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동군은 한반도 남단 경상남도 서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온 유서 깊은 곳이다. 삼국 시대에는 가야와 백제에 속했으며, 신라 경덕왕 때 하동군으로 개칭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하동도호부로 승격되었고, 근현대에는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지리산과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인접해 있으며, 섬진강을 젖줄로 하는 하동군은 녹차, 대봉감, 딸기, 매실 등 다양한 특산물로 유명하다. 또한, 하동 야생차 문화 축제, 화개장터 벚꽃 축제 등 다양한 문화 행사와 관광 명소가 있으며, 인물로는 정기룡, 이병주, 정호승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동군 - 악양면
악양면은 경상남도 하동군에 위치하며 섬진강 유역의 역사적인 요충지이자 박경리의 소설 《토지》의 배경으로, 토지문학제가 개최되고 알밤, 매실 등의 특산물이 유명하다. - 하동군 - 하동군의 행정 구역
하동군은 1개의 읍과 12개의 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동읍은 군의 중심지이고 나머지 면들은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행정 구역 개편과 읍 승격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 1413년 폐지 - 장성군
장성군은 전라남도 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백제 시대 고시이현에서 갑성군을 거쳐 장성현으로, 이후 장성도호부를 거쳐 현재의 장성군이 되었으며, 광주광역시와 전북특별자치도 사이에 위치하고 백양사, 필암서원, 장성호 등의 관광지가 있다. - 1413년 폐지 - 가평군
경기도 북동부에 위치한 가평군은 북한강 유역의 청평호, 남이섬 등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아침고요수목원, 쁘띠프랑스 등의 관광 명소,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 등으로 유명하며, 고구려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관광 산업 중심의 1읍 5면으로 이루어진 군이다. - 757년 설치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 북부에 위치하며, 농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금강산 등 관광 자원을 보유한 군이다. - 757년 설치 - 고성군 (경상남도)
고성군은 경상남도 중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삼한시대 고자미동국에서 소가야의 중심지를 거쳐 조선시대 고성현을 지나 1895년 고성군이 되었으며, 상족암군립공원, 공룡 발자국 화석 산지, 당항포 등의 관광지가 있다.
하동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하동군 |
한국어 표기 | 하동군 |
한자 표기 | 河東郡 |
로마자 표기 | Hadong-gun |
맥큔-라이샤워 표기 | Hadong-kun |
지역 | 영남 지방 |
방언 | 경상도 방언 |
면적 | 675.53 km² |
인구 (2024년 9월 기준) | 40,909명 |
인구 밀도 | 85.9명/km² |
행정 구역 | 1 읍, 12 면 |
![]() | |
![]() | |
웹사이트 | 하동군청 |
행정 | |
군수 | 하승철 (국민의힘) |
국회의원 | 서천호 (국민의힘, 사천시·남해군·하동군) |
군청 소재지 | 하동읍 군청로 23 (읍내리 180-3) |
상징 | |
군목 | 은행나무 |
군화 | 철쭉 |
군조 | 비둘기 |
2. 역사
하동군은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유서 깊은 지역이다. 진국 시대에는 다사촌(多沙村)으로 불렸으며, 삼한 시대에는 변한 12국 중 하나인 악노국에 속했다. 삼국 시대에는 가야와 백제에 속했으며, 일본서기에는 '사타(娑陀)', '체사(滯沙)', '대사(帶沙)', '다사진(多沙津)'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29] 백제는 하동 지역을 한다사군(韓多沙郡)과 소다사현(小多沙縣)으로 나누어 통치했다. 신라 경덕왕 16년(757년)에 한다사군은 하동군으로, 소다사현은 악양현(嶽陽縣)으로 개칭되었다.[29] 고려 시대에는 진주목 하동현으로 불렸다.
조선 태종 14년(1414년) 남해현과 합쳐 하남현으로 개칭되었다. 숙종 28년(1702년) 악양현을 하동군에 편입하였고, 1704년(숙종 30년) 하동도호부로 승격되었다.[2]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도호부 제도가 폐지되고 23부제가 시행되면서 진주부 하동군으로 개편되었으며,[30] 1896년 8월 4일 13도제가 실시되면서 경상남도 하동군으로 개편되었다.[31] 이후 행정 구역 변천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1906년 9월 24일 | 진주군에서 현재의 옥종면, 청암면, 북천면 일부를 편입하였다.[32] |
1914년 4월 1일 | 곤양군 서면, 금양면을 편입하여 15면으로 개편하였다. |
1915년 1월 1일 | 전라남도 광양군 다압면 섬진리 일부를 하동군에 편입하였다.[33] |
1917년 | 덕양면을 하동면으로, 내횡보면을 횡천면으로, 동면을 진교면으로 개칭하였다. |
1928년 4월 1일 | 옥동면과 가종면이 옥종면으로 합면하였다. (13면) |
1933년 1월 1일 | 금양면을 폐지하여 진교면·금남면(구 남면)에 편입하였다. |
1938년 10월 1일 | 하동면을 하동읍으로 승격하였다. (1읍 11면) |
1989년 4월 1일 | 금남면 갈사출장소를 금성면으로 승격하였다. (1읍 12면) |
한국 전쟁 당시 하동 매복 사건 등 북한군의 공격을 받았다.
2. 1. 고대
진국 시대에는 다사촌(多沙村)으로 불렸다. 삼한 시대에는 변한 12국 중 하나인 악노국에 속했다. 삼국 시대에는 가야와 백제에 속했으며, 일본서기에는 '사타(娑陀)', '체사(滯沙)', '대사(帶沙)', '다사진(多沙津)'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29] 백제는 하동 지역을 한다사군(韓多沙郡)과 소다사현(小多沙縣)으로 나누어 통치했다.일본서기에 따르면, 하동 지역은 다음과 같이 기록되었다.
- 512년: 게이타이기(繼體紀) 6년 12월조에 가야의 사타(娑陀)로 나타나며, 백제가 공격한 가야의 땅으로 기록되어 있다.[29]
- 513년: 게이타이기 11월조에 ‘체사(滯沙)’가 나타난다.[29]
- 514년: 게이타이기 3월조에 ‘대사(帶沙)’가 나타난다.[29]
- 529년: 게이타이기 29년 3월조에 ‘다사진(多沙津)’이 나타난다.[29]
- 540년: 긴메이기(欽明紀) 원년 9월조에 사타(裟陀) 지명이 나오는데, 이는 ‘다사’의 오기로 보인다.
신라 757년(경덕왕 16년)에는 한다사군이 하동군으로, 소다사현이 악양현(嶽陽縣)으로 개칭되었다.
2. 2. 신라와 고려
신라 경덕왕 16년(757년)에 한다사군은 하동군으로, 소다사현은 악양현(嶽陽縣)으로 개칭되었다.[29] 고려 시대에는 진주목 하동현으로 불렸다.2. 3. 조선
1414년(태종 14년) 남해현과 합쳐 하남현으로 개칭되었다. 1702년(숙종 28년) 악양현을 하동군에 편입하였고, 1704년(숙종 30년) 하동도호부로 승격되었다.[2]2. 4. 근현대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도호부 제도가 폐지되고 23부제가 시행되면서 진주부 하동군으로 개편되었다.[30] 1896년 8월 4일 13도제가 실시되면서 경상남도 하동군으로 개편되었다.[31]1906년 9월 24일 진주군에서 현재의 옥종면, 청암면, 북천면 일부를 편입하였다.[32] 1914년 4월 1일 곤양군 서면, 금양면을 편입하여 15면으로 개편하였다. 1915년 1월 1일 전라남도 광양군 다압면 섬진리 일부를 하동군에 편입하였다.[33]
1917년 덕양면을 '''하동면'''으로, 내횡보면을 '''횡천면'''으로, 동면을 '''진교면'''으로 개칭하였다. 1928년 4월 1일 옥동면과 가종면이 옥종면으로 합면하였다. (13면) 1933년 1월 1일 금양면을 폐지하여 진교면·금남면(구 남면)에 편입하였다. 1938년 10월 1일 하동면을 하동읍으로 승격하였다. (1읍 11면)
한국 전쟁 당시 하동 매복 사건 등 북한군의 공격을 받았다.
1989년 4월 1일 금남면 갈사출장소를 금성면으로 승격하였다. (1읍 12면)
3. 지리
하동군은 한반도 남단, 경상남도 서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북쪽으로 지리산, 남쪽으로 한려해상국립공원과 접한다. 섬진강을 경계로 전라남도 광양시, 구례군과 접하고, 지리산을 경계로 전라북도 남원시, 경상남도 산청군, 함양군과 접한다. 남해 바다를 경계로 남해군과 인접해 있다. 총면적은 675.5km2이다.[34]
하동군에는 지리산국립공원과 한려해상국립공원이 있다. 하동읍 광평리에 있는 백사청송송림공원은 조선 영조 21년(1745년)에 심었던 소나무가 250년의 세월을 거쳐 26000m2의 거대한 솔밭이 되어 천연기념물 제445호로 지정되었다.[35]
3. 1. 지형
지리산국립공원과 한려해상국립공원이 위치하고 있다. 지리산 자락에는 토끼봉(1,533m), 영신봉(1,650m), 삼각고지(1,586m), 삼신봉(1,284m) 등 높은 봉우리들이 있다. 섬진강이 하동군을 관통하며, 섬진강에는 22개의 섬이 있고 그 중 대도섬이 유일한 유인도이다.[34] 덕천강은 낙동강 수계에 속하며, 하동군 옥종면에서 발원하여 진양호로 흘러들어간다.3. 2. 기후
봄에는 강한 바람이 불고 황사 현상이 자주 나타나며, 여름에는 장마전선이 형성되어 7, 8월에는 집중호우를 동반한 태풍이 온다. 가을에는 맑고 청명한 날씨가 계속되고, 겨울에는 북서계절풍이 불어 추운 날씨가 계속된다. 연평균 기온은 15.1℃이고 최고 기온은 35.2℃, 최저 기온은 -10.9℃를 기록하고 있으며, 연평균 강수량은 1683.8mm이다.[34]4. 행정 구역
하동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2면으로, 108개 법정리와 557개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675.27km2이다.[36] 2008년 12월 30일 기준 인구는 22,066세대, 53,765명이며, 전체 인구의 22.3%가 하동읍에 거주한다.[37]
읍·면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
하동읍 | 河東邑 | 4,512 | 11,964 | 29.5km2 |
화개면 | 花開面 | 1,407 | 3,651 | 134.36km2 |
악양면 | 岳陽面 | 1,750 | 3,946 | 52.64km2 |
적량면 | 赤良面 | 1,023 | 2,318 | 41.71km2 |
횡천면 | 橫川面 | 968 | 2,357 | 34.5km2 |
고전면 | 古田面 | 1,194 | 2,896 | 36.18km2 |
금남면 | 金南面 | 1,795 | 4,687 | 43.1km2 |
진교면 | 辰橋面 | 2,924 | 7,336 | 49.93km2 |
양보면 | 良甫面 | 967 | 2,357 | 34.42km2 |
북천면 | 北川面 | 994 | 2,145 | 32.94km2 |
청암면 | 靑岩面 | 792 | 1,853 | 75.63km2 |
옥종면 | 玉宗面 | 2,036 | 4,493 | 87.8km2 |
금성면 | 金星面 | 1,509 | 3,866 | 22.27km2 |
읍·면 | 법정리 |
---|---|
하동읍 | 읍내리, 광평리, 비파리, 신기리, 목도리, 흥룡리, 화심리, 두곡리 |
고전면 | 범어리, 성천리, 신월리, 전도리, 대덕리, 고하리, 성평리, 명교리 |
양보면 | 운암리, 장암리, 감당리, 우복리, 통정리, 박달리, 지례리 |
북천면 | 방화리, 사평리, 척전리, 옥정리, 서황리, 화정리 |
옥종면 | 청룡리, 월횡리, 두양리, 종화리, 문암리, 안계리, 병천리, 법대리, 대야리, 북방리, 정수리, 양추리, 궁항리, 위대리, 회신리 |
적량면 | 관리, 우계리, 동리, 서리, 동산리, 고절리 |
횡천면 | 전답리, 애치리, 여의리, 횡천리, 월평리, 남산리, 학리 |
악양면 | 미점리, 추지리, 신답리, 신성리, 신흥리, 중대리, 동매리, 등촌리, 매계리, 정동리, 정서리, 립석리, 봉대리, 평사리 |
진교면 | 진교리, 백련리, 안심리, 구룡리, 양포리, 관곡리, 월운리, 송원리, 구리리, 술상리 |
화개면 | 부춘리, 덕은리, 탑리, 삼신리, 정금리, 운수리, 용강리, 반왕리, 대성리 |
청암면 | 평촌리, 명호리, 중리, 상리, 묵계리 |
금남면 | 중평리, 대치리, 노량리, 송문리, 대송리, 덕천리, 정정리, 계천리, 대도리 |
금성면 | 가덕리, 궁항리, 고포리, 갈사리 |
5. 인구
하동군의 인구는 2008년 12월 30일 기준 22,066세대 53,765명이며, 전체 인구의 22.3%가 하동읍에 거주한다.[37] 하동군은 1읍 12면으로 구성되어 있다.[36]
읍·면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km2) |
---|---|---|---|---|
하동읍 | 河東邑 | 4,512 | 11,964 | 29.5 |
화개면 | 花開面 | 1,407 | 3,651 | 134.36 |
악양면 | 岳陽面 | 1,750 | 3,946 | 52.64 |
적량면 | 赤良面 | 1,023 | 2,318 | 41.71 |
횡천면 | 橫川面 | 968 | 2,357 | 34.50 |
고전면 | 古田面 | 1,194 | 2,896 | 36.18 |
금남면 | 金南面 | 1,795 | 4,687 | 43.1 |
진교면 | 辰橋面 | 2,924 | 7,336 | 49.93 |
양보면 | 良甫面 | 967 | 2,357 | 34.42 |
북천면 | 北川面 | 994 | 2,145 | 32.94 |
청암면 | 靑岩面 | 792 | 1,853 | 75.63 |
옥종면 | 玉宗面 | 2,036 | 4,493 | 87.8 |
금성면 | 金星面 | 1,509 | 3,866 | 22.27 |
6. 산업
하동군은 농업, 어업, 공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6. 1. 농업
하동은 신라 시대 때 사신이 당나라에서 가져온 녹차 씨앗을 지역에 심으면서부터 녹차로 유명해졌다.[3] 지역 정부는 이를 역사적으로 주요 지역 관광 명소로 홍보해 왔으며, 2007년 CNN에서 방영된 관광 광고를 후원하기도 했다.[6] 매년 5월과 6월에 25일간 열리는 '야생차' 축제도 있다.[3][4]7. 문화
하동군은 녹차, 대봉감, 옥종면의 옥종딸기, 매실, 밤 등이 유명하며, 수자원으로 재첩과 참게가 유명하다.[39]
하동은 신라 시대 때 사신이 당나라(Tang Empire)에서 가져온 녹차 씨앗을 지역에 심으면서부터 녹차로 유명해졌다.[3] 지역 정부는 역사적으로 이를 주요 지역 관광 명소로 홍보해 왔으며, 2007년 CNN에서 방영된 관광 광고를 후원하기도 했다.[6] 매년 5월과 6월에 25일간 열리는 '야생차' 축제도 있다.[3][4] 하동 야생차 문화 축제를 개최하여 하동 녹차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3][4]
섬진강 상류댐의 방류 부족으로 섬진강 하류의 유지수량 감소하여 염분 농도가 증가하면서 섬진강 재첩의 수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멸종 위기에까지 몰려 있는 상황이다.[41]
쌍계사는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조계종 사찰로 지리산 국립공원 안에 있다. 722년 신라 성덕왕 21년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삼법스님이 창건하였는데, 처음에는 옥천사라고 하였던 것을 887년 쌍계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쌍계사 진감선사 대공탑비는 보물 제47호, 쌍계사 부도는 보물 제380호로 지정되어 있다.[42]
화개장터는 조영남의 노래 《화개장터》로 더 유명해졌으며, 4월이 되면 십리벚꽃길이 장관을 이룬다. 이 길은 사랑하는 연인들이 손을 잡고 걸으면 백년해로한다는 이야기가 있어 "혼례길"이라고도 불린다.[42]
'''청학동'''(도인촌)은 지리산 삼신봉 동쪽 기슭에 있는 마을이다. 주민들은 전통 한옥 형태의 집에서 생활하며, 전통 한복 차림을 유지한다.
악양면 평사리에는 박경리의 소설 《토지》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 세트장인 최참판댁이 있다.
삼성궁은 청암면 묵계리에 있으며, 해발 850m 지점에 있다. 정식 명칭은 지리산청학선원 배달성전 삼성궁으로, 1983년 고조선 시대의 소도를 복원하여 민족의 성조인 환인, 환웅, 단군을 모신 곳이다.[43]
금오산은 지리산이 동남쪽으로 뻗은 줄기로 하동군 동쪽 남해 연안에 있는 높이 849m의 산이다. 고려 시대 때 왜구를 막기 위해 축성한 금오산 성지가 남아 있으며, 산 정상에는 통신 시설이 갖춰져 있다.
섬진강과 지리산 사이에 자리 잡은 하동군은 자연을 즐기는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여행지이다.[3] 지리산국립공원의 일부가 하동군에 위치하여 군의 주요 지형을 이룬다.[4]
박경리의 16권짜리 소설 토지의 배경 중 일부는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다. 작가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소설 속 최씨 집안의 집이 복원되었다.[3][5]
7. 1. 음식
하동군은 녹차, 대봉감, 옥종면의 옥종딸기, 매실, 밤 등이 유명하며, 수자원으로 재첩과 참게가 유명하다.[39]- '''녹차'''
2011년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4회 대한민국 차 품평대회》에서 악양면 ‘죽향다원’이 녹차부분 대상을 수상했으며, 발효차 부문에서도 하동군 ‘황아차농원’이 금상을 수상했고, 하동군 ‘석천다원’이 최우수상을, 하동군 ‘매암제다원’과 ‘향남농원’이 우수상을 차지 하는 등 하동녹차가 대한민국 차 품평대회의 모든 부문의 상을 수상했다.[40]
하동은 신라 시대 때 사신이 당나라(Tang Empire)에서 가져온 녹차 씨앗을 지역에 심으면서부터 녹차로 유명해졌다.[3] 지역 정부는 역사적으로 이를 주요 지역 관광 명소로 홍보해 왔으며, 2007년 CNN에서 방영된 관광 광고를 후원하기도 했다.[6] 매년 5월과 6월에 25일간 열리는 '야생차' 축제도 있다.[3][4]
- '''섬진강 재첩'''
섬진강 상류댐의 방류 부족으로 섬진강 하류의 유지수량 감소하여 염분 농도가 증가하면서 꾸준히 수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멸종 위기에까지 몰려 있는 상황이다.[41]
7. 2. 축제
매년 하동 야생차 문화 축제를 개최하여 하동 녹차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3][4] 하동은 신라 시대 때 사신이 당나라에서 가져온 녹차 씨앗을 심으면서부터 녹차로 유명해졌다.[3]7. 3. 관광

쌍계사는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조계종 사찰로 지리산 국립공원 안에 있다. 722년 신라 성덕왕 21년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삼법스님이 창건하였는데, 처음에는 옥천사라고 하였던 것을 887년 쌍계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쌍계사 진감선사 대공탑비는 보물 제47호, 쌍계사 부도는 보물 제380호로 지정되어 있다.[42]
화개장터는 조영남의 노래 《화개장터》로 더 유명해졌으며, 4월이 되면 십리벚꽃길이 장관을 이룬다. 이 길은 사랑하는 연인들이 손을 잡고 걸으면 백년해로한다는 이야기가 있어 "혼례길"이라고도 불린다.[42]
'''청학동'''(도인촌)은 지리산 삼신봉 동쪽 기슭에 있는 마을이다. 주민들은 전통 한옥 형태의 집에서 생활하며, 전통 한복 차림을 유지한다. 미성년 남녀는 머리를 길게 땋고, 성인 남자는 갓을 쓰고 도포를 입는 등 전통을 지키고 있다. 아이들은 마을 서당에서 공부하며, 주민들은 농업, 약초, 산나물 채취, 양봉, 가축 사육 등으로 생계를 유지한다. 최근에는 관광객을 위한 전통 음식점도 많이 운영되고 있다.
악양면 평사리에는 박경리의 소설 《토지》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 세트장인 최참판댁이 있다.
삼성궁은 청암면 묵계리에 있으며, 해발 850m 지점에 있다. 정식 명칭은 지리산청학선원 배달성전 삼성궁으로, 1983년 고조선 시대의 소도를 복원하여 민족의 성조인 환인, 환웅, 단군을 모신 곳이다. 민족의 전통 도맥인 선도를 지키고 신선도를 수행하는 도장으로 자리 잡고 있다.[43]
금오산은 지리산이 동남쪽으로 뻗은 줄기로 하동군 동쪽 남해 연안에 있는 높이 849m의 산이다. 고려 시대 때 왜구를 막기 위해 축성한 금오산 성지가 남아 있으며, 산 정상에는 통신 시설이 갖춰져 있다.
섬진강과 지리산 사이에 자리 잡은 하동군은 자연을 즐기는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여행지이다.[3] 지리산국립공원의 일부가 하동군에 위치하여 군의 주요 지형을 이룬다.[4]
박경리의 16권짜리 소설 토지의 배경 중 일부는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다. 작가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소설 속 최씨 집안의 집이 복원되었다.[3][5]
8. 교육
고등학교 | 중학교 |
---|---|
9. 교통
남해고속도로가 하동군을 관통하며, 하동 나들목, 진교 나들목이 있다. 국도 제2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59호선이 지난다.
9. 1. 철도
경전선이 지나며 하동역, 양보역, 횡천역, 북천역이 있다.9. 2. 버스
은 제거되어야 하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한다.하동시외버스터미널
10. 방송
주파수 | 방송국 | 송신소 |
---|---|---|
88.1 MHz | BBS 부산불교방송 | 진주 장군대산 |
89.3 MHz | 창원KBS 클래식FM | 진주 망진산 |
90.3 MHz | 진주KBS 제1라디오 | 진주 망진산 |
90.9 MHz | KNN 러브FM | 창원 불모산 |
91.1 MHz | MBC경남 표준FM | 하동 금오산 |
91.7 MHz | 창원KBS 제1라디오 | 창원 불모산 |
92.1 MHz | 창원KBS 클래식FM | 거창 감악산 |
92.5 MHz | febc 창원극동방송 | 진주 장군대산 |
93.5 MHz | MBC경남 표준FM | 거창 감악산 |
93.9 MHz | 창원KBS 클래식FM | 창원 불모산 |
94.1 MHz | 경남CBS 표준FM | 진주 망진산 |
94.5 MHz | 광주KBS 클래식FM | 남해 망운산 |
95.5 MHz | TBN 경남교통방송 | 창원 불모산 |
95.7 MHz | 순천KBS 제1라디오 | 남해 망운산 |
96.1 MHz | MBC경남 FM4U | 거창 감악산 |
97.1 MHz | 진주KBS 제1라디오 | 하동 금오산 |
97.7 MHz | MBC경남 FM4U | 진주 망진산 |
98.1 MHz | febc 창원극동방송 | 창원 불모산 |
98.7 MHz | KNN 러브FM | 진주 장군대산 |
98.9 MHz | MBC경남 표준FM | 창원 불모산 |
100.1 MHz | TBN 경남교통방송 | 진주 장군대산 |
100.5 MHz | MBC경남 FM4U | 창원 불모산 |
101.3 MHz | 여수MBC 표준FM | 남해 망운산 |
101.5 MHz | EBS 라디오 | 진주 망진산 |
102.5 MHz | KNN 파워FM | 창원 불모산 |
103.3 MHz | 진주KBS 제1라디오 | 거창 감악산 |
104.3 MHz | EBS 라디오 | 창원 불모산 |
104.7 MHz | EBS 라디오 | 거창 감악산 |
105.5 MHz | KNN 파워FM | 진주 장군대산 |
106.1 MHz | 창원KBS 해피FM | 창원 불모산 |
106.3 MHz | EBS 라디오 | 남해 망운산 |
106.7 MHz | KNN 파워FM | 거창 감악산 |
106.9 MHz | 경남CBS 표준FM | 창원 불모산 |
하동군에서는 다양한 FM 라디오 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11. 정치
더불어민주당은 하동군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군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전통문화 보존, 관광 산업 육성에 힘쓰고 있다.[1]
12. 인물
13. 자매 결연
하동군은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교류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국가 | 도시 | 체결일 |
---|---|---|
중국 | 산둥성 장추시 | 2005년 12월 4일 |
중국 | 쓰촨성 야안시 | 2005년 12월 7일 |
중국 | 후난성 장자제시 | 2005년 12월 11일 |
미국 | 캘리포니아주 아델란토 | 2018년 3월 22일 |
미국 | 뉴욕주 맨해튼 | 2018년 9월 22일 |
대한민국 | 경기도 안양시 | 1996년 4월 26일 |
대한민국 | 전라남도 광양시 | 1998년 9월 21일 |
대한민국 | 경상남도 거제시 | 1999년 11월 16일 |
대한민국 | 서울특별시 시설관리공단 | 2006년 4월 21일 |
대한민국 | 서울특별시 성동구 | 2007년 3월 30일 |
대한민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2007년 6월 28일 |
대한민국 | 서울특별시 송파구 | 2015년 5월 22일 |
대한민국 | 부산광역시 동구 | 2016년 5월 10일 |
14. 산학 협력
협력 기관 | 체결일 |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2002년 12월 26일 |
한국국제대학교 | 2006년 3월 7일 |
부산여자대학교 | 2008년 7월 11일 |
종로학원 | 2008년 7월 30일 |
경상남도하동교육지원청 | 2008년 12월 11일 |
천안연암대학 귀농지원센터 | 2008년 12월 11일 |
경남도립남해대학 | 2008년 12월 12일 |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 2009년 3월 6일 |
중앙대학교 | 2009년 5월 18일 |
숙명여자대학교 | 2009년 5월 18일 |
단국대학교 | 2009년 7월 9일 |
경희대학교 | 2010년 4월 16일 |
부경대학교 | 2010년 8월 1일 |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Hadong County Official Website
http://www.hadong.go[...]
2016-03-04
[3]
뉴스
Green Tea, Nature and Market at Hadong
https://www.koreatim[...]
2008-03-13
[4]
웹사이트
Asia Society Korea Travel Series 4 – Hadong County
https://asiasociety.[...]
Asia Society
2021-03-05
[5]
뉴스
A statue of Pak Kyong-ni to be set up at Toji Foundation
https://www.donga.co[...]
2018-05-03
[6]
웹사이트
Hadong County Official Website (dead link)
http://www.hadong.go[...]
2018-05-01 # 추정 날짜, May 2018 에서 추정
[7]
뉴스
하동군 국도 19호선 4차선 확.포장 시급
Newsis
2008-01-22
[8]
뉴스
이명박 정부 개발 핫 이슈 "동아시아 7대 경제권 도약 꿈꾼다"
2008-01-26 # Retrieved 날짜를 date로 사용
[9]
웹사이트
Prix littéraires 1960
https://www.frwiki.n[...]
[10]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1]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 음력 날짜를 양력으로 변환하기 어려움. 그대로 기록
[12]
법률
勅令第36号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3]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4]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75号
[15]
법률
慶尚南道令第1号
1928-01-28
[16]
법률
慶尚南道令第17号
1932-10-31
[17]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97号
1938-09-27
[18]
법률
법률 제360호 지방자치단체의폐치분합및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5-06-29
[19]
법률
河東郡条例第100号
[20]
법률
河東郡条例第156号
[21]
법률
大統領令第11027号
[22]
법률
河東郡条例第957号
[23]
법률
河東郡条例第1053号
[24]
법률
河東郡条例第1076号
[25]
간행물
七戸町の資料
http://www.pref.aomo[...]
[26]
법률
河東郡条例第1418号
[27]
법률
河東郡条例第1494号
[28]
법률
河東郡条例第1632号
2002-12-18
[29]
백과사전
사타(娑陀)
http://encykorea.aks[...]
[30]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 음력 날짜를 양력으로 변환하기 어려움. 그대로 기록
[31]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32]
법률
칙령 제49호 地方區域整理件
1906-09-24
[33]
법률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령 제173호
1914-12-22
[34]
간행물
하동관광리플릿
[35]
간행물
하동관광리플릿
2011-07-29
[36]
웹사이트
하동통계연보 - 면적
http://stat.hadong.g[...]
2011-07-12
[37]
웹사이트
하동통계연보 - 인구
http://stat.hadong.g[...]
2011-07-12
[38]
뉴스
느린 열차마저 그곳에선 풍경이 된다
http://travel.chosun[...]
조선일보
2010-09-08
[39]
뉴스
하동군 '명품 하동' 만들기 본격 시동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09-11-24
[40]
뉴스
역시 하동녹차 - 차 품평대회에서 대상 수상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6-26
[41]
뉴스
하동 명물 ‘재첩’ 멸종 위기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11-07-06
[42]
웹사이트
화개장터 십리벚꽃
http://tour.hadong.g[...]
2011-07-12
[43]
서적
하동관광리플릿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적조특보 지속 경남 연안서 양식 어류 61만 마리 누적 폐사
경남도, 해양쓰레기 처리 국비 13억 확보···5개 시군 투입
경남 연안 적조 맹위…발생 1주일 만에 양식어류 50만 마리 폐사
적조특보 하동 연안서 숭어 3천800마리 폐사…적조 연관성 조사
‘성별영향평가’로 여성 ‘경력단절’ 예방…개선된 4천건 뭐가 있나
일본서 우리 쌀 '인기'…"당장 국내서도 부족" 고민
와르르 쏟아진 알갱이에 ‘빙판’ 같던 고속도…SUV 운전자 안타까운 참변
실종된 지리산국립공원 직원 뼛조각, 하동 의신계곡 인근서 발견
하동서 실종된 지리산국립공원 직원 뼛조각 발견…수색 계속
‘경남 폭우’ 해안에 4500t 쓰레기 발생…실종자 수색 계속
한국남부발전, 경남 하동군에 집중호우 피해 복구 지원금 5000만원 쾌척
하동서 밭일하던 80대 숨져…온열질환 추정
[D리포트] 피해 막심한데 '특별재난지역' 제외에 복구 '막막'
경남 수해지역에 ‘이동세탁차량’ 가동
경남 농경지 3천964㏊ 침수…소 182마리·닭 7만 4천500마리 폐사
759mm 쏟아진 산청서 4명 사망…실종·연락 두절에 피해 커질 듯
‘전 군민 대피령’ 산청서 산사태, 1명 사망·1명 심정지·4명 실종
경남 전역 폭우 비상…산청군과 합천군 합천읍 전 주민 대피령, 남강댐 방류 직전
경남 하동·산청 일대 나흘 동안 500㎜ ‘물폭탄’…이재민 2296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