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동은 형제자매가 없이 홀로 자란 아이를 의미한다. 중국에서는 1980년부터 2015년까지 시행된 한 자녀 정책으로 외동이 급증했으며, 일본에서도 1990년대부터 외동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외동을 선택하는 요인으로는 경제적 부담, 신체적·정신적 어려움, 사회적 불안감 등이 있으며, 부모는 자녀에게 더 많은 관심과 자원을 집중하고자 한다. 외동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하며, 지능 지수나 학업 성적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는 반면, 사회성 부족, 버릇없음 등의 부정적인 고정관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족 계획 - 남아선호사상
남아선호사상은 남아를 여아보다 더 좋아하는 사회적 현상으로, 종교적 교리, 남성 노동력 중시, 가사 노동 가치 절하 등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며, 일부 국가에서 성비 불균형을 초래하고 대한민국에서는 완화 추세에 있지만 과거 성비 불균형이 사회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가족 계획 - 수태인자
수태인자는 배우자 유사성, 사회적 압력, 행복감, 성평등, 종교, 세대 가치관, 결혼 및 동거, 모계 가족 지원, 사회적 자본 등 다양한 요인과 정부 정책, 임신 중단, 이민자 증가 같은 사회 현상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외동 | |
---|---|
일반 정보 | |
정의 | 형제자매가 없는 자녀 |
사회적 측면 | |
긍정적 측면 | 부모의 자원 집중 높은 학업 성취도 가능성 독립성 및 자립심 발달 가능성 |
부정적 측면 | 외로움 이기심 사회성 부족 과잉 보호 |
심리적 측면 | |
성격 특성 | 책임감 강함 독립적 완벽주의 성향 창의적 |
연구 결과 | 긍정적, 부정적 결과 혼재 사회경제적 요인 중요 |
문화적 측면 | |
인식 | 다양한 문화권에서 다른 인식 존재 고정관념 존재 (이기적, 버릇없음 등) |
관련 용어 | |
기타 용어 | 독자 (獨子): 아들만 있는 경우 독녀 (獨女): 딸만 있는 경우 |
영어 | Only child |
일본어 | ひとりっ子 (Hitorikko) |
2. 역사적 배경
역사적으로 외동은 비교적 흔하지 않았다. 20세기 중반 무렵부터 출산율과 평균 가족 규모가 여러 이유로 급격히 감소했는데, 여기에는 인구 과잉에 대한 우려, 피임 및 여성 취업으로 인해 더 많은 여성들이 늦은 나이에 첫 아이를 갖는다는 점 등이 포함되었다.[1] 대공황 기간 동안 미국에서 외동 가구의 비율이 증가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베이비 붐 기간 동안 감소했다.[1] 한국 전쟁이 1953년에 종전된 후, 대한민국 정부는 경제 번영을 위해 국민들이 한두 명의 자녀를 갖도록 권장했고, 이는 출산율을 크게 감소시키고 국내 외동의 수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았다.[2][3]
가족은 개인적 선호, 가족 계획, 재정적, 정서적 또는 신체적 건강 문제, 여행에 대한 욕구, 가족 내 스트레스, 교육적 이점, 늦은 결혼, 안정성, 집중, 시간 제약, 임신에 대한 두려움, 고령, 사생아 출생, 불임, 이혼, 형제 또는 부모의 사망 등 다양한 이유로 외동을 가질 수 있다. 한 부모의 조기 사망 또한 20세기 중반까지 소수의 결혼에서 한 명의 자녀만 낳는 원인이 되었으며, 당시에는 드물었던 이혼 또한 영향을 미쳤다.
2. 1. 한국
1990년대부터 후생성 산하 국립 사회 보장·인구 문제 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외동 비율이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36]2002년 조사에서는[36] 결혼 기간이 긴 세대는 평균 2.0명을 약간 넘는 자녀를 두었고, 80% 이상이 2명 이상을 출산하여 외동은 10% 미만이었다. 결혼 4년 미만 가정도 1980년대와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결혼 5~9년 후 가정의 외동 비율은 24%(1987년 대비 9%p 상승), 10~14년 후 가정은 16%(6%p 상승)로, 첫째 출산 후 출산율이 둔화되고 있다.
저출산의 주된 원인은 여전히 독신 증가이지만, 아이를 갖지 않는 부부(DINKs, 만혼, 불임, 경제적 이유 등)도 결혼 5년 이상 10년 미만에서 10%(1987년 대비 5%p 상승)를 차지하며, 외동 등 출산 속도 저하도 영향을 주고 있다.[37]
2. 2. 중국
独生子女|두성쯔뉘중국어 정책은 1980년부터 2015년까지 시행된 한 자녀 정책의 영향으로, 중국에서 외동이 급증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1] 이 정책은 강제 낙태, 여아 살해 등의 부작용을 낳기도 했다.[1]2. 3. 일본
후생성(현 후생노동성)이 설치한 국립 사회 보장・인구 문제 연구소가 1940년부터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조사에 따르면, 1990년대부터 외동 비율이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2002년에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36], 결혼 기간이 긴, 아이를 다 낳은 세대는 평균 2.0명을 약간 웃돌아, 80% 이상의 가정이 아이를 2명 이상 낳았으며, 외동은 10%에 미치지 못했다. 결혼 4년 미만의 가정에서 외동 비율도 1980년대와 크게 다르지 않아, 첫째 아이를 갖는 시기가 변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결혼 기간이 5년에서 9년이 지난 가정에서 외동은 24%(1987년부터 9포인트 상승), 10년에서 14년의 가정에서도 16%(6포인트 상승)가 되어, 첫째를 낳은 후의 출산율이 둔화되고 있다.
저출산의 주된 원인은 여전히 독신자의 증가이지만, 아이를 갖지 않는(갖지 못하는・낳지 못하는) 부부(DINKs, 만혼, 불임, 경제적 이유 등)도 결혼 5년 이상 10년 미만에서 10%(1987년부터 5포인트 상승)가 되었으며, 외동 등 출산 페이스의 저하도 기여하고 있다.[37]
3. 외동을 선택하는 요인
역사적으로 외동은 비교적 흔하지 않았다. 20세기 중반부터 출산율과 평균 가족 규모가 여러 이유로 급격히 감소했는데, 여기에는 인구 과잉에 대한 우려, 피임 및 여성 취업 증가로 인한 늦은 출산 등이 포함된다.[1] 대공황 기간 동안 미국에서 외동 가구 비율이 증가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이비 붐 기간 동안 감소했다.[1] 한국 전쟁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경제 발전을 위해 한두 명의 자녀를 갖도록 권장했고, 이는 출산율 감소와 외동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2][3]
1980년부터 2015년까지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은 대부분의 부모가 한 명의 자녀만 갖도록 제한했지만, 지역 및 개별 상황에 따라 예외가 있었다.[4][5][6]
가족은 개인적 선호, 가족 계획, 재정, 건강 문제, 여행, 스트레스, 교육, 늦은 결혼, 안정성, 집중, 시간 제약, 임신에 대한 두려움, 고령, 사생아 출생, 불임, 이혼, 형제 또는 부모의 사망 등 다양한 이유로 외동을 선택한다. 20세기 중반까지는 부모의 조기 사망이나 이혼 또한 외동의 원인이 되었다.
3. 1. 경제적 요인
- 여유로운 생활을 원하며, 여러 명의 자녀보다는 한 명의 자녀에게 집중하여 충분한 육아 및 교육비를 투자하고 싶어한다.
- 일을 하면서 아이를 맡기는 비용은 한 명만 감당할 수 있으며, 두 명 이상의 자녀는 고등학교나 대학교에 진학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다.
- 부모가 민간 기업에 근무하는 경우, 종신 고용이 보장되지 않으므로[38], 해고나 도산에 직면했을 때 경제적 위험이 크다.
- 40세에 출산하면 자녀가 중학교를 졸업할 때 부모는 55세가 된다. 44세에 출산하면 자녀가 중학교를 졸업할 때 59세가 되므로, 고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의 학비를 마련하는 것이 점차 어려워진다.
3. 2. 신체적/정신적 요인
첫 번째 임신, 출산으로 신체적, 정신적으로 큰 부담을 경험했기 때문에, 둘째 이후의 출산을 피하고 싶어한다. 임신중독증, 절박 조산 등으로 입원하거나 출산 후 우울 등을 경험한 경우(중병이나 신체 장애 등으로 출산이 어려운 경우)도 해당된다. '둘째 불임'(치료 중이거나 치료 비용이 비싸고 심신에 부담이 큰 경우)도 원인이 된다. 만혼으로 인해 고령 출산에 따른 문제를 피하고 싶은 경우도 있다.[1]3. 3. 사회적 요인
다음과 같은 사회적 요인으로 외동이 증가하는 추세이다.4. 외동에 대한 인식과 연구
외동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한다. 서구 국가에서는 외동을 "버릇없는 아이"와 동일시하는 고정관념이 있을 수 있다.[8] G. 스탠리 홀은 외동의 상황을 "그 자체로 질병"이라고 언급하며 부정적인 평판을 처음으로 언급한 사람 중 하나였다.[8]
럿거스 대학교의 사회 심리학자 수잔 뉴먼은 이러한 고정관념은 근거가 없다고 말하며, "사람들은 외동은 버릇없고, 공격적이며, 지배적이고, 외롭고, 부적응적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수백 건의 연구에서 외동은 또래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줍니다."라고 말했다.[8]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외동의 자제력과 대인 관계 기술 점수가 낮게 평가되기도 했다.[10][11] 이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중학교와 고등학교까지 이어지는 증거를 찾지 못했지만,[12][13] 또 다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함이 적어도 초등학교 5학년까지 지속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4]
중국에서는 외동의 행동 문제로 인식되는 것을 소황제 증후군이라고 부르며,[16] 형제의 부재가 물질주의와 범죄와 같은 여러 사회적 폐해의 원인으로 지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으며, 외동과 대가족의 자녀 사이에 성격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보여준다.[17]
대중 매체에서는 외동이 부모와 다른 친척의 관심을 독차지하기 때문에 협력하기 어렵고, 나이와 역할에 대한 규범에 혼란이 발생하며, 또래와의 관계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19] 또한, 부모가 외동에게 과도한 압력과 기대를 가해 완벽주의자가 된다는 믿음도 있다.[20] 일부 심리학자들은 "외동 증후군"을 믿지만, 이를 뒷받침할 증거는 거의 없다.
프랭크 설로웨이는 저서 ''Born to Rebel''에서 출생 순위가 5대 성격 특성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지만,[32] 다른 연구자들은 출생 순위 효과가 미약하고 일관성이 없다고 반박한다.[33] 2020년의 대규모 연구는 외동아이가 비외동아이보다 더 자기애적이라는 가설에 대한 어떠한 증거도 찾지 못했다.[35]
Cameron et al. (2011)의 연구는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의 결과로 외동으로 자란 사람들이 형제자매가 있는 사람들보다 덜 신뢰하고, 덜 믿을 만하며, 덜 위험을 감수하고, 덜 경쟁적이며, 덜 낙관적이고, 덜 성실하며, 신경증에 더 취약하다고 결론 내렸다.[30]
4. 1. 긍정적 측면
1987년에 141건의 연구와 16가지 성격 특성에 대한 정량적 검토 결과,[21] 외동아이가 응석받이로 자라 적응을 잘 못한다는 알프레드 아들러 등의 이론가들의 견해와는 달리, 외동아이에게 적응 장애가 더 많이 나타난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유일한 차이점은 외동아이들이 더 높은 성취 동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었는데, 데니스 폴리트와 토니 팔보는 이를 부모의 자원, 기대, 감시가 더 집중되어 더 많은 보상을 받고 부족한 점에 대한 처벌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22] 이들의 두 번째 분석에 따르면, 외동아이, 형제자매가 한 명만 있는 아이, 그리고 첫째 아이들은 늦둥이와 형제자매가 많은 아이들보다 언어 능력 테스트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23]토니 팔보와 데니스 폴트는 외동아이에 대한 115건의 연구를 수집하여 성격, 지능, 적응력, 또래 및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외동아이들은 첫째 아이들과 같이 비슷한 상황에 있는 아이들을 제외하고 모든 범주에서 다른 아이들을 능가했다. 특히 부모-자녀 관계가 형제자매가 있는 아이들에 비해 긍정적으로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외동아이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5]
자원 희석 모델(Resource Dilution Model)[25]에 따르면, 부모의 자원은 아이의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형제자매가 많은 아이들은 이러한 자원을 나눠 받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 그러나 합류 모델(Confluence Model)[26]은 어린 형제자매를 가르치는 것의 혜택을 받는 첫째 아이들에게서 나타나는 상반된 효과를 제시하기도 한다. 외동아이가 첫째 아이보다 능력 테스트에서 낮은 성적을 보이는 현상은, 외동아이가 부모의 분리나 상실을 더 일찍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으로 설명되기도 한다.[27]
빌 맥키벤은 그의 저서 ''Maybe One''[28]에서 기후 변화와 과잉 인구를 이유로 자발적인 한 자녀 정책을 옹호하며, 외동아이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통해 외동으로 자라는 것이 아동 발달에 해롭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는 대부분의 문화적 고정관념이 거짓이며, 외동아이와 다른 아이들 간에 큰 차이가 없고, 차이가 있다면 외동아이에게 유리하다고 말한다.
버니스 소렌슨은 질적 방법을 사용하여 외동아이 자신이 형제자매 없이 사는 삶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연구했다. 그녀의 연구에 따르면, 외동아이들은 성장하면서 자신의 외동 지위를 더 잘 인식하게 되고, 사회의 외동아이 고정관념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녀는 저서 ''Only Child Experience and Adulthood''에서 형제자매가 있는 사회에서 성장하는 것이 외동아이에게 영향을 미치며, 형제 관계의 부재는 그들이 자신과 다른 사람을 보고 세상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29]
외동의 IQ나 학업 성적이 형제자매가 있는 아이에 비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39] 또한, 외동은 부모의 자원이 더 많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39] 덴마크 쌍둥이 조사에 따르면, 외동을 가진 여성은 아이가 없거나 여러 아이를 가진 여성보다 자신의 삶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0]
4. 2. 부정적 측면
G. 스탠리 홀은 외동의 상황을 "그 자체로 질병"이라고 언급하며 부정적인 평판을 처음으로 언급한 사람 중 한 명이었다. 오늘날에도 외동은 "버릇없고, 이기적이며, 제멋대로인" 아이로 흔히 고정관념화된다.[8] 럿거스 대학교의 사회 심리학자 수잔 뉴먼은 이러한 고정관념은 근거가 없다고 말하며, "사람들은 외동은 버릇없고, 공격적이며, 지배적이고, 외롭고, 부적응적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수백 건의 연구에서 외동은 또래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줍니다."라고 말했다.[8]그러나 미국의 아동의 사회적 및 대인 관계 기술에 대한 교사 평점을 포함한 연구[10][11]에서는 외동의 자제력과 대인 관계 기술 점수가 더 낮게 평가되었다. 이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중학교와 고등학교까지 이어지는 증거를 찾지 못했지만,[12][13] 또 다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함이 적어도 초등학교 5학년까지 지속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4]
중국에서는 외동의 행동 문제로 인식되는 것을 소황제 증후군이라고 부르며,[16] 형제의 부재가 물질주의와 범죄와 같은 여러 사회적 폐해의 원인으로 지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으며, 외동과 대가족의 자녀 사이에 성격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보여준다.[17] 2015년에 종료된 한 자녀 정책은 강제 낙태, 여아 살해, 출생 신고 미흡[18]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추정되었으며, 중국의 증가하는 범죄 건수와 성비 불균형의 잠재적 원인으로 제시되었다.
대중 매체에서는 외동이 부모와 다른 친척의 관심을 독차지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족 환경에서 협력하기 더 어렵다고 자주 주장한다. 나이와 역할에 대한 규범에 대한 혼란이 발생하며, 다른 또래 및 청소년과의 관계에서 유사한 영향이 평생 동안 존재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19] 또한, 많은 사람들이 부모가 외동에게 과도한 압력과 기대를 가한다고 느끼며, 외동은 종종 완벽주의자라는 믿음이 있다.[20]
일부 심리학자들은 "외동 증후군"을 믿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증거는 거의 없다. "외동 증후군"은 성인이 되었을 때 형제가 없는 사람들이 어린 시절부터 이어져 온 사회성 부족과 반사회적 경향을 가질 가능성이 더 높다는 생각이다.[40]
부모가 동시에 급사한 경우, 외동은 혼자 생활해야 할 우려가 있다. 또한 양친이 고령화되어 병상에 눕게 된 경우, 혼자서 간병을 해야 하며, 육체적·정신적·비용 면에서 큰 부담을 겪게 된다. 부모에게 증오나 혐오감을 품게 된 경우, 형제자매가 있는 사람과 달리 가까운 곳에 마음의 의지할 곳이 없어 은둔형 외톨이나 가출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외동 아이에 만족하면, 자신의 자녀도 외동으로 삼는 연쇄가 발생하여 저출산을 가속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동년배와 이야기할 기회(특히 유년기)가 형제자매가 있는 사람에 비해 적어 의사소통 능력이 낮아질 수 있다. 유년 시절부터 부모로부터 가정 교육 면에서 자유롭게 방임되거나, Spoiled child|응석받이영어로 키워지는 사람도 있어, 규칙이나 예절을 이해하지 못하고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외동 아이 정책 하의 중국에서는 부유층을 중심으로 이러한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 소황제 등으로 불렸다. 부모에게 강하게 의존하며 자라는 사람이 많아, 자립이 늦어지거나, 자립하지 못할 수 있다.
5. 외동 관련 문화
야스오카 쇼타로의 소설 『나쁜 친구들』에서는 주인공 '보쿠'가 외동으로 등장한다.[1]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쪽』에서는 주인공 '하지메'가 외동으로 등장한다.[2]
참조
[1]
웹사이트
Only Children in New York
https://nymag.com/ny[...]
2004-10-29
[2]
웹사이트
Korean Women Say Birth Control Is Men's Responsibility
https://rewirenewsgr[...]
2008-11-10
[3]
뉴스
Illegal abortion, South Korea's open secret
https://www.reuters.[...]
2008-04-04
[4]
간행물
"La politique de l'enfant unique en République populaire de Chine"
http://www.sinoptic.[...]
Université de Genève
2006
[5]
웹사이트
Marriage of the Only Child: Joys and Worries
http://www.china.org[...]
2003-07-04
[6]
간행물
A Brief History of China's One-Child Policy
https://content.time[...]
2009-07-27
[7]
웹사이트
Only Children: Lonely and Selfish?
https://www.nytimes.[...]
2013-06-08
[8]
웹사이트
The Only Child Myth
https://abcnews.go.c[...]
2007-08-17
[9]
간행물
The Only Child: Debunking the Myths
https://content.time[...]
2010-07-08
[10]
논문
Playing Well with Others in Kindergarten: The Benefit of Siblings at Home
https://onlinelibrar[...]
2004
[11]
웹사이트
So is an only child really happier?
https://www.mirror.c[...]
2010-11-30
[12]
논문
Number of Siblings and Friendship Nominations Among Adolescents
http://journals.sage[...]
2013
[13]
웹사이트
Only Child Syndrome a Myth
https://www.seeker.c[...]
2010-08-16
[14]
논문
Number of Siblings and Social Skills Revisited Among American Fifth Graders
http://journals.sage[...]
2015
[15]
논문
Quantitative review of the only child literature: Research evidence and theory development.
http://doi.apa.org/g[...]
1986
[16]
웹사이트
The Rise Of The Only Child
https://www.newsweek[...]
2001-04-22
[17]
논문
Comparison of Personality Traits of Only and Sibling School Children in Beijing
http://www.tandfonli[...]
1994
[18]
논문
The missing girls of China: a new demographic account
Population Council
[19]
웹사이트
12 Tips for Raising an Only Child
https://www.parents.[...]
2022-10-02
[20]
웹사이트
The Adolescent Only Child
https://www.psycholo[...]
2009-07-19
[21]
논문
Only Children and Personality Development: A Quantitative Review
https://www.jstor.or[...]
1987
[22]
서적
Problems of neurosis
Harper and Row
1964
[23]
논문
The intellectual achievement of only children
[24]
논문
Further evidence that only children are not more narcissistic than individuals with siblings
https://www.scienced[...]
2020-07-15
[25]
논문
Number of siblings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The resource dilution explanation
[26]
논문
Birth Order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27]
논문
Sibling Tutoring and Other Explanations for Intelligence Discontinuities of Only and Last Borns
[28]
서적
Maybe one: A personal and environmental argument for single-child families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9]
서적
Only Child Experience and Adulthood
Palgrave MacMillan
[30]
간행물
Little Emperors—Behavioral Impacts of China's One-Child Policy (University of Melbourne)
[31]
뉴스
Effects of China's One Child Policy on its children
https://www.scienced[...]
2013-01-10
[32]
서적
Born to rebel: Birth order, family dynamics and creative lives
https://archive.org/[...]
Pantheon Books
[33]
서적
No two alike: Human nature and human individuality
https://archive.org/[...]
WW Norton & Company
[34]
논문
Associations between birth order and personality traits: Evidence from self-reports and observer ratings
https://zenodo.org/r[...]
[35]
논문
Further evidence that only children are not more narcissistic than individuals with siblings
http://www.sciencedi[...]
2020-07-15
[36]
간행물
厚生省 国立社会保障・人口問題研究所 第12回出生動向基本調査
https://www.ipss.go.[...]
厚生省 国立社会保障・人口問題研究所
[37]
웹사이트
厚生省 国立社会保障・人口問題研究所 少子化情報ホームページ
http://www.ipss.go.j[...]
厚生省 国立社会保障・人口問題研究所
[38]
문서
특히 欧米型の企業経営スタイルが浸透した[[21世紀]]以降の世界各国においてはそれまで終身雇用制を採用していた日本などにおいても、終身雇用を保証されないことが多くなっている。
[39]
뉴스
「一人っ子は頭いい」「2人以上いる人は社会性高い」に根拠あるのか
https://news.livedoo[...]
[40]
웹사이트
The Only Child: Debunking the Myths
http://content.ti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