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플로그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플로그룹은 미토콘드리아 DNA(mtDNA)와 Y 염색체의 돌연변이 계통을 통해 정의되는 집단으로, 유전적 변이를 추적하여 인류의 기원과 이동 경로를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mtDNA는 모계 유전되며, Y 염색체는 부계 유전되어 특정 하플로그룹은 지리적 분포 및 언어와 연관성을 보이기도 한다. 하플로그룹은 알파벳과 숫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Y-DNA와 mtDNA 하플로그룹은 특정 집단에서 함께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통학 - 측계통군
    측계통군은 공통 조상과 그 후손의 일부를 포함하지만 모든 자손을 포함하지 않는 생물 그룹으로, 분지학에서는 진화적 관계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고 보아 일반적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파충류, 어류, 원핵생물 등이 대표적이다.
  • 계통학 - 자매군
    자매군은 계통 발생 나무에서 최근 공통 조상을 공유하는 두 분류군을 지칭하며, 이는 공통 조상의 다른 모든 자손들과 함께 단일 계통군을 형성하고, 분석 대상에 따라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 집단유전학 - 근친교배
    근친교배는 유전적으로 가까운 개체 간의 교배를 의미하며, 유전 질환 발현 가능성을 높이는 등 생물학적 영향과 품종 개량 및 연구에 활용된다.
  • 집단유전학 - 유전적 부동
    유전적 부동은 집단 내 대립형질 빈도가 무작위로 변하는 현상으로, 집단 크기가 작을수록 영향이 커지며 자연 선택과 함께 작용하여 진화에 영향을 미친다.
  • DNA - 미토콘드리아 DNA
    미토콘드리아 DNA(mtDNA)는 세포 호흡에 필수적인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미토콘드리아 내의 이중 가닥 환상 DNA로서, 동물의 경우 약 16,000개의 염기쌍과 37개의 유전자로 구성되며, 모계 유전, 높은 돌연변이율, 질병 및 노화와의 연관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
  • DNA - 이중 나선
    이중 나선은 DNA의 구조로서, 두 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사슬이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어 오른손잡이 나선 구조를 이루며, 상보적인 염기쌍이 수소 결합으로 연결되고 주구와 부구라는 고랑을 가지며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하플로그룹
개요
Y-DNA 하플로그룹의 진화
Y-DNA 하플로그룹의 진화
정의유사한 하플로타입의 그룹
어원그리스어 "ἁπλοῦς" (haploûs, 단순한) + 영어 "group" (그룹)
약어Haplogroup
명명법A → A1 → A1a (예시)
관련유전 계보학
참고 문헌Genome Research (2002), 12(2), 339-348

2. 하플로그룹의 구조

미토콘드리아Y 염색체는 하플로그룹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 세포소기관으로, 모계 유전되며 자체 DNA를 가진다. Y 염색체는 남성에게만 있는 성 염색체로, 부계 유전되며 대부분 유전자 재조합이 일어나지 않는다.

조상 하플로그룹에서 돌연변이 A가 발생하여 하플로그룹 A가 생성되었다. 이후 하플로그룹 A에서 돌연변이 B가 발생하여 하플로그룹 B가 생성되었다. 하플로그룹 B는 하플로그룹 A의 서브클레이드(하위 분기군)이다.


이 두 유전체는 DNA 서열에서 발생하는 변이(단일염기다형성)가 축적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변이는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유전되므로, 변이의 발생 순서를 추적하여 하플로그룹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Y 염색체 중 일부에서만 특정 변이(B)가 발견된다면, 이 변이는 이전에 발생한 다른 변이(A)보다 나중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변이 A를 가진 사람은 모두 단일 하플로그룹에 속하며, 변이 B를 가진 사람은 이 하플로그룹의 하위 그룹(서브클레이드)에 속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mtDNA와 Y 염색체는 계통과 하플로그룹으로 분류되며, 이는 주로 계층 구조의 도표 형태로 나타낸다.

2. 1. 미토콘드리아 DNA (mtDNA)

미토콘드리아는 진핵세포의 세포질에 있는 작은 세포소기관으로, 세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주된 기능을 한다. 미토콘드리아는 과거에 독립된 생명체였던 공생세균으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 증거로 미토콘드리아 DNA(mtDNA)는 그 구조가 진핵생물보다 세균에 더 가까운 원형 DNA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진핵생물론 참고). 사람 DNA의 대부분은 세포의 에 있는 염색체에 포함되어 있지만, mtDNA는 예외이다.

사람은 오직 모계에게서만 세포질과 세포소기관을 물려받는다. 이는 난자(난세포)로부터 비롯되는데, 정자운동성 유지 때문에 염색체 DNA만 전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mtDNA 분자에 변이가 일어나면 변이는 직접적인 모계 남녀 모두의 자식에게 직계로 전달된다. 이러한 변이는 DNA가 복제될 때 DNA 서열에서 단순한 실수가 일어나는 복제 오류 때문에 발생하는데, 이러한 실수를 단일 핵산염기 다형현상(SNP)이라고 한다.

인간의 이동과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


인간 mtDNA 하플로그룹은 A, B, C, CZ, D, E, F, G, H, HV, I, J, pre-JT, JT, K, L0, L1, L2, L3, L4, L5, L6, M, N, O, P, Q, R, R0, S, T, U, V, W, X, Y, Z이다. mtDNA 계통수의 최신 버전은 PhyloTree 웹사이트에서 Mannis van Oven이 관리한다.[19]

인간 미토콘드리아 DNA(mtDNA) 하플로그룹의 계통수
미토콘드리아 이브 (L)
L0
L1
L2
L3
M
N
CZ
D
E
G
Q
O
A
S
R
I
W
X
Y
C
Z
B
F
R0
pre-JT
U
HV
JT
K
H
V
J
T



미토콘드리아 이브는 연구자들이 모든 현존하는 인간의 가장 최근의 모계(여성 혈통) 조상에게 부여한 이름이다. 어떤 (예: 사람)의 일부(예: 일본인)에 대해 하플로그룹을 조사함으로써 그 기원을 조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미토콘드리아(모계)나 Y 염색체(부계)를 이용한다. 미토콘드리아 하플로그룹을 조사하는 연구는 "미토콘드리아 이브"라는 용어와 함께 유명해졌다.

2. 2. Y 염색체 DNA (Y-DNA)

인간의 Y 염색체는 성 염색체 중 하나이다. Y 염색체는 세포핵에 위치하지만, Y 염색체의 끝부분에서만 X 염색체재조합될 뿐이며, Y 염색체의 95%는 재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Y 염색체는 미토콘드리아 DNA(mtDNA)와 특정한 성질을 공유한다.

여성의 X 염색체상염색체 등 다른 염색체는 감수 분열 (유성 생식을 위해 일어나는 세포 분열의 특별한 유형)을 하는 동안에 유전자 물질을 공유한다 (재조합에 이르는 교차라고 한다). 이러한 염색체가 대대로 혼합되는 것은 유전자 물질과 어떤 새로운 변이가 부모에게서 자식에게로 무작위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Y 염색체와 mtDNA가 모두 나타내는 특징은 변이가 두 분자의 특정 부분에 축적되며, 이러한 변이는 DNA가 있는 곳에 변함없이 유지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변이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추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개의 Y 염색체 (각각 다른 10명의 남성에게서 비롯된)가 어떤 변이 A를 포함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나 이 염색체 중 5개는 두 번째 변이 B를 포함한다. 그렇다면 변이 B는 변이 A 이후에 발생할 수밖에 없다. 남성은 단일 하플로그룹 유형인 변이 A를 가지며, 또한 이 하플로그룹의 일부인 변이 B를 갖는다. 그러나 변이 B는 변이 A가 갖지 못하는 것을 갖는 남성이 가진 더 최근의 하플로그룹 (하위집단 또는 서브클레이드라고 한다)으로 정의된다. mtDNA와 Y 염색체는 모두 계통과 하플로그룹으로 분류되며, 이는 보통 도표와 같은 계층 구조형 자료로 나타낸다.

부계 Y염색체 하플로그룹은 언어상의 구분(어족)의 분포 패턴과 유사하다. 이는 농경, 목축 등 문화적 우월성을 가진 이주민 남성이 원래 살던 집단(수렵 채집민 등)의 여성과 자녀를 낳을 때, 그 자녀가 남성(아버지)의 언어를 말하는 경향이 있고, 지배적인 남성이 많은 자손을 독점적으로 남기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26][27]

2. 3. 하플로그룹의 정의

하플로그룹은 단일염기다형성(SNP)이라고 하는 DNA 서열의 변이(돌연변이)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말한다. 이 변이는 부모에게서 자식에게로 유전된다. 미토콘드리아 DNA(mtDNA)와 Y 염색체는 이러한 변이가 축적되는 특징을 가지며, 이를 통해 하플로그룹을 추적할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에서 에너지를 생성하는 세포소기관이다. 미토콘드리아는 모계, 즉 어머니를 통해서만 유전된다. mtDNA의 변이는 여성 계통으로 유전되므로, 이를 통해 모계 혈통을 파악할 수 있다.

Y 염색체는 남성에게만 존재하는 성 염색체이다. Y 염색체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유전자 재조합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Y 염색체의 변이는 남성 계통으로 유전된다. 따라서 Y 염색체를 통해 부계 혈통을 알 수 있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최초의 조상 하플로그룹에서 변이 A가 발생하여 하플로그룹 A가 생성되었다. 이후 하플로그룹 A에서 변이 B가 발생하여 하플로그룹 B가 생성되었다. 하플로그룹 B는 하플로그룹 A의 서브클레이드(하위 분기군)이라고 한다.

mtDNA와 Y 염색체 하플로그룹은 알파벳과 숫자를 조합하여 표기한다. 예를 들어, mtDNA 하플로그룹은 A, B, C 등으로, Y 염색체 하플로그룹은 A, B, C 등으로 표기한다.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하플로그룹 분류는 변경될 수 있다.

3. 하플로그룹 집단유전학

하플로그룹 연구는 집단유전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떤 (예: 사람)의 일부(예: 일본인)에 대해 하플로그룹을 조사함으로써 그 기원을 파악할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모계)나 Y 염색체 (부계)를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며, "미토콘드리아 이브"라는 용어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연구가 발전하면서,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각지로 이동해 가는 경로를 추정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또한, Y 염색체 하플로그룹을 조사하여 세계 각지 민족의 기원을 밝히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3. 1. 자연 선택과 유전적 부동

일반적으로 현재까지 살아남은 하플로타입 변이에 대해서는 작은 자연 선택만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변이율(각 표지마다 다를 수 있음)이 낮아지는 경우, 집단유전학의 주요 요인이 해당 집단의 하플로타입 빈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를 유전적 부동이라 한다. 유전적 부동의 무작위 변이는 집단 구성원의 무작위 표본 추출이 DNA를 다음 세대 구성원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요인은 집단 내 특정 표지(Marker)의 분포를 지속적으로 변화시켜, 특정 표지가 100%에 도달하거나 완전히 사라지게 만들 수 있다. 뚜렷한 지리적 차이와 특정 하플로타입의 집단 및 빈도는 집단 분리 및 증가에 뒤따르는 반복적인 인구 병목 현상이나 창시자 효과의 뚜렷한 효과를 보여준다.

현재로부터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계통은 오래된 집단 전체의 유전적 변화를 반영하지 않으며, 유전적 부동은 변이형의 일부가 멸종했음을 의미한다. 전체 Y-DNA와 mtDNA 서열 검사 비용은 데이터 이용을 제한했지만, 지난 10년 동안 비용이 극적으로 낮아졌다. 하플로타입의 기원 연대와 현재 지리적 분포는 모두 상당한 오차와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기원 연대에 대해서는 많은 집단유전학자들이 여전히 "Zhivotovski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DNA 계보학자들로부터 비판받고 있다.[1]

3. 2. 하플로그룹의 기원 연대 및 지리적 분포

하플로그룹의 기원 연대 추정은 현재까지 살아남은 변이와 특정 하플로타입에 대한 자연 선택이 거의 없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한다. 돌연변이율이 떨어지는 경우, 집단유전학의 주요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유전적 부동이다. 유전적 부동은 무작위적인 변이로, 집단 구성원의 표본 무작위 추출이 DNA를 다음 세대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집단 내 특정 표지(Marker)의 분포를 변동시키고, 심지어 특정 표지가 100%에 도달하거나 완전히 도태되게 만들기도 한다. 뚜렷한 지리적 차이와 특정 하플로타입의 집단 및 빈도는 집단의 분리와 증가에 뒤따르는 반복되는 개체군 병목현상이나 창시자 효과의 영향을 보여준다.

현재로부터 거슬러 올라가는 계통은 오래된 집단 전체의 유전적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며, 유전적 부동으로 인해 일부 변이형은 이미 멸종했을 수 있다. Y-DNA와 mtDNA 서열 전체 검사 비용은 데이터 이용을 제한했지만, 최근 10년간 비용이 크게 감소했다.

하플로타입의 기원 연대와 현재 지리적 분포는 모두 상당한 오차와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기원 연대와 관련하여, 많은 집단유전학자들이 여전히 "Zhivotovski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DNA 계보학자들로부터 오차에 대한 비판을 받고 있다.[20]

인간 미토콘드리아 DNA 유형 이주의 지도. 주요 지점(색상별)은 현재로부터 수천 년 전 시기를 나타낸다.


하플로그룹은 유전학적 집단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종종 지리적으로 구분된다. mtDNA 하플로그룹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지역mtDNA 하플로그룹
아프리카L0, L1, L2, L3, L4, L5, L6
서유라시아H, T, U, V, X, K, I, J, W (모든 서유라시아 하플로그룹은 매크로 하플로그룹 N에서 파생됨)
동유라시아A, B, C, D, E, F, G, Y, Z (C, D, E, G, Z는 매크로 하플로그룹 M에 속함)
아메리카 원주민A, B, C, D, X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아P, Q, S


4. 인류 Y-염색체 DNA 하플로그룹

인류 Y 염색체 DNA (Y-DNA) 하플로그룹은 A부터 T까지 알파벳으로 분류되며, 추가로 숫자와 소문자를 사용하여 더 세분화된다. 이러한 명칭은 Y 염색체 컨소시엄(Y Chromosome Consortium)에 의해 결정되었다.[29] Y-DNA 하플로그룹의 계보는 국제 유전계보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Genetic Genealogy, ISOGG) 웹 사이트에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되고 있다.[30]

Y-염색체 아담은 현재 살아있는 모든 인류의 가장 최근의 부계(남성 계통) 공통 조상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인류 Y-염색체 DNA (Y-DNA) 하플로그룹 계보'''
Y-염색체 아담
A
colspan="2" |A1bA1a-T
colspan="3" |A1aA2-T
colspan="6"|A2A3BT
colspan="9" |BCT
colspan="13" |DECF
colspan="13" |DECF
colspan="18" |GHIJK
colspan="23" |IJK
colspan="22" |IJLTK(xLT)
colspan="22" |I1I2J1J2LTMNOPS
colspan="33" |ONQR
colspan="29" |O1O2R1R2
colspan="31" |O1aO1bR1aR1b
colspan="31" |O1b1O1b2



주요 Y-DNA 하플로그룹과 그 기원 지역(유럽의 식민지화 이전)은 다음과 같다.

기원하플로그룹마커
유럽 (두 번째 멸종 사건?)IM170, M253, P259, M227, M507
유럽I1bP215, M438, P37.2, M359, P41.2
유럽I1cM223, M284, P78, P95
유럽J2a1M47
유럽J2a2M67, M166
유럽J2a2aM92
유럽J2bM12, M102, M280, M241
유럽R1b1b1aM412, P310
유럽R1b1b1a1L11
유럽R1b1b1a1aU106
유럽R1b1b1a1bU198, P312, S116
유럽R1b1b1a1b1U152
유럽R1b1b1a1b2M529
유럽R1b1b1a1b3,4M65, M153
유럽R1b1b1a1b5SRY2627
남아시아 또는 멜라네시아C1(이전에는 CxC3로 알려짐)Z1426
북아시아C2 (이전에는 C3로 알려짐)M217+
인도네시아 또는 남아시아FM89, M282
유럽 (코카서스)GM201, M285, P15, P16, M406
남아시아HM69, M52, M82, M197, M370
유럽 또는 중동J1M304, M267, P58, M365, M368, M369
유럽 또는 중동J2M172, M410, M158, M319, DYS445=6, M339, M340
유라시아의 버마 서쪽 (첫 번째 멸종 사건?)[25]
인도네시아 (첫 번째 멸종 사건?) [25]K2 (NOPS)M526
남아시아LM11, M20, M27, M76, M317, M274, M349, M357
동아시아, 동남아시아NM231, M214, LLY22g, Tat, M178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OM175, M119
인도네시아, 필리핀P (xQR)92R7, M207, M173, M45
남아시아, 시베리아R 및 Q (QR) 분열 [25]MEH2, M242, P36.2, M25, M346
중동, 유럽, 시베리아, 남아시아R1a1M420, M17, M198, M204, M458
아나톨리아, 동남 유럽 ?R1bM173, M343, P25, M73
유럽R1b1bM269
유럽R1b1b1L23
파키스탄, 인도R2M479, M124
중동TM70
북아프리카E1b1b1M35
북아프리카E1b1b1aM78
서아시아E1b1b1a2V13
북아프리카E1b1b1a1V12
북아프리카E1b1b1a1bV32
북아프리카E1b1b1a3V22
북아프리카E1b1b1a4V65
북아프리카E1b1b1bM81
북아프리카E1b1b1cM123, M34
서아프리카, 북아프리카AM91, M13
동아프리카BM60, M181, SRY10831.1, M150, M109, M112
아시아, 아프리카DEM1, YAP, M174, M40, M96, M75, M98
동아시아, 네팔DM174
서아프리카 (첫 번째 멸종 사건?)E1aM33
동아프리카 (첫 번째 멸종 사건은 E1b1과 E1a 사이의 분리, 두 번째 멸종 사건은 E1b1b와 E1b1a 사이의 분리)E1b1P2, M2, U175, M191
중동J1P58



SNP 하플로그룹에 따르면, 첫 번째 멸종 사건은 약 45,000~50,000년 전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두 번째 멸종 사건의 하플로그룹은 말타 유적에 따르면 32,000~35,000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보인다. C, DE, F 하플로그룹이 C, D, F로 분기된 지반 제로 멸종 사건은 토바 화산 폭발 시기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C와 F는 거의 공통점이 없지만, D와 E는 공통점이 많다. 현재 추정으로는 멸종 사건 #1이 토바 화산 폭발 이후에 발생했지만, 더 오래된 고대 DNA가 발견되면 지반 제로 멸종 사건이 토바 화산 폭발 이전으로, 첫 번째 멸종 사건이 토바 화산 폭발 시기로 변경될 수 있다. 멸종 사건과 관련된 하플로그룹은 기원이 불확실하며, 멸종 사건으로 인한 심각한 병목 현상 때문에 이러한 그룹에 대한 모든 기록은 추측에 불과하다. 고대 DNA의 SNP 수는 매우 가변적일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든 그룹이 거의 같은 시기에 분기되었지만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23][24]

5. 인류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

인류 mtDNA 하플로그룹은 A부터 Z까지의 문자로 표기된다. mtDNA 하플로그룹의 계보는 Mannis van Oven의 PhyloTree 웹 사이트에 최신 버전이 업데이트되고 있다.[31]

미토콘드리아 이브는 모든 현생 인류의 모계 조상에게 연구자들이 붙인 이름이다.

미토콘드리아 DNA에 따른 인류 이주의 지도. 문자는 하플로그룹을 나타내고 색상과 숫자는 연대를 나타낸다. (단위 : 1000년)


하플로그룹
A
B
C
CZ
D
E
F
G
H
HV
I
J
pre-JT
JT
K
L0
L1
L2
L3
L4
L5
L6
M
N
O
P
Q
R
R0
S
T
U
V
W
X
Y
Z



'''인간 미토콘드리아 DNA(mtDNA) 하플로그룹의 계통수'''
미토콘드리아 이브 (L)
L0L1–6
L1L2L3L4L5L6
MN
CZDEGQOASRIWXY
CZBFR0pre-JTcolspan="2"PU
HVJTK
HVJT



다음은 Bekada et al. 2013에서 제안한 Y-염색체 및 mtDNA 지리적 하플로그룹 할당 목록이다.[22]

기원하플로그룹
유럽H1, H11a, H1a, H1b, H2a, H3, H5a, H6a, H7, HV0/HV0a/V, I4, J1c7, J2b1, T2b*, T2b4, T2e, U4c1, U5*, U5a, U5a1b1, U5b*, U5b1b*, U5b1c, U5b3, X2c'e
중동I, A, B, C/Z, D/G/M9/E, F, H*, H13a1, H14a, H20, H2a1, H4, H6b, H8, HV1, I1, J / J1c / J2, J1abe, J1b1a1, J1b2a, J1d / J2b, J1d1, J2a, J2a2a1, K*, K1a*, K1b1*, N1a*, N1b, N1c, N2, N9, R*, R0a, T, T1*, T1a, T2, T2c, T2i, U1*, U2*, U2e, U3*, U4, U4a*, U7, U8*, U9a, X, X1a, X2b1
북아프리카L3e5, M1, M1a1, U6a, U6a123, U6bcd
동아프리카L0*, L0a1, L0a1b, L0a2*, L3c/L4/M, L3d1a1, L3d1d, L3e1*, L3f*, L3h1b*, L3i*, L3x*, L4a'b*, L5*, L6, N* / M* / L3*
서아프리카L1b*, L1b3, L1c*, L1c2, L2*, L2a, L2a1*, L2a1a234, L2a1b, L2a1bf, L2a1c12, L2a1(16189), L2a2, L2b*, L2c12, L2d, L2e, L3b, L3b1a3, L3b(16124!), L3b2a, L3d*, L3e23'4, L3f1b*


5. 1. 집단의 정의

인류 미토콘드리아 DNA(mtDNA) 하플로그룹은 유전학적 집단을 정의하고 지리적 분포를 추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mtDNA 하플로그룹은 크게 L, M, N 세 그룹으로 나뉜다.[31]

  • L 그룹: 아프리카인 집단에서 주로 발견되며, L0, L1, L2, L3, L4, L5, L6 등의 하위 그룹으로 구성된다. L3는 다시 M과 N 그룹으로 분기된다.
  • M 그룹: 동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멜라네시아 등에서 발견되지만, 유럽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M 그룹은 아프리카에서 남아시아 해안 지역을 따라 동쪽으로 이동한 첫 번째 인류 이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M 그룹의 하위 그룹은 다음과 같다.
  • M1: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인도 등에서 발견된다.
  • CZ: 많은 시베리아인에게서 발견된다. C 분기는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에게서, Z 분기는 사미족, 일부 한국인, 중국 북부 및 중앙아시아 인구에게서 발견된다.
  • D: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 시베리아인, 북동아시아인에게서 발견된다.
  • E: 말레이, 보르네오, 필리핀, 대만 원주민, 파푸아뉴기니 등에서 발견된다.
  • G: 북동 시베리아인, 북동아시아인, 중앙아시아인에게서 주로 발견된다.
  • Q: 멜라네시아, 폴리네시아, 뉴기니 등에서 발견된다.
  • N 그룹: 아프리카에서 북쪽으로 이동한 인류 이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N 그룹은 다시 대형 R 그룹과 N(xR) 그룹으로 나뉜다.
  • R 그룹: 동남아시아오세아니아에서 발견되는 하위 그룹과 현대 유럽인의 거의 전부를 포함하는 하위 그룹으로 구성된다. R의 하위 분기는 다음과 같다.
  • B: 일부 중국인, 티베트인, 몽골인, 중앙아시아인, 한국인, 아메리카 원주민, 남부 시베리아인, 일본인, 오스트로네시아인에게서 발견된다.
  • F: 주로 동남아시아, 특히 베트남에서 발견된다.
  • R0: 아라비아와 에티오피아인, 소말리아인 사이에서 발견된다. HV 분기(H 분기, V 분기)는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에서 발견된다.
  • Pre-JT: 레반트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베두인족에게서 높은 빈도로 발견된다. JT 분기(J 분기, T 분기)는 북유럽, 동유럽, 인더스, 지중해 지역에서 발견된다.
  • U: 서유라시아, 인도 아대륙, 알제리 등에서 높은 빈도로 발견된다. 특히 U5는 사미족에게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
  • N(xR) 그룹: N 그룹에 속하지만 R 하위 그룹에는 속하지 않는 mtDNA로, 호주 원주민에게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며, 유라시아와 아메리카의 일부 인구에서도 낮은 빈도로 발견된다. N(xR) 그룹의 하위 그룹은 다음과 같다.
  • A: 아메리카 원주민과 일부 동아시아인, 시베리아인에게서 발견된다.
  • I: 북유럽, 동유럽에서 10% 빈도로 발견된다.
  • S: 일부 호주 원주민에게서 발견된다.
  • W: 일부 동유럽인, 남아시아인, 남동아시아인에게서 발견된다.
  • X: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 남부 시베리아인, 서남아시아인, 남유럽인에게서 발견된다.
  • Y: 대부분의 니브흐, 니아스 사람들에게서 발견되며, 아이누, 퉁구스, 오스트로네시아인에게서도 많이 발견된다.


mtDNA 하플로그룹 분석을 통해 특정 (사람)의 일부(일본인)의 기원을 조사하고,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각지로 이동해 가는 경로를 추정할 수 있다.[32]

6. Y-DNA 하플로그룹과 mtDNA 하플로그룹 사이의 대응

Y-DNA 하플로그룹과 mtDNA 하플로그룹은 각각 부계와 모계를 통해 유전되므로, 특정 집단에서 이들의 조합이 나타나는 양상을 통해 인류의 이동 경로와 민족의 기원을 추정할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이브"라는 용어는 미토콘드리아 하플로그룹 연구를 통해 인류의 모계 기원을 추적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22]

다음은 Y-DNA 하플로그룹과 mtDNA 하플로그룹 사이의 대략적인 대응 관계이다.

Y-DNA 하플로그룹mtDNA 하플로그룹지리적인 분포
AL0아프리카 동부와 남부
BL1, L4아프리카 동부와 중부
EL2, L3아프리카 전역
D, O, N, C3CZ/C/Z, D, G (M 집단), A, N9/Y (N 집단), B, F (R 집단)동아시아, 시베리아
K, MB, P (R 집단), N, Q (M 집단)오세아니아
R, I, T, J, E (V13, M81, M123 표지)R0, HV/H/V, JT/J/T, U/K (R 집단)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아프리카의 뿔
Q, C3A, X (N 집단), C, D (M 집단)극동 시베리아, 아메리카



이 표는 Y-DNA와 mtDNA 하플로그룹의 지리적 분포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동아시아와 시베리아에서는 Y-DNA 하플로그룹 D, O, N, C3와 mtDNA 하플로그룹 CZ/C/Z, D, G (M 집단), A, N9/Y (N 집단), B, F (R 집단)이 주로 발견된다.

이러한 대응 관계는 인류 이동과 확산 과정에서 Y-DNA와 mtDNA 하플로그룹이 어떻게 섞이고 변화했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다만, 이는 대략적인 대응 관계이며, 모든 하플로그룹이 조사된 것은 아니므로 앞으로 연구 결과에 따라 바뀔 수 있다.

7. 하플로그룹 표기법

Y염색체 하플로그룹 및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에는 알파벳이 부여된다. 정식 표기법으로는 변이 부분 중 하나를 표기하여 해당 그룹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하플로그룹 E-V13 등이 있다. 간이 표기법에서는 계통에 따라 알파벳과 숫자를 번갈아 가며 부여한다. (예: E>E1>E1a>E1a1>…, E>E2>E2b>E2b1…) 간이 표기법은 연구 진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어떤 그룹에도 속하지 않는 유형은 파라그룹(*)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하플로그룹 D1에도 D2에도 속하지 않지만, 하플로그룹 D의 자형인 것은 D*로 표기한다. 특정 그룹에서 특정 계통만을 제외하는 경우 (x…)를 표기한다. 예를 들어 "D(xD1)"은 D1 계통을 제외한 D의 자계통 전체를 나타낸다. 즉, D의 자계통 중 간이 표기법을 갖는 것이 D1, D2뿐인 경우, "D(xD1)=D*+D2"이다.

8. 하플로그룹과 언어의 상관관계

부계 Y염색체 하플로그룹은 언어상의 구분(어족)의 분포 패턴과 유사하다. 이는 농경, 목축 등 문화적 우월성을 가진 이주민 남성이 재래 집단(수렵 채집민 등)의 여성과 자녀를 낳을 때, 그 자녀가 남성(아버지)의 언어를 말하는 경향이 있고, 지배적인 남성이 많은 자손을 독점적으로 남기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26][27] 반면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은 언어와의 관련성은 비교적 약하지만, 다양성이 높다.[28]

참조

[1] 논문 A Nomenclature System for the Tree of Human Y-Chromosomal Binary Haplogroups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2002-02-01
[2] 웹사이트 Y Chromosome Consortium http://ycc.biosci.ar[...] 2005-07-27
[3] 논문 Seeing the wood for the trees: a minimal reference phylogeny for the human Y chromosome
[4] 웹사이트 International Society of Genetic Genealogy (ISOGG; 2015), ''Y-DNA Haplogroup Tree 2015'' http://www.isogg.org[...] 2015-02-01
[5] 문서 Haplogroup A0-T is also known as A-L1085 (and previously as A0'1'2'3'4).
[6] 문서 Haplogroup A1 is also known as A1'2'3'4.
[7] 문서 F-Y27277, sometimes known as F2'4, is both the parent clade of F2 and F4 and a child of F-M89.
[8] 문서 Haplogroup LT (L298/P326) is also known as Haplogroup K1.
[9] 문서 Between 2002 and 2008, [[Haplogroup T-M184]] was known as "Haplogroup K2". That name has since been re-assigned to [[Haplogroup K2|K-M526]], the sibling of Haplogroup LT.
[10] 문서 Haplogroup K2b (M1221/P331/PF5911) is also known as Haplogroup MPS.
[11] 문서 Haplogroup K2b1 (P397/P399) is also known as Haplogroup MS, but has a broader and more complex internal structure.
[12] 문서 Haplogroup P (P295) is also klnown as K2b2.
[13] 웹사이트 K-M2313*, which as yet has no phylogenetic name, has been documented in two living individuals, who have ethnic ties to India and South East Asia. In addition, K-Y28299, which appears to be a primary branch of K-M2313, has been found in three living individuals from India. See: Poznik ''op. cit.''; https://www.yfull.co[...] 2017-12-09
[14] 문서 Haplogroup S, as of 2017, is also known as K2b1a. (Previously the name Haplogroup S was assigned to K2b1a4.)
[15] 문서 Haplogroup M, as of 2017, is also known as K2b1b. (Previously the name Haplogroup M was assigned to K2b1d.)
[16] 논문 Punctuated bursts in human male demography inferred from 1,244 worldwide Y-chromosome sequences
[17] 논문 A recent bottleneck of Y chromosome diversity coincides with a global change in culture
[18] 논문 Phylogeography of Y-chromosome haplogroup I reveals distinct domains of prehistoric gene flow in europe http://www.familytre[...] 2004-07
[19] 웹사이트 PhyloTree.org http://www.phylotree[...]
[20] 논문 Disuniting uniformity: a pied cladistic canvas of mtDNA haplogroup H in Eurasia
[21] 논문 The evidence of mtDNA haplogroup F in a European population and its ethnohistoric implications 2001-09
[22] 논문 Introducing the Algerian mitochondrial DNA and Y-chromosome profiles into the North African landscape
[23] 웹사이트 Common genetic ancestors lived during roughly same time period http://phys.org/news[...] 2013-08-01
[24] 논문 Upper Palaeolithic Siberian genome reveals dual ancestry of Native Americans 2014-01
[25] 논문 Improved phylogenetic resolution and rapid diversification of Y-chromosome haplogroup K-M526 in Southeast Asia 2015-03
[26] 문서 移住者が文化的優越性を持っている場合、在来集団の男性は移住者の男性に敗れ、子を残せないことも多くなる
[27] 논문 Mother tongue and Y chromosomes http://www.rootsforr[...]
[28]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日本人集団・日本語の成立史 勉誠出版
[29] 웹인용 Y 염색체 컨소시엄(Y Chromosome Consortium) http://ycc.biosci.ar[...] 2011-07-15
[30] 웹사이트 국제 유전계보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Genetic Genealogy, ISOGG) Y-DNA 하플로그룹 계보 http://www.isogg.org[...]
[31] 웹사이트 PhyloTree.org - 세계 인류 mtDNA 계보 http://www.phylotree[...]
[32] 논문 Eva-Liis Loogväli et al., "[http://mbe.oxfordjournals.org/content/21/11/2012.long Disuniting Uniformity: A Pied Cladistic Canvas of mtDNA Haplogroup H in Eurasia],"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Volume 21 Issue 11 (2004), pp. 2012~2021.
[33] 논문 Helle-Viivi Tolk et al., "[http://www.nature.com/ejhg/journal/v9/n9/abs/5200709a.html The evidence of mtDNA haplogroup F in a European population and its ethnohistoric implications]," ''European Journal of Human Genetics'' Volume 9 Number 9 (2001), pp. 717~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