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뮈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뮈즘은 16세기 프랑스 철학자 페트루스 라뮈스가 주창한 사상으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반대하며 개신교로 개종한 라뮈스의 사상에서 비롯되었다. 라뮈즘은 고등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독일, 네덜란드, 영국, 스코틀랜드, 미국 식민지 뉴잉글랜드의 청교도와 칼뱅주의 신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라뮈즘은 논리학과 수사학을 재정의하고 이분법적 도표를 활용하여 지식을 조직하는 특징을 보였다. 라뮈즘은 교육 및 학문 분야, 문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라뮈즘은 예수회, 테오도르 드 베즈 등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와 데카르트주의자들의 반대에 직면하기도 했다. 현대에는 르네상스 인문주의와 근대 철학 사이의 과도기적 사조로 평가되며, 인쇄술의 발달과 새로운 지식 조직 방식의 등장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역 이론 - 컴퓨팅 사고
    컴퓨팅 사고는 문제 해결에 컴퓨터 과학 원리를 활용하는 사고방식으로, 추상화, 자료 분석, 알고리즘 설계를 통해 효율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며 교육계의 주요 화두로 떠올랐으나 개념의 모호성과 문화적 적용 가능성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연역 이론 - 규약주의
    규약주의는 명시적 합의나 규약에 의해 지식이나 규칙이 형성된다는 입장으로, 언어학, 수리 철학, 인식론, 법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난다.
  • 르네상스 철학 - 에티엔 드 라 보에시
    에티엔 드 라 보에시는 프랑스의 시인이자 작가, 외교관으로 미셸 드 몽테뉴와 교류했으며, 폭군의 권력 유지가 피지배자들의 자발적 복종에 기인한다는 내용을 담은 대표작 『자발적 예속론』을 통해 전제군주제와 폭정을 비판하고 시민 불복종과 비폭력 저항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무정부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르네상스 철학 - 르네상스와 계몽주의의 진화론
    르네상스와 계몽주의 시대에 '진화'는 변화와 발전의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기계론적 우주관의 발전과 과학 혁명의 영향으로 뷔퐁, 몬보도 경, 칸트, 에라스무스 다윈 등이 종의 변이와 환경 적응을 통한 생물 진화에 대한 선구적인 사상을 제시했다.
  • 논리사 - 노붐 오르가눔
    《노붐 오르가눔》은 프랜시스 베이컨이 귀납법을 제시하며, 네 가지 우상을 극복하고 관찰과 실험을 통해 참된 지식에 도달해야 한다고 주장한 저서이다.
  • 논리사 - 니야야 수트라
    니야야 수트라는 고타마가 저술한 고대 인도 철학 텍스트로, 인식론, 논리학, 형이상학, 윤리학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힌두교와 불교 철학 논쟁에 기여하고 베단타 학파에 영향을 주었다.
라뮈즘
라뮈즘 (Ramism)
다른 이름라모주의 (Ramist) 방법
창시자페트루스 라무스
주요 인물요한 칼빈
윌리엄 에임스
철학적 영향인문주의
개신교 종교 개혁
영향 받은 사상논리학
수사학
교육
신학
지역적 영향서유럽
북아메리카
역사적 시기16세기 ~ 17세기

2. 라뮈즘의 발전

라뮈즘은 창시자 페트루스 라뮈스의 생애와 사상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라뮈는 1572년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에서 위그노 순교자로 죽음을 맞이하면서, 그의 사상은 더욱 널리 퍼지게 되었다.[3][4]

1575년부터 약 1625년까지 반세기 동안, 라뮈즘은 고등 교육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발전했다. 종교적 요인은 유럽 전역의 개신교 및 가톨릭 대학에서의 상이한 수용을 통해 나타났다.[7]

라뮈의 제자였던 오도마루스 탤리우스(오메르 탈롱)는 라뮈즘에 대한 초기 프랑스 제자이자 작가였다.[10] 라뮈의 연구는 로저 애스컴과 요한 슈투름의 서신 교환을 통해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11]

1626년에 프랜시스 버거스디크는 당시 논리학자들을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 라뮈주의자, 준-라뮈주의자로 구분했다.[1][12][13] 마르부르크의 루돌프 고클레니우스와 바젤아만두스 폴라누스처럼, 대립하는 당사자들 사이에서 중재하려고 노력한 준 라뮈주의자들도 있었다.[1] 라뮈주의는 체계적인 칼뱅주의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지만, 혼성 필리포-라뮈주의(준-라뮈주의자들이 여기에 속한다)는 라뮈와 필리프 멜란히톤의 논리학을 혼합하여 등장했다.[14]

2. 1. 페트루스 라뮈스의 생애와 사상

라뮈는 성직자이자 철학 교수였으며, 처음에는 아리스토텔레스를 비판하고, 이후 개신교로 개종하면서 명성을 얻었다. 그는 1572년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에서 살해되었고, 바노시우스(Théophile de Banos)의 전기가 1576년까지 출간되었다.[3] 그의 위그노 순교자로서의 지위는 그의 사상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4]

라뮈의 연구는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11] 1626년까지 프랜시스 버거스디크는 당시의 논리학자들을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 라뮈주의자, 준-라뮈주의자로 구분했다.[1][12][13]

도널드 R. 켈리는 파리에서 전통적인 스콜라 철학에 반대하는 "새로운 학습"(''nova doctrina'') 또는 반대를 "사소한 혁명"이라고 묘사하며, 이는 ''트리비움''의 전문 교사들로부터 성장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 목표는 우선순위의 근본적인 변화, 학문 계층의 '원'으로의 변환, 풍부함과 구체성을 갖춘 인간 문화를 포괄하고 사회 전체에 설득력 있게 전달하기 위해 조직된 '백과사전'이었습니다. 이것이 라뮈즘 방법의 논리적 근거였으며, 이에 따라 발견과 학습의 진보보다는 기억술과 교육 기술을 강조했습니다.[35]

경계 획정 방법은 문법, 논리학(라뮈스트들은 보통 ''변증법''을 선호했다), 수사학으로 구성된 ''트리비움'' 내에서 적용되었다. 라뮈스에 따르면 논리학은 발명(개념과 정의를 다룸)과 판단(삼단논법, 방법으로 구성됨)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1] 그는 이 점에서 로돌푸스 아그리콜라의 영향을 받았다.[38] 라뮈스는 수사학을 재정의하는데, 논리학과 수사학 각각 두 부분으로 구성된 새로운 구성이 있었고, 수사학은 ''elocutio''(주로 수사법)와 ''pronuntiatio''(웅변적 전달)를 다루게 되었다. 라뮈즘은 지식을 조직하는 방법으로 이진 트리를 다루는 것을 선호했다.[39]

전통적으로 수사학은 5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중 ''inventio''(발명)가 첫 번째였다. 다른 두 부분은 ''dispositio''(배열)와 ''memoria''(기억)였다. 라뮈스는 그것들을 다시 ''변증법''(논리학)의 영역으로 옮기고 새로운 명칭 아래 병합하여 ''iudicium''(판단)으로 이름을 바꾸자고 제안했다.[40]

2. 2. 라뮈즘의 확산

라뮈즘은 독일, 네덜란드, 영국, 스코틀랜드, 그리고 미국 식민지 뉴잉글랜드청교도칼뱅주의 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5]

스코틀랜드에서는 롤랜드 맥일메인(Roland MacIlmaine)이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 라뮈스의 저서를 영어로 번역하여 소개했다.[8][9] 그는 1574년에 ''The Logike of the Moste Excellent Philosopher P. Ramus, Martyr''의 라틴어판을 출판했다.[77] 제임스 마틴은 아리스토텔레스를 비판하는 글을 썼는데, 라뮈스트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이 분류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78] 앤드루 멜빌도 라뮈주의의 영향을 받았다.[79] 이후 라뮈의 작품과 영향력은 스코틀랜드 대학교의 논리학 교과서에 나타났다.[1]

영국에서는 로저 애스컴과 요한 슈투름의 서신 교환을 통해 라뮈즘이 알려졌다. 애스컴은 라뮈의 스승이었던 슈투름과 라뮈에 대해 서신을 주고받았는데, 초기 반대자 중 한 명인 요아킴 페리온에 대한 라뮈의 입장을 지지하면서도 몇 가지 유보적인 의견을 표명했다. 나중에 애스컴은 라뮈가 극단적인 지지자들보다는 키케로에 대한 존경심이 부족하다는 점을 용납할 수 없다고 여겼다.[11]

에이브러햄 프라운스는 1588년에 라뮈즘 스타일의 수사학 책인 ''Arcadian Rhetorike''를 출판했는데, 이 책은 필립 시드니의 ''아르카디아''를 언급하며, 시드니가 사용한 수사적 기교를 영어 문학 요소와 장식의 라뮈즘 "아르카디아 수사학"으로 전파했다.[68]

네덜란드에서는 윌리엄 에임스가 라뮈즘을 신학에 적용하여 발전시켰다. 1626년까지 프랜시스 버거스디크는 당시의 논리학자들을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 라뮈주의자, 그리고 준-라뮈주의자로 구분했다.[1][12][13] 마르부르크의 루돌프 고클레니우스와 바젤아만두스 폴라누스는 대립하는 당사자들 사이에서 중재하려고 노력한 준-라뮈주의자에 속한다.[1]

3. 라뮈즘의 주요 내용

라뮈는 아리스토텔레스를 비판하고 개신교로 개종하면서 명성을 얻은 철학 교수였다.[3] 그는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 때 살해되었는데, 위그노 순교자로서의 그의 지위는 그의 사상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4]

1626년 프랜시스 버거스디크는 당시 논리학의 한 갈래로 라뮈즘을 구분할 정도로 널리 퍼졌다. 마르부르크의 루돌프 고클레니우스와 바젤아만두스 폴라누스는 라뮈주의자와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 사이에서 중재를 시도하기도 했다.[1] 라뮈주의는 체계적인 칼뱅주의와 밀접하게 연결되었지만, 필리포-라뮈주의라는 혼합된 형태도 나타났다.[14]

라뮈즘은 기억술을 쇠퇴시키고 "방법"이라는 개념을 강조했다. 이는 더 체계적인 정신적 조직을 통해 기억술을 대체하는 것으로, 르네 데카르트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한 걸음이었다. 라뮈스는 학문의 구성이 ''methodus''에 따른 몇 가지 법칙, 즉 ''lex veritatis'' (진리의 법칙), ''lex justitiae'' (정의의 법칙), ''lex sapientiae'' (지혜의 법칙)을 따라야 한다고 보았다.[41][42]

3. 1. 변증법과 수사학의 재정의

라뮈스는 논리학(변증법)을 발명(inventio)과 판단(iudicium)의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전통적으로 수사학의 영역이었던 발명, 배열(dispositio), 기억(memoria)은 수사학에서 논리학(변증법)으로 이동했다. 반면 수사학은 표현(elocutio)과 발음(pronuntiatio)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4]

3. 2. 이분법적 도표와 방법론

라뮈즘은 지식을 체계화하고 분류하기 위해 이분법적 도표(라미스트 요약, Ramist epitome)를 사용했다. 라뮈스는 학문이 세 가지 법칙, 즉 진리의 법칙(''lex veritatis''), 정의의 법칙(''lex justitiae''), 지혜의 법칙(''lex sapientiae'')에 따라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1] 지혜의 법칙은 보편적인 것에서 시작하여 세분화를 통해 이진 트리 형태로 분기하는 방식을 의미한다.[41][42]

이러한 라뮈스의 방법론은 르네 데카르트의 방법론적 질서와 프랜시스 베이컨의 귀납법에도 영향을 미쳤다.[44][45] 에밀 브레히에에 따르면, 데카르트는 방법에 대한 수학적 수열의 개념을 제시하여 라뮈스의 통찰력을 발전시켰다.[44] 반면 베이컨은 라뮈즘의 엄격한 구분을 비판하며, 자료 배치가 연구에 부적절하다고 보았다.[45]

4. 라뮈스트

라뮈스트는 라뮈즘을 따르는 사람들을 통칭하는 말이다. 요한 피스카토르, 아만두스 폴라누스, 요하네스 왈렙, 바르톨로메오 켁커만, 요한 하인리히 알스테드 등이 대표적인 라뮈스트이다.[2]

1626년 프랜시스 버거스디크는 당시의 논리학자들을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 라뮈주의자, 준-라뮈주의자로 구분했다.[1][12][13] 준-라뮈주의자는 루돌프 고클레니우스와 아만두스 폴라누스처럼 대립하는 당사자들 사이에서 중재하려고 노력했다.[1] 라뮈주의는 칼뱅주의와 밀접하게 연결되었지만, 필리프 멜란히톤의 논리학을 혼합한 필리포-라뮈주의도 등장했다.[14]

뉴잉글랜드에서 라뮈스트들의 활약은 대단하였는데, 알렉산더 리차드슨과 윌리엄 에임스가 대표적이다.[101]

4. 1. 주요 라뮈스트

국가이름비고
네덜란드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
네덜란드아이작 베크만
네덜란드빌레브로르트 스넬리우스
네덜란드유스투스 립시우스
스코틀랜드롤랜드 맥일메인를 출판. 1574년에는 이 작품의 라틴어판을 출판.[77]
스코틀랜드제임스 마틴아리스토텔레스를 비판하는 글을 썼지만, 이 분류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음.[78]
스코틀랜드앤드루 멜빌[79]
영국윌리엄 에임스네덜란드 프라네커 대학교에서 신학교수로 재직하며 라뮈즘 이론을 발전시킴. 신학자 중 최초로 라뮈즘을 사용.[101]
영국존 바턴[80][81]
영국네이서니얼 백스터[82]
영국찰스 버틀러[83]
영국조지 다우넘[84]
영국더들리 페너[85]
영국헨리 핀치법학자, 《노모텍니아(Nomotexnia)》에서 관습법을 라뮈즘에 따라 정리하려 시도.[86]
영국윌리엄 가우지[87]
영국토머스 그레인저[47][88][89]
영국윌리엄 퍼킨스
영국존 레이놀즈[2]
영국알렉산더 리차드슨퀸즈 칼리지에서 논리학의 대가였으며 윌리엄 에임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줌.[2][90][101]
영국존 유달[91]
프랑스기 드 브뤼[92]
프랑스피에르 가상디논리학에 관해 저술.[93]
독일요한 하인리히 알스테드"라뮈즘 전통의 정점"이었지만, 라뮈즘 비판자이기도 함.[94]
독일요하네스 알투시우스저서 『정치학』을 라뮈즘 논리에 따라 구성.
독일바르톨로메우스 케케르만수정된 라뮈즘 논리 구축.[95]
독일요하네스 피스카토르[2]
독일카스파르 쇼페[96]
헝가리처러 야노시 아파차이백과사전 편집자.[97]
스웨덴파울리누스 고투스[98]
스위스요하네스 볼레브
웨일스헨리 페리


4. 2. 뉴잉글랜드의 라뮈스트

알렉산더 리차드슨은 퀸즈 칼리지에서 논리학의 대가였으며 윌리엄 에임스의 라뮈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101]

윌리엄 에임스네덜란드 프라네커 대학교에서 신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라뮈즘의 이론을 발전시켰다. 그는 신학자 중에 최초로 라뮈즘을 사용하였고, 이 방법은 반아리스토텔레스주의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철학과 논리학에 대한 책도 저술하였다.[101]

5. 라뮈즘에 대한 반대

라뮈즘은 당대에 상당한 반대에 직면했다. 예수회는 라뮈즘을 전적으로 반대했으며,[15] 칼뱅주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인 테오도르 드 베자 또한 강력하게 반대했다.[16]

하이델베르크에서는 줄리오 파체가 폴란드 출신 학생들에게 라뮈스식 변증법을 가르치려던 시도가 금지되었다.[18] 대학교에서 라뮈즘 교육을 허용하는 경우에도, 라뮈스 본인의 오만하고 논쟁적인 성격이나 그의 지지자들(주로 성급한 젊은이들)에 대한 인식 때문에 반감과 부정적인 반응이 있었다. 일부 학자들은 새로운 교과서를 선호하여 아리스토텔레스를 폐기하고 라뮈스를 권위자로 내세우는 식의 전면적인 개혁 대신, 요약(epitome)과 같은 일부 기술만을 암묵적으로 채택하기도 했다. 옥스퍼드의 존 레이놀즈는 이 문제로 갈등한 나이든 학자의 예시이며, 그의 추종자 리처드 후커는 "라뮈스트리"에 확고하게 반대했다.[19]

5. 1.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들의 반대

예수회와 칼뱅주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 테오도르 드 베자는 라뮈즘을 매우 혐오하였다.[15][16] 루터교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철학의 선구자인 야코프 셰크는 라뮈스를 단호하게 거부하고 그가 튀빙겐을 방문하는 것을 반대했다.[17] 레이던의 게르하르트 요한 보시우스는 고전 수사학에 관한 방대한 저작을 썼고 라뮈즘에 반대했다. 그는 17세기에 아리스토텔레스 전통을 옹호하고 풍요롭게 했으며,[20] 네덜란드의 대표적인 반대자였다. 라뮈즘은 네덜란드 대학교에서 영구적인 지위를 얻지 못했고, 윌리엄 에임스가 사망한 후 쇠퇴했다.[21]

5. 2. 데카르트주의자들의 비판

17세기 중반, 요하네스 클라우베르크와 같은 데카르트주의자들은 라뮈스를 공격하며 아리스토텔레스를 옹호했다.[22]

6. 라뮈즘의 영향

라뮈는 성직자이자 철학 교수였으며, 아리스토텔레스를 비판하고 개신교로 개종하면서 명성을 얻었다. 1572년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에서 살해된 후, 그의 위그노 순교자로서의 지위는 그의 사상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3][4] 그의 사상은 독일, 네덜란드, 영국, 스코틀랜드, 미국 식민지 뉴잉글랜드청교도칼뱅주의 신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5]

1575년부터 약 1625년까지 라뮈즘은 고등 교육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발전했으며, 종교적 요인은 유럽 전역의 개신교 및 가톨릭 대학에서의 상이한 수용을 통해 나타났다.[7] 1574년 스코틀랜드 출신 롤랜드 맥일메인(Roland MacIlmaine)은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 라뮈의 저서를 영어로 번역했다.[8][9] 라뮈의 작품과 영향력은 이후 스코틀랜드 대학교의 논리학 교과서에 나타났으며, 영국에서도 추종자를 두었다.[1]

오메르 탈롱은 라뮈즘의 초기 프랑스 제자이자 작가였다.[10] 로저 애스컴은 요한 슈투름과 라뮈에 대해 서신을 주고받았는데, 라뮈가 키케로에 대한 존경심이 부족하다는 점을 용납할 수 없다고 여겼다.[11] 1626년까지 프랜시스 버거스디크는 당시의 논리학자들을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 라뮈주의자, 준-라뮈주의자로 구분했다. 마르부르크의 루돌프 고클레니우스와 바젤아만두스 폴라누스처럼 대립하는 당사자들 사이에서 중재하려고 노력한 이들도 있었다.[1] 라뮈주의는 체계적인 칼뱅주의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지만, 필리포-라뮈주의는 라뮈와 필리프 멜란히톤의 논리학을 혼합하여 등장했다.[14]

프랜시스 예이츠는 라뮈즘이 율리즘, 기억술, 르네상스 헤르메스주의와 미묘한 관계가 있다고 보았다. 라뮈즘은 율리즘에 의존했지만 더 피상적이고, 고전적인 기억술과 대립했으며, 이미지의 역할을 줄이는 등 은밀한 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였다.[23] 메리 캐루터스는 라뮈가 알베르투스 마그누스토마스 아퀴나스가 했던 움직임을 재현했다고 언급했다.[25]

월터 옹은 라뮈즘의 문화적 영향이 인쇄술과 수사학의 연결에 달려 있었으며, 일부 개신교 신자들에게는 강력하고 설득력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콘라트 게스너는 이미 지식의 분류 및 색인화와 백과사전주의에서 이를 부분적으로 예견했다.[29] '라메식 트리'라는 용어는 논리 서적에서 표준이 되었으며, 고전적인 포르피리오 트리 또는 모든 이진 트리에 적용되었다.[30] 옹은 차트가 시각 보조 장치이고 논리가 차트로 귀결되었기 때문에, 목소리와 대화의 역할은 수사학 영역에 놓였다고 주장했다.[30]

옹은 라뮈즘에 대해 글쓰기에서 '코피아' 또는 풍부함의 종말을 가져왔고, 이후 데카르트주의의 명확성에 대한 강조의 시작점이 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옹은 라무스가 학자로서 실질적이지 않으며, 과도기적 인물이라고 주장했다.[31]

브라이언 비커스는 옹의 견해가 설득력이 없다고 언급했다. 수사학의 재구성에 라무스가 사용한 특정 움직임은 혁신적이지 않았다.[32] 리사 자딘은 라뮈가 일류 혁신가가 아니라 성공적인 교과서 작가였다는 점에 대해 옹에게 동의하지만, '인문주의적 논리'에서 그의 중요성과 영향력을 주장한다. 그녀는 라메식 트리를 "유행하는" 교육적 발전으로 간주한다.[33]

청교도들은 라뮈즘이 계시된 진리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과 새로운 학습, 특히 르네상스에서 비롯된 과학적, 철학적 패러다임을 합리화하고 정돈하는 데 적합하다고 믿었다.[34]

6. 1. 교육 및 학문 분야에 대한 영향

독일의 헤르본 아카데미는 1584년 개신교 대학교로 설립되어 언약 신학을 발전시킨 개혁 신학자들과 연관되었으며, 라뮈즘의 중심지였다.[65] 특히 백과사전적인 형태의 라뮈즘을 따랐으며, 범지학의 발상지이기도 하다.[65] 요한 하인리히 알스테드가 이곳에서 가르쳤으며,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가 그에게서 공부했다.

라뮈즘은 교육 과정에 포함되었으며, 교수들은 라뮈즘적 방법으로 삼학을 가르치도록 요구받았다.[66] 요하네스 피스카토르는 라뮈즘 입문서를 저술했고,[66] 요하네스 알투시우스와 라자루스 쇠너는 각각 사회 과학과 수학에 관해 저술했으며, 피스카토르는 나중에 라뮈즘 신학 텍스트를 제작했다.[66] 요한 하인리히 알스테드는 "라뮈즘 전통의 정점"이었지만, 단순한 라뮈즘의 비판자이기도 했다.[94] 요하네스 알투시우스는 그의 저서 『정치학』을 라뮈즘 논리에 따라 구성했다. 바르톨로마우스 케케르만은 수정된 라뮈즘 논리를 구축했다.[95]

6. 2. 문학에 대한 영향

라뮈즘은 수사학에서 표현(elocutio)과 발음(pronuntiatio)에 더 집중하고, 자국어의 역할을 강조하여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67] 그 결과 수사학은 문학에 적용되었다.[67]

에이브러햄 프라운스는 필립 시드니의 《아르카디아》를 언급하며, 탈롱의 ''Rhetoricae'' 번역을 기반으로 한 라뮈즘 스타일의 수사학 책인 《Arcadian Rhetorike》를 출판했다. 이를 통해 시드니가 사용한 수사적 기교를 표준 영어 문학 요소와 장식의 라뮈즘 "아르카디아 수사학"으로 전파하여 엘리자베스 시대 영어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68] 윌리엄 커츠 윔셋과 클린스 브룩스는 라뮈즘 개혁이 장식적인 문체와 평이한 문체 사이에 긴장을 조성하여 17세기에 후자의 출현에 기여했다고 본다.[68]

더들리 페너와 찰스 버틀러의 저술을 통해 엘리자베스 시대 잉글랜드의 라뮈즘 수사학은 표현과 발음으로 축소되고, 그 범위를 비유로 좁혔다.[69]

제프리 힐은 로버트 버튼의 《우울증의 해부학》(1621)을 "포스트-라뮈즘 해부학"으로 분류했다.[70]

6. 3.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라뮈즘

1570년대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칼리지에서 라뮈즘 전통이 뿌리내렸다.[1] 로렌스 채더턴, 윌리엄 퍼킨스, 윌리엄 에임스는 라뮈스트 논리를 활용한 중요한 신학자들이었다.[34]

7. 현대적 평가

라뮈즘은 르네상스 인문주의와 근대 철학 사이의 과도기적 사조로 평가받는다.

월터 옹은 라뮈즘이 인쇄술의 발달과 함께 등장한 새로운 지식 조직 방식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라뮈즘과 관련된 색인 및 도식의 보정이 필사본과 구두 언어에서 벗어나는 전환에 맞춰 이루어졌다고 보았다.[27] 또한, 라뮈즘의 문화적 영향은 인쇄술(중괄호로 정기적으로 배치된 나무)과 수사학의 연결에 달려 있었으며, 적어도 일부 개신교 신자들에게는 강력하고 설득력이 있었다고 평가했다.[29] 옹은 차트가 시각 보조 장치이고 논리가 차트로 귀결되었기 때문에, 목소리와 대화의 역할은 수사학의 영역에 정확하고 엄격하게, 그리고 낮은 위치에 놓인다고 주장했다.[30]

브라이언 비커스는 라뮈즘이 수사법에 기여했으며, 언어의 효과적인 사용과 자국어의 역할을 강조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라미스트의 주요 슬로건인 '메토두스'는 타르수스의 헤르모게네스를 거쳐 트라페준다의 조지로부터 파생된 수사법에 특화되었다고 보았다.[32]

리사 자딘은 라뮈즘을 "유행하는" 교육적 발전으로 간주했지만, 인문주의적 논리에서 그의 중요성을 인정했다.[33]

참조

[1] EB1911
[2] 서적 The Dutch Republic: Its Rise, Greatness and Fall 1477–1806 1995
[3] 웹사이트 Commentariorum de religione Christiana libri quatuor, nunquam antea editi http://www.ccel.org/[...] Frankfort 1576
[4] 서적 Rhétorique et poétique au XVIe siècle en France: Du Bellay, Ramus et les autres 1986
[5] 서적 From Humanism to Science 1480–1700 1978
[6] 서적 Cambridge History of Renaissance Philosophy 1988
[7] 서적 Max Weber: Critical Responses 1999
[8] 웹사이트 LLGC.org.uk https://biography.wa[...]
[9] 서적 The Development of Logic 1962
[10] 웹사이트 Virginia.edu http://xtf.lib.virgi[...]
[11] 서적 Roger Ascham 1963
[12] 서적 Language and Logic 2006
[13] 서적 The Development of Logic 1962
[14] 서적 Language and Logic 2006
[15] 서적 Renaissance Rhetoric: The Jesuit Case 1999
[1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Renaissance Philosophy 1990
[17] 서적 Commonplace Learning: Ramism and its German Ramifications, 1543–1630 2007
[18] 서적 Commonplace Learning: Ramism and its German ramifications https://books.google[...] 2007
[19] 서적 1984
[20] 서적 Classical Rhetoric & Its Christian & Secular Tradition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1999
[21] 서적 Dutch Culture in a European Perspective 2004
[22]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1998
[23] 서적 The Art of Memory 1992
[24] 서적 John Dee 1972
[25] 서적 The Book of Memory. A Study of Memory in Medieval Culture 1990
[26] 간행물 Peter Ramus, Walter Ong, and the Tradition of Humanistic Learning http://journal.oralt[...] 1987
[27] 서적 The Domestication of the Savage Mind 1977
[28] 간행물 The Source of Bunyan's Mapp of Salvation 1981
[29] 서적 Architecture in the Age of Printing: Orality, Writing, Typography, and Printed Images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al Theory 2001
[30] 서적 The Rhetoric of Reason: Writing and the Attractions of Argument 1996
[31] 서적 The Work of Fiction: Cognition, Culture, and Complexity 2004
[32] 서적 In Defence of Rhetoric 1988
[33] 서적 Humanistic Logic 1990
[34] 서적 Schooling, the Puritan Imperative, and the Molding of an American National Identity: Education's "errand Into the Wilderness" 2003
[35] 서적 The Beginning of Ideology: Consciousness and society in the French Reformation 1981
[36] 서적 Reason and Rhetoric in the Philosophy of Hobbes 1996
[37] 서적 Logic or the Art of Thinking 1996
[38] 웹사이트 Petreus ramus http://plato.stanfor[...] of Philosophy
[39] 서적 Language and Logic 2006
[40] 서적 Logic and the Art of Memory 2000
[41] 웹사이트 UVA.nl http://www.science.u[...]
[42] 서적 A New History of French Literature 1994
[43] 서적 The Literary Culture of the Reformation: Grammar and Grace 2007
[44] 서적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Seventeenth Century 1966
[45] 서적 Francis Bacon: The Major Works 2002
[46] 서적 Education and Society in Tudor England 1979
[47] 서적 The Literary Culture of the Reformation: Grammar and Grace 2007
[48] 웹사이트 Toronto.edu http://www.chass.tor[...]
[49] 서적 Dictionary of Seventeenth Century British Philosophers 2000
[50] 서적 Dictionary of Seventeenth Century British Philosophers 2000
[51] 서적 Concise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52] 서적 Theory as Practice: Ethical Inquiry in the Renaissance 1992
[53] 웹사이트 Bartleby.com http://www.bartleby.[...]
[54] 서적 Sir Philip Sidney: The Shepherd Knight 1698
[55] 서적 John Dee 1972
[56] 서적 A History of American Philosophy 1946
[57] 웹사이트 Doctor Faustus and the Failure to Unify http://extra.shu.ac.[...] SHU
[58] 서적 Shakespeare's Marlowe: The Influence of Christopher Marlowe on Shakespeare's Artistry 2007
[59] 서적 Logic Yale 1982
[60] 서적 A Milton Encyclopedia 1978
[61] 웹사이트 Chappell, William
[62] 서적 John Milton (9 December 1608–8? November 1674) Thomson Gale 2003
[63] 웹사이트 Downham, George
[64] 웹사이트 Milton, John
[65] 간행물 Leibniz and the Herborn Encyclopedists 1961-07
[66] 웹사이트 UIUC.edu https://web.archive.[...] 2008-11-10
[67] 서적 In Defence of Rhetoric 1988
[68] 서적 Literary Criticism: A Short History 1957
[69] 서적 Reason and Rhetoric in the Philosophy of Hobbes 1996
[70] 서적 Collected Critical Writings 2008
[71] 문서 Biographia Literaria, Chapter XIII.
[72] 서적 Ramus, Method and the Decay of Dialogue Harvard University Press 1958
[73] 웹사이트 Arminius, Jacobus
[74] 서적 Dutch Culture in a European Perspective 2004
[75] 웹사이트 Justus Lipsius http://plato.stanfor[...]
[76] 간행물 Roland MacIlmaine (fl. 1574) Thomson Gale 2003
[77] 서적 From Rhetoric to Composition
[78] 웹사이트 Martin, James
[79] 웹사이트 Melville, Andrew
[80] 간행물 John Barton (circa 1610–1675) Thomson Gale 2001
[81] 웹사이트 Barton, John
[82] 서적 Bartholomew Keckerman and the Anti-Ramist Tradition 2006
[83] 간행물 Charles Butler (circa 1560–29 March 1647) Thomson Gale 2001
[84] 웹사이트 History http://www.anglicanb[...] Anglican books revitalized
[85] 간행물 Dudley Fenner (1558?–1587) Thomson Gale 2001
[86] 서적 Lawyers, Litigation, and English Society Since 1450 1998
[87] 서적 Intellectual Origins of the English Revolution 1965
[88] 간행물 Thomas Granger (March 1578 – June 1627) Thomson Gale 2003
[89] 웹사이트 Granger, Thomas
[90] 웹사이트 Richardson, Alexander
[91] 저널 Rechtien http://journal.oralt[...]
[92] 서적 The History of Scepticism from Erasmus to Spinoza 1979
[93] 웹사이트 Pierre Gassendi http://plato.stanfor[...]
[94] 서적 Johann Heinrich Alsted, 1588–1638: Between Renaissance, Reformation, and Universal Reform 2000
[95] 서적 Calvinism on the Frontier, 1600–1660: International Calvinism and the Reformed Church in Hungary and Transylvania 2000
[96] 서적 Rudolf II and His World 1973
[97] 웹사이트 Phil-inst.hu http://www.phil-inst[...]
[98] 서적 The Reception of Copernicus' Heliocentric Theory: Proceedings of a Symposium Organized by the Nicolas Copernicus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1973
[99] 서적 The Development of Logic 1962
[100] 간행물 Henry Perri or Perry (1561–1617) Thomson Gale 2001
[101] 저널 Ames, Ramus, and the Method of Puritan Theology http://dx.doi.org/10[...] 196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