및 조정을 촉진하기 위한 행동 계획에 대한 이라크와 튀르키예의 여러 이해 관계자 대표 간의 합의를 도출하는 데 주요 돌파구가 마련되었다. "티그리스 강에 관한 제네바 합의"로 알려진 이 합의는 싱크탱크 전략적 예측 그룹이 제네바에서 주최한 회의에서 이루어졌다.[17][31]
2016년 2월, 이라크 주재 미국 대사관과 이라크 총리 하이데르 알 아바디는 모술 댐이 붕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18][32] 미국은 댐이 붕괴될 경우 50만 명에서 150만 명의 사람들이 급격한 홍수로 익사할 위험이 있으며, 모술, 티크리트, 사마라, 바그다드 등 주요 이라크 도시가 위험에 처할 수 있으므로 티그리스 강 범람 지역의 사람들에게 대피하라고 경고했다.[19][33]
2020년대에는 가뭄이 심화되어, 위기적인 물 부족에 직면하고 있다. 2021년에는 이라크 농업부가 쌀 재배를 억제했다. 각지에서 항의 시위가 발생하는 등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5. 1. 댐 건설
티그리스 강은 강 유역과 인접한 건조 및 반사막 지역에 관개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이라크와 터키에서 댐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6][30] 댐 건설은 또한 티그리스 강이 역사적으로 터키 산맥의 4월 적설 후 악명이 높았던 이라크의 홍수를 막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16][30] 모술 댐은 이라크에서 가장 큰 댐이다.[16][30]최근 터키의 댐 건설은 터키 내 환경적 영향과 하류 수량 감소 가능성으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16][30] 티그리스-유프라테스 양강의 물은 분쟁에서 압력 수단으로 이용된다.[30]
2014년에는 티그리스 강 유량과 관련된 데이터 및 표준의 교환 및 조정을 촉진하기 위한 행동 계획에 대한 이라크와 터키의 여러 이해 관계자 대표 간의 합의를 도출하는 데 주요 돌파구가 마련되었다. "티그리스 강에 관한 제네바 합의"로 알려진 이 합의는 싱크탱크 전략적 예측 그룹이 제네바에서 주최한 회의에서 이루어졌다.[17][31]
2016년 2월, 이라크 주재 미국 대사관과 이라크 총리 하이데르 알 아바디는 모술 댐이 붕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18][32] 미국은 댐이 붕괴될 경우 50만 명에서 150만 명의 사람들이 급격한 홍수로 익사할 위험이 있으며, 모술, 티크리트, 사마라, 바그다드 등 주요 이라크 도시가 위험에 처할 수 있으므로 티그리스 강 범람 지역의 사람들에게 대피하라고 경고했다.[19][33]
2020년대에는 가뭄이 심화되어, 위기적인 물 부족에 직면하고 있다. 2021년에는 이라크 농업부가 쌀 재배를 억제했다.
5. 2. 수질 오염
티그리스 강은 이라크와 튀르키예에서 관개 용수를 강 유역에 인접한 건조 지대 및 반사막 지역에 공급하기 위해 댐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댐 건설은 또한 티그리스 강이 역사적으로 튀르키예 산맥의 4월 적설 후 악명이 높았던 이라크의 홍수를 막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16] 모술 댐은 이라크에서 가장 큰 댐이다.최근 터키의 댐 건설은 터키 내 환경적 영향과 하류 수량 감소 가능성으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30] 티그리스-유프라테스 양강의 물은 분쟁에서 압력 수단으로 이용된다.
2014년에는 티그리스 강 유량과 관련된 데이터 및 표준의 교환 및 조정을 촉진하기 위한 행동 계획에 대한 이라크와 터키의 여러 이해 관계자 대표 간의 합의를 도출하는 데 주요 돌파구가 마련되었다. "티그리스 강에 관한 제네바 합의"로 알려진 이 합의는 싱크탱크 전략적 예측 그룹이 제네바에서 주최한 회의에서 이루어졌다.[17][31]
2016년 2월, 이라크 주재 미국 대사관과 이라크 총리 하이데르 알 아바디는 모술 댐이 붕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18][32] 미국은 댐이 붕괴될 경우 50만 명에서 150만 명의 사람들이 급격한 홍수로 익사할 위험이 있으며, 모술, 티크리트, 사마라, 바그다드 등 주요 이라크 도시가 위험에 처할 수 있으므로 티그리스 강 범람 지역의 사람들에게 대피하라고 경고했다.[19][33]
2020년대에는 가뭄이 심화되어, 위기적인 물 부족에 직면하고 있다. 2021년에는 이라크 농업부가 쌀 재배를 억제했다. 각지에서 항의 시위가 발생하는 등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5. 3. 물 분쟁
티그리스 강은 강 유역과 인접한 건조 및 반사막 지역에 관개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이라크와 튀르키예에서 댐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댐 건설은 또한 티그리스 강이 역사적으로 튀르키예 산맥의 4월 적설 후 악명이 높았던 이라크의 홍수를 막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16] 모술 댐은 이라크에서 가장 큰 댐이다.
최근 튀르키예의 댐 건설은 튀르키예 내 환경적 영향과 하류 수량 감소 가능성으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두 강에서 나오는 물은 분쟁 시 압력 수단으로 사용된다.[16][30]
2014년에는 티그리스 강 유량과 관련된 데이터 및 표준의 교환 및 조정을 촉진하기 위한 행동 계획에 대한 이라크와 튀르키예의 여러 이해 관계자 대표 간의 합의를 도출하는 데 주요 돌파구가 마련되었다. "티그리스 강에 관한 제네바 합의"로 알려진 이 합의는 싱크탱크 전략적 예측 그룹이 제네바에서 주최한 회의에서 이루어졌다.[17][31]
2016년 2월, 이라크 주재 미국 대사관과 이라크 총리 하이데르 알 아바디는 모술 댐이 붕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18][32] 미국은 댐이 붕괴될 경우 50만 명에서 150만 명의 사람들이 급격한 홍수로 익사할 위험이 있으며, 모술, 티크리트, 사마라, 바그다드 등 주요 이라크 도시가 위험에 처할 수 있으므로 티그리스 강 범람 지역의 사람들에게 대피하라고 경고했다.[19][33]
2020년대에는 가뭄이 심화되어, 위기적인 물 부족에 직면하고 있다. 2021년에는 이라크 농업부가 쌀 재배를 억제했다. 각지에서 항의 시위가 발생하는 등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6. 종교 및 신화
수메르 신화에서 티그리스강은 신 엔키에 의해 창조되었으며, 그는 강에 흐르는 물을 채웠다.[20][34]
히타이트와 후르족 신화에서 ''아란자''(히타이트어 명사형은 ''아란자하스'')는 티그리스강의 후르리안 이름으로, 신격화되었다. 그는 쿠마르비의 아들이자 테슈브와 수왈리야트 (타슈미슈)의 형제였으며, 칸주라스 산에서 쿠마르비의 입에서 태어난 세 신 중 하나였다. 이후 그는 아누와 테슈브와 공모하여 쿠마르비를 파괴했다.
티그리스강은 구약 성경에 두 번 등장한다. 첫 번째는 창세기에서 에덴 동산에서 흘러나온 강에서 갈라져 나오는 네 강 중 세 번째 강으로 언급된다.[26] 두 번째 언급은 다니엘서로, 다니엘 (성경 인물)은 "내가 티그리스강, 곧 큰 강 가에 있을 때" 환상을 받았다고 말한다.[21][35]
티그리스강은 또한 이슬람교의 수난 아비 다우드 4306에서도 언급된다.[22] 이맘 아흐마드 빈 한발과 의 묘는 바그다드에 있으며, 티그리스강의 흐름은 방문객 수를 제한한다.
바하이 신앙의 창시자인 바하울라는 바그다드에서 망명 생활을 하는 동안 티그리스강둑을 따라 걸으며 1858년경 ''숨겨진 말씀''을 썼다.
1932년부터 1959년까지 이라크 문장에 이 강이 등장했다.
6. 1. 수메르 신화
수메르 신화에서 티그리스강은 신 엔키에 의해 창조되었으며, 그는 강에 흐르는 물을 채웠다.[20][34] 히타이트와 후르족 신화에서 ''아란자''(히타이트어 명사형은 ''아란자하스'')는 티그리스강의 후르리안 이름으로, 신격화되었다. 그는 쿠마르비의 아들이자 테슈브와 타슈미슈의 형제였으며, 쿠마르비의 입에서 칸주라스 산으로 뱉어낸 세 신 중 하나였다. 이후 그는 아누와 테슈브와 공모하여 쿠마르비를 파괴했다 (쿠마르비 주기).티그리스강은 구약 성경에 두 번 등장한다. 첫 번째는 창세기에서 에덴 동산에서 흘러나온 강에서 갈라져 나오는 네 강 중 세 번째 강으로 언급된다.[26] 두 번째 언급은 다니엘서로, 다니엘 (성경 인물)은 "내가 티그리스강, 곧 큰 강 가에 있을 때" 환상을 받았다고 말한다.[21][35]
티그리스강은 또한 이슬람교의 수난 아비 다우드 4306에서도 언급된다.[22] 이맘 아흐마드 빈 한발과 세예드 압둘 라자크 질라니의 무덤은 바그다드에 있으며, 티그리스강의 흐름은 방문객 수를 제한한다.
바하이 신앙의 창시자인 바하울라는 바그다드에서 망명 생활을 하는 동안 티그리스강둑을 따라 걸으며 1858년경 ''숨겨진 말씀''을 썼다.
1932년부터 1959년까지 이라크 문장에 이 강이 등장했다.
6. 2. 히타이트 및 후르리 신화
수메르 신화에서 티그리스강은 엔키 신이 강을 흐르는 물로 채우면서 만들어졌다.[34]히타이트와 후르리인의 신화에서 아란자/Aranzahxhu-latn (티그리스강의 후르리어 명칭, 히타이트어 단수 주격형으로는 아란자하스/Aranzahashit)는 신격화되었다. 아란자/Aranzahxhu-latn(티그리스강)는 쿠마르비 신의 아들이자 테슈브 신과 수왈리야트(Tašmišu) 신의 형제였으며, 칸주라스/Kanzurashit 산에서 쿠마르비 신의 입에서 태어난 세 신 중 하나였다. 이후 아란자/Aranzahhit는 쿠마르비 신을 멸망시키기 위해 아누 신 및 테슈브 신과 공모했다.
티그리스강은 구약성서에 두 번 등장한다. 처음은 창세기로, 에덴 동산에서 흘러나온 강이 분기된 네 강 중 세 번째이다.[26] 두 번째 언급은 다니엘서에 있으며, 다니엘은 "내가 티그리스라는 큰 강가에 서 있었을 때" 계시 중 하나를 받았다고 한다.[35]
6. 3. 성경
수메르 신화에서 티그리스강은 신 엔키에 의해 창조되었으며, 그는 강에 흐르는 물을 채웠다.[20][34] 히타이트와 후르족 신화에서 ''아란자''(히타이트어 명사형은 ''아란자하스'')는 티그리스강의 후르리안 이름으로, 신격화되었다. 그는 쿠마르비의 아들이자 테슈브와 타슈미슈의 형제였으며, 쿠마르비의 입에서 칸주라스 산으로 뱉어낸 세 신 중 하나였다. 이후 그는 아누와 테슈브와 공모하여 쿠마르비를 파괴했다 (쿠마르비 주기).[20]구약 성경에서 티그리스강은 두 번 등장한다. 창세기에서는 에덴 동산에서 흘러나온 강에서 갈라져 나오는 네 강 중 세 번째 강으로 언급된다.[26] 다니엘서에서는 다니엘 (성경 인물)이 "내가 티그리스강, 곧 큰 강 가에 있을 때" 환상을 받았다고 말한다.[21][35]
티그리스강은 또한 이슬람교의 수난 아비 다우드 4306에서도 언급된다.[22] 이맘 아흐마드 빈 한발과 세예드 압둘 라자크 질라니의 무덤은 바그다드에 있으며, 티그리스강의 흐름은 방문객 수를 제한한다.[22]
바하이 신앙의 창시자인 바하울라는 바그다드에서 망명 생활을 하는 동안 티그리스강둑을 따라 걸으며 1858년경 ''숨겨진 말씀''을 썼다.
1932년부터 1959년까지 이라크 문장에 이 강이 등장했다.
6. 4. 이슬람교
수메르 신화에서 티그리스강은 엔키 신이 강을 흐르는 물로 채우면서 만들어졌다.[34] 히타이트와 후르리인의 신화에서는 (티그리스강의 후르리어 명칭, 히타이트어 단수 주격형으로는 ''Aranzahas''hit)는 신격화되었다. (티그리스강)는 쿠마르비 신의 아들이자 테슈브 신과 수왈리야트(Tašmišu) 신의 형제였으며, Kanzurashit 산에서 쿠마르비 신의 입에서 태어난 세 신 중 하나였다. 이후 Aranzahhit는 쿠마르비 신을 멸망시키기 위해 아누 신 및 테슈브 신과 공모했다. (티그리스강은 구약성서에 두 번 등장한다. 처음은 창세기로, 에덴 동산에서 흘러나온 강이 분기된 네 강 중 세 번째이다.[26] 두 번째 언급은 다니엘서에 있으며, 다니엘은 "내가 티그리스라는 큰 강가에 서 있었을 때" 계시(visions) 중 하나를 받았다고 한다.[35]
티그리스강은 또한 이슬람에서도 언급된다. 이맘 아흐마드 빈 한발과 의 묘는 바그다드에 있으며, 티그리스강의 흐름이 참배객 수를 제한하고 있다.
|thumb|이라크 왕국(1932년-1959년)의 문장에는 샤트알아랍강에 합류하는 유프라테스강과 티그리스강, 그리고 대추야자 숲이 그려져 있다. 이 대추야자 숲은 한때 세계 최대 규모였다.]]
티그리스강은 1932년부터 1959년까지 이라크의 국장에 사용되었다.
7.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서적
Jews in Ancient and Medieval Armenia: First Century BCE to Fourteenth Century 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2]
웹사이트
Geomorphic Evolution of the Upper Basin of the Tigris River, Turkey
https://serc.carleto[...]
University of Utah
2021-09-05
[3]
논문
The hydrology, evolution, and hydrological regime of the mouth area of the Shatt al-Arab River
[4]
서적
The Euphrates River and the Southeast Anatolia Development Project
https://archive.org/[...]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5]
문서
Sumerisches Glossar
Leipzig
1914
[6]
웹사이트
Welcome to Encyclopaedia Iranica
https://iranicaonlin[...]
2024-07-10
[7]
웹사이트
Tigris Meaning - Bible Definition and References
https://www.biblestu[...]
2024-07-10
[8]
서적
Wadier: A New History of Civilizations
https://www.research[...]
2024-06-11
[9]
문서
Genesis 2:14
[10]
문서
Glossaire de la langue Hourrite
Paris
1980
[11]
웹사이트
Diyarbakir
https://www.european[...]
2019-11-10
[12]
문서
Natural History
[13]
웹사이트
The Report of The Japan Mission For The Survey of Under-Water Antiquities At Qurnah: The First Season
https://www.jstage.j[...]
1971-72
[14]
서적
The Conquest of Assyria: Excavations in an Antique Lan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15]
웹사이트
Mesopotamia, Tigris-Euphrates, 1914-1917, despatches, killed and died, medals
http://www.naval-his[...]
2015-11-28
[16]
뉴스
Water supply key to the outcome of conflicts in Iraq and Syria, experts war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07-02
[17]
웹사이트
Analysis & Water Agenda
http://www.orsam.org[...]
ORSAM
2015-11-28
[18]
뉴스
Iraqi PM and US issue warnings over threat of Mosul dam collapse
https://www.theguard[...]
2016-02-29
[19]
뉴스
US warns of Mosul dam collapse in northern Iraq
https://www.bbc.com/[...]
2016-02-29
[20]
서적
The Literature of Ancient Sumer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1]
문서
Daniel 10:4
[22]
웹사이트
Sunan Abi Dawud 4306 – Battles (Kitab Al-Malahim) – كتاب الملاحم – Sunnah.com – River of Dajal(Tigris)
https://sunnah.com/a[...]
2021-02-10
[23]
논문
The hydrology, evolution, and hydrological regime of the mouth area of the Shatt al-Arab River
[24]
서적
The Euphrates River and the Southeast Anatolia Development Project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5]
문서
Sumerisches Glossar
Leipzig
1914
[26]
문서
創世記 2:14
[27]
문서
Glossaire de la langue Hourrite
Paris
1980
[28]
문서
博物誌
[29]
웹사이트
Mesopotamia, Tigris-Euphrates, 1914-1917, despatches, killed and died, medals
http://www.naval-his[...]
2015-11-28
[30]
뉴스
Water supply key to outcome of conflicts in Iraq and Syria, experts warn
https://www.theguard[...]
ガーディアン|The Guardian
2014-07-02
[31]
웹사이트
Analysis & Water Agenda
http://www.orsam.org[...]
ORSAM
2015-11-28
[32]
뉴스
Iraqi PM and US issue warnings over threat of Mosul dam collapse
https://www.theguard[...]
2016-02-29
[33]
뉴스
US warns of Mosul dam collapse in northern Iraq
http://www.bbc.com/n[...]
BBC
2016-02-29
[34]
서적
The Literature of Ancient Sumer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35]
문서
ダニエル書 10:4
[36]
저널
The hydrology, evolution, and hydrological regime of the mouth area of the Shatt al-Arab River
[37]
서적
The Euphrates River and the Southeast Anatolia Development Project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