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일고등학교 (일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일고등학교는 1874년 관립 도쿄 외국어 학교 영어과에서 시작하여 여러 차례의 통합과 개편을 거쳐 1894년 제일고등학교로 개칭된 일본의 학교이다. 1950년 폐교될 때까지 일본 엘리트 교육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도쿄 대학 교양학부의 전신이 되었다. 이 학교는 자치 기숙사, 독자적인 교풍, 다양한 동아리 활동 등으로 유명했으며, 나쓰메 소세키, 가와바타 야스나리 등 많은 저명 인사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구제고등학교 - 구제중학교
    구제중학교는 일본 중학교령에 따라 설립된 5년제 후기 중등 교육 기관으로, 엘리트 등용문으로 여겨졌으나 1947년 학제 개혁으로 폐지되어 신제 고등학교로 개편되었고, 일제강점기 조선의 유사 학교들도 해방 후 학제 개혁을 거쳐 신제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분리되었다.
  • 일본의 구제고등학교 - 식사 담당 토벌
    메이지 시대 기숙사 학생들이 부실한 식사에 불만을 표출하며 일으킨 소요 사태인 식사 담당 토벌은 밥 요구, 식기 파손, 폭력 사태 등으로 진행되어 학교 측의 징계와 학생 자치 활동의 기틀 마련 및 자취제 도입을 야기했다.
  • 도쿄 대학 - 고다이라 구니히코
    고다이라 구니히코는 일본의 수학자로,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변형 이론, 대수곡면 분류, 고다이라 차원, 고다이라 소멸 정리 등의 업적을 남겨 1954년 필즈상을 수상했고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와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수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 도쿄 대학 - 도쿄대 투쟁
    도쿄대 투쟁은 1960년대 후반 일본 사회의 격변 속에서 도쿄대학교를 중심으로 발생한 학생 운동으로, 미일안보조약 개정 문제, 베트남 전쟁 등의 시대적 배경과 대학 자치 논란, 인턴 제도 폐지 운동 등이 주요 원인이 되어 학생들이 대학 운영 방식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며 격렬한 투쟁을 전개했고, 대학 당국의 강경 진압과 1969년 야스다 강당 공방전, 입시 중단 사태 등을 거치며 학생운동의 쇠퇴와 함께 일본 사회에 다양한 사회적 영향을 남겼다.
제일고등학교 (일본)
지도
학교 정보
교훈자율, 자존
유형구제 고등학교
개교1886년
폐교1950년
위치도쿄
역사
설립1886년 (고등사범학교에서 분리)
개칭1894년
폐지1950년 (신제 도쿄 대학 교양학부로 통합)
시설
부지구 가가 번 혼고 저택 부지
주요 건물강당, 도서관, 기숙사 등
조직
학과문과
이과
졸업생
저명한 졸업생정치, 경제, 문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
기타
관련 인물나쓰메 소세키 (교사)
아베 지로 (교장)
참고 자료
공식 웹사이트제일고등학교 홈페이지

2. 연혁



제일고등학교의 전신은 1874년 관립 도쿄 외국어 학교에서 영어과가 분리되어 설립된 '''관립 도쿄 영어 학교'''이다. 1877년에는 도쿄 영어 학교와 관립 개성학교 예과(보통과)가 합병하여 '''도쿄 대학 예비문'''이 설립되었다. 이후 도쿄 대학 의학부 예과(1882년), 도쿄 법학교 예과, 도쿄 외국어 학교의 프랑스어과 및 독일어과(1885년)를 차례로 병합하며 규모를 확장했다.

1886년 제국대학령과 중학교령 개정에 따라 공과대학 예과를 병합하고, '''제일고등중학교'''로 개칭되었다. 당시 학제는 예과 3년, 본과 2년이었다. 1887년에는 지바현에 의학부를 설립했는데, 이는 현립 지바 의학교를 인수한 것이었다. 이 의학부는 이후 분리되어 지바 의학 전문학교, 지바 의과대학을 거쳐 현재의 지바 대학 의학부로 발전했다. 1889년에는 히토츠바시에서 혼고 야요이초(무코가오카, 현재 도쿄 대학 농학부 부지)로 이전했다.

1890년에는 기노시타 히로지 교장이 학생 자치를 인정하여 자치 기숙사가 개설되었고, 1891년에는 제1회 기념제가 개최되었다. 1894년에는 예과를 폐지하고 본과 3년제로 개편했으며, 같은 해 9월 11일 고등학교령 시행에 따라 교명을 '''제일고등학교'''로 변경했다. 이로써 제일고등학교는 제국대학의 예과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1897년에는 학구제가 폐지되어 전국 어디서나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1899년에는 유학생 8명이 청강생으로 처음 입학했으며, 1902년에는 유명한 기숙사 노래 「아아 옥배에 꽃을 바쳐」가 발표되었다. 1908년에는 청국 정부 유학생을 수용하기 위한 특설 예과가 설치되었다.

1923년 관동 대지진으로 본관 시계탑이 파손되어 폭파 처리되었으며, 1924년에는 제1회 전국 고등전문학교 야구 대회에서 우승했다. 1932년에는 특설 예과가 폐지되고 특설 고등과(문리 각 30명 정원)가 설치되었다. 1935년에는 도쿄 제국대학 농학부와 부지를 교환하여 고마바로 이전했다.

1945년 도쿄 대공습으로 학교 시설 일부가 소실되거나 손상되었다. 전후 GHQ 주도의 학제 개혁에 따라, 1949년 5월 31일 신제 도쿄 대학의 교양학부가 설치되었고, 6월 30일 제일고등학교는 '도쿄 대학 제일고등학교'로 개칭되었다. 이후 1950년 3월까지 제일고등학교와 도쿄 대학 교양학부가 병존하다가, 1950년 3월 24일 공식적으로 폐교되었다. 폐교 후 제일고등학교의 시설과 조직은 도쿄 대학 교양학부 전기 과정으로 흡수되었다.

3. 교육 과정 및 특징

제일고등학교의 교장. 로마 신화의 여신 미네르바를 상징하는 올리브와 군신 마르스를 나타내는 세 가시 떡갈나무 잎으로 문무 양도를 표현했다.


제일고등학교는 1886년 일본 최초의 고등학교로 설립될 당시(초기 명칭: 제1고등중학교), 일본 유일의 대학이었던 도쿄 대학의 예비 교육기관(東京大学予備門)으로서의 성격을 가졌다. 당시 도쿄 대학에서 주로 사용되던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 등 유럽 언어 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설립 목적은 일본의 근대 국가 건설에 필요한 인재 양성이었다.

1894년 교명을 '''제일고등학교'''로 변경한 이후, 수학 기간은 3년이 되었고 제국대학의 예과 과정으로 자리 잡았다. 과정은 다음과 같이 나뉘었다.

1921년 이후에는 문과 갑/을/병류, 이과 갑/을류로 더욱 세분화되었다.

교육의 핵심 특징 중 하나는 교양 교육의 중시였다. 이는 영국과 미국의 대학 예비 과정 모델을 따른 것으로, 전문적인 대학 교육에 앞서 미래의 대학생들에게 폭넓은 교양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교양주의|교요슈기일본어, ''Kyōyōshugi'').[2] 이러한 교육 방침은 제일고등학교가 단순한 입시 준비 기관이 아닌, 인격 형성을 중시하는 교육 기관임을 보여준다.

학생 생활 측면에서는 1890년대부터 시작된 학생 자치 제도와 전 기숙사제가 특징적이었다. 학생들은 기숙사 생활을 통해 공동체 의식과 자율성을 길렀다. 또한, 학교는 문무 양도를 강조하여 윤리 강당 정면에는 문인의 대표로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무인의 대표로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의 초상화를 걸었다. 교장(校章) 역시 로마 신화의 여신 미네르바를 상징하는 올리브와 군신 마르스를 나타내는 세 가시 떡갈나무 잎을 조합하여 문무 양도의 정신을 나타냈다.

전쟁 전 일본 상류층 학생들 사이에서는 '一中一高帝大|잇추 잇코 데이다이일본어' (제1중학교-제1고등학교-도쿄 제국대학)라는 진로가 엘리트 코스로 여겨졌는데, 이는 제일고등학교가 당시 일본에서 가장 명망 높은 교육 기관 중 하나였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3]

4. 출신 학교

전쟁 전 일본에서는 상류층 학생들이 '이치추-잇코-테이다이(一中一高帝大)'로 묘사되는 진로를 따르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제일중학교(현 도립 히비야고교), 제일고등학교, 그리고 제국대학'을 의미한다.[3] 이러한 경로가 상징하듯, 제일고등학교는 당시 일본 최고의 명문 고등학교로 여겨졌다.

메이지 시대다이쇼 시대에는 특정 명문 초등학교 출신들이 많았으며[5], 엘리트의 대명사로 불렸던 도쿄부립 제일중학교를 비롯한 여러 명문 중학교 (구제) 출신 학생들이 다수 제일고등학교에 입학했다.[6] 또한, 메이지 시대 중반에는 일부 중학교 우수 학생들에게 무시험 또는 일부 과목 면제 시험을 통해 입학할 수 있는 특례 추천 제도가 잠시 운영되기도 했다.[7]

4. 1. 초등학교

메이지 시대다이쇼 시대부터 현재까지 백 년의 역사를 가진 세이시 초등학교 (분쿄구), 반초 초등학교 (치요다구), 고지마치 초등학교는, 당시 도쿄의 유력가 자제들이 학군을 넘어 모여들었고, 그들 중 다수가 "이치코 - 제국대학" 코스를 걸었다[5]. 당시 니시카타 (현재의 분쿄구)나 반초고지마치 (치요다구) 등에 거주하는 것이 일본을 대표하는 최고의 "에스타블리시먼트"였기 때문에, 선발 시험을 실시하지 않는 공립 초등학교임에도 불구하고 이 세 초등학교는 "어삼가"라고 불렸다. 제국대학교수, 귀족원 의원이나 자작의 후손까지, 대략 일본의 상류 계급이 선호하여 모였기 때문이다[5].

4. 2. 중등학교

다음은 1907년 (메이지 40년) 및 1934년부터 1942년 (쇼와 9년 - 쇼와 17년)까지 구제 제일고등학교 입학생의 출신 중학교 (구제)별 순위(상위 12개교)를 나타낸 것이다[6]

엘리트의 상징으로 "이치츄 - 이치코 - 제국대학" 등으로 불렸던 관공립 도쿄부립 제일중학교(현 도립 히비야고교)나 도쿄부립 제4중학교(현 도립 토야마고교), 관립 도쿄 고등사범학교 부속 중학교(현 쓰쿠바대 부속 중・고), 사립에서는 독일학협회 중학교(현 도쿄 중・고), 와세다 중학교(현 와세다 중・고), 가이세이 중학교(현 가이세이 중・고) 등이 많은 합격자를 배출했다. 특히 독일학협회 중학교는 메이지 시대까지 독일어 시험이 있던 제일고등학교 제삼부(의과)에 다수의 합격자를 내며 도쿄부립 제일중학교 등과 합격자 수 1위 경쟁을 벌였다. 이 외에도 일본 중학교(현 일본학원 중・고), 타이세이 중학교(현 타이세이 고), 쥰텐 큐고샤 중학교(현 쥰텐 중・고) 등도 많은 합격자를 냈다.

또한, 1886년 (메이지 19년) 중학교령 제정에 따라 전국 관공립 보통 중학교와 관립 고등 중학교 간의 학력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메이지 시대 중반 약 10년간 일부 관공립(후에 일부 사립 포함) 보통 중학교의 우수 학생에게는 무시험(후에 일부 과목 면제 시험으로 변경)으로 제일고등학교를 포함한 전국 5개 넘버 스쿨에 입학할 수 있는 특례 추천 제도(연락)가 마련되기도 했다[7]

5. 주요 사건

;임브리 사건

: 1890년 5월 17일, 메이지가쿠인과의 야구 경기 중, 응원을 위해 제일고등학교의 담을 넘은 메이지가쿠인 소속 신학 교사 윌리엄 임브리에게 학생들이 돌을 던져 부상을 입힌 사건이다.

;우치무라 간조 불경 사건

: 1891년 1월 9일, 교육 칙어 배례식에서 강사였던 우치무라 간조가 천황의 서명이 담긴 교육 칙어에 대해 경례를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사임하게 된 사건이다. 이는 당시 일본 사회의 경직된 분위기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후지무라 미사오의 자살

: 1903년 5월 22일, 재학생이던 후지무라 미사오가 "암두지감(巖頭之感)"이라는 제목의 유서를 남기고 게곤 폭포에서 투신 자살한 사건이다. 철학적 번민 끝에 이루어진 그의 자살은 당시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나쓰메 소세키 등 지식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모반론 강연

: 고토쿠 사건이 발생한 다음 해인 1911년 2월 1일, 변론부 주최 강연회에서 작가 도쿠토미 로카가 '모반론(謀叛論)'이라는 제목으로 강연하여 학생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하지만 이 강연은 문부성 내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망토 사건

: 1913년 4월, 재학 중이던 기쿠치 칸이 친구 사노 후미오의 부탁으로 다른 학생의 망토를 전당포에 맡겼다가 절도 혐의를 뒤집어쓰고 퇴학당한 사건이다. 기쿠치 칸은 훗날 이 경험을 바탕으로 소설 青木の出京|아오키의 출경일본어을 집필했다.

;일본 공산당 스파이 추궁 사건

: 1934년, 제일고등학교 내에서 일본 공산당 관련자와 동조자를 색출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영국인 영어 강사 윌리엄 맥스웰 비커턴(William Maxwell Viekerton)이 공산당 활동 자금을 제공했다는 혐의로 검거되기도 했다. 이는 당시 일본 제국주의 하의 사상 탄압 분위기를 보여준다.

6. 학생 생활

제일고등학교(이치코)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1890년대부터 시작된 학생에 의한 자치 제도와 기숙사 제도였다.

1890년에 학생들의 자치 운영을 기반으로 하는 기숙사가 처음 생겨났고, 1901년 이후에는 모든 학생이 의무적으로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전 기숙사제가 확립되었다. 전국 각지에서 모인 우수한 남학생들이 함께 생활하는 자치 기숙사를 중심으로, 이치코만의 독특한 교풍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독자적인 교풍은 농성주의(籠城主義)라고 불렸는데, 이는 학생들이 외부 사회와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기숙사 생활과 학업에 집중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말이었다. 당시 교장이었던 니토베 이나조는 이러한 농성주의가 자칫 배타적이거나 오만한 태도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경계하기도 했다.

기숙사 생활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독특한 학생 문화가 생겨났다.


  • '''스톰 (ストーム)''': 학생들이 벌이는 특유의 소란스럽고 활기찬 행위를 일컫는다. 이는 당시 학생들 사이에서 유행하던 반카라 문화와도 관련이 있다.
  • '''데칸쇼절 (デカンショ節)''': 원래 효고현 사사야마 지역의 민요였으나, 이치코 학생들이 스톰과 같은 활동 중에 즐겨 부르면서 널리 퍼졌다. 학교의 공식적인 료카(寮歌, 기숙사 노래)는 아니었다.
  • '''기숙사 기념제''': 매년 열리는 기숙사 축제로, 학생들이 각자의 방을 개성 있게 꾸미고 외부 손님들을 초대하여 함께 즐기는 중요한 행사였다.
  • '''철권 제재 (鉄拳制裁)''': 학생들 사이에서 행해졌던 물리적인 제재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7. 주요 동아리


  • '''문예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구메 마사오, 가와바타 야스나리, 호리 다쓰오 등 일본 문단을 이끈 인물들을 다수 배출했다.
  • '''변론부''': 많은 정치가와 관료를 배출했다. 도쿠토미 로카를 초청한 강연회로 인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현재는 도쿄 대학 변론부로 이어져 "제1고등학교·도쿄대학 변론부"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 '''격검부''': 야마자토 다다노리를 스승으로 모시고 검도, 창술과 더불어 호조인류 다카다파 창술을 학생들에게 가르쳤다. 이를 통해 실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했던 이 무술을 보존하는 데 기여했다.
  • '''야구부''': 1872년 학교의 전신인 제1대학구 제1번 중학교 시절, 미국인 교사 호러스 윌슨이 학생들에게 야구를 가르치면서 창설되었다. 이듬해인 1873년 개성학교로 개편되면서 운동장이 마련되었다. 1890년에는 메이지가쿠인과의 경기 도중 임브리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1896년에는 아오이 마사오 투수 등을 앞세워 일본 최초의 국제 경기로 여겨지는 요코하마 외국인 클럽과의 경기에서 29-4, 32-9로 대승을 거두며 당시 일본 최강팀으로 군림했다. 제일고 야구부의 맹훈련과 정확한 타격 중심의 단타 전술은 이후 일본 야구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80년대 이후 고마바 농학교, 공부대학교, 고등상업학교, 아오야마가쿠인, 메이지가쿠인, 릿쿄, 게이오기주쿠, 가쿠슈인 등 여러 학교에서 야구부가 창설되었다. 특히 요코하마 상업학교(Y고)는 1896년 제일고와 요코하마 외국인 클럽의 경기에 자극받아 제일고의 아오이 마사오를 코치로 초빙하여 야구부를 창단했다. 1900년대에 들어서면서 와세다 대학의 전신이 된 하시도 신의 아오야마가쿠인이나 오하시 다케타로 포수와 오시카와 기요시 투수가 있던 이쿠분칸 중학교 등에 패배하기 시작했다. 1904년에는 와세다와 게이오 양교에 패하면서 야구계의 주도권이 점차 다른 학교로 넘어가게 되었다. 이 시기 제일고 야구부에서는 나카우마 가나이 2루수, 아오이 마사오 투수, 후쿠시마 킨마 투수, 이노우에 큐시로 3루수 (1890년대 전후), 모리야마 고타로 투수, 시오 에노스케, 나카노 다케지 2루수 (1901년 전후), 키도 시로 (1915년 전후) 등이 활약했다. 1924년 제1회 전국 고등전문학교 야구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1936년에는 후신 대회인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오랫동안 교토의 제3고등학교와 정기전을 치르기도 했다. (관련 정보: 도쿄 대학 운동회 경식 야구부)
  • '''수영부''': 부원이었던 시오야 아쓰시 등에 의해 효고현 민요였던 데칸쇼 절이 학교에 소개되었고, 이후 제일고 학생들을 통해 널리 퍼져나가 민간에 보급되었다. 또한, 학교 기념제에서 추던 '갓파 춤'은 현재 도쿄 대학 수영부에 의해 고마바제에서 재현되고 있다.

8. 주요 출신 인물



이 외에도 다수의 저명 인사를 배출하였으며, 특히 다음 9명의 일본 총리가 이 학교 출신이다.[3]

9. 관련 작품

작가작품명연도비고
오자키 코요『금색 야차』1897년-1902년
타니자키 준이치로『갱(羹)』1912년
쿠메 마사오『학창 시절』1918년
가와바타 야스나리『이즈의 무희』1926년
타니자키 준이치로『나』1930년
미시마 유키오『청춘 시대』1950년
타카기 아키미츠『나의 제일고등학교 시대의 범죄』1951년코마바(駒場)로 이전한 이후의 제일고가 무대이다.
미키모토 야에『십십벌레는 꿈을 꾼다』2010년~쇼와 시대 초기를 무대로 한 만화로, 주인공이 다니는 "제일고"로 등장한다.


10. 계승

이치코 폐지 후, 그 교사나 조직은 신제 도쿄 대학 교양학부 전기 과정 (2년)에 편입되었다.[4] 이 때문에, 도쿄 대학 고마바 캠퍼스에서는 현재도 구제 이치코 시대의 교사나 "이치코"라고 새겨진 맨홀 뚜껑을 볼 수 있다. 또한 고마바 캠퍼스 정문에는 로마 신화의 여신 미네르바의 "문"을 의미하는 올리브와, 군신 마르스의 "무"를 나타내는 세 가시 떡갈나무를 본뜬, 문무 양도를 나타낸 이치코의 교장이 박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第一高等学校ホームページ http://museum.c.u-to[...] 2024-03-21
[2] 웹사이트 日本で「教養主義」が失われた2つの納得する訳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24-03-21
[3] 웹사이트 開成でも麻布でもない…戦前の「旧制一高」合格校ランキングで絶対王者・日比谷高校を破った私立校の名前 ドイツ語教育に力を入れたことが奏功した https://president.jp[...] PRESIDENT Online 2024-03-21
[4] 웹사이트 大学院総合文化研究科・教養学部の歴史 – 総合情報 – 総合情報 https://www.c.u-toky[...] 2024-03-21
[5] 서적 総理の乳母:安倍晋三の隠された原風景 創言社 2007
[6] 서적 東大合格高校盛衰史 光文社新書 2009
[7] 웹사이트 明治前期東京における中等教育の趨勢 : 伝統学知から近代学知へ https://doi.org/10.1[...] 東京大学大学院教育学研究科 2006-03-10
[8] 웹사이트 野球伝来から近代野球へ https://baseball-mus[...] 野球殿堂博物館
[9] 웹사이트 日本初の野球チーム 新橋アスレチック倶楽部 1878年 https://japanesereco[...] 日本記録認定協会
[10] 웹사이트 日本初の野球チーム 新橋アスレチック倶楽部 1878年 https://japanesereco[...] 日本記録認定協会 1882
[11] 뉴스 共産党シンパの人物 東京朝日新聞 1934-05-22
[12] 소설 青の時代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