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운문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운문사는 560년 신라 진흥왕 때 창건된 사찰로, 경상북도 청도군에 위치해 있다. 고려 시대에 운문선사로 불렸으며, 임진왜란 때 일부 당우가 소실되었다가 조선 시대에 중건되었다. 주요 볼거리로는 대웅보전, 응진전, 관음전, 작압전 등과 더불어 보물로 지정된 석등, 동호, 원응국사비, 석조여래좌상 등이 있다. 또한 천연기념물인 처진소나무가 있으며, 사리암, 청신암 등 부속 암자와 운문산 4굴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화사의 말사 - 부인사
    신라 선덕여왕 때 창건되어 고려 시대 초조대장경을 봉안하며 번성했던 부인사는 몽골 침입과 임진왜란으로 소실 후 중건되었으며, 대웅전, 선덕묘와 함께 승시가 열렸던 절터, 포도밭, 당간지주 등의 유적이 남아있다.
  • 동화사의 말사 - 대구 북지장사
    대구 북지장사는 485년에 창건되어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쳐 중창과 중수를 거듭했으며, 현재 대웅전과 요사채를 건립하여 중흥을 이루었고, 삼층석탑, 석조지장보살좌상, 아미타삼존불좌상, 금고 등 다수의 문화재와 보물 제805호 지장전을 소장하고 있는 사찰이다.
  • 청도군의 건축물 - 남성현역
    남성현역은 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에 위치한 경부선 지상역으로, 신호소에서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역사를 이전 및 신축했으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와 독특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대한민국 최초의 스위치백 흔적이 남아있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 무궁화호 정차역이다.
  • 청도군의 건축물 - 청도역
    청도역은 경상북도 청도군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04년에 신축되어 1905년에 영업을 시작했으며, 현재 ITX-새마을, 무궁화호, ITX-마음이 정차하고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로 운영된다.
  • 경상북도의 절 - 분황사
    분황사는 634년 신라 선덕여왕 때 완공된 사찰로, 여왕을 위한 사찰로 해석되며 황룡사와 함께 신라 불교의 중심지였으나 몽골 침입과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고, 현재 모전석탑을 비롯한 문화재와 발굴 조사를 통해 그 규모와 중요성이 확인되고 있다.
  • 경상북도의 절 - 거조사
    거조사는 신라 효성왕 때 원참대사가 창건하여 고려 시대 영산전 건립 후 오백나한을 모셨고, 조선 시대에는 영산회상도 조성 및 나한상에 이름을 붙였으며, 국보 제14호 영산전과 삼층석탑이 있다.
운문사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운문사
한자 표기雲門寺
로마자 표기Unmunsa
위치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번지
운문사 대웅보전
운문사 대웅보전
상세 정보
종파대한불교 조계종
창건 연대삼국시대 560년 (신라 진흥왕 21년)
창건자신승
관련 인물운문문언(雲門文偃)
문화재
보물금당 앞 석등 (보물 제193호)
운문사 동호 (보물 제208호)
운문사 원응국사비 (보물 제316호)
운문사 석조여래좌상 (보물 제317호)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보물 제318호)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보물 제678호)
운문사 비로전 (보물 제835호)
운문사 비로자나삼신불회도 (보물 제1613호)
운문사 비로전 관음보살·달마대사 벽화 (보물 제1817호)
천연기념물운문사 처진 소나무 (천연기념물 제180호)
기타 정보
관련 시설운문 승가대학
홈페이지운문사 공식 홈페이지

2. 연혁

560년(신라 진흥왕 21년) 신승(神僧)이 도우 10여 명과 함께 5개의 절인 오갑사를 창건하였는데, 중앙의 이름을 '''대작갑사'''(大鵲岬寺)라고 하였고, 지금의 운문사이다.[10] 608년(신라 진평왕 30년) 원광국사(圓光國師)가 대작갑사를 중건하였다.

937년(태조 20년) 보양국사(寶壤國師)가 운문사를 중건하고 '''작갑사'''(鵲岬寺)라고 이름을 지었다.[1] 943년(태조 26년) 고려 태조 왕건이 '''운문선사'''(雲門禪寺)라는 이름을 지어 편액을 내렸고, 이후 운문사(雲門寺)라 불리게 되었다.[1] 1105년(숙종 10년) 원진국사(圓眞國師)가 다시 중창하였다.[1]

임진왜란사찰 건물 일부가 불탔다. 1690년(숙종 16년) 설송이 다시 지었다.

2. 1. 삼국 시대

560년(신라 진흥왕 21년) 신승(神僧)이 도우 10여 명과 함께 5개의 절인 오갑사를 창건하였다. 중앙의 이름을 '''대작갑사'''(大鵲岬寺)라고 하였고, 지금의 운문사다.[10]

608년(신라 진평왕 30년) 원광국사(圓光國師)가 대작갑사를 중건하였다.

2. 2. 고려 시대

937년(태조 20년) 보양국사(寶壤國師)가 운문사를 중건하고 '''작갑사'''(鵲岬寺)라고 이름을 지었다.[1] 943년(태조 26년) 고려 태조 왕건이 '''운문선사'''(雲門禪寺)라는 이름을 지어 편액을 내렸고, 이후 운문사(雲門寺)라 불리게 되었다.[1] 1105년(숙종 10년) 원진국사(圓眞國師)가 다시 중창하였다.[1]

2. 3. 조선 시대

임진왜란사찰 건물 일부가 불탔다. 1690년(숙종 16년) 설송이 다시 지었다.

3. 주요 볼거리

운문사 안내도


운문사는 보물과 천연기념물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운문사 대웅전(대웅전)의 비구니


운문사 동서삼층석탑


처진 소나무

3. 1. 건축물


  • 대웅보전: 새로 신축한 전각으로 운문사에서 제일 큰 전각이다. 운문사의 모든 비구니들이 예불을 올릴 수 있을 만큼 크다.[11]
  • 비로전: 원래 대웅보전이었으나, 새로운 대웅보전이 건축되고 나서는 비로전으로 바뀌었다.[11]
  • 만세루[11]
  • 응진전: 석가모니 부처와 제자들이 있다.[11]
  • 관음전: 관세음보살이 있다.[11]
  • 작압전: 운문사의 과거 이름이 대작갑사(大鵲岬寺)였다. 작압전(鵲鴨殿)은 운문사의 시작을 알려주는 중요한 전각이다.[11]
  • 명부전[11]
  • 오백전: 오백나한이 있다.[11]
  • 칠성각[11]
  • 전향각: 손님 거처이다.[11]
  • 법륜: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륜성왕의 윤보(輪寶)에 비유한 것이다.[12]


3. 2. 보물

3. 3. 천연기념물

4. 오갑사

560년(신라 진흥왕 21년)에 신승(神僧)이 도우 10여 명과 함께 5개의 절인 오갑사를 창건하였다.[13]

절 이름위치현황
대작갑사중앙지금의 운문사
가슬갑사운문사로부터 동쪽으로 9000보 떨어진 지점전하지 않음
천문갑사운문사로부터 남쪽으로 7리쯤 떨어진 지점전하지 않음
대비갑사운문사로부터 서쪽으로 10리 떨어진 지점지금의 청도 대비사
소보갑사운문사로부터 북쪽으로 8리 떨어진 지점전하지 않음


5. 부속 암자


  • 사리암 : 대한민국에서 제일 유명한 나반존자 기도처이다. 3번 올라가 기도하면 1번 소원을 들어준다는 소문이 있다.[14]
  • 청신암
  • 내원암
  • 북대암

6. 운문산 4굴

동서남북 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15]


  • 동쪽 : 사리굴(邪離窟)
  • 서쪽 : 화방굴(火防窟)
  • 남쪽 : 호암굴(虎巖窟)
  • 북쪽 : 묵방굴(墨房窟)

참조

[1] 웹사이트 Unmun-sa, Gyeongsangbuk-do, South Korea http://www.geonames.[...]
[2] 웹사이트 Unmun-sa Temple http://www.visitkore[...]
[3] 웹인용 호거산 운문사 - 보물소개 http://www.unmunsa.o[...] 2023-02-26
[4] 웹인용 운문사 (雲門寺)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4-24
[5] 웹인용 운문 승가대학 제45회 졸업식 http://www.chdnews.c[...] CDN인터넷방송 2023-04-25
[6] 웹인용 삼국유사 집필이 시작된 운문사 https://www.kyongbuk[...] 경북일보 2023-09-21
[7] 웹인용 운문 승가 대학 http://cheongdo.gran[...] 2023-02-24
[8] 웹인용 4일부터 조계종 산하 사찰 문화재 관람료 면제 https://www.korea.kr[...] 문화체육관광부 2023-05-02
[9] 웹인용 "[영상]\"입장료 부담 없어 좋아요\"..전국 65개 사찰 무료입장" http://www.ikbc.co.k[...] KBC 2023-05-09
[10] 웹인용 호거산 운문사 - 천년 그리고 지금 http://www.unmunsa.o[...] 2023-02-26
[11] 웹인용 비구니 학승들의 하루, 장엄한 ‘아침 예불’로 열리고…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23-05-05
[12] 웹인용 53 법륜(法輪) https://www.ggbn.co.[...] 금강신문주식회사 2023-05-05
[13] 웹인용 자연의 호젓함 묻어나는 청도 운문사서 한걸음 쉬어보자 https://www.hidomin.[...] 경북도민일보 2023-05-05
[14] 웹인용 청도 운문사 사리암 "세 번 오면 한 가지 소원 성취 기도처" 로 http://www.seniormae[...] 시니어매일 2023-05-05
[15] 웹인용 나반존자의 기도 도량, 운문사 사리암에 기도순례 다녀와 http://news.jogyesa.[...] 미디어 조계사 2023-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