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주문화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문화방송(광주MBC)은 1964년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여 1970년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한 대한민국의 방송국이다.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사옥이 소실되었으나, 이후 복구되어 현재까지 라디오(AM, FM)와 TV 방송을 운영하고 있다. 지상파 DMB 방송도 제공하며, 광주·전남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광주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광주극동방송
    광주극동방송은 광주광역시를 가청권역으로 하는 극동방송 지사로, 2010년 개설되어 FM 93.1MHz 주파수로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 방송한다.
  • 대한민국의 광주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JTV MAGIC FM
    JTV MAGIC FM은 JTV에서 방송하는 라디오 채널이며, 90.1㎒ 주파수로 전라북도 일원에 방송된다.
  • 대한민국의 전라남도 지상파 방송국 - 광주극동방송
    광주극동방송은 광주광역시를 가청권역으로 하는 극동방송 지사로, 2010년 개설되어 FM 93.1MHz 주파수로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 방송한다.
  • 대한민국의 전라남도 지상파 방송국 - JTV MAGIC FM
    JTV MAGIC FM은 JTV에서 방송하는 라디오 채널이며, 90.1㎒ 주파수로 전라북도 일원에 방송된다.
  • 문화방송 계열 방송국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 문화방송 계열 방송국 - MBC강원영동
    MBC강원영동은 강원특별자치도를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문화방송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8년 영동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는 강릉과 삼척 방송국을 운영하며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한다.
광주문화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광주문화방송 로고
광주문화방송 로고
광주문화방송 現 월산동 사옥(1988년 10월 29일 ~ 현재)
광주문화방송 現 월산동 사옥(1988년 10월 29일 ~ 현재)
회사명광주문화방송주식회사 (光州文化放送株式會社)
영문명Gwang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약칭광주MBC
종류공영 방송
방송 영역지상파 방송
창립일1964년 5월 24일
개국일AM 라디오: 1964년 6월 13일
TV: 1970년 8월 29일
음악FM: 1983년 10월 22일
표준FM: 1988년 1월 30일
이전 명칭한국문화방송(주)광주국 (1964 ~ 1971년)
호남텔레비전(주) (1970 ~ 1971년)
시장 정보비상장
자본금1,500,000,000원 (2015.12)
매출액26,662,629,613원 (2015)
영업 이익2,023,281,524원 (2015)
순이익2,293,212,810원 (2015)
자산 총액67,148,001,486원 (2015.12)
주주주식회사 문화방송 100%
직원 수84명 (2015.12)
본사 위치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로116번길 17
사장김낙곤 (대표이사 사장)
모기업문화방송
웹사이트광주문화방송

2. 연혁

2. 1. 1960년대


  • 1963년 4월 12일: 라디오 무선국 가허가를 받았다.
  • 1964년 6월 13일: 한국문화방송(주)광주국 라디오가 개국하였다.(호출부호 HLCN, 출력 1kW, 주파수 820㎑) 광주 동구 궁동 사옥(광주 동구 대인동 194-4)에서 첫 전파를 발사하였다.
  • 1967년 12월 19일: 호남 텔레비전 무선국 허가를 받았다.
  • 1968년 7월 24일: 호남 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을 설립하였다. 자본금은 51000KRW이었다. 대표이사 사장은 최승효였다.
  • 1968년 11월 9일: 라디오 출력을 1kW에서 20kW로 증강하였다.

2. 2. 1970년대


  • 1970년 8월 29일: 호남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 개국(TV) - 호출부호 HLSR, 채널9, 영상출력 5kW, 음향출력 1kW[1]
  • 1971년 10월 1일: 호남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가 한국문화방송(주) 광주국을 인수 병합하고 광주문화방송으로 변경. 최승효 대표이사 취임.[1]
  • 1971년 12월 24일: 라디오 연주소를 광주시 대인동 194-4에서 광주시 궁동 18로 이전.[1]
  • 1978년 11월 1일: 국제전기통신연합 ITU가 AM 주파수 간격을 10kHz에서 9kHz로 변경함에 따라 라디오 주파수 변경 (820㎑ → 819㎑)[1],[2]

2. 3. 1980년대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왜곡방송으로 시위대에 의해 사옥 및 방송 장비가 불에 타 전소되었다.[3] 1980년 6월 5일 긴급 복구 상태에서 비아송신소 임시 스튜디오를 통해 서울 MBC 프로그램을 중계하는 동시에 로컬 뉴스와 광고, 콜사인을 송출했다. 1980년 6월 9일에는 광주시 동구 금남로5가 183-1 흥국생명빌딩 2, 5, 6층 일부를 임시 연주소 및 사무실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1980년 7월 5일 텔레비전 로컬 뉴스 방송을 개시했으며, 1980년 10월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문화방송에 주식 51%를 강제로 넘겨주게 되었다.[3] 1980년 11월 12일 구 사옥 복구 작업이 시작되어 1981년 3월 25일 완료되었다. 1981년 3월 28일 임원실 및 관리 부서가 복원 사옥으로 이전했고, 1981년 4월 6일에는 구 사옥(궁동)으로 완전히 복귀했다. 1981년 4월 15일에는 보도, 편성국, 라디오 연주소가 이전하여 복원 사옥에서 오후 1시부터 라디오 정규방송을 실시했고, 1981년 4월 16일에는 텔레비전 연주소도 이전하여 복원 사옥에서 오후 5시 30분부터 텔레비전 정규방송을 실시했다.

1981년 12월 31일 TV 영상 출력을 5kW에서 10kW로 증강했다. 1983년 10월 22일에는 FM 방송(주파수 91.5㎒, 출력 5kW)을 개국했다. 1985년 10월에는 일본 후쿠오카 방송과 자매결연을 체결했다.

1986년 5월 9일 사동TV중계소(100W)와 북하TV중계소(10W)를 개국했다. 1987년 3월 9일 뉴스데스크 지역 방송을 개시했으며, 1987년 5월 30일 노고단 중계소를 개소하여 TV·FM 방송(TV 출력 10kW, FM 주파수 95.1㎒, FM 출력 1kW)을 시작했다. 1987년 7월 18일 월산동에 신사옥을 착공했다.

1988년 1월 30일 표준FM 방송(주파수 93.9㎒, 출력 5kW)을 개국하고, 1988년 2월 19일 노동조합을 설립했다. 1988년에는 여러 중계소를 개국했는데, 7월 6일 영광TV중계소(10W), 법성TV중계소(10W), 군남TV중계소(100W), 8월 10일 도화TV중계소(100W), 9월 30일 북일TV중계소(100W), 대덕TV중계소(100W), 고흥TV중계소(100W), 녹동TV중계소(100W), 10월 5일 영암TV중계소(100W)가 개국되었다. 1988년 10월 29일 신사옥을 준공하여 이전했다.

1989년 3월 11일 포두TV중계소(10W), 1989년 3월 27일 곡성TV중계소(10W)를 개국했으며, 1989년 7월 24일 구사옥(궁동)을 매각 처분했다.

2. 4. 1990년대


  • 1994년 6월 10일: 무등산송신소 신축
  • 1995년 7월 10일: 중국 저장TV와 우호합작의향서 조인
  • 1995년 11월 1일: 사보『광주MBC저널』발간
  • 1995년 11월 10일: 『광주MBC30년사』발간
  • 1999년 3월 1일: 광주MBC 인터넷 홈페이지 개설

2. 5. 2000년대

2. 6. 2010년대

3. TV 방송

1970년 8월 29일 호남텔레비전방송(주)가 호출부호 HLSR, 채널9, 영상출력 5kW, 음향출력 1kW로 TV방송을 개국하면서 광주전남지역 최초의 민영TV방송으로서 방송을 시작하였다. 1980년대 이후 송신소 출력을 높이고 난시청 지역에 간이중계소를 꾸준히 설치하면서 방송권역을 점차 넓혀갔고, 2004년 7월 30일에는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함으로써 시청자들에게 보다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광주전남지역과 전북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중이다.

3. 1. 개요

1970년 8월 29일 호남텔레비전방송(주)가 호출부호 HLSR, 채널9, 영상출력 5kW, 음향출력 1kW로 TV방송을 개국하면서 광주전남지역 최초의 민영TV방송으로서 방송을 시작하였다. 1980년대 이후 송신소 출력을 높이고 난시청 지역에 간이중계소를 꾸준히 설치하면서 방송권역을 점차 넓혀갔고, 2004년 7월 30일에는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함으로써 시청자들에게 보다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광주전남지역과 전북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중이다.

3. 2. 프로그램

광주문화방송은 1970년 8월 29일 호남텔레비전방송(주)가 호출부호 HLSR, 채널9, 영상출력 5kW, 음향출력 1kW로 TV방송을 개국하면서 광주전남지역 최초의 민영TV방송으로서 방송을 시작하였다.[1] 1980년대 이후 송신소 출력을 높이고 난시청 지역에 간이중계소를 꾸준히 설치하면서 방송권역을 점차 넓혀갔고, 2004년 7월 30일에는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여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1] 현재 광주전남지역과 전북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중이다.[1]

TV 프로그램으로는 보도, 교양, 예능 프로그램등이 있다.

3. 2. 1. 보도

주말 50분평일 20:30 ~ 20:45
(금요일 20:05 ~ 20:20)
주말 편성 조정: 토~일 20:35 ~ 20:45양세원 (평일)
송정근, 홍진선 (주말 교대 진행)


3. 2. 2. 교양·예능

3. 3. 방송 송출 시설망

광주문화방송은 1970년 8월 29일 호남텔레비전방송(주)가 호출부호 HLSR, 채널 9, 영상출력 5kW, 음향출력 1kW로 TV방송을 개국하면서 광주전남지역 최초의 민영TV방송으로서 방송을 시작하였다. 1980년대 이후 송신소 출력을 높이고 난시청 지역에 간이중계소를 꾸준히 설치하면서 방송권역을 점차 넓혀갔다. 2004년 7월 30일에는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여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광주전남지역과 전북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중이다.[1]

디지털TV와 아날로그TV 송출 시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3. 1. 디지털TV


송신소물리 채널공중선 전력
무등산K-14ch2.5kW
각화K-14ch0.05W
풍암K-14ch0.05W
소태K-14ch0.05W
화순K-14ch0.05W
노고단K-22ch1kW
영천K-42ch5W
북일K-45ch20W
북이K-23ch10W
영광K-28ch5W
법성K-46ch5W
군남K-26ch20W
영암K-30ch20W
대덕K-19ch20W
방장산K-37ch20W
고흥K-22ch20W
녹동K-36ch20W
도화K-26ch20W
포두K-20ch5W


3. 3. 2. 아날로그TV (2012년 10월 30일 종료)

HLCN-TV영어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은 2012년 10월 30일 오후 2시에 종료되었다.

송신소채널공중선 전력
무등산K-9ch10kW
노고단K-51ch10kW
곡성K-41ch10W
사동K-45ch100W
북일K-33ch100W
북하K-45ch10W
영광K-50ch10W
법성K-52ch10W
군남K-27ch100W
영암K-50ch100W
대덕K-47ch100W
고흥K-43ch100W
도화K-35ch100W
포두K-56ch10W


4. 라디오 방송

광주문화방송은 AM 819kHz, 표준FM 93.9MHz의 광주MBC 라디오(호출부호 HLCN)와 FM 91.5MHz의 광주MBC FM4U(호출부호 HLCN-FM) 등 두 개의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1]

4. 1. 개요

광주문화방송은 대한민국 광주·전라남도를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사이다. 1964년에 개국하였으며, 라디오 2채널과 TV 1채널, 그리고 DMB 1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호출부호는 HLCN이다.

라디오 채널은 AM 819KHz, 표준FM 93.9MHz의 표준FM과 FM 91.5MHz의 FM4U가 있다. 광주문화방송은 전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여수문화방송과 함께 공동 투자하여 광주, 전남, 전북 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DMB 사업자로도 참여하고 있다.

4. 2. 프로그램

광주MBC는 AM영어 819KHz, 표준FM 93.9MHz의 광주MBC 라디오와 FM영어 91.5MHz의 광주MBC FM4U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1]

4. 2. 1. 광주MBC 표준FM

프로그램명방송 시간요일진행자
광주MBC 뉴스 (0900)5분평일연빛나
광주MBC 정오종합뉴스5분평일양세원
광주MBC 뉴스 (1800)5분평일양세원
놀라운 3시55분월요일 ~ 금요일김태일, 정혜정
시사 톡 라이브55분월요일 ~ 금요일박진아



'''아나운서'''

4. 2. 2. 광주MBC FM4U

이다솔은 현재 광주MBC FM4U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지 않다.

4. 3. 방송 송출 시설망

구분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 부호
AM 라디오비아819kHz20kWHLCN
표준FM무등산93.9MHz5kWHLCN-SFM
FM4U무등산91.5MHz5kWHLCN-FM
FM4U노고단95.1MHz1kW없음



광주MBC는 AM 819kHz, 표준FM 93.9MHz (광주, 전남 중북부), FM4U 91.5MHz (광주, 전남 중북부), 95.1MHz (구례)로 방송된다.

4. 3. 1. 광주MBC 표준FM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 부호
무등산FM 93.9MHz5kWHLCN-SFM


4. 3. 2. 광주MBC FM4U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 부호
무등산FM 91.5MHz5kWHLCN-FM
노고단FM 95.1MHz1kW없음


5. 지상파 DMB 방송

호남 MBC는 호출 부호 HLCN-TDMB로, 목포문화방송, 여수문화방송, 전주문화방송과 공동으로 운영한다.

5. 1. Honam MBC

목포문화방송, 여수문화방송, 전주문화방송과 공동 운영하고 있다.

송신소물리 채널 (주파수)공중선 전력
무등산K-8Ach (181.280MHz)2kW
모악산K-12Ach (205.280MHz)2kW
삼공K-12Ach (205.280MHz)90W
노고단K-12Ach (205.280MHz)2kW
대둔산K-8Ach (181.280MHz)2kW
양을산K-8Ach (181.280MHz)90W
망운산K-7Ach (175.280MHz)2kW
구봉산K-7Ach (175.280MHz)90W


6. 임직원

광주문화방송은 시사보도본부, 콘텐츠본부, 디지털콘텐츠팀, 영상제작센터 등 여러 부서를 두고 있으며, 각 부서에서 기자, PD, 아나운서, 영상감독 등이 일하고 있다.

6. 1. 기자, PD

광주문화방송에는 시사보도본부, 콘텐츠본부, 디지털콘텐츠팀, 영상제작센터 등 여러 부서가 있으며, 각 부서에서 기자, PD, 아나운서, 영상감독 등이 일하고 있다.

6. 1. 1. 시사보도본부

김철원(본부장)

6. 1. 2. 콘텐츠본부

6. 1. 3. 디지털콘텐츠팀

이름직책비고
박진아PD팀장
김귀빈PD아나운서
류권형PD아나운서
이주형PD
오혜정PD
조은영PD


6. 1. 4. 영상제작센터

직책이름
영상감독(센터장)이경섭
영상감독박노현, 김 환, 이대영
영상기자전윤철, 강성우, 김상배, 임원후


7. 특이사항

8. 교통편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돌고개역

9. 본사 위치

대한민국한국어 61629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로 116번길 17 (월산동 300)

참조

[1] 뉴스 80년 5월, 광주MBC는 왜 잿더미가 됐나. https://imnews.imbc.[...] 2022-05-20
[2] 뉴스 "불타는 광주MBC, 보기드문 컬러" 日 공개한 5·18 희귀사진 https://n.news.naver[...] 2021-05-27
[3] 문서 미공개 필름을 유실됐던 일본의 아사히신문 오사카 본사 사진부 소속했던 아오이 가쓰오(靑井捷夫) 기자가 광주에서 찍은 사진 247장 분량의 필름을 발견된 광주MBC 건물 불에 타는 장면이 포착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