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구 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등포구 을은 1988년 영등포구 선거구 분구로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여의동, 신길동, 대림동 등을 관할하며,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김명섭, 나웅배, 김민석, 권영세, 신경민 등이 있다. 김민석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4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권영세는 국민의힘 소속, 신경민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영등포구의 정치 - 영등포구청장 선거
영등포구청장 선거는 영등포구의 구청장을 선출하는 선거이며, 1995년 시작되어 여러 정당의 후보가 당선되었고, 2022년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최호권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 영등포구의 정치 - 영등포구 갑
영등포구 갑은 1988년 신설되어 영등포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국회의원 선거구로, 자유주의 및 보수 정당에 표를 얻어왔으나 최근 더불어민주당 강세 지역으로, 선거구 획정 변화와 사회적 변화가 선거 결과에 영향을 준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종로구 (1988년 선거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종로구는 소선거구제 시행으로 단독 선거구로 치러졌으며, 민주정의당 이종찬 후보가 당선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영등포구 을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의회 | 국회 |
연도 | 1988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영등포구 |
의원 | 김민석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등포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영등포구 을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여의동, 신길동 일부, 대림동이 영등포구 을에 속했다.
2. 1. 선거구 신설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등포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영등포구 을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여의동과 신길동 일부, 대림동이 영등포구 을에 속했다.2. 2. 관할 구역 변천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등포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여의동과 신길동 일부, 대림동이 새로 생긴 영등포구 을에 속했고, 나머지 지역인 영등포동, 당산동, 도림동, 문래동, 양평동, 신길2~3동은 영등포구 갑으로 묶였다.[1]대수 | 관할 구역 |
---|---|
13대 ~ 현재 | 영등포구 여의동, 신길1동, 신길4동, 신길5동, 신길6동, 신길7동, 대림1동, 대림2동, 대림3동 |
3. 역대 국회의원
선거 정당 의원 1988년 민주정의당 김명섭 1989년 민주정의당 나웅배 1992년 민주자유당 1996년 새정치국민회의 김민석 2000년 새천년민주당 2002년 한나라당 권영세 2004년 한나라당 2008년 한나라당 2012년 민주통합당 신경민 2016년 더불어민주당 2020년 더불어민주당 김민석 2024년 더불어민주당
김민석, 신경민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진보적 성향을 띠며, 권영세 의원은 국민의힘 소속으로 보수적 성향을 보인다. 나웅배 의원은 민주정의당 및 민주자유당에서 활동했다.
3. 1. 주요 인물
4. 역대 선거 결과
영등포구 을에서는 두 번의 재보궐선거가 있었다. 198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김명섭 의원이 의원직을 상실하면서 치러졌고, 200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김민석 의원이 서울시장 출마를 위해 사퇴하면서 치러졌다.
4. 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1988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명섭 | 민주정의당 | 31,888 | 29.15% |
이원범 | 통일민주당 | 31,423 | 28.72% |
이용희 | 평화민주당 | 31,337 | 28.64% |
박상웅 | 신민주공화당 | 14,739 | 13.47% |
합계 | 109,387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을 선거구는 162,702명의 유권자가 참여했으며, 총 투표수는 109,387표였다.
4. 2. 1989년 재보궐선거
김명섭 의원이 의원직을 상실하면서 치러진 198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민주정의당 나웅배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나웅배 | 민주정의당 | 45,187 | 38.68% |
이용희 | 평화민주당 | 35,089 | 30.04% |
이원범 | 통일민주당 | 21,945 | 18.78% |
고영구 | 무소속 | 8,340 | 7.14% |
박상웅 | 신민주공화당 | 5,737 | 4.91% |
김형주 | 무소속 | 528 | 0.45% |
합계 | 117,870 | 100% |
4. 3.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1992년)
1992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나웅배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4. 4.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김민석 후보가 48.8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신한국당 후보로 출마한 배우 최불암(본명 최영한)은 32.49%의 득표율로 낙선하였다.[1][2]
4. 5.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민석 | 새천년민주당 | 50,438 | 60.39 |
정병원 | 한나라당 | 24,207 | 28.98 |
박상오 | 자유민주연합 | 3,779 | 4.52 |
권유신 | 청년진보당 | 2,710 | 3.24 |
이중식 | 민주국민당 | 2,373 | 2.84 |
합계 | 83,507 | 100 |
새천년민주당 김민석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4. 6. 2002년 재보궐선거
200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김민석 의원의 서울시장 출마로 인한 사퇴로 치러졌다. 선거 결과 한나라당 권영세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권영세 | 한나라당 | 20,976 | 54.91 |
장기표 | 새천년민주당 | 14,419 | 37.74 |
김형수 | 무소속 | 1,464 | 3.83 |
구자일 | 무소속 | 937 | 2.45 |
박상오 | 무소속 | 406 | 1.06 |
합계 | 38,202 | 100 |
4. 7.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권영세 | 한나라당 | 41,432 | 43.38 |
김종구 | 열린우리당 | 39,798 | 41.67 |
박금자 | 새천년민주당 | 12,674 | 13.27 |
이중식 | 자유민주연합 | 1,594 | 1.66 |
합계 | 95,498 | 100.00 |
4. 8.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권영세 후보가 3선에 성공하였다.
4. 9.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신경민 후보가 52.6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누리당 권영세 후보는 47.39%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4. 10.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신경민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신경민 | 더불어민주당 | 35,221 | 41.05 |
권영세 | 새누리당 | 32,341 | 37.69 |
김종구 | 국민의당2016 | 16,064 | 18.72 |
진재범 | 무소속 | 1,580 | 1.84 |
성성봉 | 민중연합당 | 590 | 0.68 |
합계 | 85,796 | 100.00 |
4. 11.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2020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민석 | 더불어민주당 | 47,075 | 50.26% |
박용찬 | 미래통합당 | 41,537 | 44.35% |
이정현 | 무소속 | 3,311 | 3.53% |
김지향 | 민생당 | 1,278 | 1.36% |
이상륜 | 국가혁명배당금당 | 456 | 0.48% |
합계 | 93,657 | 100.00%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민석 후보가 당선되었다.
4. 12.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2024년)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민석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을에서 4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2]
문서
선거와 전원일기 출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