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옌후이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옌후이칭은 청나라 말기부터 중화인민공화국 시기까지 활동한 중국의 외교관이자 정치가이다. 그는 성공회 목사의 아들로 상하이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미국 유학 후 외교관으로 경력을 시작했다. 중화민국 시기에는 외교부 차장, 독일, 스웨덴, 덴마크 공사, 국무총리 등을 역임했으며, 임시 총통직을 대행하기도 했다. 국민정부 시기에는 주미 공사, 국제 연맹 대표, 주소련 대사 등을 지냈고, 중일 전쟁 중에는 중국 홍십자회 국제 위원회 주석으로 활동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1950년 상하이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주재 중화민국 대사 - 후스
    후스는 중국의 철학자, 문학가,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백화문 운동을 주도하여 중국 문학 혁명에 기여하고 실용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학문 연구와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베이징 대학 교수, 중화민국 주미대사, 베이징 대학 총장, 중앙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 미국 주재 중화민국 대사 - 웰링턴 쿠
    웰링턴 쿠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중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파리 강화 회의, 국제 연맹, 유엔 등에서 중화민국의 이익을 대변하고 국제사법재판소 판사로도 활동했다.
  • 중화민국 총통 - 리덩후이
    리덩후이는 중화민국의 정치인으로, 장징궈 총통에 의해 발탁되어 총통직을 승계한 후 대만의 민주화 개혁을 주도하며 '대만 민주주의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양안 관계에서는 양국론을 제시하여 중화인민공화국과 긴장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고 퇴임 후에는 대만 독립 운동을 지지했다.
  • 중화민국 총통 - 마잉주
    마잉주는 홍콩 출생으로 대만에서 성장하여 중화민국 총통을 지냈고, 법학을 전공하여 타이베이 시장과 중국국민당 주석을 거쳐 총통에 당선, 재임 기간 동안 대중국 관계 강화 정책을 추진했으며 퇴임 후에도 중국 본토를 방문하는 등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중국의 자서전 작가 - 바진
    중국의 소설가이자 수필가인 바진은 5·4운동의 영향으로 아나키즘 사상에 심취하여 사회 비판적인 작품을 발표했으며, 대표작인 '격류 3부작'과 '애정 3부작'을 통해 봉건적 가족 제도와 부조리를 비판했고, 문화대혁명 기간 탄압 이후 복권되어 수상록을 통해 문화대혁명을 반성하고 현대문학관 및 문혁 박물관 건립을 제창하는 등 사회 활동을 펼치며 중국 문학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 중국의 자서전 작가 - 차이쩌민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 차이쩌민은 헝가리, 기니, 이집트, 태국 주재 대사를 역임하고 초대 미국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로서 미중 관계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그의 공헌으로 미시간 주립 대학교에서 명예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옌후이칭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옌후이칭 (顏惠慶)
로마자 표기Yan Huiqing
출생1877년 4월 2일
출생지청나라 상하이
사망1950년 5월 24일
사망지중국 상하이
직업외교관, 정치인, 교육가
정당안후이 군벌
학력
학사버지니아 대학교 (문학사)
박사베이양 대학 (문학 박사)
경력
직책중화민국 국무총리 대리
임기1921년 12월 18일 – 1921년 12월 24일
대통령쉬스창
이전진윈펑
이후량스이
임기1922년 1월 25일 – 1922년 4월 8일
대통령쉬스창
이전량스이
이후저우쯔치
임기1922년 6월 11일 – 1922년 8월 5일
대통령리위안훙
이전저우쯔치
이후탕사오이
임기1924년 9월 14일 – 1924년 10월 31일
대통령차오쿤
이전웰링턴 쿠
이후황푸
임기1926년 5월 13일 – 1926년 6월 22일 (대리)
대통령본인
이전후웨이더
이후두시구이
직책중화민국 임시대통령
임기1926년 5월 13일 – 1926년 6월 22일
이전후웨이더 (대리)
이후두시구이 (대리)
총리본인
사진
옌후이칭 (1932년 세계 군축 회의 중)

2. 청나라 말기의 활동

상하이 출신으로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전공하고 토론에서 상과 메달을 받았으며, 파이 베타 카파에 선출된 그는, 미국에서 돌아온 후 짧은 기간 동안 상하이 세인트존스 대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그곳에서 프리메이슨이 된 후 베이징으로 가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1] 1906년 상업 인쇄소의 편집자가 되었고, 뻬이양 대학교(현재의 톈진 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제국 공무에서 진사 칭호를 받고 제국 교육부에 임명되었다.[1]

1895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1897년 버지니아 대학교에 입학했다. 재학 중에는 기독교 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거나, 주미 중국 공사관에서 사무를 맡았다. 1900년 6월, 버지니아 대학교를 졸업하고 8월에 귀국하여 상하이 성 요한 대학교에서 6년 이상 교사로 재직했다. 1905년 상하이 『남방보』 영문판의 편집자를 맡았으며, 『영화대사전』의 주편자가 되어 이를 상무인서관에서 간행했다. 1906년 9월, 베이징에서 유학생 시험을 치러 1등 2위의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역과 진사가 되었다.[12][13][14]

1907년 겨울, 주미 중국 공사관 2등 참찬으로 임명되어 특명전권공사 우팅팡을 따라 미국으로 갔다. 미국에서는 외교 사무를 담당하는 한편, 조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국제법을 배우고 미국 국제법학회에 가입했다. 1910년 귀국하여 외무부 주사, 외무부 참의를 역임했다.[15][13][14]

3. 중화민국 초기의 활동

상하이 출신으로 버지니아 대학교를 졸업한 옌후이칭은 미국에서 돌아온 후 짧은 기간 동안 상하이 세인트존스 대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쳤고, 프리메이슨이 된 후 베이징으로 가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1] 1906년, 상업 인쇄소의 편집자가 되었고, 뻬이양 대학교(현재의 톈진 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제국 공무에서 진사 칭호를 받고 제국 교육부에 임명되었다.

중화민국 성립 후, 처음 조직된 탕사오이 내각에서 옌후이칭은 외교부 차장에 취임했다. 이듬해 1913년(민국 2년) 봄, 독일, 스웨덴, 덴마크 삼국 공사로 임명되어 베를린에 주재했다.[6] 1919년(민국 8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는 중국 대표단 고문을 맡았다. 이듬해 여름, 임무를 마치고 귀국했다. 1920년(민국 9년) 8월, 대총통 쉬스창의 명에 따라 외교 총장으로 임명되었다. 옌후이칭은 친영미 노선을 취했지만, 일본과의 교섭도 중시하여 산둥 문제를 놓고 교섭을 거듭했다. 이듬해 1921년(민국 10년) 5월에는 독일과의 국교를 회복했다. 11월부터의 워싱턴 회의에서는 현지에서의 교섭을 스자오지, 구웨이쥔, 왕충후이 등에게 위임하면서, 다양한 지시를 보냈다. 그 후, 외교 총장은 1922년(민국 11년) 8월까지 역임했다.

옌후이칭은 외교부 장관,[2] 총리(그리고 임시 총리)를 다섯 차례 역임했고, 1926년 마지막 총리 재임 기간 동안 임시 총통을 역임했다. 우페이푸차오쿤의 복귀를 위해 그를 임시 총통으로 지명했고, 옌후이칭은 이를 예상하여 내각을 구성했지만,[3] 장쭤린의 반대로 인해 취임할 수 없었다. 옌후이칭이 마침내 직책을 맡았을 때, 그는 즉시 사임하고 해군 장관 두시구이를 후임으로 임명했다.

1922년 1월부터 1926년(민국 15년) 6월까지, 베이징 정부 내 각 파벌 다툼 속에서 옌후이칭은 농상 총장, 외교 총장, 내무 총장에 더해, 임시를 포함하여 국무총리를 4번 역임했다. 또한 1926년 5월, 임시 집정 돤치루이가 실각했을 때 옌후이칭이 임시 집정직을 대행하여, 1개월 동안 국가 원수의 지위에 있었다. 펑톈 군벌의 장쭤린이 대원수가 되자, 옌후이칭은 장쭤린에 대한 협력을 바라지 않아 톈진으로 일시 은퇴했다. 이후, 한동안 금융 및 자선 분야에서의 활동에 전념했다.

4. 국민정부 시기의 활동

상하이 출신 옌후이칭은 1931년 9월 만주 사변이 발발하자 국민정부 외교부장 왕정팅의 요청으로 난징에 돌아와 대일 특종 위원회 위원으로 복귀했다.[19] 같은 해 11월, 주미 공사로 임명되어 워싱턴으로 갔다.[19][13][14] 1932년 1월, 국제 연맹 중국 대표단 수석 대표로 임명되어 일본을 비난하는 데 대한 지지를 얻기 위해 여러 나라와 교섭했다.[19][13][14] 1933년 2월 국제 연맹 총회에서 일본의 마쓰오카 요스케가 국제 연맹 탈퇴를 선언하자, 옌후이칭은 이에 반대하는 연설을 했다.[19][13][14]

1933년 3월, 주소련 대사로 임명되었다.[20] 이후 소련과의 외교 관계 발전에 힘썼으며, 미국 등 여러 나라로부터 국민 정부에 대한 지원을 받는 데 성공했다.[20][13][14] 1936년 초, 나이를 고려하여 은퇴하고 귀국했다.[20][13][14] 중일 전쟁 발발 후, 중국 홍십자회 국제 위원회 주석이 되어 연합국으로부터 항일 지원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20][13][14] 1941년 12월 홍콩 함락 때 일본군에게 일시적으로 구금되었으나, 일본 측의 친일 정권 참여 요구를 거절했다.[20][13][14] 1945년 8월 일본 패망과 함께 상하이로 돌아와 상하이 시 참의원 및 연합국 극동 구제·부흥 위원회 주석 등을 역임했다.[20][13][14]

1949년 1월, 대리 총통 리쭝런의 요청을 받아 중국 공산당과의 평화 교섭에 나섰으나, 장제스 등의 반대로 평화는 성립되지 않았고, 옌후이칭은 상하이로 돌아갔다.[21][13][14] 중국 인민 해방군에 의해 상하이가 함락되기 직전, 국민 정부로부터 철수를 요청받았지만, 옌후이칭은 이를 거부하고 상하이에 남았다.[21][13][14]

5. 중화인민공화국 시기의 활동과 사망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옌후이칭은 마오쩌둥의 승리를 축하했으며,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위원이 되었고 화둥 행정위원회 부주석으로도 임명되었다.[8]

1950년 5월 24일, 옌후이칭은 상하이에서 심장병으로 7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마오쩌둥저우언라이 모두 조문을 보냈다. 그는 부인과 여섯 자녀를 남겼다.[8]

6. 저서


  • 《안덕경 자전》
  • 《영화 표준 쌍해 대사전》
  • 《영화 대사전》

참조

[1] 웹사이트 Yan Huiqing Bio http://www.bdcconlin[...] 2015-02-22
[2] 뉴스 Yen Makes Way for Koo at Peking. https://www.nytimes.[...] 2018-03-09
[3] 뉴스 NEW CABINET RULE IS SET UP IN PEKING; Group Will Act Without President of Republic, Backed by Wu and Chang Armies. DR. W.W. YEN IS PREMIER Wellington Koo Gets Finance Portfolio and Sze Is Slated for Foreign Minister. https://www.nytimes.[...] 2018-03-09
[4] 뉴스 NEW CHINESE ENVOY ARRIVES IN MOSCOW; Dr. Yen Doubts Soviet Will Join League's Committee of 19 -- Sees Hard Task Before Him. https://www.nytimes.[...] 2018-03-09
[5] 뉴스 CHINA'S DELEGATES START.; Dr. Yen, Foreign Minister, Will Be Chief Representative in Washington. https://www.nytimes.[...] 2018-03-09
[6] 뉴스 DR. YEN SAYS JAPAN CHALLENGES WORLD; New Chinese Envoy at Washington Holds Tokyo Has Designs on Manchuria. https://www.nytimes.[...] 2018-03-09
[7] 뉴스 WHAT MANCHURIA MEANS TO CHINA'S FUTURE; Minister Yen Advances the Republic's Needs as Against Those of Japan https://www.nytimes.[...] 2018-03-09
[8] 뉴스 DR. W.W.YEN DIES; CHINESE DIPLOMAT; Former Premier and Foreign, Minister Had Been Envoy to U.S., Britain and Russia https://www.nytimes.[...] 2018-03-09
[9] 웹사이트 Honoring a Legacy https://giving.virgi[...]
[10] 웹사이트 UVA’S LEWIS HOUSE RENAMED YEN HOUSE TO HONOR NOTED CHINESE GRADUATE https://news.virgini[...]
[11] 간행물 婁献閣(1996)、89頁による。劉国銘主編(2005)、2421頁によると、[[1877年]]5月14日(光緒3年4月初2日)生まれ。どちらかが旧暦と新暦を取り違えていると考えられるが、便宜的に前者による。
[12] 간행물 婁献閣(1996)、89-91頁。
[13] 간행물 徐友春主編(2007)、2750頁。
[14] 간행물 劉国銘主編(2005)、2421頁。
[15] 간행물 婁献閣(1996)、91頁。
[16] 간행물 婁献閣(1996)、91-94頁。
[17] 문서 段祺瑞失脚後は、国務総理が臨時執政職を代行することになる。この状況は1927年(民国16年)6月、張作霖が大元帥に就任するまで続いた。
[18] 간행물 婁献閣(1996)、94-96頁。
[19] 간행물 婁献閣(1996)、96-97頁。
[20] 간행물 婁献閣(1996)、97-99頁。
[21] 간행물 婁献閣(1996)、99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