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치노우라 우주공간 관측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치노우라 우주공간 관측소는 일본 가고시마현 기모츠키정에 위치한 로켓 발사 시설이다. 1962년 2월에 설립되어, 대형 로켓 발사를 위해 태평양 연안에 건설되었다. 연필 로켓, 베이비 로켓 등을 시작으로 카파, 람다, 뮤 로켓 등 다양한 발사체를 개발했으며, 일본 최초의 인공위성 오스미를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 M-V 로켓 개발 이후 엡실론 로켓 발사 시설로 개수되었으며, 소형 위성 발사에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모쓰키정 - 고야마정
    고야마정은 가고시마현 기모쓰키군에 있던 자치체로, 오스미반도 중앙에 위치했으며 2005년 우치노우라정과 합병하여 기모쓰키정이 되었고, 역사적으로 기모쓰키 씨의 지배를 받았으며 에도 시대 사쓰마 번의 중요 거점이었고, 폐지 당시 가고시마현립 다카야마 고등학교와 쓰카자키 고분군, 고야마성 터 등의 교육기관 및 사적이 있었다.
  • 기모쓰키정 - 우치노우라정
    우치노우라정은 과거 가고시마현에 존재했던 정으로, 기모쓰키정의 일부이며, 야요이 시대 유적과 우치노우라 우주 공간 관측소가 있는 지역이다.
  • 일본의 우주 개발 - 정보통신연구기구
    정보통신연구기구는 일본의 정보 통신 분야를 연구하는 국립연구개발법인으로, 전자기파, 네트워크, 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와 주파수 표준 설정, 일본표준시 발표 등의 국가 서비스 사업을 수행한다.
  • 일본의 우주 개발 - 우주작전군
    일본 항공자위대가 우주 영역 작전 수행 능력을 강화하고자 2022년 3월 창설한 우주작전군은 인공위성 감시와 우주 쓰레기 탐지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우주 상황 감시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 우주 센터 - 케네디 우주 센터
    케네디 우주 센터는 플로리다주 메릿 섬에 위치한 NASA의 주요 발사 시설이자 우주 기지로서, 아폴로 계획부터 아르테미스 계획까지 미국의 주요 우주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하며, 방문자 콤플렉스를 통해 일반인에게도 공개된 관광 명소이다.
  • 우주 센터 - 모하비 공항 및 우주항
    모하비 공항 및 우주항은 캘리포니아주 모하비에 위치한 공항이자 우주항으로, 해병대 훈련 기지로 사용된 후 민간 운영으로 전환되어 항공기 시험, 우주 산업 개발, 항공기 정비 및 보관 등의 활동을 수행하며, 특히 민간 우주 개발의 중심지이자 "비행기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치노우라 우주공간 관측소
기본 정보
기관 명칭내지노우라 우주 공간 관측소
영문 명칭Uchinoura Space Center (USC)
뮤 센터의 M형 로켓 발사 장치에 설치된 M-V 로켓 6호기
뮤 센터의 M형 로켓 발사 장치에 설치된 M-V 로켓 6호기
위치가고시마현기모쓰키군기모쓰키정 남방 1791-13
조직
관할내각부, 총무성, 문부과학성, 경제산업성
소속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역사

1962년 2월, 가고시마 우주 공간 관측소(KSC)가 가고시마현 우치노우라(현재 기모츠키정)의 태평양 연안에 설립되었다.[2] 이곳은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시설 중 하나로, 일본 최초의 인공위성인 "오오스미" 발사 등, ISAS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고체 연료 로켓인 카파, 람다, 등을 이용한 우주 관측 및 기술 시험, 천문 관측 위성·행성 탐사선 발사, 그리고 이들의 추적·관제를 수행하고 있다.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와 함께 일본 국내의 로켓 발사 시설로, 시가지에서 떨어져 있고, 물자 수송이 편리하며, 동쪽이 트여 있고, 국내에서 지표의 자전 속도가 빠른 지역이라는 입지 조건으로 다네가시마와 함께 선택되었다. 전신은 문부성우주과학연구소(ISAS) 부속의 도쿄 대학 가고시마 우주 공간 관측소이며, JAXA 통합 후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가고시마 우주 센터(조직명)의 주된 사업소인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사업소명)의 산하 시설이라는 위치를 갖는다.[10]

이 관측소에서 처음 발사된 것은 OT-75 로켓 1호기이며, 1962년 2월 2일에 주민 약 2000명과 관계자 약 250명이 모여 거행된 관측소 기공식에서 축포 대신 발사되었다.[14]

엡실론 로켓에서는 경사 발사대가 불필요해져 통상적인 수직 발사대로 개조되었다.

2. 1. 설립 배경

1962년 2월, 가고시마 우주 공간 관측소(KSC)가 가고시마현 우치노우라(현재의 기모츠키정)의 태평양 연안에 설립되었다. 이는 탐사선 탑재체를 실은 대형 로켓 발사를 위한 목적이었다.[2] KSC 설립 이전인 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대까지는 미치카와에 있는 아키타 로켓 시험 시설에서 연필 로켓, 베이비 로켓, 카파 로켓의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로켓 개발이 진전되고 더 큰 발사체가 필요해짐에 따라, 좁은 동해보다 넓은 사거리를 가진 부지가 요구되었다. 여러 후보지를 검토한 결과, 태평양을 마주하고 있는 가고시마현 우치노우라가 선택되었다.

우치노우라는 북위 31° 15', 동경 131° 05'에 위치하고 구릉 지형에 자리 잡고 있어 처음에는 특별해 보이지 않았지만, 조경 공사를 통해 이 부지의 독특한 지형적 특징을 최대한 활용하는 발사 시설이 만들어졌다.

이토카와 히데오가 1960년 10월 24일에 우치노우라 정 현지 조사를 처음 실시했고,[11] 1961년 4월 11일에는 도쿄 대학 생산 기술 연구소가 우치노우라를 발사장으로 선정했다.[12] 이후, 아키타 로켓 실험장에 이어 일본에서 두 번째 로켓 발사 시설로서 1962년 2월 2일에 기공[13], 1963년 12월 9일에 개소되었다.

건설 당시, 세계의 로켓 발사장은 평지에만 있었으며, 우치노우라 우주 공간 관측소는 세계 최초로 산지에 세워진 로켓 발사장이었다. 그 후, 넓은 평지를 갖지 못한 북유럽 국가의 산간 지역에도 로켓 발사장이 건설되면서 오로라 관측 등에 크게 기여했다.

우치노우라에서는 대형 로켓 발사 시 세계적으로 드물게 경사 발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했다. 이는 로켓을 빨리 해상으로 방출하여, 만일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의 피해를 줄이기 위함이었다.

2. 2. 초기 발사체 개발

가고시마 우주 공간 관측소(KSC)는 1962년 2월에 설립되어, 탐사선 탑재체를 실은 대형 로켓 발사를 목적으로 가고시마현 우치노우라(현재 기모츠키정)의 태평양 연안에 건설되었다.[2] KSC 설립 전, 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대까지 선구적인 아키타 로켓 시험 시설(미치카와)에서 연필 로켓, 베이비 로켓 및 카파 로켓의 시험 발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로켓 개발의 진전과 더 큰 발사체의 필요성은 좁은 동해보다 더 넓은 사거리를 가진 부지를 요구했고, 다양한 후보지를 검토한 결과 태평양을 마주하고 있는 가고시마현 우치노우라가 선택되었다.

베이비 로켓 이후, 일본에서 개발된 발사체는 그리스 문자에서 이름을 따왔다. 즉, 알파, 베타, 카파, 오메가, 람다, 그리고 뮤가 그것이다. 일부 그리스 문자는 프로젝트 종료로 인해 건너뛰었지만, 뮤로의 진전은 더 크고 정교한 로켓 개발로 이어졌다.

카파, 람다 및 람다-4 로켓과 관련된 KSC에서의 발사 시험 노력은 소형 위성 임무의 기반을 마련했다.[4][5] 동시에 대형 로켓인 뮤 프로그램이 추진되었다.[6] 4번의 발사 실패 후, 람다 4S-5 로켓에 탑재된 엔지니어링 시험 위성이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다. 가고시마현의 반도 이름을 딴 위성 오스미는 일본 최초의 성공적인 위성 발사를 기록했다. 이후 뮤급 로켓의 개선으로 연간 1기의 과학 위성 발사가 가능해졌다. 새로운 세대인 M-V 로켓 개발은 1997년 2월 과학 위성 MUSES-B (HALCA)의 성공적인 발사로 이어졌다.

엡실론 로켓의 첫 번째 발사는 소형 과학 위성 SPRINT-A를 탑재하여 2013년 9월 14일 14:00 (JST)에 수행되었다.

2. 3. 위성 발사 성공과 M-V 로켓 개발

가고시마 우주 공간 관측소(KSC)에서 카파, 람다, 람다-4 로켓 발사 시험은 소형 위성 임무의 기반을 마련했다.[4][5] 이와 함께 대형 로켓인 뮤 프로그램도 추진되었다.[6] 네 번의 발사 실패 후, 람다 4S-5 로켓에 실린 시험 위성이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다. 가고시마현의 반도 이름을 딴 오스미 위성은 일본 최초의 성공적인 위성 발사였다. 이후 뮤급 로켓이 개선되면서 연간 1기의 과학 위성 발사가 가능해졌다. 1997년 2월에는 새로운 세대인 M-V 로켓으로 과학 위성 MUSES-B (HALCA)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2. 4. 엡실론 로켓 개발과 현재

엡실론 로켓의 첫 번째 발사는 SPRINT-A를 탑재하여 2013년 9월 14일 14:00 (JST)에 수행되었다.

2021년 10월 1일 오전 9시 55분, 엡실론 로켓 5호기 발사에서 로켓의 위치와 속도를 측정하는 이동식 레이더의 시각 표시가 어긋나는 것을 발견하여 예정 시각 19초 전에 카운트다운이 긴급 정지했다.[18]

  • 엡실론 로켓 - 6기

3. 주요 시설

우치노우라 우주공간 관측소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시설들이 있다.


  • '''카파 발사대'''[4]
  • '''람다 발사대'''[5]
  • '''뮤 발사대'''[6]
  • '''M-V 발사대'''[7]
  • '''임시 발사대'''[8]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시설들이 있다.

  • '''관리동''': 사무 작업, 시설 유지 관리, 회의 등을 수행하는 건물이다.[20]
  • '''계측 센터''': 기자 회견실이 있는 건물로, 로켓 발사 전후에 기자 회견이 열린다.[20]
  • '''엡실론 관제 센터(ECC)''': 2013년 3월 엡실론 로켓 발사를 위해 미야하라 지구에 새로 건설된 시설이다. 발사 관제실, 위성 관제실, 기상실, 종합 방재실, 기획 조정실, 발사 실시 책임자실, 회의실 등이 있다.[9][22]
  • '''엡실론 지원 센터(ESC)''': 2015년 3월 엡실론 로켓 지원을 위해 미야하라 지구에 새로 건설된 시설이다. 엡실론 로켓 관련 담당자들이 작업을 수행한다.[20][23]
  • '''우주 과학 자료관''': 로켓, 과학 위성, 과학 기기 모델 등이 전시되어 있다.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많은 건물들이 1970년대에 지어졌거나 개수된 것이어서 시설이 낡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1997년에는 미국 항공 우주국(NASA) 관계자가 "마릴린 먼로부랑자 옷을 입은 것 같다"라고 표현하기도 했다.[24][25][11]

3. 1. 뮤 센터 (M-V 로켓 발사 시설)

해발 210m, 면적 2만 5000의 뮤 로켓 발사를 수행하는 시설로, 뮤 대지라고 불린다. 로켓 조립, 발사 관제, 발사 장치(발사탑과 런처) 등의 기능을 갖는다.[9] 고체 연료 로켓으로는 세계 최대급인 M-V 로켓의 발사에 사용되었다. 2001년까지는 2번째 람다 발사대가 설치되어 있었으며, 로켓 센터가 KS 센터로 개수된 후에는 람다 로켓 발사에 사용되었다.

초대 정비탑은 총 중량 약 500t으로, 4개의 선회 대차로 원형 레일 위를 움직여 방위각을 설정하고, 런처를 7m 앞으로 움직여 정비탑 밖으로 꺼낸 다음, 마지막으로 기울여 상하각을 설정했다. 그 후, 정비탑은 개수로 총 중량 700t이 되었고, 고정된 정비탑에서 총 중량 260t을 넘는 선회 반경 12m 이상의 런처가 선회하여 탑 밖으로 꺼낸 다음, 그 위에서 기울여 상하각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M-V 로켓 폐지에 따라 엡실론 로켓 발사용으로 개수되었다. 엡실론 로켓의 수직 발사 방식에서는 선회한 후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연도가 설치되어 있다.[19]

3. 2. KS 센터 (소형 로켓 발사 시설)

해발 276미터, 면적 7000m2의 소형 SS-520 로켓, S-520 로켓, S-310 로켓, MT-135형 관측 로켓 발사를 수행하는 시설로, KS 대지라고 불린다. 로켓 조립, 발사 관제 컨트롤 센터, 런처 등의 기능을 갖는다.[9] 런처는 높이 약 17m의 철근 콘크리트제 런처 돔 안에 설치되어 있으며, 발사 시에는 천장이 열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로켓은 돔 내에서 발사 태세에 들어가 그대로 발사된다.

국립과학박물관 앞에 전시된 람다 발사대 등의 설비를 갖추었던 로켓 센터 부지에 건설되었다. 1970년 2월 11일 일본 최초의 인공위성 "오오스미"가 이곳에서 발사되었다.[9]

  • '''컨트롤 센터'''

:: KS 센터에서 발사하는 관측 로켓의 발사를 관제하는 시설이다.[20]

3. 3. 발사 관제 센터

우치노우라 우주 공간 관측소에서 발사되는 로켓의 발사 관제를 수행하는 시설이다. 폭파 명령도 여기서 수행한다. 로켓의 마지막 단 연소 종료 후, 위성·탐사선의 관제는 우주과학연구소(가나가와현사가미하라시) 내의 관제 센터로 인계된다.[10]

기상반이 근무하는 기상 정보 센터는 이 건물 뒤쪽에 있다. 그곳에는 누군가가 가져와 앞면과 뒷면에 맑음, 비, 흐림 등이라고 적힌 나막신이 있으며, 지금도 전시되어 있다.[21]

3. 4. 레이더 텔레미터 센터

미야하라 지구에 있는 로켓 추적용 시설로, 직경 7미터의 로켓 추적용 레이더와 직경 11미터의 텔레미터·명령 송수신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다. 로켓의 전파 유도 명령 기능을 가지고 있다.[9][20]

; 60센티미터 반사식 천체 망원경 및 슈미트식 망원경

주로 발사한 위성의 추적을 수행하는 망원경이다. 60센티미터 반사식 천체 망원경은 일본 광학 공업(현 니콘)에서 제작했다. 위성 추적용으로 개발되었으며, 국내에서는 드문 그레고리안식 반사 망원경이다.

3. 5. 텔레미터 센터

미야하라 지구에 있는 로켓 추적용 시설로, 직경 7미터의 로켓 추적용 레이더와 직경 11미터의 텔레미터·명령 송수신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다. 로켓의 전파 유도 명령 기능을 가지고 있다.[9][20]

; 60센티미터 반사식 천체 망원경 및 슈미트식 망원경

: 주로 발사한 위성의 추적을 수행하는 망원경이다. 60센티미터 반사식 천체 망원경은 일본 광학 공업(현 니콘) 제품이다. 위성 추적용으로 개발되었으며, 국내에서는 드문 그레고리안식 반사 망원경이다.

; 10미터 안테나

: 지구 궤도의 과학 위성과의 교신을 수행하는 안테나. UHF 대S 대에 대응하고 있다. 2010년 현재 아케보노 운용에만 사용되고 있다.

; 20미터 안테나

: 관측소 부지 내에서 가장 높은 대지인 기상대지(위성 언덕 전망대)에 설치된, 주로 지구 궤도의 과학 위성과의 교신을 수행하는 안테나이다.[20] S 대의 송수신 및 X 대 수신에 대응하고 있다. 우주 탐사선의 전파 포착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1989년에 완성되었다.

; 34미터 안테나

: 지구 궤도의 과학 위성 및 우주 탐사선과의 교신을 수행하는 안테나. S 대 및 X 대의 송수신에 대응하며, Ka 대의 수신에도 대응하고 있다(수신 장치는 미정비). 1998년에 완성되었다. 44미터×29미터 크기의 안테나 페데스탈(안테나 국사)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태풍이 많은 지역이므로 최대 순간 풍속 90미터 매 초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총 중량은 820톤이지만, 궤도 위성의 추적이 가능하도록 방위각 방향으로 매 초 5도, 앙각 방향으로 매 초 2.5도의 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20] 우스다 우주 공간 관측소의 64미터 안테나의 백업으로도 위치하고 있다.

: JAXA 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웃치 씨"는, 당 관측소의 34미터 안테나를 말한다. 태풍의 중심지에 건설되었기 때문에, 강풍 시 운용에 뛰어나다. (한편, "우스다 씨"는 우스다 우주 공간 관측소의 64미터 파라볼라 안테나를 말한다.)

3. 6. 기타 시설

위성 언덕에서 본 모습. 왼쪽은 뮤 센터 부지, 중앙은 관제 센터, 오른쪽은 34m 파라볼라 안테나와 국사(局舎)가 보인다(2015년 5월)


; 뮤 센터(Mū 센터)

: 해발 210미터, 면적 2만 5000제곱미터의 뮤 로켓 발사 시설이다. 뮤 대지라고 불리며, 로켓 조립, 발사 관제, 발사 장치(발사탑과 런처) 등의 기능을 갖는다.[9] M-V 로켓 발사에 사용되었으며, 2001년까지는 2번째 람다 발사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로켓 센터가 KS 센터로 개수된 후에는 람다 로켓 발사에 사용되었다.

: 초대의 정비탑은 총 중량 약 500톤으로, 4개의 선회 대차로 원형 레일 위를 움직여 방위각을 설정하고, 런처를 7미터 앞으로 움직여 정비탑 밖으로 꺼낸 다음, 마지막으로 기울여 상하각을 설정했다. 이후 개수를 통해 총 중량 700톤이 되었고, 고정된 정비탑에서 총 중량 260톤을 넘는 선회 반경 12미터 이상의 런처가 선회하여 탑 밖으로 꺼낸 다음, 그 위에서 기울여 상하각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M-V 로켓 폐지에 따라 엡실론 로켓 발사용으로 개수되었다. 엡실론 로켓의 수직 발사 방식에서는 선회한 후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연도가 설치되어 있다.[19]

; KS 센터

: 해발 276미터, 면적 7000제곱미터의 소형 SS-520 로켓, S-520 로켓, S-310 로켓, MT-135형 관측 로켓 발사 시설이다. KS 대지라고 불리며, 로켓 조립, 발사 관제의 컨트롤 센터, 런처 등의 기능을 갖는다.[9] 런처는 높이 약 17미터의 철근 콘크리트제 런처 돔 안에 설치되어 있다. 발사 시에는 천장이 열리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로켓은 돔 내에서 발사 태세에 들어가 그대로 발사된다.

: 람다 발사대(국립과학박물관 앞에 전시) 등의 설비를 갖추었던 로켓 센터의 부지에 건설되었다. 1970년2월 11일 일본 최초의 인공위성 "오오스미"는 이곳에서 발사되었다.[9]

:; 컨트롤 센터

::: KS 센터에서 발사하는 관측 로켓의 발사를 관제하는 시설이다.[20]

; 발사 관제 센터

: 우치노우라 우주 공간 관측소에서 발사되는 로켓의 발사 관제를 수행하는 시설로, 폭파 명령도 여기서 수행한다. 로켓의 최종 단 연소 종료 후, 위성·탐사선의 관제는 우주과학연구소(가나가와현사가미하라시) 내의 관제 센터로 인계된다.

: 기상반이 근무하는 기상 정보 센터는 이 건물의 뒤쪽에 있다. 그곳에는 누군가가 가져온 앞면과 뒷면에 맑음, 비, 흐림 등이라고 적힌 나막신이 있으며, 지금도 전시되어 있다.[21]

; 레이더 텔레미터 센터

: 미야하라 지구에 있는 로켓 추적용 시설로, 직경 7미터의 로켓 추적용 레이더와, 직경 11미터의 텔레미터·명령 송수신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다. 로켓의 전파 유도 명령 기능을 가지고 있다.[20][9]

:; 60센티미터 반사식 천체 망원경 및 슈미트식 망원경

:: 주로 발사한 위성의 추적을 수행하는 망원경. 60센티미터 반사식 천체 망원경은 일본 광학 공업(현・니콘)제. 위성 추적용으로 개발되었으며, 국내에서는 드문 그레고리안식 반사 망원경이다.

; 텔레미터 센터

:; 10미터 안테나

:: 지구 궤도의 과학 위성과의 교신을 수행하는 안테나. UHF 대S 대에 대응하고 있다. 2010년 현재 아케보노의 운용에만 사용되고 있다.

:; 20미터 안테나

:: 관측소 부지 내에서 가장 높은 대지인 기상대지(위성 언덕 전망대)에 설치된, 주로 지구 궤도의 과학 위성과의 교신을 수행하는 안테나이다.[20] S 대의 송수신 및 X 대의 수신에 대응하고 있다. 우주 탐사선의 전파 포착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1989년에 완성되었다.

:; 34미터 안테나

:: 지구 궤도의 과학 위성 및 우주 탐사선과의 교신을 수행하는 안테나. S 대 및 X 대의 송수신에 대응하며, Ka 대의 수신에도 대응하고 있다(수신 장치는 미정비). 1998년에 완성되었다. 44미터×29미터의 크기를 가진 안테나 페데스탈(안테나 국사)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태풍이 많은 지역이므로 최대 순간 풍속 90미터 매 초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총 중량은 820톤이 되지만, 궤도 위성의 추적이 가능하도록 방위각 방향으로 매 초 5도, 앙각 방향으로 매 초 2.5도의 속도로 움직일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20] 우스다 우주 공간 관측소의 64미터 안테나의 백업으로도 위치하고 있다.

:: JAXA 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웃치 씨"는, 당 관측소의 34미터 안테나를 말한다. 태풍의 중심지에 건설되었기 때문에, 강풍 시의 운용에 뛰어나다.(한편, "우스다 씨"는 우스다 우주 공간 관측소의 64미터 파라볼라 안테나를 말한다.)

; 관리동

: 사무 작업 및 시설의 유지 관리, 회의 등을 수행하는 건물이다.[20]

; 계측 센터

: 기자 회견실이 있는 건물로, 로켓 발사 전후에 기자 회견이 열린다.[20]

; 엡실론 관제 센터(ECC)

: 2013년3월 엡실론용으로 미야하라 지구에 새롭게 건설된 2층 건물로, 연면적 545.79제곱미터,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시설이다. 발사 관제실, 위성 관제실, 기상실, 발사 시 주변의 육해공역의 안전 확인을 수행하는 종합 방재실, 기획 조정실, 발사 실시 책임자실, 회의실 등이 설치되어 있다.[9][22]

; 엡실론 지원 센터(ESC)

: 2015년3월 엡실론용으로 미야하라 지구에 새롭게 건설된 2층 건물로, 연면적 1190.98제곱미터,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시설이다. 엡실론 로켓의 로켓계, 위성계, 총무계, 기획계의 담당자가 사장 작업을 수행한다.[20][23]

; 우주 과학 자료관

: 로켓과 과학 위성, 과학 기기의 모델 등이 전시되어 있다. 개관 시간은 8:30 - 16:30, 원칙적으로 연중무휴(로켓 발사 시 임시 휴관)이며, 입장료는 무료이다.

많은 건물이 1970년대의 것이거나, 또는 개수를 가한 것이며, 설비도 낡아 1970년대의 관제 장치를 2006년 초두까지 운용했다. 관제실 내에서 비가 샐 정도였지만, 그 부분에서 기기를 멀리하는 등으로 대처했다. 1997년 M-V 로켓 1호기 발사 직전에,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우주 과학 국장인 Wesley Huntress|웨슬리 헌트레스영어 등이 시찰을 방문했을 때, "마릴린 먼로부랑자 옷을 입은 것 같다"라며 노후화된 시설·설비를 한탄했다.[24][25][11]

문부성 시대에는 부지에 펜스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가 발족하여 반관반민의 조직이 되었기 때문에, 시설 관리가 엄격해진 것과, 우주 관측기의 발사로 인적 피해가 발생할 것을 우려하여 대응이 이루어졌다. 부지 내에는 이토카와 히데오 박사 탄생 100주년 기념 동상(2013년 11월 11일에 건립)과 "오오스미" 기념비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20]

4. 발사 실적


  • 카파 로켓 - K-8, K-9M, K-10 등 총 100기 이상
  • 람다 로켓 - L-2, L-3, L-4S 등 총 25기
  • 뮤 로켓 - M-4S, M-3SII, M-V 등 총 32기
  • 엡실론 로켓 - 6기
  • 관측 로켓 등 다종 다양한 소형 로켓 총 200기 이상
  • 총 약 400기가 발사되었다[9]


발사년도로켓 종류탐사선/위성 이름비고
1998년7월 4일M-V 로켓 3호기노조미화성 탐사선[15]
2003년5월 9일M-V 로켓 5호기하야부사소행성 탐사선[16], 2010년 6월 13일 지구 귀환
2018년2월 3일SS-520 로켓 5호기TRICOM-1R초소형 위성[17]
2021년 10월 1일엡실론 로켓 5호기발사 중지[18]


  • 2003년 5월 9일 13시 29분 소행성 탐사선하야부사(MUSES-C)를 소행성 "이토카와"로 발사했다. 소행성에서 표면 물질(샘플)을 지구로 가져오는 기술(샘플 리턴)을 실증하여 2010년 6월 13일에 지구로 귀환했다. 탑재 캡슐을 호주 우메라 사막에 낙하시켜 그 운용을 마쳤다(하야부사 1호기). "하야부사"는 이토카와 히데오 박사가 설계한 하야부사에, 소행성 "이토카와"는 이토카와 히데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JAXA ! Uchinoura Space Center https://global.jaxa.[...] 2023-09-18
[2] 웹사이트 Kagoshima http://astronautix.c[...] 2023-09-18
[3] 웹사이트 Kagoshima Space Center, Uchinoura, Japan - Stratospheric balloon launches https://stratocat.co[...] 2023-09-18
[4] 웹사이트 Kagoshima K http://astronautix.c[...] 2023-09-18
[5] 웹사이트 Kagoshima L http://astronautix.c[...] 2023-09-18
[6] 웹사이트 Kagoshima M http://astronautix.c[...] 2023-09-18
[7] 웹사이트 Kagoshima M-V http://astronautix.c[...] 2023-09-18
[8] 웹사이트 Kagoshima TMP http://astronautix.c[...] 2023-09-18
[9] 웹사이트 内之浦宇宙空間観測所リーフレット https://www.jaxa.jp/[...] 2018-09-27
[10] 간행물 内之浦宇宙空間観測所の50年 1962~2012 http://www.isas.jaxa[...] JAXA 2013-02-22
[11] 간행물 内之浦宇宙空間観測所の50年 1962~2012 http://www.isas.jaxa[...] JAXA 2013-02-22
[12] 웹사이트 日本の航空宇宙工業 50年の歩み 第2部 日本の宇宙工業 第3部 日本の航空宇宙工業 年表 http://www.sjac.or.j[...] 日本航空宇宙工業会 2003-05-01
[13] 간행물 内之浦宇宙空間観測所の50年 1962~2012 http://www.isas.jaxa[...] JAXA 2013-02-22
[14] 간행물 内之浦宇宙空間観測所の50年 1962~2012 http://www.isas.jaxa[...] JAXA 2013-02-22
[15] 웹사이트 運用終了火星探査機「のぞみ」 https://www.isas.jax[...] 宇宙科学研究所
[16] 웹사이트 小惑星探査機「はやぶさ」 http://kimotsuki-tow[...] 肝付町
[17] 웹사이트 小型ロケットSS-520 5号機の打上げに成功しました http://www.meti.go.j[...] 経済産業省 2018-02-03
[18] 웹사이트 イプシロンロケット緊急停止はレーダーの不具合 H2Aに影響も: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1-10-01
[19] 웹사이트 宇宙こぼれ話 取締役 南日本事業部長 長尾隆治 第7回 「ロケット発射場の話(7)」 http://www.cosmotec-[...] 株式会社コスモテック
[20] 웹사이트 宇宙科学研究所とは 関連施設 内之浦宇宙空間観測所 http://www.isas.jaxa[...]
[21] 웹사이트 ISASメールマガジン第078号 http://www.isas.jaxa[...] JAXA 2006-03-07
[22] 웹사이트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施設部 主な施設設備(イプシロン管制センター) http://stage.tksc.ja[...]
[23] 웹사이트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施設部 主な施設設備(イプシロン支援センター) http://stage.tksc.ja[...]
[24] 뉴스 ISASニュースNo.191 1997.2 ★NASA宇宙科学局長のKSC来訪 http://www.isas.jaxa[...]
[25] 뉴스 ISASニュースNo.200 1997.11 鹿児島宇宙空間観測所 http://www.isas.ac.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