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엔 드 라 보에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티엔 드 라 보에시는 1530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작가, 시인, 법학자이다. 그는 《자발적 복종》을 통해 폭군이 권력을 유지하는 것은 백성들의 자발적인 복종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시민 불복종과 비폭력 저항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의 사상은 후대의 무정부주의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몽테뉴와 교류하며 보르도 의회에서 판사로 활동하다 32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르네상스 철학 - 라뮈즘
라뮈즘은 16세기 프랑스 철학자 페트루스 라뮈스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반대하며 주창한 사상으로, 논리학과 수사학을 재정의하고 이분법적 도표를 활용하여 지식을 조직했으며, 고등 교육과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 르네상스 철학 - 르네상스와 계몽주의의 진화론
르네상스와 계몽주의 시대에 '진화'는 변화와 발전의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기계론적 우주관의 발전과 과학 혁명의 영향으로 뷔퐁, 몬보도 경, 칸트, 에라스무스 다윈 등이 종의 변이와 환경 적응을 통한 생물 진화에 대한 선구적인 사상을 제시했다. - 도르도뉴주 출신 - 안 라카통
프랑스 건축가이자 교육자인 안 라카통은 장-필리프 바살과 라카통 & 바살 건축 사무소를 설립하여 저비용 건축과 기존 건축물의 잠재력 활용에 집중하는 건축 활동을 펼치며 팔레스 드 도쿄 현대 미술관 재생안, 보르도 주거단지 재생 프로젝트 등의 건축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건축 설계 교수, 미스 반 데어 로에 상, 프리츠커상 수상 경력이 있다. - 도르도뉴주 출신 - 미셸 드 몽테뉴
미셸 드 몽테뉴는 16세기 프랑스의 사상가이자 수필가로, 저서 『수상록』을 통해 인간 본성에 대한 통찰을 제시했으며, 관용과 중용의 가치를 옹호하고 프랑스 문학 및 영국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 아나키스트 - 시몬 베유 (철학자)
시몬 베유는 20세기 프랑스의 철학자, 사회운동가, 신비주의자로, 사회주의 노동운동 참여, 종교적 체험, 나치즘과 스탈린주의 비판, 그리고 《중력과 은총》 등의 저서와 '탈창조' 등의 개념을 통해 사회 정의와 인간 존엄성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시하며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 아나키스트 - 폴 비릴리오
프랑스 철학자이자 도시 계획가인 폴 비릴리오는 '드로몰로지' 개념을 통해 기술, 전쟁, 도시 공간을 분석하고 생 베르나데트 교회 설계에 참여했으며, 그의 사상은 여러 학자에게 영향을 주었으나 과학 용어 오용에 대한 비판도 받았다.
에티엔 드 라 보에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에티엔 드 라 보에티 |
프랑스어 이름 | Étienne de La Boétie |
출생일 | 1530년 11월 1일 |
출생지 | 프랑스 페리고르 사를라-라-카네다 |
사망일 | 1563년 8월 18일 |
사망지 | 프랑스 보르도 근처 르 타일랑-메독의 제르미냥 |
로마자 표기 | Etien De Ra Boeti |
옥시탄어 이름 | Esteve de La Boetiá |
옥시탄어 발음 | eːˈteve de la bweˈtjɔ |
교육 | |
학력 | 기엔 대학교 오를레앙 대학교 |
철학 | |
시대 | 르네상스 철학 16세기 철학 |
지역 | 서양 철학 프랑스 철학 |
학파/전통 | 프랑스 르네상스 르네상스 인문주의 |
주요 관심사 | 고전 연구 법철학 시 정치철학 |
주요 사상 | 자발적 복종 |
문학 | |
언어 | 프랑스어 |
참고 자료 | |
참고 문헌 | 『자발적 예속론』 에티엔 드 라 보에시 저, 니시야 오사무 감수, 야마가미 코지 번역 |
발음 | |
프랑스어 발음 | etjɛn də la bɔesi bwati bɔeti |
2. 생애
1530년 프랑스 남서부 페리고르 지역 사를라라카네다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페리고르 지역의 왕실 관리였고, 어머니는 보르도 의회 의장의 누이였다.[5] 어린 시절 부모를 여의고 라 쉬즈(Sallai La Canéda) 출신의[11] 삼촌에게서 자랐다.[5]
라 보에티의 대표 저술은 《자발적 예속에 관한 논고( Discours de la servitude volontaire ou le Contr'un프랑스어|자발적 예속에 관한 논고 또는 반독재자)》이다. 이 책은 전제 군주제와 폭정을 비판하며,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예속 상태를 선택하는 이유를 분석한다.
오를레앙 대학교에서 법학과 인문학을 공부했다.[5] 16~18세경 《자발적 복종》을 집필했다는 주장이 있으나, 실제로는 대학 졸업 논문으로 23세에 쓴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필사본으로 당시 지식인들 사이에서 널리 읽혔으며, 이후 대혁명 시기인 1789년과 1792년에 재출판되었다.[11]
1554년 보르도 고등법원 평의관으로 부임했다.[11] 보르도(Bordeaux) 의회(parlement)에서 미셸 드 몽테뉴와 함께 근무하였다.[5] 1561년 1월 발표된 오를레앙 관용 칙령에 대해서는 "혼란을 초래한다"라고 비판하며, 건의서인 "정월 칙령에 대한 의견서"를 작성했다.[11] 가톨릭과 개신교의 화해를 옹호했지만, "두 종교를 허용하는 것이 위험하고 분열적인 결과를 초래하여 같은 국가에 두 개의 대립적인 국가로 이어질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6]
1563년 8월 18일, 페스트로 추정되는 병으로 사망했다.[11]
3. 자발적 예속론
이 수필은 몽테뉴의 주장에 따르면 1549년에 쓰여진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1552년이나 1553년에 쓰여졌을 가능성이 높다.[8] 이 수필은 라 보에티 사후 1576년에 출판되었다.
3. 1. 핵심 내용
라 보에티의 저술에는 소네트 몇 편, 고전 번역, 그리고 전제 군주제와 폭정을 일반적으로 비판하는 수필인 자발적 예속에 관한 논고(Discours de la servitude volontaire ou le Contr'un)가 포함되어 있다. 이 수필은 폭군들이 권력을 가지는 것은 백성들이 그들에게 권력을 부여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자유는 사회가 한 번 포기한 후 타락된 상태로 남아 지배하는 것을 거부하는 자의 자유보다 매춘부의 노예 상태를 선호하게 된다. 따라서 라 보에티는 복종과 지배를 연결시켰는데, 이 관계는 후대의 무정부주의 사상가들에 의해 이론화되었다. 그는 폭군을 지지하는 것을 거부하는 해결책을 옹호함으로써 초기 시민 불복종 및 비폭력 저항의 옹호자 중 한 명이 되었다. 머레이 로스바드(Murray N. Rothbard)는 라 보에티의 정치 철학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5]
> 그에게 정치의 가장 큰 수수께끼는 통치자에 대한 복종이었다. 도대체 왜 사람들은 정부의 지배자들에게 약탈당하고 억압당하는 것에 동의하는가? 그것은 단지 두려움 때문만이 아니다. 보에티는 『자발적 예속에 관한 논고』에서 우리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그 동의는 비폭력적으로 철회될 수 있다.
몽테뉴의 주장에 따라 라 보에티가 18세 때인 1549년에 이 수필을 썼다고 생각되었으나, 최근 권위자들은 "『논고』가 라 보에티가 대학에 있던 22세 때인 1552년이나 1553년에 쓰여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8] 일부 몽테뉴 학자들은 이 수필이 사실 몽테뉴 자신의 작품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 수필은 비공개로 유통되었고 라 보에티 사후인 1576년에야 출판되었다.
3. 2. 영향
라 보에티의 저술에는 소네트 몇 편, 고전 번역, 그리고 전제 군주제와 폭정을 일반적으로 비판하는 수필인 《자발적 예속에 관한 논고》(*Discours de la servitude volontaire ou le Contr'un프랑스어|자발적 예속에 관한 논고 또는 반독재자*)가 있다. 이 수필은 폭군들이 권력을 가지는 것은 백성들이 그들에게 권력을 부여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자유는 사회가 한 번 포기한 후 타락된 상태로 남아 지배하는 것을 거부하는 자의 자유보다 매춘부의 노예 상태를 선호하게 된다.[5] 따라서 라 보에티는 복종과 지배를 연결시켰는데, 이 관계는 후대의 무정부주의 사상가들에 의해 이론화되었다. 그는 폭군을 지지하는 것을 거부하는 해결책을 옹호함으로써 초기 시민 불복종 및 비폭력 저항의 옹호자 중 한 명이 되었다.[5] 머레이 라스바드는 라 보에티의 정치 철학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 그에게 정치의 가장 큰 수수께끼는 통치자에 대한 복종이었다. 도대체 왜 사람들은 정부의 지배자들에게 약탈당하고 억압당하는 것에 동의하는가? 그것은 단지 두려움 때문만이 아니다. 보에티는 『자발적 예속에 관한 논고』에서 우리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그 동의는 비폭력적으로 철회될 수 있다.[5]
몽테뉴의 주장에 따라 라 보에티가 18세 때인 1549년에 이 수필을 썼다고 생각되었으나, 최근 권위자들은 "『논고』가 라 보에티가 대학에 있던 22세 때인 1552년이나 1553년에 쓰여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8] 일부 몽테뉴 학자들은 이 수필이 사실 몽테뉴 자신의 작품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 수필은 비공개로 유통되었고 라 보에티 사후인 1576년에야 출판되었다.[5]
20세기에 구스타프 란다우어, 바르트 더 리흐트, 시몬 베유를 포함한 많은 유럽의 아나키스트들이 라 보에티를 영향력 있는 인물로 언급하기 시작했다.[9] 자율주의 마르크스주의 사상가 존 홀러웨이 또한 그의 저서 《자본주의를 깨부수다》(Crack Capitalism)에서 "자본주의와의 결별"이라는 자신의 생각을 설명하기 위해 그를 인용했다.[10] 비폭력 투쟁의 선도적인 이론가인 진 샤프 또한 《비폭력 행동의 정치》(The Politics of Nonviolent Action)와 《독재에서 민주주의로》(From Dictatorship to Democracy)에서 그의 작품을 자주 인용했다.
4. 저작
라 보에티의 저술에는 소네트 몇 편, 고전 번역, 그리고 전제 군주제와 폭정을 일반적으로 비판하는 수필인 『자발적 예속에 관한 논고』(프랑스어: *Discours de la servitude volontaire ou le Contr'un*, 영어: *Discourse on Voluntary Servitude, or the Anti-Dictator*)가 포함되어 있다. 이 수필은 폭군들이 권력을 가지는 것은 백성들이 그들에게 권력을 부여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자유는 사회가 한 번 포기한 후 타락된 상태로 남아 지배하는 것을 거부하는 자의 자유보다 매춘부의 노예 상태를 선호하게 된다. 따라서 라 보에티는 복종과 지배를 연결시켰는데, 이 관계는 후대의 무정부주의 사상가들에 의해 이론화되었다. 그는 폭군을 지지하는 것을 거부하는 해결책을 옹호함으로써 초기 시민 불복종 및 비폭력 저항의 옹호자 중 한 명이 되었다. 머레이 로스바드(Murray N. Rothbard)는 라 보에티의 정치 철학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그에게 정치의 가장 큰 수수께끼는 통치자에 대한 복종이었다. 도대체 왜 사람들은 정부의 지배자들에게 약탈당하고 억압당하는 것에 동의하는가? 그것은 단지 두려움 때문만이 아니다. 보에티는 『자발적 예속에 관한 논고』에서 우리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그 동의는 비폭력적으로 철회될 수 있다.[5]
몽테뉴의 주장에 따라 라 보에티가 18세 때인 1549년에 이 수필을 썼다고 생각되었으나, 최근 권위자들은 "『논고』가 라 보에티가 대학에 있던 22세 때인 1552년이나 1553년에 쓰여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8] 일부 몽테뉴 학자들은 이 수필이 사실 몽테뉴 자신의 작품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 수필은 비공개로 유통되었고 라 보에티 사후인 1576년에야 출판되었다.
오를레앙 대학교(Université d'Orléans)에 진학하여 법학과 인문학을 공부했다.[11] 오를레앙 대학교 졸업 논문으로 23세에 『자발적 예속론』(De la servitude volontaire)을 집필했다. (절친인 몽테뉴는 16세 또는 18세 무렵의 저술이라고 언급했지만, 실제로는 대학 졸업 당시인 23세 때이다.)
“압제는 지배받는 자의 자발적인 예속에 의해 영속한다”는 지배·피지배 구조의 본질을 간파한 것으로 여겨진다.[11] 이 논문은 필사본으로 당시 지식인들 사이에서 널리 읽혔다. 이후에도 대혁명 시기인 1789년과 1792년에 재출판되었다.
1554년 보르도(Bordeaux)의 고등법원에 평의관으로 부임했다. 1561년 1월에 발표된 오를레앙 관용 칙령에 대해서는 “혼란을 초래한다”고 비판하며, 건의서인 “정월 칙령에 대한 의견서”를 작성했다.
5. 평가 및 영향
라 보에티는 크세노폰과 플루타르크를 번역한 저명한 시인이자 인문주의자였으며, 피에르 드 롱사르, 장 도라, 장 앙투안 드 바이프를 포함한 플레야드 시인 그룹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다.[5] 그는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의 화해를 옹호했으며, "두 종교를 허용하는 것은 위험하고 분열적인 결과를 초래하여 같은 국가에 두 개의 대립적인 국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종교 평화 정책은 결국 프로테스탄트가 가톨릭과 재결합하도록 설득할 교회 개혁을 통한 화해와 화합이라고 보았다.[6]
그의 저술에는 소네트 몇 편, 고전 번역, 그리고 전제 군주제와 폭정을 비판하는 수필인 『자발적 예속에 관한 논고』가 있다. 이 수필은 라 보에티 사후인 1576년에 출판되었으며, 필사본으로 당시 지식인들 사이에서 널리 읽혔다. 이후 프랑스 혁명 시기인 1789년과 1792년에 재출판되었다.[8] 그는 “압제는 지배받는 자의 자발적인 예속에 의해 영속한다”는 지배·피지배 구조의 본질을 간파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1]
20세기에는 구스타프 란다우어, 바르트 더 리흐트, 시몬 베유 등 많은 유럽의 아나키스트들이 라 보에티를 영향력 있는 인물로 언급했다.[9] 자율주의 마르크스주의 사상가 존 홀로웨이는 저서 『자본주의를 깨부수다』에서 "자본주의와의 결별"이라는 자신의 생각을 설명하기 위해 그를 인용했다.[10] 진 샤프는 『비폭력 행동의 정치』와 『독재에서 민주주의로』에서 비폭력 투쟁의 선도적인 이론가로 그의 작품을 자주 인용했다.
5. 1. 긍정적 평가
라 보에티는 폭군들이 권력을 가지는 것은 백성들이 그들에게 권력을 부여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자유는 사회가 한 번 포기한 후 타락된 상태로 남아 지배하는 것을 거부하는 자의 자유보다 매춘부의 노예 상태를 선호하게 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라 보에티는 복종과 지배를 연결시켰는데, 이 관계는 후대의 무정부주의 사상가들에 의해 이론화되었다.[5] 그는 폭군을 지지하는 것을 거부하는 해결책을 옹호함으로써 초기 시민 불복종 및 비폭력 저항의 옹호자 중 한 명이 되었다.[5]머레이 로스바드는 라 보에티의 정치 철학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그에게 정치의 가장 큰 수수께끼는 통치자에 대한 복종이었다. 도대체 왜 사람들은 정부의 지배자들에게 약탈당하고 억압당하는 것에 동의하는가? 그것은 단지 두려움 때문만이 아니다. 보에티는 『자발적 예속에 관한 논고』에서 우리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그 동의는 비폭력적으로 철회될 수 있다."[5]
참조
[1]
서적
Œuvres complètes d'Estienne de La Boétie
C. Gounouilhou (Bordeaux) and J. Rouam et Cie. (Paris)
[2]
논문
The Radical Humanism of Étienne De La Boétie
[3]
논문
Montaigne and La Boétie in the Chapter on Friendship
[4]
논문
Desire, Friendship, and the Politics of Refusal: The Utopian Afterlives of La Boétie's Discourse on Voluntary Servitude
[5]
웹사이트
Ending Tyranny Without Violence
http://archive.lewro[...]
[6]
서적
How the Idea of Religious Toleration Came to the West
Princeton University Press
[7]
서적
Who's who in Gay and Lesbian History: From Antiquity to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8]
서적
Montaigne: A Biography
Harcourt Brace & World
[9]
서적
Popular Dissent. Human Agency and Global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Crack Capitalism
Pluto Press
[11]
웹사이트
『自発的隷従論』エティエンヌ・ド・ラ・ボエシ著, 西谷修監修, 山上浩嗣翻訳
http://www.chikumash[...]
筑摩書房
2017-06-04
[12]
서적
Œuvres complètes d'Estienne de La Boétie
C. Gounouilhou (Bordeaux) and J. Rouam et Cie. (Paris)
[13]
웹사이트
Ending Tyranny Without Violence
http://archive.lewr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