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경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경국사는 고려 인종과 공예왕후의 아들로, 고려 의종, 명종, 신종의 형제이다. 승려가 되어 증세승통에 임명되었으며, 1183년에 사망했다. 그는 흥왕사에서 음모를 꾸몄다는 혐의를 받았으나 무혐의로 풀려났고, 모후의 병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궁녀들과 수안궁주와 문란한 관계를 맺어 비난을 받기도 했다. 원경국사는 영월 보덕사의 건물들을 중건했으나,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조선 시대 후기 양식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83년 사망 - 공예왕후
    공예왕후는 고려 인종의 왕후이자 장흥 임씨 임원후의 딸로, 이자겸의 난 이후 왕비로 간택되어 인종과 혼인하여 5남 5녀를 낳았으며, 인종 사후 대비가 되어 정치에 관여했으나 무신정변 이후 불운한 말년을 보냈다.
  • 1183년 사망 - 경대승
    경대승은 1154년에 태어나 1183년에 사망한 고려 시대의 무신으로, 정중부 일파를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하여 도방을 설치했으나, 무신들의 반발과 잦은 숙청으로 정권 기반이 불안정했다.
  • 고려의 승려 - 현종 (고려)
    현종은 고려 제8대 국왕으로, 왕위에 올라 거란의 침입을 극복하고 국방을 강화했으며, 중앙집권화 추진과 연등회 및 팔관회 부활 등 문화 사업에도 힘썼다.
  • 고려의 승려 - 신돈
    신돈은 고려 공민왕 시기 개혁을 추진했던 승려로, 신진사류 등용과 토지 개혁을 시도했으나 기득권 세력의 반발로 처형되었고, 현대에는 개혁 정책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 12세기 한국 사람 - 김부식
    신라 왕족 후예인 김부식은 고려 중기 문신이자 학자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진압에 공을 세웠으며 《삼국사기》를 편찬했다.
  • 12세기 한국 사람 - 정습명
    정습명은 고려 인종 때 국자감 사업을 지내고 묘청의 난 토벌에 참여했으며 김부식 등과 함께 《삼국사기》 편찬에 참여한 문신으로, 의종 즉위 후 간언을 이어갔으나 왕의 미움을 사 자결했다.
원경국사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왕충희
한자 표기王冲曦
다른 이름왕현희
한자 표기王玄曦
작위왕자, 국사
별칭증세승통 (拯世僧統)
시호원경국사 (元敬國師), ('National Preceptor Primary Respectful')
가문
왕가왕가
왕조고려 왕조
아버지고려 인종
어머니공예왕후 임씨
친척고려 예종(조부), 고려 의종(형), 고려 명종(형), 고려 신종(동생), 고려 희종(조카), 고려 강종(조카) 등
생애
출생1131년 ~ 1144년 사이 추정
출생지고려
사망1182년 또는 1183년
사망 장소고려
종교불교
칭호원경국사 (元敬國師)

2. 생애

원경국사 충희는 고려 인종과 공예태후 임씨의 넷째 아들로, 의종, 명종, 신종과 친형제 간이다[10]. 정확한 출생 연도는 알 수 없으나, 형제들의 출생 연도를 볼 때 1131년에서 1144년 사이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1].

1148년(의종 2년) 음력 11월 충희는 흥왕사의 법존이었는데, 맏형 의종이 증세승통으로 삼았다[11]. 1157년(의종 11년) 음력 1월 13일 의종이 보는 앞에서 약 200여 명의 승려들과 함께 기복재를 올렸고[12], 1167년(의종 21년) 음력 4월 15일 청녕재에서 연회를 열고 의종과 여러 대신들을 초청하기도 하였다[13].

1177년(명종 7년) 흥왕사의 한 중이 "승통 충희가 여러 승려들과 몰래 음모를 꾀하고 있다."라고 고변하였다. 이로 인해 충희의 시종을 국문하였으나, 아무런 혐의를 찾을 수 없어 모두 석방되었다.[10]

1180년(명종 10년) 모후 공예태후가 유종을 앓자 명종은 충희를 불러 치료하게 하였다. 그러나 궁에 들어온 충희는 여러 궁녀들 뿐 아니라 수안궁주와도 문란한 관계를 가졌다. 이러한 소문이 궁 밖으로 퍼지자 당시 우사간이었던 최선은 충희의 난잡한 행동을 고하며 궁에서 내보낼 것을 간하였다. 하지만 최선의 상소문을 읽은 명종은 크게 놀라며, "뜻밖에 사간이 우리 형제를 이간질 하는구나."라고 하면서 오히려 최선을 파직시켰다. 이후 대간들은 충희가 어떠한 행동을 해도 감히 간하지 못하였고, 대신들은 모두 충희에게 붙어 공공연하게 뇌물을 바치기도 하였다.[10]

1183년(명종 13년) 충희가 사망하였다[14]. 는 원경국사이다. 충희가 죽자 명종은 모후 공예태후가 비통해할 것을 두려워하여 일부러 알리지 않았다. 수개월이 지나서야 아들 충희가 죽은 것을 알게 된 공예태후는 여러 장수들이 충희를 죽였다고 생각하고 분하게 여기다가 결국 병이 들었다[15]

2. 1. 가계 및 왕자 시절

고려 인종과 공예태후 임씨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성은 왕, 이름은 충희(冲曦) 또는 현희(玄曦), 본관개성이다. 의종, 명종, 신종 등과 친형제 간이다[10]. 정확한 출생 연도는 알 수 없으나, 형제들의 출생 연도(1131년, 1144년)를 볼 때 1131년에서 1144년 사이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1].

1148년(의종 2년) 음력 11월 충희는 흥왕사(興王寺) 법존(法尊)이었는데, 맏형 의종이 증세승통(拯世僧統)으로 삼았다[11]. 1157년(의종 11년) 음력 1월 13일 의종이 보는 앞에서 약 200여 명의 승려들과 함께 기복재(祈福齋)를 올렸고[12], 1167년(의종 21년) 음력 4월 15일 청녕재(淸寧齋)에서 연회를 열고 의종과 여러 대신들을 초청하기도 하였다[13].

1177년(명종 7년) 흥왕사 중이 "승통 충희가 여러 승려들과 음모를 꾀하고 있다."라고 고하였으나, 혐의를 찾을 수 없어 석방되었다[10].

1180년(명종 10년) 모후 공예태후가 유종(乳瘇)을 앓자 명종은 충희를 불러 치료하게 하였다. 그러나 충희는 궁녀들과 수안궁주와 문란한 관계를 가졌고, 이 소문이 퍼지자 우사간 최선(崔詵)이 충희를 내보낼 것을 간하였다. 하지만 명종은 최선을 파직시켰고, 이후 대신들은 충희에게 뇌물을 바치기도 하였다[10].

2. 2. 명종 대의 비위 행위

1177년(명종 7년) 흥왕사의 한 중이 "승통 충희가 여러 승려들과 몰래 음모를 꾀하고 있다."라고 고변하였다. 이로 인해 충희의 시종을 국문하였으나, 아무런 혐의를 찾을 수 없어 모두 석방되었다.[10]

1180년(명종 10년), 공예태후가 유종을 앓게 되자 명종은 충희를 불러 치료하게 하였다. 그러나 궁에 들어온 충희는 여러 궁녀들 뿐 아니라 수안궁주와도 문란한 관계를 가졌다. 이러한 소문이 궁 밖으로 퍼지자 당시 우사간이었던 최선은 충희의 난잡한 행동을 고하며 궁에서 내보낼 것을 간하였다. 하지만 최선의 상소문을 읽은 명종은 크게 놀라며, "뜻밖에 사간이 우리 형제를 이간질 하는구나."라고 하면서 오히려 최선을 파직시켰다. 이후 대간들은 충희가 어떠한 행동을 해도 감히 간하지 못하였고, 대신들은 모두 충희에게 붙어 공공연하게 뇌물을 바치기도 하였다.[10]

2. 3. 사망

명종 13년 (1183년) 충희가 사망하였다.[14] 매장지 등은 기록되어 있지 않아 알 수 없고, 는 '''원경국사'''(元敬國師)이다. 충희가 죽자 명종은 모후 공예태후가 비통해할 것을 두려워하여 일부러 알리지 않았다. 수개월이 지나서야 아들 충희가 죽은 것을 알게 된 공예태후는 여러 장수들이 충희를 죽였다고 생각하고 분하게 여기다가 결국 병이 들었다. 때마침 충희의 바로 아랫동생인 평양공(平諒公, 훗날의 신종)도 병이 생겨 공예태후에게 찾아오지 못하고 있었는데, 공예태후는 평양공도 충희와 함께 화를 당했다고 생각하였다. 결국 얼마 후 평양공이 직접 공예태후에게 찾아오면서 공예태후는 기력을 약간 회복하였으나, 공예태후도 이 해 음력 11월 22일 75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15][16]

3. 기타

원경국사가 중건한 보덕사의 건물들은 조선 시대 후기 양식으로, 당시 원경국사가 중건한 건물은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7] 흥교사(흥교사|hangul)에 충희를 기념하기 위한 탑비(충희선사탑비|hangul)가 세워졌으나,[9] 오늘날까지 유지되지 못해 이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 - 사망비고
부왕인종1109년 - 1146년고려 제17대 (재위: 1122년 - 1146년)
모후공예태후 임씨1109년 - 1183년
의종1127년 - 1173년고려 제18대 왕 (재위: 1146년 - 1170년)
대령후1130년 - ?
명종1131년 - 1202년고려 제19대 왕 (재위: 1170년 - 1197년)
조카강종1152년 - 1213년고려 제22대 왕 (재위: 1211년 - 1213년)
동생신종1144년 - 1204년고려 제20대 왕 (재위: 1197년 - 1204년)
조카희종1181년 - 1237년고려 제21대 왕 (재위: 1204년 - 1211년)
남매승경궁주생몰년 미상
남매덕녕궁주? - 1192년
남매창락궁주? - 1216년
남매영화궁주1141년 - 1208년



원경국사 충희는 인종과 공예왕후의 넷째 아들로, 1131년 이후 1144년 이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1] 형제로는 의종, 대령, 명종, 신종이 있었고,[1] 남매로는 승경, 덕녕, 창락, 영화가 있었다.[2]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사 > 권90 > 열전 권제3 > 종실(宗室) > 인종 소생 왕자 http://db.history.go[...] 2022-06-09
[2] 웹사이트 고려사 > 권91 > 열전 권제4 > 공주(公主) > 인종 소생 공주 > 인종 소생 공주 http://db.history.go[...] 2022-06-09
[3] 웹사이트 고려사 > 권17 > 세가 권제17 > 의종(毅宗) 2년 > 11월 > 현희를 증세승통으로 삼다 http://db.history.go[...] 2022-06-09
[4] 웹사이트 고려사 > 권90 > 열전 권제3 > 종실(宗室) > 숙종 왕자 제안후 왕서 http://db.history.go[...] 2022-06-09
[5] 웹사이트 고려사 > 권18 > 세가 권제18 > 의종(毅宗) 11년 > 1월 > 승려들을 불러 기복재를 올리다 http://db.history.go[...] 2022-06-09
[6] 웹사이트 고려사 > 권18 > 세가 권제18 > 의종(毅宗) 21년 > 4월 > 왕제인 승려 충희가 마련한 청녕재 잔치에서 술을 마시다 http://db.history.go[...] 2022-06-09
[7] 웹사이트 고려사 > 권99 > 열전 권제12 > 제신(諸臣) > 최유청 > 최선 http://db.history.go[...] 2022-06-09
[8] 웹사이트 고려사 > 권88 > 열전 권제1 > 후비(后妃) > 인종 후비 공예태후 임씨 > 왕태후 임씨가 아들 왕충희의 죽음으로 근심하다가 홧병으로 죽다 http://db.history.go[...] 2022-06-09
[9] Encyclopedia 흥교사 (興敎寺)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3-28
[10] 서적 《고려사》권90〈열전〉권3 - 원경국사 충희
[11] 서적 《고려사》권17〈세가〉권17 - 의종 2년 11월 - 현희를 증세승통으로 삼다
[12] 서적 《고려사》권18〈세가〉권18 - 의종 11년 1월 - 승려들을 불러 기복재를 올리다
[13] 서적 《고려사》권18〈세가〉권18 - 의종 21년 4월 - 왕제인 승려 충희가 마련한 청녕재 잔치에서 술을 마시다
[14] 서적 《고려사》〈열전〉의 공예태후전에는 [[1182년]](명종 12년)의 일로 기록되어 있다.
[15] 서적 《고려사》권88〈열전〉권1 - 공예태후 임씨
[16] 서적 《고려사》권20〈세가〉권20 - 명종 13년 11월 - 태후 임씨가 죽자 왕이 애통해하다
[17] 웹사이트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보덕사〉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