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브게니 알렉세예프 (군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브게니 알렉세예프는 러시아 제국의 군인으로, 알렉산드르 2세의 사생아로 태어났다.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여러 함선에서 복무하며 세계 일주를 여러 차례 수행했다. 1899년 관동주 주둔 군사령관과 태평양 함대 사령관을 거쳐 극동 총독에 임명되어 러일 전쟁을 지휘했으나, 육군 지휘권을 박탈당했다. 1905년 추밀원 의원이 되었고,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얄타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급 슈피엔트 스타니스와바 기사단 훈장 수훈자 -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지노비 페트로비치 로제스트벤스키는 러시아 제국의 해군 제독으로, 포술 전문가로서 해군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러일 전쟁 당시 발트 함대 사령관으로서 쓰시마 해전에서 패배했다. - 1급 적수리 훈장 수훈자 - 아우구스트 뵈크
아우구스트 뵈크는 독일의 고전 문헌학자이자 고고학자로, 고전 문헌학을 고대 세계에 대한 지식으로 정의하고 그리스 경제사, 도량형, 비문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 1급 적수리 훈장 수훈자 - 아르투어 치머만
아르투어 치머만은 독일 제국의 외교관이자 정치가로, 외무대신으로서 제1차 세계 대전 중 여러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으나 치머만 전보 사건으로 미국의 참전을 초래하고 해임되었다. - 러시아 제국 해군의 제독 - 알렉산드르 콜차크
알렉산드르 콜차크는 러시아 제국의 해군 장교이자 북극 탐험가로, 러시아 혁명 이후 백군을 이끌고 볼셰비키에 대항했으나 처형되었으며, 군사적 업적과 가혹한 통치로 기억되는 인물이다. - 러시아 제국 해군의 제독 -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지노비 페트로비치 로제스트벤스키는 러시아 제국의 해군 제독으로, 포술 전문가로서 해군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러일 전쟁 당시 발트 함대 사령관으로서 쓰시마 해전에서 패배했다.
예브게니 알렉세예프 (군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이름 | 에브게니 이바노비치 알렉세예프 |
로마자 표기 | Yevgeni Ivanovich Alekseyev |
러시아어 표기 | Евгéний Ива́нович Алексе́ев |
출생일 | 1843년 5월 13일 |
사망일 | 1917년 5월 27일 |
출생지 |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
사망지 | 얄타, 타우리아 현, 러시아 |
별칭 | (없음) |
군사 경력 | |
소속 | 러시아 제국 해군 |
복무 기간 | 1859년 - 1904년 |
최종 계급 | 대장 (제독) |
참전 | 의화단 운동 국제 공사관 포위전 러시아의 만주 침공 러일 전쟁 |
관직 | |
직책 | 러시아 극동 총독 |
임기 시작 | 1903년 8월 13일 |
임기 종료 | 1904년 10월 12일 |
군주 | 니콜라이 2세 |
2. 생애
예브게니 알렉세예프는 러시아 제국 해군 장교이자 정치가였다. 그의 생애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 '''초기 생애 및 해군 경력''':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여러 함선에서 복무하며 세계 일주를 했다.
- '''고위 장교 승진 및 극동 지역 활동''': 의화단 운동 진압에 참여하고, 관동주 주둔 군사령관 및 태평양 함대 사령관을 역임했다.
- '''극동 총독 임명과 러일 전쟁''': 극동 총독으로 임명되어 러일 전쟁을 지휘했으나, 패전의 책임을 지고 해임되었다.
말년에는 국가 평의회 의원을 지내다가 러시아 혁명 이후 사임하고 얄타에서 생을 마감했다.[1]
2. 1. 초기 생애 및 해군 경력
예브게니 알렉세예프는 알렉산드르 2세의 사생아[5]로 세바스토폴에서 이반 막시모비치 알렉세예프 중위(1796–1849)의 손에서 자랐다.13세에 해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3년 후인 1863년 졸업했다. 졸업 후 장교후보생으로 4년간 코르벳 함 ‘바략’(''Varyag'')에서 복무하며 첫 번째 세계일주를 했다.

1867년 해군 소위로 임관한 후 러시아 제국 해군의 여러 함선에서 복무했다. 1878년 순양함 ‘아프리카’(''Afrika'') 함장이 되었고, 1880년부터 1883년까지 이 함선으로 다시 세계 일주를 했다. 1883년부터 1888년까지 프랑스 주재 무관으로 복무했으며, 1886년 대위로 승진했다.
1889년 러시아로 귀환한 후 방호순양함 ‘아드미랄 코르닐로프’(''Admiral Kornilov'')의 함장이 되어 세 번째 세계일주를 했다. 이때 황태자 니콜라이(미래의 차르 니콜라이 2세)가 동행했다. 1892년 준장으로 승진하여 해군 사령부 부총장이 되었다. 1895년 태평양 함대로 배속되어 함대 사령관이 되었다. 1897년 소장으로 승진하여 흑해 함대 부사령관이 되었다.[1]
2. 2. 고위 장교 승진 및 극동 지역 활동
1899년 러시아 제국이 청에서 조차한 관동주 주둔 군사령관과 태평양 함대 사령관에 취임했다. 그해부터 이듬해에 걸쳐 의화단 운동 진압에 종군하여 만주를 점령했다. 그 전공으로 중장으로 승진했다.[1]1902년부터 1903년까지 대일 극동 정책을 둘러싸고 러시아 정부의 의견이 유화론과 강경론, 두 의견으로 나뉘었다. 알렉세예프는 대일 강경파에 속했던 내무장관 뱌체슬라프 플레베와 알렉산드르 베조브라조프 등과 “중국뿐만 아니라 조선도 지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니콜라이 2세는 강경론의 영향을 받아 “조선은 약간의 위험을 무릅쓰고 손에 넣을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1] 그 결과 1903년 알렉세예프를 대장으로 승진시켜 극동 총독으로 임명한다. 이 직책은 정치, 군사 관계없이 극동에 관한 모든 문제를 관할하는 직책이며, 관동 지방의 행정과 군사 외에도 중국, 조선, 일본 등 이웃 나라에 대한 러시아 제국의 외교권까지도 행사할 수 있는 직책이었다. 러시아 자본가의 요청에 따라 한반도 권익에 관심을 보이며, 같은 한반도 지배를 노리는 일본에 대한 노골적인 적대 정책을 취했다.[1]

2. 3. 극동 총독 임명과 러일 전쟁
1902년부터 1903년까지 극동 정책을 둘러싸고 러시아 정부 내에서 대일 융화론과 대일 강경론 두 가지 의견으로 나뉘자, 알렉세예프는 대일 강경파에 속하여 내무장관 뱌체슬라프 플레베와 알렉산드르 베조브라조프 등과 함께 "중국뿐만 아니라 조선도 지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 니콜라이 2세는 강경론의 영향을 받아 "조선은 약간의 위험을 감수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 결과 1903년 알렉세예프를 대장으로 승진시켜 극동 총독에 임명했다. 이 직책은 정치·군사 모두 극동에 관한 모든 문제를 관할하는 직책이며, 관동주의 행정 및 군사뿐만 아니라 중국, 조선, 일본 등 인접 국가에 대한 러시아 제국의 외교까지 맡았다.[1] 러시아 자본가의 요청에 따라 한반도 권익에 관심을 보이며, 마찬가지로 한반도 지배를 노리는 일본에 대한 노골적인 적대 정책을 취했다.[1]1904년 2월 일본군의 공격으로 러일 전쟁이 시작되자, 알렉세예프는 모든 극동의 육해군 지휘권을 부여받았다.[1] 4월에 스테판 마카로프가 전사하자 태평양 함대를 직접 지휘했다. 그러나 알렉세예프는 공세를 지향한 반면, 육군 수장인 알렉세이 쿠로팟킨은 후퇴하여 재정비를 지향했기 때문에 자주 의견이 갈렸다. 더욱이 패전이 잇따랐기 때문에 정부 내에서는 그에게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1904년 10월 사하 전투에서 러시아 군이 패하자 완전히 육군 지휘권을 박탈당하고, 대신 쿠로팟킨이 육군 총사령관이 되었다.[1]
2. 4. 말년
1905년, 국가 평의회 의원이 되었다.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자 1917년에 의원을 사임했다. 이후 바로 얄타에서 사망했다.[1]3. 훈장
수여 국가 | 훈장 이름 | 등급 | 수여 년도 |
---|---|---|---|
러시아 제국 | 성 스타니슬라우스 훈장 | 3등급 | 1871년 |
이탈리아 | 이탈리아 왕관 훈장 | 장교 십자 훈장 | 1873년 |
러시아 제국 | 성 블라디미르 훈장 | 4등급 (활 추가) | 1875년 |
오스만 제국 | 오스마니예 훈장 | 4등급 | 1876년 |
러시아 제국 | 성 스타니슬라우스 훈장 | 2등급 | 1877년 |
러시아 제국 | 성 안나 훈장 | 2등급 | 1879년 |
프랑스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사령관 | 1888년 |
그리스 | 구세주 훈장 | 사령관 십자 훈장 | 1889년 |
러시아 제국 | 성 블라디미르 훈장 | 3등급 | 1890년 |
러시아 제국 | 성 스타니슬라우스 훈장 | 1등급 | 1894년 |
러시아 제국 | 성 안나 훈장 | 1등급 | 1896년 |
중국 | 이중 용 훈장 | 1886년 | |
일본 | 욱일대수장 | 1등급 | 1896년 |
러시아 제국 | 성 블라디미르 훈장 | 2등급 | 1898년 |
러시아 제국 | 백수리 훈장 | (칼 추가) | 1901년 |
프랑스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그랜드 크루아 | 1901년 |
프로이센 | 적색 독수리 훈장 | 1등급 (칼 추가) | 1901년 |
벨기에 | 레오폴드 2세 훈장 | 그랜드 크로스 | 1901년 |
러시아 제국 | 성 게오르기 훈장 | 3등급 | 1903년 |
러시아 제국 | 성 알렉산드르 넵스키 훈장 | 1906년 | |
러시아 제국 | 성 블라디미르 훈장 | 1등급 | 1915년 |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o-Japanese War
[2]
서적
Генерал-адмиралы Российского императорского флота
Neva
[3]
서적
A People's Tragedy: The Russian Revolution, 1891-1924
Jonathan Cape
[4]
서적
The Origins of the Russo-Japanese War
Longman
[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o-Japanese W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