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다 쇼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다 쇼고는 일본 제국의 교육자이자 관료로, 대한제국 학부 서기관, 조선총독부 편집위원, 경성제국대학 예과 부장, 숙명여자대학교 초대 교장 등을 역임했다. 그는 1871년 미에현에서 태어나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하고, 나가노현 사범학교 교사 등을 거쳐 1908년 대한제국 학부 서기관으로 초빙되었다. 이후 조선총독부에서 교과서 편찬, 조선사 편찬 사업에 참여했으며, 조선사학회를 창립하고 경성제국대학 설립에 기여했다. 또한 유도 보급에도 힘썼으며, 1953년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숙명여자대학교 총장 - 이경숙 (1943년)
이경숙은 숙명여자대학교 총장과 이명박 정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교육자로, 숙명여대 교수, 학장, 기획처장 및 제11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교육 및 사회 분야에서 활동했다. - 숙명여자대학교 총장 - 황선혜
황선혜는 숙명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부 교수, 제18대 숙명여자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강사, 한국응용언어학회 회장, 국립발레단 이사장을 지내고 자유한국당 지방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으로 활동했다. - 경성제국대학 교수 - 아베 요시시게
아베 요시시게는 일본의 철학자이자 교육자로, 칸트 철학 연구와 한국 문화 연구에 기여했으며, 전후 일본 교육 제도 개혁을 이끌고 가쿠슈인대학 총장으로 재임하며 교육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경성제국대학 교수 - 야마다 사부로
야마다 사부로는 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총장 등을 역임했으며 국제사법 권위자로 한·프랑스 문화 교류에 기여한 일본의 법학자이자 관료이다. - 일본의 역사가 - 하타 이쿠히코
하타 이쿠히코는 일본의 역사학자로, 일본 근현대사와 군사 및 전쟁사를 연구하며 난징 대학살,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논쟁적인 주제에 대해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다수의 저서를 저술하여 일본 내외에서 다양한 평가를 받고 여러 상을 수상했다. - 일본의 역사가 - 아키라 이리에
아키라 이리에는 미국에서 태어난 일본계 미국인 역사학자로, 외교사에 문화적 관점을 통합하여 국제 관계 연구를 확장하고 미국과 동아시아 관계, 냉전 시대 아시아 등에 대한 연구로 학계에 기여했으며, '역사의 국제화'를 주장하며 국제사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오다 쇼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오다 쇼고 |
그림 설명 | 1929년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 발굴 시 오다 쇼고의 모습. |
출생일 | 1871년 5월 2일 |
출생지 | 일본 미에현 도바시 |
사망일 | 1953년 12월 12일 |
사망지 | 일본 미에현 도바시 |
국적 | 일본 |
직업 | 역사학자 |
학력 | |
모교 | 도쿄제국대학 |
전공 분야 | 역사학(한국사) |
경력 | |
직장 | 조선총독부 중추원 편찬과 경성제국대학 |
2. 생애
오다 쇼고는 1871년 미에현 도바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아리마 모무치였으나, 1883년 큰아버지 오다 겐사쿠의 양자가 되면서 오다 쇼고로 개명하였다. 도쿄제국대학 졸업 후 교직에 종사하다 1908년 대한제국 정부의 초빙으로 한국에 와서 교육 및 역사 관련 활동을 하였다. 경성제국대학 교수를 역임하였고, 1932년 정년퇴임 후 숙명여자대학교의 전신인 숙명고녀 및 숙명여전 초대 교장을 지냈다. 1945년 은퇴 후 1953년 8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4]
2. 1. 일본에서의 초기 활동
미에현 시마군(현재 미에현) 도바에서 아리마 모무치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1883년, 큰아버지 오다 겐사쿠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1887년, 신궁황학관에 입학하였다가 바로 퇴학하였고, 상경하여 국민영학회, 도쿄 영어 학교에서 수학하였다. 1896년에는 제일고등학교 예과를 졸업하고 도쿄제국대학 문과대학 사학과에 입학하였다. 1899년에 대학을 졸업하고 도쿄제국대학 대학원에 진학하였으나, 곧 퇴학하고 나가노현 사범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였다. 이후 오기 중학교 교사, 도쿠시마현 사범학교 교장, 우네비 중학교 교장, 제1고등학교 교수 등을 역임하였다.[4]2. 2. 대한제국 및 일제강점기 활동
1908년 11월 17일, 대한제국 정부의 초빙으로 대한제국 학부 서기관이 되었고, 1910년 한일 병합 후에는 조선총독부 편집위원으로 교과서 편찬에 종사했다.[4]1918년 1월, 조선총독부 중추원 편집과장대우 촉탁으로 조선반도사 편집사업에 참여했다. 1923년 조선사학회를 조직하였고, 경성제국대학 창립위원회 위원을 거쳐 1924년 경성제국대학 설립과 함께 예과 부장으로 부임하였다. 1925년 7월 조선사 편수회 위원이 되었고, 1930년 4월에는 《고종실록》, 《순종실록》 편찬을 담당했다.[5][6] 1932년 3월 30일 경성제국대학 교수직에서 정년 퇴임하였다.
1935년 조선총독부박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회 위원이자 이왕직 촉탁이었으며, 같은 해 8월 숙명고녀 교장으로 부임, 1938년 숙명여전 설립에 따라 초대 교장이 되었다. 교장 재직 시 이왕직 촉탁 시절 인맥을 통해 황혜성에게 한희순을 소개해 조선왕조 궁중음식의 대가 이어지는데 기여하였다.[4]
유도 강도관 조선지부를 설립, 조선유도유단자회 부회장, 조선유도장려회장을 역임하는 등 한국에 유도를 전파하기 위해 노력했다. 조선총독부시정25주년기념표창을 수여받았다.[4]
2. 3. 경성제국대학 퇴임 이후
1932년 3월 30일에 경성제국대학 교수직에서 정년 퇴임하였다.[4] 1935년에는 조선총독부박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회 위원이자 이왕직 촉탁으로 있었으며, 같은 해 8월에 숙명고녀 교장으로 부임한다. 1938년 숙명여전이 설립됨에 따라 숙명여대의 초대 교장이 되었다. 교장 재직시에는 이왕직 촉탁 시절 인맥을 통해 황혜성에게 한희순을 소개해 주어 조선왕조 궁중음식의 대가 이어지는데 기여하였다. 1945년 고향인 도바로 은퇴하였고, 1953년에 8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4]2. 4. 광복 이후
1945년 고향인 도바로 은퇴하였고, 1953년에 8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4]3. 기타 활동
유도 강도관 조선지부를 설립하였고 조선유도유단자회 부회장, 조선유도장려회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에 유도가 전파되도록 노력하였다. 조선총독부시정25주년기념표창을 수여받았다.[4]
4. 수상
5. 저작물
참조
[1]
논문
佐藤由美「学部書記官小田省吾の略歴と活動」『明治期日本の対韓教育政策に関する研究「1895-1911」:日本人学務官僚の活動を中心に』
https://ci.nii.ac.jp[...]
[2]
논문
國分麻里2006「1920年代植民地朝鮮の普通学校における「朝鮮事歴」教授:郷土史概念を手がかりとして」『社会科教育研究』97,日本社会科教育学会.
https://www.jstage.j[...]
日本社会科教育学会
2006
[3]
간행물
官報
1925-07-03
[4]
웹인용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
2020-09-30
[5]
웹인용
조선왕조실록 : [왕대별 해제] 제26대 고종실록
http://sillok.histor[...]
2020-09-30
[6]
웹인용
조선왕조실록 : [왕대별 해제] 제26대 순종실록
http://sillok.histor[...]
2020-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