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아시스 (방사광가속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아시스(OASIS)는 'Ochang Advanced Synchrotron for Industry and Science'의 약자로, 2020년 5월 9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이 명명한 방사광 가속기이다.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사업 부지 선정을 위해 5개 지자체가 경쟁했으며, 2020년 5월 8일 충청북도 청주시 오창읍이 최종 부지로 선정되었다. 2022년 이전에 착공하여 2028년 운영 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입자 가속기 - 사이클로트론
사이클로트론은 고주파 교류 전압, 전기장, 자기장을 이용하여 하전 입자를 나선형으로 가속하는 원형 입자 가속기로, 핵물리학 연구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 및 암 치료에도 활용된다. - 입자 가속기 - TRIUMF
TRIUMF는 캐나다의 국립 입자 및 핵물리학 연구소로, 핵물리학을 시작으로 다양한 분야로 연구를 확장했으며, ISAC, ARIEL 등의 주요 연구 시설을 운영하고 국제 협력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연구소 -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는 일제강점기 친일파 규명과 잔재 청산을 목표로 설립되어 친일인명사전 편찬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으나, 선정 기준 논란 및 편향성 논란 등으로 보수 진영과 갈등을 겪는 연구기관이다. - 대한민국의 연구소 - 세종연구소
세종연구소는 외교, 안보, 통일 전략 등을 연구하는 대한민국의 재단법인 연구소로, 사회 공헌 및 교육 사업도 수행하며 세종 코멘터리 등의 연구 결과물을 발표한다.
오아시스 (방사광가속기)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오아시스 |
로마자 표기 | OASIS |
유형 | 입자물리학 연구 |
형태 | 입자가속기 |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
주요 기관 | 기초과학연구원 |
예산 | 8천억 원 |
2. 명칭
초기 명칭이 정해지지 않았던 이 방사광 가속기는 2020년 5월 9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의해 오아시스(OASIS)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오아시스(OASIS)는 'Ochang Advanced Synchrotron for Industry and Science'의 약자이다.[2]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사업'은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되었다. 사업 부지 선정을 두고 전국 5개 지방자치단체 간 치열한 유치 경쟁이 벌어졌으며, 2020년 5월 8일 충청북도 청주시 오창읍이 최종 부지로 선정되었다.[7][1] 부지 선정 다음 날인 5월 9일, 방사광가속기의 이름은 '오아시스(OASIS)'로 결정되었다.[2] 이후 5월 14일부터 예비 타당성 조사가 시작되었으며,[1] 2022년 이전에 착공하여 늦어도 2028년에는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1]
3. 역사
3. 1. 유치 지역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사업'의 부지를 선정하기 위해 전국 5개 지자체 간의 유치 경쟁이 있었다.[3] 2020년 5월 6일, 전라남도 나주시와 충청북도 청주시로 후보지가 압축되었으며, 이틀 뒤인 5월 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종적으로 충청북도 청주시 오창읍을 사업 부지로 선정하였다.[7]
3. 1. 1. 유치 경쟁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사업' 부지를 두고 5개 지자체가 유치 경쟁을 벌였다. 인천광역시 송도, 충청북도 청주시, 강원도 춘천시, 경상북도 포항시, 전라남도 나주시가 참여했다.[3]
각 지역별 유치 논리는 다음과 같다.
지역 | 주요 유치 논리 |
---|---|
인천광역시 송도 | (구체적인 유치 논리는 원본 자료에 명시되지 않음) |
충청북도 청주시 | |
강원도 춘천시 | |
경상북도 포항시 | |
전라남도 나주시 | (구체적인 유치 논리는 원본 자료에 명시되지 않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 5월 6일 후보지를 전라남도 나주시와 충청북도 청주시 두 곳으로 압축했다. 이후 5월 8일 오전 10시 30분, 과기부는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사업' 부지로 충청북도 청주시 오창읍을 최종 선정했다고 발표했다.[7] 선정 배경으로는 청주시가 한반도의 중심에 위치하여 전국적인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점과, 방사광가속기의 주요 활용 분야인 반도체, 의약품·의료기기, 화학 산업이 수도권과 충청권에 밀집해 있다는 점 등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8]
3. 1. 2. 최종 부지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사업' 부지를 두고 5개 지방자치단체가 경쟁을 벌였다. 유치를 희망한 곳은 인천광역시 송도, 충청북도 청주시, 강원도 춘천시, 경상북도 포항시, 전라남도 나주시였다.[3] 각 지역의 주요 유치 논거는 다음과 같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 5월 6일, 후보지를 전라남도 나주시와 충청북도 청주시 두 곳으로 압축했다. 이후 5월 8일 오전 10시 30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종적으로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 사업' 부지로 충청북도 청주시 오창읍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7] 이러한 결정에는 청주시가 한반도 중앙에 위치하여 지리적 접근성이 뛰어나고, 방사광가속기 활용도가 높은 반도체, 의약품·의료기기, 화학 산업이 수도권과 충청권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 등이 주요하게 고려되었다.[8]
3. 2. 추진 경과
연도 | 주요 내용 |
---|---|
2020년 | 5월 8일: 충청북도 청주시로 건축 부지 지정[1] |
5월 9일: 이름이 오아시스로 지정[2] | |
5월 14일: 예비 타당성 조사 시작[1] | |
2022년 | 2022년 이전에 착공 예정[1] |
2028년 | 늦어도 2028년에 운영 시작 예정[1] |
참조
[1]
웹인용
"[위클리 스마트] '거대 현미경' 방사광가속기 2028년 오창에"
https://www.yna.co.k[...]
2020-05-16
[2]
웹인용
오창 방사광가속기 이름은 OASIS…실제 조감도 첫 공개
http://www.inews24.c[...]
2020-05-09
[3]
웹인용
전남의 미래가 걸린 방사광가속기 유치
http://www.kjdaily.c[...]
2020-04-06
[4]
뉴스
'방사광가속기', 충북 청주가 품었다…이유는?
https://news.imaeil.[...]
[5]
웹인용
"[미래여는 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ㆍ영남 \"최적지는 우리 지역\""
http://www.dt.co.kr/[...]
[6]
뉴스
수도권 7개大 방사광가속기 춘천 유치 지지
http://www.kwnews.co[...]
[7]
웹인용
나주, 청주 둘 중 한 곳만 웃는다. 방사광 가속기 부지는
https://www.chosun.c[...]
2020-05-08
[8]
뉴스
'방사광가속기', 충북 청주가 품었다…이유는?
https://news.imaei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