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수문화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수문화방송은 1970년 8월 27일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으며, 1971년 여수문화방송(주)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1987년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고, 2005년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했다. 현재 전라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텔레비전 방송을, AM 라디오 1채널과 FM 라디오 2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광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전주문화방송과 함께 지상파 DMB 방송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전라남도 지상파 방송국 - 광주극동방송
    광주극동방송은 광주광역시를 가청권역으로 하는 극동방송 지사로, 2010년 개설되어 FM 93.1MHz 주파수로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 방송한다.
  • 대한민국의 전라남도 지상파 방송국 - JTV MAGIC FM
    JTV MAGIC FM은 JTV에서 방송하는 라디오 채널이며, 90.1㎒ 주파수로 전라북도 일원에 방송된다.
  • 문화방송 계열 방송국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 문화방송 계열 방송국 - MBC강원영동
    MBC강원영동은 강원특별자치도를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문화방송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8년 영동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는 강릉과 삼척 방송국을 운영하며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한다.
  • 1970년 설립 - FM 오사카
    FM 오사카는 1970년 간사이 지역 최초의 민영 FM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오사카부를 중심으로 85.1MHz 주파수로 방송되며 자체 제작 프로그램과 JFN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FM OH!'라는 애칭을 사용하다 2020년 'FM오사카'로 변경, 음주운전 방지 캠페인 등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는 일본의 라디오 방송국이다.
  • 1970년 설립 - 대한민국 병무청
    대한민국 병무청은 국민의 병역 의무 이행을 관리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병역 자원 관리, 징집 및 소집, 사회복무요원 제도 운영 등을 담당하며 여러 논란에도 직면해 왔다.
여수문화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문 명칭여수문화방송주식회사
영문 명칭Yeos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약칭여수MBC
종류공영 방송
방송 영역지상파 방송
창립일1970년 8월 27일
개국일라디오: 1970년 8월 27일
음악FM: 1985년 8월 27일
TV: 1987년 11월 21일
이전 명칭남해방송(주) (1970년 ~ 1971년)
이후 명칭여수문화방송(주) (1971년 ~ 현재)
시장 정보비상장
자본금800,000,000원 (2020.12)
매출액11,206,037,875원 (2020)
영업이익-1,011,421,152원 (2020)
순이익458,748,701원 (2020)
자산총액47,246,694,007원 (2020.12)
주주주식회사 문화방송 51%
동원산업주식회사 29%
그 외 주주 20%
직원 수54명 (2015.12)
본사 위치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 문수로 135 (문수동)
대표이사 사장이호인
모기업문화방송
웹사이트여수문화방송
1991년 11월 15일에 준공한 여수문화방송 現 문수동 사옥
1991년 11월 15일에 준공한 여수문화방송 現 문수동 사옥

2. 연혁

2. 1. 1960년대

1968년 8월 5일: 무선국 가허가를 받았다.

2. 2. 1970년대

2. 3. 1980년대

朴文百|박문백중국어이 1980년 2월 28일에 대표이사 사장으로 취임하였다. 1984년 8월에는 여수시 구봉산과 순천시 천황산에 TV 중계소를 개소하였다. 1985년 8월 27일에는 주파수 98.3㎒, 출력 2kW로 음악FM 방송을 개국하였다. 1986년 2월에는 TVR 5개소를 개소하였다.

1987년 11월 21일에는 TV 방송(28ch)을 개국하고, 지역 TV-Local 방송을 시작하였다. 1988년 2월에는 주파수 100.7㎒, 출력 1kW로 표준FM방송을 개국하였다. 같은 해 6월에는 TVR 5개소를 추가로 개소하였다.

연도내용
1980년 2월 28일朴文百|박문백중국어 대표이사 사장 취임
1984년 8월TV 중계소 개소 (여수: 구봉산 / 순천: 천황산)
1985년 8월 27일음악FM 개국 (주파수 98.3㎒, 출력 2kW)
1986년 2월TVR 5개소 개소
1987년 11월 21일TV 개국, 지역 TV-Local 방송 시작
1988년 2월표준FM방송 개국 (주파수 100.7㎒, 출력 1kW)
1988년 6월TVR 5개소 개소


2. 4. 1990년대


  • 1991년 11월 15일 : 여수시 문수동 101-1(현 문수로 135)에 현 사옥을 신축하였다. 부지는 13000평이고, 건물은 1600평, 지상 5층, 지하 1층 규모이다.
  • 1993년 6월 : 전라남도 순천시 행동에 라디오 스튜디오를 개설하였다.
  • 1993년 7월 : 일본 KBC 규슈 아사히방송과 우호협력협정을 체결하였다.
  • 1994년 2월 : 중국 웨이하이전시대와 교류를 시작하였다.
  • 1994년 7월 : TV 중계차를 도입하여 신속한 현장 생방송 체제를 구축하였다.
  • 1995년 7월 : 중국 웨이하이전시대와 우호협정 조인식을 가졌다.
  • 1995년 12월 : 전라남도 순천시 조례동에 TV 스튜디오를 개설하고, 라디오 스튜디오를 이전하였다.
  • 1996년 11월 : AM송신소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1998년 3월 : 회사 홈페이지를 열었다.
  • 1998년 11월 : 현 사옥 내에 야외 공연장을 준공하여 야외음악회 등 각종 행사를 개최하고 현장 생방송 장소로 활용하였다.

2. 5. 2000년대


  • 2000년 8월: TV 주조 제작시설과 송출실을 분리하였다.
  • 2002년 6월: 라디오 디지털 시스템인 마이로스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 2002년 6월 14일: 표준FM 주파수를 100.7㎒에서 100.3㎒로 변경하였다.
  • 2002년 8월: 거문도, 구승주 지역에 난시청 해소를 위한 유선방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2004년 9월: 표준FM 방송 송신점을 천황산에서 남산으로 변경하였다.
  • 2005년 12월: DTV를 개국하였다.
  • 2006년 8월: TV 방송 보조국 채널을 순천 천황산(Ch7)에서 남산(Ch43)으로 변경 이설하였다.
  • 2007년 11월: 여수 구봉산에서 표준 FM을 송출하였다. (주파수 107.1㎒, 출력 100W)
  • 2008년 1월 28일: 지상파 DMB를 시작하였다.
  • 2008년 3월: TV부조 HD시스템을 구축하였다.

2. 6. 2010년대

2. 7. 2020년대


  • 2022년 9월 8일 - AM 라디오 운용을 일시 중지하고(1080kHz, 10kW), FM방송으로 전환하였다.
  • 2023년 3월 8일 - AM 라디오 송출을 종료하였다(1080kHz, 10kW).

3. 본사·지사 소재지

구분소재지
본사전라남도 여수시 문수로 135
순천지사전라남도 순천시 백연길 111


4. TV 방송

여수MBC TV는 1987년 11월 21일 TV 연주소를 갖추고 개국하였다. 2005년 12월에는 디지털 TV 방송을 개국하여 전남 동부지역과 서부 경남 일부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하고 있다.


  • 리모콘 키 ID: 11-1
  • 호출 부호: HLAT-DTV


디지털 TV 방송 송출 시설은 다음과 같다.

송신소물리 채널공중선 전력
구봉산K-26ch1kW
망운산K-16ch1kW
여수K-41ch2W
쌍봉K-51ch20W
남산K-14ch90W
순천 서면K-14ch0.05W
옥룡K-14ch0.05W
쌍암K-41ch5W
벌교K-35ch20W



아날로그 TV 방송은 2012년 10월 30일 오후 2시에 종료되었다.

4. 1. 개요

1984년 8월 여수 구봉산에 TV중계소가 설치된 후, 1987년 11월 21일 TV 연주소를 갖추고 여수문화방송의 TV방송이 개국하였다. 2005년 12월에는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였다. 전남 동부지역과 서부경남 일부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서 방송중이다.

4. 2. 프로그램

일 15분20:25 ~ 20:45(금 20:00 ~ 20:20)
20:20 ~ 20:35박성언, 송유라 (평일)
무작위 (일요일)



;교양·예능

4. 2. 1. 보도

일 15분20:25 ~ 20:45(금 20:00 ~ 20:20)
20:20 ~ 20:35박성언, 송유라 (평일)
무작위 (일요일)


4. 2. 2. 교양·예능

4. 3. 방송 송출 시설망

1984년 8월 여수 구봉산에 TV중계소가 설치된 후, 1987년 11월 21일 TV 연주소를 갖추고 여수문화방송의 TV방송이 개국하였다. 2005년 12월에는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여 전남 동부지역과 서부경남 일부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하고 있다. 2012년 10월 30일부로 아날로그 TV 방송은 종료되었다.

4. 3. 1. 송신소

여수문화방송의 호출부호는 HLAT-DTV이며, 가상채널은 11-1이다.

송신소UHD 물리채널UHD 출력HD 물리채널HD 출력송신소 위치
구봉산 송신소준비중CH 261kW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3-3
망운산 중계소CH 161kW경남 남해군 서면 연죽리 산38
여수 중계소CH 412W전남 여수시 봉산동 427-5
쌍봉 중계소CH 5120W전남 여수시 소라면 덕양리 산201-1
남산 중계소CH 1490W전남 순천시 인제동 산42-2
순천서면 소출력CH 140.05W전남 순천시 서면 동산리
옥룡 소출력CH 140.05W전남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
쌍암 중계소CH 415W전남 순천시 승주읍 봉덕리 산62
고흥군 중계소CH 2220W전남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산58-1
녹동 중계소CH 3620W전남 고흥군 도양읍 봉암리 산237 비봉산
도화 중계소CH 2620W전남 고흥군 도화면 당오리 산113 시루봉
포두 중계소CH 205W전남 고흥군 포두면 옥강리 산311
벌교 중계소CH 3520W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 산3-1



아날로그TV 방송은 2012년 10월 30일 오후 2시에 종료되었다.

송신소채널출력송신소 위치
구봉산 송신소CH 285kW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3-3
여수 중계소CH 4110W전남 여수시 봉산동 427-5
쌍봉 중계소CH 45100W전남 여수시 소라면 덕양리 산201-1
광양 중계소CH 21500W전남 광양시 마동 산80-8 가야산
남산 중계소CH 43500W전남 순천시 인제동 산42-2
쌍암 중계소CH 4510W전남 순천시 승주읍 봉덕리 산62
벌교 중계소CH 39100W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 산3-1


4. 3. 2. 아날로그 TV (2012년 10월 30일 종료)

2012년 10월 30일 오후 2시에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되었다. 호출 부호는 HLAT-TV이다.

송신소채널공중선 전력
구봉산K-28ch5kW
여수K-41ch10W
쌍봉K-45ch100W
광양K-21ch500W
남산K-43ch500W
쌍암K-45ch10W
율어K-39ch100W


5. 라디오 방송

여수MBC는 AM라디오 1채널과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 여수MBC 라디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 부호
남산FM 100.3MHz1kWHLAT-SFM
구봉산FM 107.1MHz100W없음



; 여수MBC FM4U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 부호
구봉산FM 98.3MHz2kWHLAT-FM


5. 1. 개요

1970년 8월 27일 남해방송(NBC)으로 AM 라디오방송을 개국하였다. 이후 1985년 8월 27일에는 음악FM, 1988년 2월에는 AM라디오 표준FM을 개국하였다. AM라디오 1채널과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중이며, 전남동부지역을 가청권역으로서 방송중이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 부호
남산FM 100.3MHz1kWHLAT-SFM
구봉산FM 107.1MHz100W없음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 부호
구봉산FM 98.3MHz2kWHLAT-FM


5. 2. 프로그램

여수문화방송은 전남 동부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하여, 1970년 8월 27일 남해방송(NBC)으로 AM라디오방송을 개국하였다. 이후 1985년 8월 27일 음악FM, 1988년 2월 AM라디오 표준FM을 개국해 AM라디오 1채널과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5. 2. 1. 여수MBC 라디오

1970년 8월 27일 남해방송(NBC)으로 AM라디오방송을 개국하였다. 이후 1985년 8월 27일에는 음악FM, 1988년 2월에는 AM라디오 표준FM을 개국하였다. AM라디오 1채널과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중이며, 전남동부지역을 가청권역으로서 방송중이다.

프로그램명요일시간진행자
신나는 오후매일115분양성화
1분 건강상식1분박성언
MBC 정오종합뉴스월~금5분김진호
라디오전망대55분송유라
MBC 15시 뉴스5분
MBC 17시 뉴스매일


5. 2. 2. 여수MBC FM4U



여수MBC FM4U는 1985년 8월 27일에 개국하였다. 전남 동부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음악 전문 FM 라디오 채널이다.

프로그램명요일시간진행자
신나는 오후매일115분양성화
1분 건강상식매일1분박성언
MBC 정오종합뉴스월~금5분김진호
[https://ysmbc.co.kr/RadioProgram/43/home 라디오전망대]월~금55분송유라
MBC 15시 뉴스월~금5분송유라
MBC 17시 뉴스매일5분송유라
음악식당평일120분박성언
1분 건강상식매일1분박성언, 김진호



;종영 프로그램

5. 2. 3. 종영 프로그램

여수문화방송은 1988년 2월에 AM라디오 표준FM을 개국하였으나, 현재는 종영되었다.

5. 3. 방송 송출 시설망

경남 남해군 일부
(목포MBC전주MBC를 번갈아서 수신)구봉산 송신소FM 107.1㎒100W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3-3여수시 일원, 순천시 일부, 광양시 일부, 고흥군 일부,
경남 남해군 일부망운산 중계소FM 101.3㎒100W경남 남해군 서면 연죽리 산38광양시 일원, 여수시 일부, 순천시 일부, 고흥군 일부,
경남 남해군 일부, 하동군 일부, 진주시 일부, 사천시 일부, 거창군 일부, 산청군 일부
(MBC경남을 번갈아서 수신)여수MBC FM4U구봉산 송신소FM 98.3㎒2㎾HLAT-FM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3-3여수시 일원, 순천시 일부, 광양시 일부, 고흥군 일부, 보성군 일부, 구례군 일부,
경남 남해군 일부
(광주MBC를 번갈아서 수신)


5. 3. 1. 여수MBC 라디오

경남 남해군 일부
(목포MBC전주MBC를 번갈아서 수신)구봉산 송신소FM 107.1㎒100W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3-3여수시 일원, 순천시 일부, 광양시 일부, 고흥군 일부,
경남 남해군 일부망운산 중계소FM 101.3㎒100W경남 남해군 서면 연죽리 산38광양시 일원, 여수시 일부, 순천시 일부, 고흥군 일부,
경남 남해군 일부, 하동군 일부, 진주시 일부, 사천시 일부, 거창군, 일부, 산청군 일부
(MBC경남을 번갈아서 수신)여수MBC FM4U구봉산 송신소FM 98.3㎒2㎾HLAT-FM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3-3여수시 일원, 순천시 일부, 광양시 일부, 고흥군 일부, 보성군 일부, 구례군 일부,
경남 남해군 일부
(광주MBC를 번갈아서 수신)


5. 3. 2. 여수MBC FM4U

경남 남해군 일부
(광주MBC를 번갈아서 수신)


5. 4. 라디오 시보 멘트

표준FM 100.3, 107.1㎒ HLAT-SFM 여수문화방송입니다. FM 98.3㎒ HLAT-FM 여수MBC FM4U입니다.

6. 지상파DMB 방송

광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전주문화방송과 공동으로 투자하여 광주·전남·전북 전 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DMB사업자로서 운영·방송 중이다.

; 호남 MBC

Honam MBC영어는 호출 부호 HLCN-TDMB로, 광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전주문화방송과 공동 운영한다. 송신소, 물리 채널(주파수), 공중선 전력은 아래 표와 같다.

송신소물리 채널 (주파수)공중선 전력
무등산K-8Ach (181.280MHz)2kW
모악산K-12Ach (205.280MHz)2kW
삼공K-12Ach (205.280MHz)90W
노고단K-12Ach (205.280MHz)2kW
대둔산K-8Ach (181.280MHz)2kW
양을산K-8Ach (181.280MHz)90W
망운산K-7Ach (175.280MHz)2kW
구봉산K-7Ach (175.280MHz)90W


6. 1. Honam MBC

광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전주문화방송이 공동으로 투자하여 광주, 전남, 전북 전 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DMB사업자로서 운영·방송 중이다.

송신소물리 채널 (주파수)공중선 전력
무등산K-8Ach (181.280MHz)2kW
모악산K-12Ach (205.280MHz)2kW
삼공K-12Ach (205.280MHz)90W
노고단K-12Ach (205.280MHz)2kW
대둔산K-8Ach (181.280MHz)2kW
양을산K-8Ach (181.280MHz)90W
망운산K-7Ach (175.280MHz)2kW
구봉산K-7Ach (175.280MHz)90W


7. 소속 방송인

여수문화방송에는 아나운서 박성언, 송유라, 김진호, MC 및 리포터 양성화, 서예진 등이 소속되어 있다.

7. 1. 편성제작팀

安定姬|안정희중국어
宋旻敎|송민교중국어
金志洪|김지홍중국어
金淳鎬|김순호중국어
李東信|이동신중국어


7. 2. 영상제작센터

직책이름
국장박찬호
차장송정혁
영상기자배준식
영상기자정은용
영상기자이재화


7. 3. CG

7. 4. 보도센터

이름직책
김종태센터장
최우식국장
김주희국장
문형철차장
김단비기자
유민호기자
최황지기자


7. 5. 아나운서

7. 6. MC & 리포터

8. 역대 연중 캠페인

연도캠페인
2014년 ~ 2015년새로운 희망 MBC와 함께
2016년 ~ 2018년여러분의 열정, MBC가 응원합니다.
2019년 ~ 2023년밝은 미래 좋은 세상 MBC가 함께합니다.
2024년로컬 퍼스트 지역이 미래다.


9. 해외 제휴 방송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