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저는 진나라 말기부터 초한전쟁 시기까지 활약한 인물로, 항우의 측근이자 뛰어난 무예를 가진 장수였다. 환초 휘하에서 항량의 부하가 되었으며, 항우의 신임을 받아 여러 전투에 참여했다. 특히 한신과의 위수 전투에서 한신의 계략에 빠져 전사했다. 용맹함과 충성심으로 평가받지만, 전략적 판단력 부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용저는 항량이 기원전 208년 거병할 때부터 항우와 함께 한 그의 어린 시절 친구이다. 항량 사후에는 항우의 주요 장수로 활약하며 여러 전투에 참여했다.
진평은 항우가 신임하는 몇 안 되는 중신 중 하나로 용저를 꼽았다.[15] 용저는 여러 차례 항우와는 독자적인 작전에 투입되었고, 용저가 죽자 항우가 두려워했다는 점[7]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서초 군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2. 생애
진평은 용저를 항우의 몇 안 되는 중신 중 하나로 언급했으며,[15] 용저가 여러 차례 항우와는 독자적인 작전에 투입된 점, 그리고 용저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항우가 두려워하여 한신을 회유하려 한 것[7]으로 보아, 서초 군부에서 항우에게 인정받은 핵심 인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초한지 등의 작품에서는 용저가 항우와 필적할 만한 무예를 가진 인물로 묘사되기도 한다.
2. 1. 초기 활동
진나라 말기, 항량이 거병할 당시 환초의 휘하에 있었다. 환초가 항씨 일가에 합류하면서 용저는 항량의 부하가 되었다. 제나라의 전영이 장함에게 패하여 동아로 달아났을 때, 사마로서 항량, 전영과 함께 동아를 구원했다.[7]
2. 2. 초한전쟁 시기 활약
기원전 206년(한왕 원년), 한나라 장군 조참이 위(圍) 나루[8]를 건너오자 항타(項他)와 산둥성 허쩌시 정도에서 맞서 싸웠으나 패했다.[9] 같은 해, 한왕 유방이 서초의 수도 팽성을 공격하자 맞서 싸웠으나 한나라 장수 정복(丁復)과 채인(蔡寅)에게 격파당했다.[10][11] 기원전 205년(한왕 2년), 구강왕 영포가 초나라를 배반하고 한나라 편을 들자 항성(項聲)과 함께 영포를 공격하여 구강에서 내쫓았다.[12][13] 이후 대사마에 임명되었다.
2. 3. 유수 전투와 최후
기원전 204년, 제나라가 한나라의 한신에게 공격받아 지도부가 붕괴되고 왕 전광이 고밀에서 도움을 청하자, 항우는 주란과 함께 용저에게 20만 군사를 주어 제나라를 구원하게 했다. 이때 전광과 군사를 합쳐 한신과 싸우려 했다.[7][12] 휘하 장수들은 한나라 군의 사기가 높으므로 조기 결전에 반대하고, 수비를 굳건히 하면서 한나라에 투항한 제나라 성들을 회유하여 한나라 군대의 식량을 끊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용저는 전공을 쌓기 위해 한신을 얕보고 속전속결을 택하여, 한신과 유수를 사이에 두고 진을 쳤다.[7]
이에 한신은 유수 상류에 모래주머니를 쌓아 강을 건너 초나라 군대를 공격했다가 거짓으로 패배하여 달아났다. 용저는 이를 보고 기뻐하며 강을 건너 한나라 군대를 공격하려 했으나, 한신이 미리 설치해 둔 모래주머니 벽을 터뜨려 수공을 일으켰다. 이 수공으로 인해 용저는 전사했다.[7][12][14]
용저를 죽인 주체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이 엇갈린다. 《사기》 항우본기와 고조본기, 《한서》 고제기에서는 한신과 관영을 언급하고, 《사기》 전담열전, 《한서》 위표전담한왕신전에서는 한신과 조참을 언급한다. 조참의 전기인 《사기》 조상국세가, 《한서》 소하조참전에서는 조참이 용저를 죽였다고 하며, 고조의 개국공신 42번째인 악성절후 정례(丁禮)는 관영의 부장으로서 용저를 죽였다고 한다.
진평은 항우의 몇 안 되는 중신 중 하나로 용저를 언급했으며,[15] 여러 차례 항우와는 독자적으로 작전에 투입되었다. 용저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항우가 두려워하여 한신을 회유하려 한 것[7]으로 보아, 용저는 서초 군부에서 항우에게 인정받은 핵심 인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3. 평가
초한지 등에서는 용저를 항우와 필적할 만한 무예를 지닌 인물로 묘사하며, 항우의 어린 시절 친구이자 형제처럼 가까운 사이였다고 묘사한다.
3. 1. 군사적 능력
용저는 뛰어난 무예와 용맹을 지닌 장수였지만, 전략적인 판단력은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원전 208년 항량이 거병할 당시 환초의 휘하에 있다가, 환초가 항씨 일가 휘하에 들어가자 함께 항량의 부하가 되었다. 제나라의 전영이 장함과의 싸움에 지고 동아로 달아났을 때, 사마로서 무신군 항량, 전영과 함께 동아를 구원했다.[7]
기원전 206년 한나라 장군 조참이 위(圍) 나루[8]를 건너오자 항타와 산둥성 허쩌시 정도에서 맞서 싸웠으나 패했다.[9] 같은 해에 한왕이 팽성을 공격하자 맞서 싸웠으나 한나라 장수 정복(丁復)과 채인(蔡寅)에게 격파당했다.[10][11] 기원전 205년 구강왕 영포가 초나라를 배반하고 한나라 편을 들자 항성과 함께 영포를 공격하여 영포를 구강에서 내쫓았다.[12][13]
기원전 204년 제나라가 한나라의 한신의 공격을 받아 지도부가 붕괴되고 왕 전광이 고밀에서 도움을 청하자, 항우의 명령으로 주란과 함께 구원군을 이끌고 호왈 20만을 거느리고 제나라를 구원하러 갔다. 이때 전광과 군을 합치고 한신과 싸우려 하였다. 휘하에서 한나라 군의 전의가 제·초 연합군보다 우월하므로 조기결전에 반대하고 수비를 두텁게 하면서 한나라에 투항한 제나라 성들을 회유해 한나라 군대가 먹을 것이 없도록 하자고 권했으나, 용저는 이를 무시했다. 전공을 쌓는 것을 원한 용저는 한신을 얕보고 싸우는 편을 택해 한신과 서로 유수를 끼고 진을 쳤다.
유수 전투에서 한신은 유수 상류에 모래주머니를 쌓고, 강을 건너 초나라 군대를 공격했다가 거짓으로 져 달아났다. 이를 본 용저는 기뻐하며 강을 건너 한나라 군대를 치려 했으나 한신이 강을 막으려고 설치했던 모래주머니 벽을 터뜨려 강물로 수공을 일으켰고, 이 수공을 맞고 전사했다.[7][12][14] 이처럼 속전속결을 고집하다 패배한 점은 그의 한계를 보여준다.
《사기》 항우본기와 고조의 기전(《사기》 고조본기, 《한서》 고제기)에서는 용저를 죽인 주체로 한신과 관영을 언급하고, 전씨 일족의 전(《사기》 전담열전, 《한서》 위표전담한왕신전)에서는 한신과 조참을 언급한다. 조참의 전기(《사기》 조상국세가, 《한서》 소하조참전)에서는 조참이 용저를 죽였다고 한다. 악성절후로 고조의 개국공신 42째인 정례(丁禮)는 관영의 부장으로서 용저를 죽였다고 한다.
진평이 언급한 항우의 몇 안 되는 중신 중 하나이며,[15] 여러 차례 항우와는 독자적으로 움직이는 작전에 투입되고 용저가 죽었다는 말을 듣고 항우가 두려워 한신을 회유하려 한 것[7]을 볼 때, 서초의 군부에서 항우에게 인정받은 중핵으로 보인다.
4. 대중 문화에서의 묘사
용저는 여러 대중 매체에서 다루어졌으며, 드라마와 영화 등이 있다.
4. 1. 드라마
방영 연도 | 드라마 제목 | 방송사 | 용저 역 배우 |
---|---|---|---|
1985년 | 초하한계 | TVB | 어우양전화 |
2004년 | 초한교웅 | TVB | 유뱌오 |
2005년 | 초한풍운 | CCTV | 한둥 |
2011년 | 초한쟁웅 | 후난 TV | 런청웨이 |
2012년 | 초한전기 | 안후이 TV | 판위린 |
4. 2. 영화
두위밍은 2011년 영화 《홍문연전기》에 출연하였다.참조
[1]
웹사이트
西楚大将龙且,的"且"该怎么念
https://zhidao.baidu[...]
2024-01-19
[2]
서적
史記
[3]
서적
史記
[4]
서적
史記
[5]
서적
史記三家註
[6]
서적
史記
[7]
서적
사기
[8]
문서
사기의 주석서들에 따르면, 동군 백마현에 있는 나루라 한다.
[9]
서적
위와 같음
[10]
서적
한서
[11]
문서
사기 고조공신후자연표에서는 정복이 용저를 죽였다고 하나, 한서의 병행구절에서는 ‘죽였다’[殺]가 ‘깨뜨렸다’[破]로 바뀌어 있고, 용저가 이후에도 살아 있으므로 오기로 보인다.
[12]
서적
사기
[13]
서적
위와 같음
[14]
서적
위와 같음
[15]
서적
위와 같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