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습곡은 특정 연주 기교를 습득하거나 기술을 연마하기 위해 작곡된 곡으로,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기타 등 다양한 악기를 위해 만들어진다. 19세기에는 클레멘티, 쇼팽, 리스트 등이 피아노 연습곡 발전에 기여했으며, 20세기에는 드뷔시, 라흐마니노프, 리게티 등이 다양한 스타일의 연습곡을 작곡했다. 연습곡은 기계적인 연습을 위한 단순 반복 곡과 음악적 내용도 갖춘 연주회용 연습곡으로 나뉘며, 각 악기에 맞는 다양한 연습곡들이 존재한다.
19세기 초, 요한 밥티스트 크라머, 무치오 클레멘티, 카를 체르니, 마리아 시마노프스카, 이그나츠 모셸레스 등의 작곡가들이 연습곡을 담은 교본을 많이 출판했다. 특히 클레멘티와 모셸레스는 연주회용 연습곡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하여 교육적 가치와 음악적 가치를 결합하고자 했다.
연습곡은 특정 악기나 음악적 기교를 연마하기 위해 작곡된 곡이다. 주요 연습곡은 다음과 같다.
2. 역사
쇼팽의 ''연습곡'' Op. 10 (1833)과 Op. 25 (1837)는 당시로서는 매우 혁신적인 기술을 요구했으며, 프란츠 리스트가 이 곡들을 처음으로 완벽하게 연주해냈다. 리스트는 쇼팽의 영향을 받아 자신만의 초절기교 연습곡을 작곡했는데, 이 곡들은 난이도가 매우 높고 다양한 기교를 담고 있다.
19세기에는 피아노 외에도 첼로, 기타, 플루트 등 다양한 악기를 위한 연습곡들이 작곡되었다. 프리드리히 도차우어와 프리드리히 그뤼츠마허는 첼로 연습곡을, 페르난도 소르는 기타 연습곡을, 에르네스토 쾰러, 빌헬름 포프, 아돌프 테르샤크는 플루트 연습곡을 작곡하여 각 악기의 기교 발전에 기여했다.
2. 1. 19세기
19세기 초, 연습곡을 담은 교본이 많이 출판되었다. 특히 요한 밥티스트 크라머의 "연습곡" 모음(1804년과 1810년 사이 출판), 무치오 클레멘티의 ''파르나소스로의 길'' 초기 부분(1817–26), 카를 체르니의 수많은 작품, 마리아 시마노프스카의 ''Vingt exercices et préludes'' (c. 1820), 그리고 이그나츠 모셸레스의 ''Studien'' Op. 70 (1825–26)이 중요했다. 하지만 클레멘티 컬렉션 후반부와 모셸레스의 ''Charakteristische Studien'' Op. 95 (1836–37)를 통해, 두 작곡가는 콘서트에서 청중을 즐겁게 하면서도 훌륭한 교육 도구 역할을 하는 음악을 만들고자 했다. 이러한 교육적 가치와 음악적 가치의 결합을 콘서트 연습곡이라고도 한다.
쇼팽의 ''연습곡'' Op. 10 (1833)과 Op. 25 (1837)을 연주하는 데 필요한 기술은 출판 당시 매우 새로운 것이었다. 이 곡들을 마스터하는 데 성공한 최초의 연주자는 유명한 거장 작곡가 프란츠 리스트였다(쇼팽은 Op. 10을 그에게 헌정했다). 리스트는 쇼팽의 곡보다 더 광범위하고 더욱 복잡한 여러 개의 연습곡을 직접 작곡했다. 이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Études d'Execution Transcendante'' 컬렉션이다(최종 버전은 1852년에 출판). 그러나 주어진 곡 내에서 난이도와 사용된 기법이 다르기 때문에 쇼팽의 작품의 교육적인 측면은 유지되지 않았다. 각 연습곡은 그 이름으로 지정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주곡, 몰토 비바체, 풍경, 마제파, 도깨비불, 비전, 영웅적, 야생 사냥, 리코르단자, 알레그로 몰토 아지타토, 저녁의 하모니, 그리고 눈보라.
작곡된 정확한 날짜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첼리스트이자 작곡가인 프리드리히 도차우어는 19세기 동안 113개의 연습곡 세트, 즉 ''113개의 첼로 독주 연습곡''을 작곡했다. 도차우어는 오페라와 교향곡에서 실내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음악을 작곡했다. 그의 음악 대부분은 오랫동안 잊혀졌지만, 그의 113개의 연습곡은 예외이다. 처음 두 권(연습곡 1-62번)은 중급 연주자를 위한 것이고, 마지막 두 권(연습곡 63-113번)은 고급 연주자를 위한 것이다.[1]
프리드리히 그뤼츠마허는 소규모 기악 그룹을 위한 여러 작품과 첼로 독주를 위한 연습곡집, 즉 ''24개의 첼로 연습곡''을 작곡했다. 이 책은 두 권으로 나뉘며, 각 권에는 12개의 연습곡이 있다. 첫 번째 권은 엄지 포지션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중급 연주자를 위한 것이며, 엄지 포지션 사용과 기타 고급 기술을 포함하는 두 번째 권은 더 고급 연주자를 위한 것이다.[1] 이 책의 후반부 연습곡은 대부분 이중 인공 하모닉스, 오프 핸드 피치카토와 같은 기교를 과시하기 위한 것이다.
그뤼츠마허는 또한 ''엘리트 연습곡''이라는 제목의 12개의 연습곡 세트를 작곡했다. 이 책의 각 연습곡은 유명한 첼리스트의 스타일로 작곡되었으며, 일반적으로 그 첼리스트가 유명했던 기술이나 그들의 독특한 연주 스타일을 강조한다. 이러한 첼리스트에는 베른하르트 롬베르크, 루이지 보케리니, 장 루이 뒤포르가 포함된다.[2]
세바스티안 리는 첼리스트였으며 첼로를 위한 다양한 작품을 작곡했다. 1842년, 그는 자신의 연습곡집인 ''40개의 멜로디적이고 진보적인 첼로 연습곡''을 작곡했다. 세바스티안 리는 주로 기교 있는 연주자로 알려졌고, 스승으로서는 덜 알려졌으며, 이 책의 연습곡을 직접 가르치지는 않았다. 리는 엄지를 사용하여 연주할 때 손을 엄격하게 고정된 자세로 유지하는 것을 반대하고, 엄지를 움직이고 자유롭게 유지할 것을 제안했으며, 이것이 오늘날 첼리스트들이 일반적으로 연주하는 방식이다.[3]
리는 첼로 연습곡을 꽤 많이 작곡했다. 위에서 언급한 그의 ''40개의 멜로디적이고 진보적인 첼로 연습곡'' 외에도, 그는 ''50개의 연습곡 für den Anfang (첼로 연주의 첫걸음)''[4], ''40개의 쉬운 연습곡 in der ersten Lage (40개의 쉬운 첼로 연습곡)''[5], ''12개의 멜로디 연습곡 (12개의 멜로디 연습곡)''[6] 등을 작곡했다.
19세기에는 피아노 외의 다른 악기를 위한 많은 연습곡 및 연습 모음집이 등장했다. 기타리스트이자 작곡가인 페르난도 소르는 1815년 런던에서 기타를 위한 12개의 연습곡, 작품 6번을 출판했다. 이 작품들은 모두 19세기 연습곡의 표준 정의에 부합하며, 각 곡은 기법의 한 측면을 활용하는 짧은 작곡이다. 에르네스토 쾰러, 빌헬름 포프, 아돌프 테르샤크는 19세기 후반에 플루트 연습곡 모음을 출판했다.
2. 2. 20세기
20세기 초에는 클로드 드뷔시의 ''연습곡''(1915), 레오폴드 고도프스키의 ''쇼팽 연습곡에 대한 53개의 연구''(1894–1914) 등 중요한 연습곡 모음집들이 여러 권 출판되었다. 드뷔시의 연습곡은 "작품당 하나의 기술적 측면" 규칙을 따르지만, 파격적인 구조와 많은 강렬한 대비를 보여주며, 기술적인 점보다는 피아노 특유의 음향과 음색에 집중했다.[7] 고도프스키는 쇼팽의 연습곡을 바탕으로 이전에는 알 수 없었던 새로운 수준의 난이도로 끌어올렸다.[7] 이 시기에는 에이토르 빌라로부스의 기타를 위한 뛰어난 기교의 ''12개의 연습곡''(1929)과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연습곡-회화''(1911, 1917), 알렉산드르 스크랴빈의 여러 모음집(모두 피아노용)과 같은 러시아 작곡가들의 작품도 주목받았다.[7]
20세기 중반이 되면서 오래된 연습곡 전통은 대부분 버려졌다. 올리비에 메시앙의 ''리듬에 대한 네 개의 연습곡''(1949–50)은 교훈적인 작곡이 아니라 음가의 지속 시간, 다이내믹스, 악상, 음색, 음고에 대한 실험이었다.[7] 존 케이지는 피아노를 위한 ''오스트랄 연습곡''(1974–75), 첼로 및/또는 피아노를 위한 ''보레알 연습곡''(1978), 바이올린을 위한 ''프리먼 연습곡''(1977–80, 1989–90)등 불확정성 음악 작품을 통해 별자리 차트를 기반으로 하는 가장 어려운 작품을 만들었다.[7] 죄르지 리게티의 ''연습곡''(1985, 1988–94, 1995)은 각 곡이 특정 기술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옛 전통과 가장 가깝다.[7] 카이호스로 샤푸르지 소랍지의 ''100개의 초절 기교 연습곡''(1940–44)은 고도프스키와 리스트를 출발점으로 삼아, 특정 기술적 요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리듬적 어려움에도 자주 초점을 맞춘다.[7][8]
3. 주요 연습곡
피아노피아노 연습곡은 교육용 연습곡과 연주회용 연습곡으로 나뉜다.
작곡가 | 주요 작품 |
---|---|
하농 | 60개의 연습곡 (손가락 훈련 목적) |
체르니 | 리틀 피아니스트 Op. 823, 100번 연습곡 Op. 139, 30번 연습곡 (Etudes de Mecanisme) Op. 849, 40번 연습곡 (Die Schule der Gelaeufigkeit) Op. 299 등 |
바이어 | 피아노 교본 (초보 학습자용) |
뷔르크뮐러 | 25개의 연습곡 Op. 100 |
클레멘티 | 그라두스 아드 파르나숨 |
모슈코프스키 | 15개의 연습곡 Op. 72 |
- 연주회용 연습곡:
작곡가 | 주요 작품 |
---|---|
쇼팽 | 연습곡집 Op.10 (12곡, 이별의 노래, 흑건, 혁명 등), Op.25 (12곡, 아이올리언 하프, 겨울바람 등) |
리스트 | 초절기교 연습곡 (12곡) |
드뷔시 | 연습곡집 (제1권 6곡, 제2권 6곡) |
라흐마니노프 | 연습곡집 음의 그림 Op.33(9곡), Op.39(9곡) |
건반 악기 (피아노 외)
- J.S. 바흐: 인벤션과 신포니아, 클라비어 연습곡집,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바이올린
작곡가 | 주요 작품 |
---|---|
카이저 | 연습곡 Op. 20 (36곡)[1] |
크로이처 | 42개의 카프리스 또는 연습곡 (42곡)[1] |
파가니니 | 24개의 카프리스 Op. 1[1] |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 시만들의 연습곡
기타
목관 악기
악기 | 작곡가 | |
---|---|---|
플루트 | 뵘 | |
오보에 | 베데만 | 45곡의 연습곡 |
클라리넷 | 크로제 | |
바순 | 와이젠보른 | |
색소폰 | 라쿠르 | 50개의 연습곡 |
금관 악기
악기 | 작곡가 | |
---|---|---|
호른 | 코프라쉬 | 60개의 연습곡집 |
트럼펫 | 아르방 |
성악
- 콘코네 50번, 25번
3. 1. 피아노
피아노 연습곡은 크게 연주 기교 습득을 위한 교육용 연습곡과 예술적 가치를 지닌 연주회용 연습곡으로 나뉜다.교육용 연습곡
작곡가 | 주요 작품 |
---|---|
하농 | 60개의 연습곡 (손가락 훈련 목적) |
체르니 | 리틀 피아니스트 Op. 823 |
100번 연습곡 Op. 139 (초보 학습자용) | |
110번 연습곡 Op. 435 | |
30번 연습곡 (Etudes de Mecanisme) Op. 849 | |
40번 연습곡 (Die Schule der Gelaeufigkeit) Op. 299 | |
50번 연습곡 (Kunst der Fingerfertigkeit) Op. 740(699) | |
60번 연습곡 (Die Schule des Virtuosen) Op. 365 | |
Practical Finger Exercises Op. 802 | |
160번 Eight=bar Exercises Op. 821 | |
24번 연습곡 (Vorschule der Fingerfertigkeit) Op. 636, 왼손을 위한 24개의 연습곡 (Etuden fur die Linke Hand) Op. 718, 125 Passagen Ubungen Op. 261, 매일 연습곡 (40 Taegliche Ubungen Op. 337) | |
바이어 | 피아노 교본 (초보 학습자용) |
뷔르크뮐러 | 25개의 연습곡 Op. 100 (체르니 100번 이후, 예술적 소품) |
18개의 연습곡 Op. 109, 12개의 연습곡 Op. 105 | |
피슈나 | 리틀 피슈나 48개의 기초 연습곡집 (60개의 연습곡으로의 도입), 60개의 연습곡 |
클레멘티 | 그라두스 아드 파르나숨 |
모셸레스 | 24개의 연습곡 Op. 70 |
크라머=뷜로 | 60개의 연습곡 |
브람스 | 51개의 연습곡 WoO.6 |
모슈코프스키 | 15개의 연습곡 Op. 72 |
20개의 소 연습곡 Op. 91, 16개의 기술 연습곡 Op. 97 | |
바르토크 | 미크로코스모스 (콘서트 레퍼토리 포함) |
연주회용 연습곡
작곡가 | 주요 작품 |
---|---|
쇼팽 | 연습곡집 Op.10 (12곡, 이별의 노래, 흑건, 혁명 등), Op.25 (12곡, 아이올리언 하프, 겨울바람 등), 3개의 새로운 연습곡 |
슈만 | 교향적 연습곡 Op.13 |
리스트 | 초절기교 연습곡 (12곡),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대 연습곡 (초판 7곡, 개정판 6곡), 두 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세 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
알캉 | 기사 Op.17, 연습곡 철도 Op.27b, 장조에 의한 12개의 연습곡 Op.35, 단조에 의한 12개의 연습곡 Op.39, 3개의 대 연습곡 Op.76 |
생상스 | 연습곡집 Op.52(6곡), Op.111(6곡), Op.135(6곡, 왼손을 위한 연습곡) |
랴푸노프 | 초절기교 연습곡 (12곡) |
드뷔시 | 연습곡집 (제1권 6곡, 제2권 6곡) |
고도프스키 | 쇼팽의 에튀드에 의한 연습곡 (53곡) |
라흐마니노프 | 연습곡집 음의 그림 Op.33(9곡), Op.39(9곡) |
스크랴빈 | 연습곡집 Op.8(12곡), Op.42(8곡) |
시마노프스키 | 연습곡집 Op.4(4곡), Op.33(12곡) |
프로코피예프 | 연습곡집 Op.2(4곡) |
소랍지 | 초절기교 백 번 연습곡 (100곡) |
리게티 | 연습곡집 제1권(6곡), 동 2권(8곡), 동 3권(5곡) |
카푸스틴 | 8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
3. 2. 건반 악기 (피아노 외)
J.S. 바흐는 자신의 자녀나 제자의 교육을 위한 곡집을 통해 건반 악기 기술 습득뿐만 아니라 작곡 기법 수련도 시사하였다.- 인벤션과 신포니아
- 클라비어 연습곡집
권 | 내용 |
---|---|
제1권 | 파르티타 BWV825-830 |
제2권 | 이탈리아 협주곡 BWV971, 프랑스 서곡 BWV831 |
제3권 | 오르간 또는 발 건반이 있는 건반 악기를 위한 소곡 30곡 |
제4권 | 2단 건반이 있는 클라비쳄발로를 위한 아리아와 여러 변주곡 (골드베르크 변주곡) BWV988 |
-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제1권, 제2권
3. 3. 바이올린
- 카이저: 연습곡 Op. 20 (36곡)[1]
- 크로이처: 42개의 카프리스 또는 연습곡 (42곡)[1]
- 로데: 24개의 카프리스[1]
- 뒨트: 24개의 연습곡과 카프리스 Op. 35, 크로이처와 로데의 연습곡을 위한 24개의 예비 연습 Op. 37[1]
- 파가니니: 24개의 카프리스 Op. 1[1]
- 푸르지마리: 바이올린 음계 교본[1]
- 세프치크: 바이올린 기교 교본 Op. 1-9[1]
- 슈라디에크: 바이올린 기법의 과정 I - II[1]
3. 4. 비올라
3. 5. 첼로
프리드리히 도차우어는 19세기 동안 113개의 첼로 독주 연습곡을 작곡했다. 처음 두 권(연습곡 1-62번)은 중급 연주자를 위한 것이고, 마지막 두 권(연습곡 63-113번)은 고급 연주자를 위한 것이다.[1]프리드리히 그뤼츠마허는 ''24개의 첼로 연습곡''을 작곡했다. 이 책은 두 권으로 나뉘며, 각 권에는 12개의 연습곡이 있다. 첫 번째 권은 엄지 포지션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중급 연주자를 위한 것이며, 엄지 포지션 사용과 기타 고급 기술을 포함하는 두 번째 권은 더 고급 연주자를 위한 것이다.[1] 그뤼츠마허는 또한 ''엘리트 연습곡''이라는 제목의 12개의 연습곡 세트를 작곡했는데, 각 연습곡은 베른하르트 롬베르크, 루이지 보케리니, 장 루이 뒤포르 등 유명한 첼리스트의 스타일로 작곡되었다.[2]
세바스티안 리는 1842년에 ''40개의 멜로디적이고 진보적인 첼로 연습곡''을 작곡했다. 그는 엄지를 움직이고 자유롭게 유지할 것을 제안했으며, 이것이 오늘날 첼리스트들이 일반적으로 연주하는 방식이다.[3] 리는 ''50개의 연습곡 für den Anfang (첼로 연주의 첫걸음)''[4], ''40개의 쉬운 연습곡 in der ersten Lage (40개의 쉬운 첼로 연습곡)''[5], ''12개의 멜로디 연습곡 (12개의 멜로디 연습곡)''[6] 등도 작곡했다.
다비드 포퍼가 작곡한 40개의 연습곡 모음집인 ''Hohe Schule des Violoncello-Spiels''("첼로 연주의 고등 기교")는 아마도 가장 잘 알려지고 널리 사용되는 첼로 연습곡일 것이다. 포퍼는 첼리스트들이 독주곡뿐만 아니라 오케스트라 곡도 연주할 수 있도록 돕는 연습곡을 만들기 위해 바그너, 베를리오즈, 리스트 등을 만났다. 예를 들어, 19번 연습곡은 바그너의 로엔그린 (오페라) 3막 3장의 음악을 사용하여 "로엔그린 연습곡"이라는 부제가 붙었다.[9]
포퍼는 ''첼로 연주의 고등 기교'' 책을 만든 후, 초급 및 중급 연주자를 위한 두 개의 연습곡 모음을 더 만들었다. ''Zehn mittelschwere grosse Etüden; Als Vorstudien zur "Hohen Schule des Violoncellspieles" (10개의 중급 대 연습곡; "첼로 연주의 고등 기교" 예비 연습)''는 더 고급인 첼로 연주의 고등 기교 책을 공부하기 전에 중급 연주자들이 연습하도록 만들어졌다.[10] ''15 Leichte Etüden in der ersten Lage (15개의 쉬운 연습곡, 제1 포지션)''은 연주자가 제1 포지션에 머물 수 있도록 쓰여졌기 때문에 초보자에게 훨씬 더 접근하기 쉽다.[11]
3. 6. 콘트라베이스
시만들의 연습곡이 있다.3. 7. 기타
19세기에는 피아노 외의 다른 악기를 위한 많은 연습곡 및 연습 모음집이 등장했다. 기타리스트이자 작곡가인 페르난도 소르는 1815년 런던에서 기타를 위한 12개의 연습곡, 작품 6번을 출판했다. 이 작품들은 모두 19세기 연습곡의 표준 정의에 부합하며, 각 곡은 기법의 한 측면을 활용하는 짧은 작곡이다. 에르네스토 쾰러, 빌헬름 포프, 아돌프 테르샤크는 19세기 후반에 플루트 연습곡 모음을 출판했다.기교 습득을 위한 연습곡 |
---|
연주회용 연습곡 |
---|
그 외 악기를 위한 연습곡 |
---|
3. 8. 목관 악기
악기 | 작곡가 | 곡명 |
---|---|---|
플루트 | 뵘 | |
오보에 | 힌케 | |
오보에 | 베데만 | 45곡의 연습곡 |
오보에 | 풸링크 | 18곡의 연습곡 |
48곡의 연습곡 | ||
클라리넷 | 크로제 | |
바순 | 와이젠보른 | |
색소폰 | 라쿠르 | 50개의 연습곡 |
색소폰 | 크로제 | 25일 기술 연습 과제 |
색소폰 | 풸링크 (뮈르 편) | 48곡의 연습곡 |
3. 9. 금관 악기
- 호른
- * 코프라쉬: 60개의 연습곡집
- * 막심 알퐁스: 200개의 새로운 연습곡
- * 랑게이: 호른 교본
- * 헤르만 노이링크: 저음 호른을 위한 30개의 연습곡
- 트럼펫
- * 아르방
- 트롬본
- * 레밍턴
- 튜바
3. 10. 성악
- 콘코네 50번, 25번 - 성악 초심자들이 많이 배우는 연습곡집이다.
- 토스티 50번
- 프란츠 뷔르너 - 콜 유벤겐 (합창단을 위한 연습곡집이었지만, 현재는 성악 학습자용 교재로도 사용되고 있다)
- 마츠시타 코 - 합창을 위한 즐거운 에튀드, 혼성 합창을 위한 아카펠라 에튀드
- 마미야 요시유키 - Etudes for Chorus (「합창을 위한 컴포지션」을 위해 작곡되었다)
- 이와카와 사부로 - 즐거운 발성 드릴
참조
[1]
웹사이트
A Synthesis of the Advanced Etudes by Dotzauer, Grützmacher, and Popper
https://etd.ohiolink[...]
OhioLINK
2006-05-04
[2]
웹사이트
Elite-Etüden (Grützmacher, Friedrich)
https://imslp.org/wi[...]
2023-10-23
[3]
웹사이트
The Dresden School Of Violoncello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s://stars.librar[...]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2009
[4]
웹사이트
50 Etüden für den Anfang, Op.101 (Lee, Sebastian)
https://imslp.org/wi[...]
2023-10-23
[5]
웹사이트
40 Easy Etudes for Cello, Op.70 (Lee, Sebastian)
https://imslp.org/wi[...]
2023-10-23
[6]
웹사이트
12 Études mélodiques, Op.113 (Lee, Sebastian)
https://imslp.org/wi[...]
2023-10-23
[7]
웹사이트
100 Transcendental Etudes (1940–44)
http://www.sorabji-a[...]
The Sorabji Archive
2013-08-01
[8]
웹사이트
Notes on the Études transcendantes
http://www.mus.ulava[...]
Sorabji Resource Site
2013-08-01
[9]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Technical Studies for Cello Performance
https://scholarworks[...]
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
2021-05
[10]
웹사이트
10 Mittelschwere grosse Etüden, Op.76 (Popper, David)
https://imslp.org/wi[...]
2023-10-23
[11]
웹사이트
15 Leichte Etüden in der ersten Lage, Op.76a (Popper, David)
https://imslp.org/wi[...]
2023-10-23
[12]
백과사전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の解説
https://kotobank.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