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문화방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문화방송(광주MBC)은 1964년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여 1970년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한 대한민국의 방송국이다.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사옥이 소실되었으나, 이후 복구되어 현재까지 라디오(AM, FM)와 TV 방송을 운영하고 있다. 지상파 DMB 방송도 제공하며, 광주·전남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광주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광주극동방송
광주극동방송은 광주광역시를 가청권역으로 하는 극동방송 지사로, 2010년 개설되어 FM 93.1MHz 주파수로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 방송한다. - 대한민국의 광주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JTV MAGIC FM
JTV MAGIC FM은 JTV에서 방송하는 라디오 채널이며, 90.1㎒ 주파수로 전라북도 일원에 방송된다. - 대한민국의 전라남도 지상파 방송국 - 광주극동방송
광주극동방송은 광주광역시를 가청권역으로 하는 극동방송 지사로, 2010년 개설되어 FM 93.1MHz 주파수로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 방송한다. - 대한민국의 전라남도 지상파 방송국 - JTV MAGIC FM
JTV MAGIC FM은 JTV에서 방송하는 라디오 채널이며, 90.1㎒ 주파수로 전라북도 일원에 방송된다. - 문화방송 계열 방송국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 문화방송 계열 방송국 - MBC강원영동
MBC강원영동은 강원특별자치도를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문화방송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8년 영동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는 강릉과 삼척 방송국을 운영하며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한다.
광주문화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회사명 | 광주문화방송주식회사 (光州文化放送株式會社) |
영문명 | Gwang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
약칭 | 광주MBC |
종류 | 공영 방송 |
방송 영역 | 지상파 방송 |
창립일 | 1964년 5월 24일 |
개국일 | AM 라디오: 1964년 6월 13일 TV: 1970년 8월 29일 음악FM: 1983년 10월 22일 표준FM: 1988년 1월 30일 |
이전 명칭 | 한국문화방송(주)광주국 (1964 ~ 1971년) 호남텔레비전(주) (1970 ~ 1971년) |
시장 정보 | 비상장 |
자본금 | 1,500,000,000원 (2015.12) |
매출액 | 26,662,629,613원 (2015) |
영업 이익 | 2,023,281,524원 (2015) |
순이익 | 2,293,212,810원 (2015) |
자산 총액 | 67,148,001,486원 (2015.12) |
주주 | 주식회사 문화방송 100% |
직원 수 | 84명 (2015.12) |
본사 위치 |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로116번길 17 |
사장 | 김낙곤 (대표이사 사장) |
모기업 | 문화방송 |
웹사이트 | 광주문화방송 |
2. 연혁
- 1964년 6월 14일: 한국문화방송(주) 광주국 라디오 방송 개시.
- 1970년 8월 29일: 호남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 텔레비전 방송(9ch) 개시.
- 1978년 11월 23일: AM라디오 주파수 변경 (820kHz → 819kHz).
- 1980년 5월: 5.18 민주화운동 당시 왜곡 방송에 반발한 시위대에 의해 사옥 소실.[1][2]
- 1983년 10월 22일: 음악 FM 개시.
- 1988년 1월 30일: 표준FM 개시.
- 2008년 1월 28일: 지상파 DMB 개시.
2. 1. 1960년대
- 1963년 4월 12일: 라디오 무선국 가허가를 받았다.
- 1964년 6월 13일: 한국문화방송(주)광주국 라디오가 개국하였다.(호출부호 HLCN, 출력 1kW, 주파수 820㎑) 광주 동구 궁동 사옥(광주 동구 대인동 194-4)에서 첫 전파를 발사하였다.
- 1967년 12월 19일: 호남 텔레비전 무선국 허가를 받았다.
- 1968년 7월 24일: 호남 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을 설립하였다. 자본금은 51000KRW이었다. 대표이사 사장은 최승효였다.
- 1968년 11월 9일: 라디오 출력을 1kW에서 20kW로 증강하였다.
2. 2. 1970년대
- 1970년 8월 29일: 호남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 개국(TV) - 호출부호 HLSR, 채널9, 영상출력 5kW, 음향출력 1kW[1]
- 1971년 10월 1일: 호남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가 한국문화방송(주) 광주국을 인수 병합하고 광주문화방송으로 변경. 최승효 대표이사 취임.[1]
- 1971년 12월 24일: 라디오 연주소를 광주시 대인동 194-4에서 광주시 궁동 18로 이전.[1]
- 1978년 11월 1일: 국제전기통신연합 ITU가 AM 주파수 간격을 10kHz에서 9kHz로 변경함에 따라 라디오 주파수 변경 (820㎑ → 819㎑)[1],[2]
2. 3. 1980년대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왜곡방송으로 시위대에 의해 사옥 및 방송 장비가 불에 타 전소되었다.[3] 1980년 6월 5일 긴급 복구 상태에서 비아송신소 임시 스튜디오를 통해 서울 MBC 프로그램을 중계하는 동시에 로컬 뉴스와 광고, 콜사인을 송출했다. 1980년 6월 9일에는 광주시 동구 금남로5가 183-1 흥국생명빌딩 2, 5, 6층 일부를 임시 연주소 및 사무실로 사용하기 시작했다.1980년 7월 5일 텔레비전 로컬 뉴스 방송을 개시했으며, 1980년 10월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문화방송에 주식 51%를 강제로 넘겨주게 되었다.[3] 1980년 11월 12일 구 사옥 복구 작업이 시작되어 1981년 3월 25일 완료되었다. 1981년 3월 28일 임원실 및 관리 부서가 복원 사옥으로 이전했고, 1981년 4월 6일에는 구 사옥(궁동)으로 완전히 복귀했다. 1981년 4월 15일에는 보도, 편성국, 라디오 연주소가 이전하여 복원 사옥에서 오후 1시부터 라디오 정규방송을 실시했고, 1981년 4월 16일에는 텔레비전 연주소도 이전하여 복원 사옥에서 오후 5시 30분부터 텔레비전 정규방송을 실시했다.
1981년 12월 31일 TV 영상 출력을 5kW에서 10kW로 증강했다. 1983년 10월 22일에는 FM 방송(주파수 91.5㎒, 출력 5kW)을 개국했다. 1985년 10월에는 일본 후쿠오카 방송과 자매결연을 체결했다.
1986년 5월 9일 사동TV중계소(100W)와 북하TV중계소(10W)를 개국했다. 1987년 3월 9일 뉴스데스크 지역 방송을 개시했으며, 1987년 5월 30일 노고단 중계소를 개소하여 TV·FM 방송(TV 출력 10kW, FM 주파수 95.1㎒, FM 출력 1kW)을 시작했다. 1987년 7월 18일 월산동에 신사옥을 착공했다.
1988년 1월 30일 표준FM 방송(주파수 93.9㎒, 출력 5kW)을 개국하고, 1988년 2월 19일 노동조합을 설립했다. 1988년에는 여러 중계소를 개국했는데, 7월 6일 영광TV중계소(10W), 법성TV중계소(10W), 군남TV중계소(100W), 8월 10일 도화TV중계소(100W), 9월 30일 북일TV중계소(100W), 대덕TV중계소(100W), 고흥TV중계소(100W), 녹동TV중계소(100W), 10월 5일 영암TV중계소(100W)가 개국되었다. 1988년 10월 29일 신사옥을 준공하여 이전했다.
1989년 3월 11일 포두TV중계소(10W), 1989년 3월 27일 곡성TV중계소(10W)를 개국했으며, 1989년 7월 24일 구사옥(궁동)을 매각 처분했다.
2. 4. 1990년대
- 1994년 6월 10일: 무등산송신소 신축
- 1995년 7월 10일: 중국 저장TV와 우호합작의향서 조인
- 1995년 11월 1일: 사보『광주MBC저널』발간
- 1995년 11월 10일: 『광주MBC30년사』발간
- 1999년 3월 1일: 광주MBC 인터넷 홈페이지 개설
2. 5. 2000년대
- 2004년 7월 30일: 디지털TV 개국 (무등산송신소, 물리채널 CH 14, 출력 2.5㎾)
- 2004년 10월 8일: 광주MBC희망대상 신설
- 2005년 3월 21일: 노고단 중계소 디지털TV방송 개국
- 2006년 5월 15일: HDTV 중계차 준공
- 2007년 1월 12일: 19개 문화방송네트워크국 연합PP 채널 ‘MBCNET’ 방송 개시
- 2007년 4월 10일: 지상파DMB 시험방송 개시
- 2008년 1월 28일: 지상파DMB 광주, 전라권 본방송 실시[1][2]
- 2008년 3월 1일: 사보 월간 <광주MBC저널> 통권 100호 발행
- 2008년 4월 1일: 첨단 소형 스튜디오 완공
- 2009년 4월 27일: HD뉴스센터 개소
2. 6. 2010년대
- 2011년 1월 10일 - 노고단중계소 지상파DMB방송 개국[1]
- 2012년 10월 30일 - 지상파 아날로그TV방송 종료[2]
- 2013년 6월 12일 - 전라권 디지털 주파수 재배치 완료.[3]
- 2014년 10월 18일 - 광주·목포·여수 주말 뉴스데스크 통합 편성 시작
- 2015년 12월 21일 - 표준FM 영광 중계소 개국. (주파수 101.9MHz)
- 2017년 12월 29일 - 광주MBC UHD 방송 개국
3. TV 방송
1970년 8월 29일 호남텔레비전방송(주)가 호출부호 HLSR, 채널9, 영상출력 5kW, 음향출력 1kW로 TV방송을 개국하면서 광주전남지역 최초의 민영TV방송으로서 방송을 시작하였다. 1980년대 이후 송신소 출력을 높이고 난시청 지역에 간이중계소를 꾸준히 설치하면서 방송권역을 점차 넓혀갔고, 2004년 7월 30일에는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함으로써 시청자들에게 보다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광주전남지역과 전북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중이다.
3. 1. 개요
1970년 8월 29일 호남텔레비전방송(주)가 호출부호 HLSR, 채널9, 영상출력 5kW, 음향출력 1kW로 TV방송을 개국하면서 광주전남지역 최초의 민영TV방송으로서 방송을 시작하였다. 1980년대 이후 송신소 출력을 높이고 난시청 지역에 간이중계소를 꾸준히 설치하면서 방송권역을 점차 넓혀갔고, 2004년 7월 30일에는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함으로써 시청자들에게 보다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광주전남지역과 전북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중이다.3. 2. 프로그램
광주문화방송은 1970년 8월 29일 호남텔레비전방송(주)가 호출부호 HLSR, 채널9, 영상출력 5kW, 음향출력 1kW로 TV방송을 개국하면서 광주전남지역 최초의 민영TV방송으로서 방송을 시작하였다.[1] 1980년대 이후 송신소 출력을 높이고 난시청 지역에 간이중계소를 꾸준히 설치하면서 방송권역을 점차 넓혀갔고, 2004년 7월 30일에는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여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1] 현재 광주전남지역과 전북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중이다.[1]TV 프로그램으로는 보도, 교양, 예능 프로그램등이 있다.
3. 2. 1. 보도
주말 50분(금요일 20:05 ~ 20:20)
주말 편성 조정: 토~일 20:35 ~ 20:45
송정근, 홍진선 (주말 교대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