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차이쩌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이쩌민은 1916년 산시성에서 태어나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1960년 외교부에 들어가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헝가리, 기니, 이집트 등에서 대사를 역임했다. 1975년에는 초대 태국 주재 중국 대사가 되었고, 이후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 협상에 참여하여 197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30주년 만에 초대 미국 주재 중국 대사가 되었다. 대사 퇴임 후에는 중국 외교학회 부회장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위원을 지냈다. 2010년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징궈 - 다이안궈
    다이지타오의 서자이자 장제스의 총애를 받은 다이안궈는 중화민국 공군 소장으로 교통부 민항국 국장을 지냈으며, 중화민국 공군군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독일 등에서 군사 및 경제학, 공학 분야의 학위를 취득했다.
  • 장징궈 - 장궈빙
    장궈빙은 장제스의 조카이자 장징궈, 장웨이궈의 사촌으로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중화민국 육군 중교 예편 군인이며, 국부천대 사태를 목격했고 대한민국에서는 '장국병'으로도 불린다.
  • 회고록 작가 - 장쉐량
    장쉐량은 만주 군벌 장작림의 아들이자 동북군 지휘관으로서 만주사변 당시 부저항 정책과 시안 사건 주도를 통해 국공합작을 이끌어낸 인물이며, 그의 삶과 행적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회고록 작가 - 무라사키 시키부
    헤이안 시대의 귀족 여성이자 작가인 무라사키 시키부는 『겐지 이야기』, 『무라사키 시키부 일기』, 『무라사키 시키부집』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겐지 이야기』는 일본 문학을 넘어 세계 문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 추이톈카이
    추이톈카이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으로, 유엔 통역관, 주일대사, 외교부 부부장을 거쳐 2013년부터 2021년까지 주미 대사를 역임했다.
  • 미국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 리자오싱
    리자오싱은 중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외교부장을 역임했으며, 주미 대사, 유엔 대사 등을 지내며 이라크 전쟁, 북한 핵 문제 등 국제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40여 년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시인 외교관"이라는 별칭을 얻었으나, 대만 문제에 대한 강경한 입장과 직설적인 화법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차이쩌민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柴澤民 (차이쩌민)
한자 표기번체자: 柴澤民
간체자: 柴泽民
중국어 병음Chái Zémín (차이쩌민)
일본어 표기가나: さい たくみん
로마자: Sai Takumin
출생1916년 10월
출생지중화민국 산시성 원시
사망2010년 6월 7일
사망지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국적중화인민공화국
거주지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학력중화민국 베이핑 궈민 중학교(1935년 3월 졸업)
종교개신교(감리회)
가족
아버지차이닝(柴寧, Chái Níng, 1888년 2월 29일 ~ 1916년 6월 27일)
어머니리둥찬(李東燦, Lǐ Dōngcàn, 1895년 3월 23일 ~ 1980년 2월 15일)
배우자펑푸넝(馮弗能, Féng Fúnéng, 1911년 9월 26일 ~ 1979년 3월 11일)
자녀1남 1녀 (맏딸 차이위원, 막내아들 차이웨이)
장인펑위샹(馮玉祥, Féng Yùxiáng, 1882년 11월 6일 ~ 1948년 9월 1일)
장모류더전(劉德貞, Liú Dézhēn, 1879년 3월 5일 ~ 1923년 9월 4일)
처계모리더취안(李德全, Lǐ Déquán, 1896년 8월 9일 ~ 1972년 4월 23일)
이복 처남펑훙다(馮洪達, Féng Hóngdá, 1930년 9월 7일 ~ 1993년 7월 19일)
이복 처제펑샤오다(馮曉達, Féng Xiǎodá, 1932년 9월 18일 ~ 1948년 9월 1일)
외종 처남류위린(劉玉麟, Liú Yùlín, 1862년 3월 9일 ~ 1942년 9월 22일)
정치 경력
소속 정당중국공산당
당직중국공산당 당무위원
중국공산당 외교행정위원
중국공산당 명예고문위원
외교 경력
헝가리 인민공화국 주재 대사임기: 1961년 6월 8일 ~ 1964년 7월 8일
국가 원수: 류사오치
총리: 저우언라이
미국 주재 대사임기: 1979년 3월 29일 ~ 1983년 1월 8일
총리: 화궈펑, 자오쯔양
국가 원수: 예젠잉, 덩샤오핑
미국 대통령지미 카터
로널드 레이건

2. 일생

차이쩌민은 산시성원시현의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나 고등학교 졸업 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1960년 12월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에 들어가면서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 1961년부터 1964년까지 주 헝가리 대사, 1964년부터 1967년까지 주 기니 대사, 1970년부터 1974년까지 주 이집트 대사를 역임했다.

1975년, 중화인민공화국태국과 국교를 수립하면서 초대 주 태국 대사로 임명되었다. 2년 반의 재임 기간 동안, 총선거 2번, 쿠데타 3번, 총리 4명, 정권 5개를 경험하는 격동적인 환경 속에서도 외교 직무를 훌륭히 수행하여 라마 9세로부터 백상 훈장을 받았다.[3]

1978년 여름, 중화인민공화국은 미국과의 국교 정상화 교섭을 시작했고, 차이쩌민은 워싱턴 D.C.의 중화인민공화국 연락 사무소(PRCLO) 주임으로 임명되어 교섭에 참여했다. 1978년 말, 양국은 국교 정상화에 합의했고, 1979년 1월 1일 공식적으로 국교가 수립됨과 동시에 대사관이 상호 설립되면서 차이쩌민이 초대 주미 대사로 임명되었다.[3] 1983년 주미 대사직을 퇴임했다.[3]

이후 차이쩌민은 중국 외교학회 부회장을 맡았으며,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위원을 3기에 걸쳐 역임했다.[3]

2. 1. 초기 생애 및 정치 활동

1916년 10월 8일, 차이쩌민은 국민정부 대륙 본토 시대 중화민국 산시성 원시(문희)의 어느 빈민 집안에서 아버지 차이닝(柴寧, 채영)과 어머니 리둥찬(李東燦, 이동찬) 사이에서 외아들이자 유복자로 태어났다. 1918년 7월부터 1929년 3월까지 11년 동안 쓰촨성 충칭(重慶, 중경)의 외갓댁 작은외할아버지(어머니의 친정 삼촌) 댁에서 자랐다.[3] 1933년 공산당에 입당하였다.

2. 2. 외교관 경력

차이쩌민은 중공 역사상 최초의 본격적인 정식 주 중공 대사였다. 1971년 둥비우, 저우언라이, 린뱌오 등 중화인민공화국 측과 리처드 닉슨, 헨리 키신저 등 미국 측의 핑퐁 외교 이후, 1979년 3월 29일부터 1983년 1월 8일까지 초대 미국 주재 중공 대사 직책을 4년 남짓 지냈다.[3]

차이쩌민의 외교관 경력은 1960년 12월 중국 외교부에 들어가면서 시작되었다. 1961년에는 헝가리 주재 중국 대사, 1964년에는 기니 주재 대사, 1970년에는 이집트 주재 대사로 임명되었다.[3]

1975년, 중국과 태국은 외교 관계를 수립했고, 차이쩌민은 초대 태국 주재 중국 대사가 되었다. 태국에서 2년 반 동안 재임하면서, 두 번의 총선과 세 번의 쿠데타, 네 명의 다른 총리와 다섯 개의 다른 정부를 경험했다. 그는 이러한 격동적인 환경에서 일하는 것이 큰 도전이었고, 태국 국왕은 그의 외교적 업적을 기려 백상 훈장을 수여했다.[3]

1978년 여름, 중국과 미국은 양국 관계 정상화를 위한 협상을 시작했고, 차이쩌민은 워싱턴 D.C.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 연락 사무소(PRCLO) 소장 자리에 앉아 협상에 참여했다. 1978년 말, 중국과 미국이 1979년 1월 1일에 공식적으로 관계를 수립하고 대사관을 설치하며 상호 대사를 임명하기로 합의했다. 이로써 차이쩌민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30년 만에 초대 미국 주재 중국 대사가 되었다.[3]

1981년 가을, 미시간 주립 대학교는 차이쩌민의 중미 관계 기여를 인정하여 명예 학위인 법학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3]

1983년, 차이쩌민은 대사직을 사임하고 중국 외교학회 부회장 직함을 맡았으며, 이후 세 차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위원을 지냈다.[3]

1990년대 초, 차이쩌민은 중국 외교학회에서 사임했고, 이후 여러 다른 협회 및 단체의 이사 및 고문이 되었다.[3]

2. 3. 외교관 퇴임 이후

1983년, 차이쩌민은 대사직을 사임하고 중국 외교학회 부회장을 맡았으며, 이후 세 차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위원을 지냈다.[3] 1990년대 초, 중국 외교학회에서 사임한 후에는 여러 다른 협회 및 단체의 이사 및 고문을 역임했다.

2. 4. 가족 관계

차이쩌민은 1943년 8월 19일 펑푸넝(馮弗能)과 결혼했다. 펑푸넝은 차이쩌민보다 5년 연상이었으며, 차이쩌민에게는 첫 결혼, 펑푸넝에게는 세 번째 결혼이었다. 펑푸넝은 펑위샹 장군의 3남 6녀 중 장녀였다. 차이쩌민은 펑푸넝과의 사이에서 1944년 8월 28일 맏딸 차이위원(柴鈺紋)을, 1945년 12월 9일 막내아들 차이웨이(柴梶)를 얻었다.[1]

차이쩌민의 장인 펑위샹은 중화민국 국민정부 대륙 본토 시대 중국국민당에서 쫓겨난 예비역 육군 일급상장 출신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장모 류더전은 펑위샹의 첫 부인이었고, 처계모 리더취안은 펑위샹의 두 번째 부인이었다.[1]

펑푸넝은 1926년 3월 29일 장징궈와 첫 결혼했으나 1927년 8월 29일 이혼했고, 1928년 12월 18일 류위린과 재혼했다. 1942년 9월 22일 류위린과 사별 후 차이쩌민과 세 번째 결혼을 했다. 펑푸넝은 중국공산당 인민정치협상회의 부의장 비서관 등을 역임했다.[1]

차이쩌민은 1979년 3월 11일 부인 펑푸넝과 사별했다. 이후 2010년 6월 7일, 94세의 나이로 자연사할 때까지 외동딸 부부와 그 후손, 외동아들 부부, 친손자 부부, 증손자 부부, 고손자 등 직계 5대를 거느리는 단란한 가정을 이루었다.[1]

3. 평가 및 영향

1981년 가을, 미시간 주립 대학교는 차이쩌민의 미국-중국 관계에 대한 기여를 평가하여 법학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中国驻美首任大使柴泽民在京逝世 享年93岁-中国驻美首任大使,柴泽民 http://www.afinance.[...]
[2] 웹사이트 Chinese Ambassadors to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s://www.fmprc.go[...] 2022-11-16
[3] 웹사이트 Chinese Ambassadors to Egypt http://eg.china-emba[...] 2022-11-16
[4] 웹사이트 中国駐美首任大使柴沢民在京逝世 享年93歳 http://www.afinance.[...] 2010-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